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333Y1 -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333Y1
KR200153333Y1 KR2019970011921U KR19970011921U KR200153333Y1 KR 200153333 Y1 KR200153333 Y1 KR 200153333Y1 KR 2019970011921 U KR2019970011921 U KR 2019970011921U KR 19970011921 U KR19970011921 U KR 19970011921U KR 200153333 Y1 KR200153333 Y1 KR 200153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oad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proportio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359U (ko
Inventor
우종원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70011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3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3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60T8/1837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ed by the load-dete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적재되는 하중에 따라 유압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하나의 하우징에 하나의 캠을 수용하여 두 개의 밸브체를 제어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의 브레이크시스템에서 후륜으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상에 후륜에 가하여지는 하중의 정도에 따라 유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비례제어밸브(50)는 단독 하우징(51)의 중앙에 형성된 캠수용홈(52)상에는 리어액슬(53)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하는 로드(54)와 중앙부가 연결되어 적차되는 하중에 따라 회전량을 달리하는 캠(55)을 수용하고; 상기 캠(55)의 양측으로는 통상의 밸브체(70,70')두개를 대칭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밸브체(70,70')가 하나의 리어브레이크로 유압을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확실한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브레이크시스템에서 적재되는 하중에 따라 유압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시스템에서는 전,후륜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이하므로 전륜에 가하여지는 유압을 그대로 후륜에 가할 경우 후륜에 과도한 유압이 작동하여 후륜이 록킹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륜으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상에 후륜에 가하여지는 하중의 정도에 따라 유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를 설치하여 사용된다.
본원 출원인도 이러한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를 1996년 11월 8일 특허출원 제53346호로 기 출원한바 있으며, 기 출원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례제어밸브(1)의 하측에 인렛(2)과 아웃렛(3)을 가지는 하우징(4) 내부 일측에는 단부가 개방된 실린더(5)를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캠수용부(6)를 형성하여 리어액슬(7)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드(8)와 정원형상의 캠(9)이 편심되게 연결되어 수용된다.
상기 실린더(5)내에는 탄성조절피스톤(10)과 스프링(11) 및 피스톤(12)이 순차적으로 장입되어 캡(13)에 의하여 단속되어진다.
상기 탄성조절피스톤(10)의 선단부에는 캠수용부(6)로 돌출시켜 캠(9)과 접속시켜 캠(9)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캠접속로드(14)가 일체로 마련되고, 후단부에는 피스톤(12)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피스톤공(15)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조절피스톤(10) 및 캡(13)에는 실링수단(16,17,18)이 개입되어 유압누출의 원인을 차단하도록 하고, 피스톤(12)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실린더(5)상에는 컵씰(20)을 나사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비례제어밸브(1)의 작동은 적차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리어액슬(7)이 회동하지 않으므로 이와 연결된 로드(8)가 하우징(4)에 수용된 캠(9)을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서 정상적인 비례제어밸브의 기능을 수행하고, 화물이 적차될 경우에는 적차된 화물의 양만큼 리어액슬(7)이 회동하여 로드(8)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로드(8)와 연결된 캠(9)이 회동하여 적차된 화물의 양만큼 캠(9)을 회동시켜주고,회동한 캠(9)은 탄성조절피스톤(10)을 피스톤(12)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스프링을 왼쪽으로 밀어 피스톤이 작동되는 유압이 증대되므로 리어레이크로 전달되는 제동력을 화물의 적차량에 따라 차등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한 계통의 발생유압을 이용하여 두 개의 리어브레이크로 유압을 전달하는 방식인 H타입배관의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두 개의 리어브레이크에 각각의 독립배관을 이용하여 유압을 전달하는 X타입 배관라인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X타입 배관라인에 적용할 경우에는 비례제어밸브를 하나더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져 조립이나 장착성이 떨어지게 되고, 많은 부품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원인제공을 하기 때문에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하나의 하우징에 두 개의 비례제어밸브를 가지도록 하고, 하우징의 중앙에 수용된 한 개의 캠에 의하여 두 비례제어밸브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비례제어밸브의 상세 단면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서 공차상태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기술에서 적차상태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레제어밸브의 공차상태 상세 단면도.
재5도는 제4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례제어밸브의 적차상태 상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비례제어밸브 51 : 하우징
52 : 캠수용홈 55 : 캠
70,70' : 밸브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례제어밸브의 공차상태 상세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례제어밸브의 적차상태 상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시스템에서 후륜으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상에 후륜에 가하여지는 하중의 정도에 따라 유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비례제어밸브(50)는 단독 하우징(51)의 중앙에 형성된 캠수용홈(52)상에는 리어액슬(53)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하는 로드(54)와 중앙부가 연결되어 적차되는 하중에 따라 회전량을 달리하는 캠(55)을 수용하였다.
