KR200154492Y1 - 혁대용 버클 - Google Patents

혁대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492Y1
KR200154492Y1 KR2019960041920U KR19960041920U KR200154492Y1 KR 200154492 Y1 KR200154492 Y1 KR 200154492Y1 KR 2019960041920 U KR2019960041920 U KR 2019960041920U KR 19960041920 U KR19960041920 U KR 19960041920U KR 200154492 Y1 KR200154492 Y1 KR 200154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ngth
buckle
push button
adju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958U (ko
Inventor
윤성연
이춘화
Original Assignee
윤성연
이춘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연, 이춘화 filed Critical 윤성연
Priority to KR2019960041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492Y1/ko
Publication of KR970003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혁대용 버클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하여 식사후에 배가 부를때나 자리에 앉을경우에 혁대가 복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혁대용 버클은, 버클(2)의 말단부에 다수의 걸림수단을 구비한 길이조절판(50)이 설치되고, 혁대(1)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관통설치되며, 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는 길이조절판(50)을 록킹해제 시켜서 버클(2)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록커(20)가 설치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50)은 말단부에 이탈방지턱(51)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경사면이 이탈방지턱(51)을 향하도록 직각삼각형 형태의 다수의 삼각걸림턱(52)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배열형성되고,
상기 록커(20)는 상기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 설치되는 함체형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판(50)의 삼각걸림턱(52)을 선택적으로 록킹해제시키는 록킹해제구(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40)은 상부와 전방이 개구되고 후방벽 하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될 통공(41)이 형성되며, 일측벽에는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이 형성되고, 타측내벽에는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과 수평선상에 압축코일 스프링(43)이 삽입된 스프링수납구(44)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해제구(30)는 일측에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버튼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걸림구 설치공간부(32)가 형성되며, 이 걸림구 설치공간부(32)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구(33)가 토션스프링(34)을 개재시킨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부(31)의 반대측에는 상기 스프링수납구(4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돌기(35)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혁대용 버클
본 고안은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혁대용 버클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하여 식사후에 배가 부를때나 자리에 앉을경우에 혁대가 복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클(2)의 길이가 조절되게 된 혁대용 버클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클(2)의 말단부에 다수의 걸림수단을 구비한 길이조절판(50)이 설치되고, 혁대(1)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관통설치되며, 이 슬아이드식으로 이동되는 길이조절판(50)을 록킹해제시켜서 버클(2)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록커(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판(50)은 평판상의 금속판에 톱니모양의 걸림홈(53)을 형성하고, 그 걸림홈(53)의 일측면에는 걸림홈(53)과 동일한 낮은 깊이의 슬라이드홈(54)을 형성한 록킹해제홈(55)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록커(20)는 함체형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판(50)을 선택적으로 록킹해제 시키는 이동쇠(21)와, 이동쇠(21)의 상측에 설치되며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 고정되는 고정쇠(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0)은 상부가 개구되며 내측에 공간부(45)가 형성되어 공간부(45)의 내측에 상기 이동쇠(21)와 고정쇠(22)를 삽입설치할 수 있고, 일측에는 이동쇠(21)가 출몰될 이동쇠출몰구(46)가 형성되고, 이 이동쇠출몰구(46)와 직각방향의 하측 전후방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관통이동될 전후방통공(47)(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45)내측에 삽입설치되어 이동쇠출몰구(46)로 출몰되는 상기 이동쇠(21)는, 상측에 압축코일 스프링(23)이 걸리는 스프링받이(24)가 형성되고, 이동쇠(21)의 하측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의 록킹해제홈(55)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걸림홈(53)에 걸리는 걸림돌기(25)가 하향돌출되었다.
또한, 상기 고정쇠(22)는 공간부(45)내에서 이동쇠(21)의 상측에 덮어 씌워지며, 길이방향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23)이 삽입되는 스프링 작동공간부(26)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혁대고정구(10)의 덮개부(11)에 나사로서 고정되는 나사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혁대용 버클은 길이조절판(50)을 하우징(40)의 전후방통공(47)(48)으로 삽입시키면, 길이조절판(50)의 록킹해제홈(55)에 이동쇠(21)의 걸림돌기(25)가 삽입되어 있게 되고, 압축코일 스프링(23)의 탄력에 의해 이동쇠(21)의 일측단이 이동쇠출몰구(47)의 외측으로 나와 있으면서 하측의 걸림돌기(25)는 걸림홈(53)에 걸린상태가 된다.