상기 캠수용홈(52)의 양측에는 리어브레이크로 유압을 보내기위한 인렛(56,56')과 아웃렛(57,57')을 가지고, 양단부가 개방된 실린더(60,60')내에 선단에 캠접속로드(61,61')를 가지고 후단에는 피스톤공(62,62')를 가지는 탄성조절피스톤공(63,63')과 스프링(64,64'), 컵씰(65,65') 및 피스톤(66,66')을 순차적으로 장입하여 캡(67,67')으로 단속시킨 통상의 밸브체(70,7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캠(55)은 캠(55)의 양측에 위치한 탄성조절피스톤(63,63')의 선단부에 돌출되어 그 단부가 캠(55)과 접속되어 있는 두 개의 캠접속로드(61,61')를 동일한 양만큼 움직여줄 수 있도록 타원형(도면상에서는 상,하측이 돌출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는 화물이 적차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리어액슬(53)이 회전하지 않음으로서 캠(55)이 작동하지 않아 캠(55)의 양측에 위치한 밸브체(70,70')는 변화가 없어 정상적인 유압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물이 적차될 경우에는 적차되는 화물의 양만큼 리어액슬(53)이 회전하여 이와 연결된 로드(54)와 중앙부가 고정된 캠(55)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캠(55)과 접속되어 있는 캠접속로드(61,61')는 캠(55)과 연동하여 탄성조절피스톤(63,63')가 스프링(64,64')를 압축하면서 캠(55)이 회전하여 미는 양만큼 후방피스톤(62,62')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상기 탄성조절피스톤(63,63')의 후퇴로 스프링(64,64')을 각각 밀어 피스톤이 작동되는 유압의 정도가 커지게 되므로 리어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제동력을 화물적 차량에 차등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등은 본원출원인이 기 출원한 96년 특허출원 제53346호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중앙에 위치하는 캠의 위치하는 캠의 양측에 대칭형의 밸브체를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로 X타입의 배관차량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시스템내의 한계통의 손상의 경우에도 충분한 제동력을 공급할 수 있어 자동차법규상의 제규정을 만족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자동차의 브레이크시스템에서 후륜으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상에 후륜에 가하여지는 하중의 정도에 따라 유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비례제어밸브(50)는 단독 하우징(51)의 중앙에 형성된 캠수용홈(52)상에는 리어액슬(53)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하는 로드(54)와 중앙부가 연결되어 적차되는 하중에 따라 회전량을 달리하는 캠(55)을 수용하고; 상기 캠(55)의 양측으로는 통상의 밸브체(70,70')두개를 대칭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밸브체(70,70')가 하나의 리어브레이크로 유압을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55)은 탄성조절피스톤(63,63')의 선단부에 돌출된 캠접속로드(61,61')를 동일한 양만큼 움직여줄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KR2019970011921U 1997-05-21 1997-05-21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KR200153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921U KR200153333Y1 (ko) 1997-05-21 1997-05-21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921U KR200153333Y1 (ko) 1997-05-21 1997-05-21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359U KR19980067359U (ko) 1998-12-05
KR200153333Y1 true KR200153333Y1 (ko) 1999-08-02

Family

ID=1950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921U KR200153333Y1 (ko) 1997-05-21 1997-05-21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3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359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9989A (en) Auxiliary power assisted master cylinder arrangement for a vehicle brake system
US4708404A (en) Hydraulic brake system with hydraulic brake force boosting
CA2242553A1 (en) Axle tilt control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s
US4750789A (en) Vehicular hydraulic brake system with anti-locking
GB2213543A (en) Anti-lock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A2309822A1 (en) Traction control and active suspension
US3578821A (en) Brake limiters
KR200153333Y1 (ko) 자동차용 하중감응형 비례제어밸브
EP0238244B1 (en) Improvements in hydraulic anti-skid systems for vehicles
US3567289A (en) Hydraulic brake pressure control valve assembly
US4463562A (en) Booster assisted hydraulic master cylinders for vehicle braking systems
US3520577A (en) Hydraulic braking systems
US5184877A (en) Hydraulic braking pressure control device
KR200144416Y1 (ko) 차량용 마스터실린더
US4753487A (en) Failure switch for braking system proportioning valve
KR100344470B1 (ko)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모듈레이터블록의저압어큐뮬레이터
US4761041A (en)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vehicle braking system
KR970004583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듀얼 프로포셔닝밸브
SU1172784A1 (ru) Тормозна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A2144246C (en) Brake valve with prefill chamber unloading
US4497175A (en) Hydraulic master cylinder
EP0159793B1 (en) A vehicle hydraulic braking system
KR970007718B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듀얼 프로포셔닝밸브
US5400595A (en) Brake valve with prefill chamber unloading
KR970001106B1 (ko) 앤티-스키드 장치를 가진 차량 제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