이상태에서 이동쇠출몰구(47)의 외측으로 나와 있는 동쇠(21)의 외측을 누르면 걸림돌기(25)가 길이조절판(50)의 걸림홈(53)에서 슬라이드홈(54)으로 나가게되어 걸림돌기(25)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도 2의 A와 같이 이동쇠(21)의 걸림돌기(25)가 슬라이드홈(54)에서 스라이드 이동하여 버클(2)의 길이가 길게 조절되어 식사후에 배가 부를 경우나, 자리에 앉아서 복부가 혁대에 압박을 가하는 것을 해제시켜 편안해 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혁대용 버클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시 조립이 난이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클의 길이가 조절되어 복부를 압박하지 않아 복부를 편안하게 하는 혁대용 버클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에 의한 혁대용 버클은, 버클의 말단부에 다수의 걸림수단을 구비한 길이조절판이 설치되고, 혁대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혁대고정구의 선단부 하방에는 상기 길이조절판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관통설치되며, 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는 길이조절판을 록킹해제 시켜서 버클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록커가 설치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은 말단부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경사면이 이탈방지턱을 향하도록 직각삼각형 형태의 다수의 삼각걸림턱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배열형성되고,
상기 록커는 상기 혁대고정구의 선단부 하방에 설치되는 함체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판의 삼각걸림턱을 선택적으로 록킹해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와 전방이 개구되고 후방벽 하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판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될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벽에는 누름버튼부 작동구멍이 형성되고, 타측 내벽에는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과 수평선상에 압축코일 스프링이 삽입된 스프링수납구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해제구는 일측에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버튼부가 형성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걸림구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걸림구 설치공간부에는 상기 길이조절판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구가 토션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부의 반대측에는 상기 스프링수납구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탄지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제1도의 (a)(b)는 혁대용 버클에 버클의 길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버클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2도는 종래의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혁대용 버클의 분해사시도.
제3도의 (a)(b)는 제2도에 도시된 혁대용 버클의 작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
제5도의 (a)(b)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의 (a)(b)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혁대 2 : 버클
10 : 혁대고정구 20 : 록커
30 : 록킹해제구 31 : 누름버튼부
32 : 걸림구 설치공간부 33 : 걸림구
34 : 토션스프링 35 : 돌기
40 : 하우징 41 : 통공
42 : 누름버튼부 작동구멍 43 : 압축코일 스프링
44 : 스프링수납구 50 : 길이조절판
51 : 이탈방지턱 52 : 삼각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의 (가)(나)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의 (가)(나)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혁대용 버클은, 버클(2)의 말단부에 다수의 걸림수단을 구비한 길이조절판(50)이 설치되고, 혁대(1)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관통설치되며, 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는 길이조절판(50)을 록킹해제 시켜서 버클(2)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록커(20)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판(50)은 말단부에 이탈방지턱(51)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경사면이 이탈방지턱(51)을 향하도록 직각삼각형 형태의 다수의 삼각걸림턱(52)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배열형성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록커(20)는 상기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 설치되는 함체형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판(50)의 삼각걸림턱(52)을 선택적으로 록킹해제 시키는 록킹해제구(30)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40)은 상부와 전방이 개구되고 후방벽 하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될 통공(41)이 형성되며, 일측벽에는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이 형성되고, 타측내벽에는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과 수평선상에 압축코일 스프링(43)이 삽입된 스프링수납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해제구(30)는 일측에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버튼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중아부에는 걸림구 설치공간부(32)가 형성되며 이 걸림구 설치공간부(32)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구(33)가 토션스프링(34)을 개재시킨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부(31)의 반대측에는 상기 스프링수납구(4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탄지되는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혁대를 허리에 착용한 초기상태는 혁대고정구(10)의 하측에 설치된 록커(20)에 길이조절판(50)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때는 걸림구(33)가 길이조절판(50)의 선단부(a)에 위치한 삼각걸림턱(52)에 걸려서 길이조절판(50)과 록커(20)가 록킹된 상태이다.
이렇게 길이조절판(50)과 록커(20)가 록킹된 상태는 혁대의 길이가 허리에 꼭 맞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자리에 앉거나 식사를 하여 배가 부를 경우에는 본 고안의 혁대용 버클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여 혁대가 복부를 압박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게된다.
즉, 혁대에 의한 복부의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5의 (나)와 같이 누름버튼부(31)를 누르면, 록킹해제구(30)는 하우징(40)내측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걸림구(33)가 삼각걸림턱(52)에서 벗어나 길이조절판(50)의 길이방향으로 록커(2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록커(20)를 사용자가 편안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뒤에 누름버튼부(31)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수납구(44)에 삽입되어 있는 압축코일 스프링(43)의 탄력에 의해 록킹해제구(30)가 도 5의 (가)와 같이 삼각걸림턱(52)측으로 이동하여 록킹해제구(30)의 걸림구(33)가 삼각걸림턱(52)에 걸려 록킹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면 버클(2)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혁대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길어져 복부에 가해지던 압박감이 해소되어 편안해 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편안하게 지내다가 혁대를 원래의 길이로 허리에 맞게 조절할 경우에는 록커(20)를 버클(2)측으로 밀면, 걸림구(33)가 삼각걸림턱(52)의 경사면을 타고 버클(2)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버클(2)측으로 이동하던 걸림구(33)는 삼각걸림턱(52)을 넘어선 뒤에는 토션스프링(34)에 의해 걸림구(33)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탄력이 작용하여 삼각걸림턱(52)에 걸리면서 록킹상태가 되는데, 록커(20)의 이동은 록커(20)를 이동시킨 길이만큼 경사면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되고 이동의 완료된 뒤에는 삼각걸림턱(52)의 직각부분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혁대용 버클은, 식사후와 같이 배가 부를 때나 또는 자리에 앉아서 복부가 혁대에 의해 압박감이 있을 경우에 누름버튼부를 눌러서 버클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면, 혁대의 길이가 길어져서 복부의 압박감을 쉽게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복부를 편안하게 해 주는 혁대용 버클의 구조가 간단하여 혁대용 버클을 제조시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가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버클(2)의 말단부에 다수의 걸림수단을 구비한 길이조절판(50)이 설치되고, 혁대(1)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관통설치되며, 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는 길이조절판(50)을 록킹해제 시켜서 버클(2)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록커(20)가 설치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50)은 말단부에 이탈방지턱(51)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경사면이 이탈방지턱(51)을 향하도록 직각삼각형 형태의 다수의 삼각걸림턱(52)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배열형성되고,
    상기 록커(20)는 상기 혁대고정구(10)의 선단부 하방에 설치되는 함체형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판(50)의 삼각걸림턱(52)을 선택적으로 록킹해제구(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40)은 상부와 전방이 개구되고 후방벽 하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될 통공(41)이 형성되며, 일측벽에는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이 형성되고, 타측내벽에는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과 수평선상에 압축코일 스프링(43)이 삽입된 스프링수납구(44)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해제구(30)는 일측에 상기 누름버튼부 작동구멍(42)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버튼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걸림구 설치공간부(32)가 형성되며, 이 걸림구 설치공간부(32)에는 상기 길이조절판(50)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구(33)가 토션스프링(34)을 개재시킨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부(31)의 반대측에는 상기 스프링수납구(4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돌기(35)가 형성된 것에 특징으로 하는 혁대용 버클
KR2019960041920U 1996-11-21 1996-11-21 혁대용 버클 KR200154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920U KR200154492Y1 (ko) 1996-11-21 1996-11-21 혁대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920U KR200154492Y1 (ko) 1996-11-21 1996-11-21 혁대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958U KR970003958U (ko) 1997-02-19
KR200154492Y1 true KR200154492Y1 (ko) 1999-08-16

Family

ID=1947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920U KR200154492Y1 (ko) 1996-11-21 1996-11-21 혁대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4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45B1 (ko) 2010-10-14 2012-05-24 최석근 혁대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45B1 (ko) 2010-10-14 2012-05-24 최석근 혁대용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958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9563A (en) Adjustable belt fastener with spring biased male fastener member
US5588189A (en) Buckle for vehicle seat belt system
US6073901A (en) Device for supporting objects
US5568676A (en) End release buckle
US5584107A (en) Buckle device for infant restraining seat
US6062647A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y
US5699594A (en) Seat belt buckle spring
US5979026A (en) Buckle dual release
EP3810525B1 (en) Strap adjustment system
GB2404359A (en) Child vehicle seat with seat bel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6016675A (en) Retaining device provided with lock
KR200154492Y1 (ko) 혁대용 버클
CN210712276U (zh) 一种具有锁定装置的熨烫设备
US6317941B1 (en) Security clutch
CA2199326C (en) Adjustable shield for infant car seat safety belts
GB1600805A (en) Hook and ring clasp
WO2002003826A1 (en) Security clutch with unitary trigger and spring
US5884969A (en) Release for a height adjustment of back rests
US3340578A (en) Safety belt buckle
EP0965504B1 (en) Switch for a buckle, buck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uckle
KR20000029209A (ko) 유아용 카시트를 위한 버클 걸쇠수단
JP2002112806A (ja) アジャスター
KR0163689B1 (ko) 버스용 의자의 손잡이 조절장치
KR960000898Y1 (ko) 벨트의 내외측 위치변경과 미세조절 기능을 갖는 버클
KR930005242Y1 (ko) 비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