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214Y1 - 사각 날개형 오링 - Google Patents

사각 날개형 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214Y1
KR200153214Y1 KR2019960039716U KR19960039716U KR200153214Y1 KR 200153214 Y1 KR200153214 Y1 KR 200153214Y1 KR 2019960039716 U KR2019960039716 U KR 2019960039716U KR 19960039716 U KR19960039716 U KR 19960039716U KR 200153214 Y1 KR200153214 Y1 KR 200153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ipes
buried
wing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806U (ko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박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규 filed Critical 박종규
Priority to KR2019960039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2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2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이나 우수관 등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관들 각각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단면이 원형인 오링에 대한 것으로, 오링단면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하여, 오링단면 중심에 대해 1/4원으로 네등분하여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탄성을 가진 날개를 형성시킨 것으로서, 본 고안을 매설관 결합시 삽입결과시키게 되면 오링에 형성된 탄성을 가진 네 개의 날개가 관내외부에 형성된 압력에 의해 매설관 표면에 오링이 더욱 밀착되게되며, 이로서 관내 내재물의 유출을 막아 토양의 오염이나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사각 날개형 오링
본 고안은 관결합시 내재물의 유출을 막는 오링에 대한 것으로 특히,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이나 우수관 등 매설관 결합에 사용되는 오링에 대한 것으로, 결합되는 개별관들간의 유격을 오링을 삽입하여 유격을 막음으로서, 내제된 내재물의 유출을 막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하수관이나 우수관 등은 주로 지하에 매설하게 되어있는데, 여러개의 관들을 각각 따로 이동하여 매설시 결합한 후 매설하게 되어있다. 이때 각각 개별의 관들만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매설후 하수관이나 우수관 등 매설관을 사용하게 되면 매설관내에 있는 폐수가 매설관 결합부 사이에 작은 틈을 통해 유출되어, 지하수나 토양을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이렇게 유출된 폐수 등 내재물들은 매설관 자체도 변질시켜 하수관이나 우수관 사용 수명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그래서 이렇게 폐수 유출을 막고, 하수관이나 우수관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관들 사이에 오링을 삽입시킨후 관을 결합하여 매설하여 각각 매설관들 사이의 틈을 막았다. 그러나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오링들은 내측부(12)에 오링(1)을 결합시킨후 외측부(13)을 내측부(12)에 결합시켜 매설하였는데, 외측부(13)을 내측부(12)에 결합시킬 때, 결합되는 외측부(13)에 의해 내측부(12)에 결합된 오링(1)을 밀게되어, 본래 목적하는 위치에 오링(1)이 위치하지 못하고 이탈하게 된다. 이로서 내측부(12), 오링(1), 그리고 외측부(13)으로하는 목적하는 구조를 이루지못하게되어, 실제로 실시시에 유입되는 관내부압력에 의해 내재물이 오링의 틈으로 유출하게된다. 그리하여 내재물의 유출에 의해 폐수 유출에 의한 오염 및 겨울철 동파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오링은 최초 매설관(11)의 내측부(12)에 결합시킬 때, 오링단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있어 결합도 용이하지 못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 및 우수관 등 매설되는 각각 개별 관들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내재물의 유출을 막고, 오링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고무 오링으로, 그 구조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링에 있어서, 원형단면 표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네 개의 탄성을 갖는 날개를 갖는 구조로하여, 각각 날개는 원형 단면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이되게 1/4원으로 네등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날개의 두께는 유동이 될 수 있는 얇은 두께로하여 탄성을 갖는 구조로된 것이다. 그러므로 오링 전체 구조는 끝이 이어진 원형막대형테로 전체적으로 원형띠구조로 되어있고, 두께가 얇은 날개가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매설되는 관의 내외측관의 결합부에 오링의 날개가 밀착되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오링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네 개의 날개는 각각 어떠한 위치에 위치해있더라도 밀착된 내외측관에 접촉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관내부에 있는 내재물이 유출되지않게하며, 또한 관 외부에 있는 외부물질의 유입을 막는 구조로된 것이다. 이로서 오링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있고, 전체적으로 끝이 이어진 원형띠형태이므로 내측부에 삽입시키기에도 용이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관내 내재물의 유출에 의한 지하수 및 토양 등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아울러 하수관이나 우수관 등의 상태를 양호하게 우지할 수 있어 매설되는 매설관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 예시도.
제4도는 종래의 오링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링 2 : 날개
11 : 매설관 12 : 내측부
13 : 외측부
본 고안의 구조를 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띠을 이루는 오링(1)에 있어서 그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고, 원형단면에 대해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네 개의 날개(2)를 형성한 것으로, 각각의 날개(2)는 탄성을 갖으며 원형단면의 중심에 대해 1/4원으로 네등분하여 서로 대칭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각각 날개(2)들의 위치를 보면 두 개의 날개(2a)(2c)는 원형오링 단면의 상하측표면에 형성되어, 전체 원형 오링(1)의 축방향과 서로 수지고디게 형성되어있고, 나머지 두 개의 날개(2b)(2d)는 오링(1)의 내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전체 원형 오링(1)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된 본고안의 설치 및 작용을 보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개 매설관(11)의 내측부(12)와 또 다른 매설관(11a)의 외측부(13)을 서로 결합시켜 매설시키는 매설관(11)결합에 있어서, 오링(1)을 내측부(12)의 끝선단의 외측부분으로 끼움삽입한 후, 이에 따른 매설관(11a)의 외측부(13)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외측부(13)의 내부로 오링(1)이 결합된 내측부(12)가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매설관(11) 결합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오링(1)은 단면이 원형을 이루므로 내측부(12) 끝단에 위치시킨 후 내측부(12)쪽으로 오링(1)을 굴리듯하여 밀면서 삽입시키면, 쉽게 오링(1)으르 내측부(12)에 끼움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오링(1)의 삽입되는 진행과정을 보면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오링(1)을 날측날개(2b)가 내측부(12)의 외측표면이 맞닿게 하고, 상측날개(2a)는 외측부(13)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외측날개(2d)는 상측으로 향하게 하며 그리고 하측날개(2c)는 내측부(12)를 향하게하여 매설관(11)의 내측부(12) 끝선단 외측에 삽입결합시키게 구성하였다. 그런후에 또다른 매설관(11a)의 외측부(13)를 내측부(12) 방향으로 진입시키게 되면,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13)에 밀려서 오링(1)은 내측부(12) 표면을 따라 내측부(1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하게되며, 이때 네 개의 각각 날개는 얇은두께의 탄성을 갖는 구조로된 것으로 내외측부(12)(13)에 탄성을 갖고 휘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제3(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설관(11)의 내측부(12)와 외측부(13)의 삽입결합이 종료된 후에 오링의 상태를 보면, 오링의 상하측에 위치한 매설관(11)의 내외측부(12)(13)에 네 개의 날개는 각각 두 개씩 짝을 이루어 내외측부(12)(13)의 표면에 밀착하여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매설관(11)을 매설하여, 매설관(11) 내부에 내재하는 내재물이 고압이되면, 내측에 있는 두 개의 날개(2a)(2b)를 고압인 내재물이 내외측부(12)(13)로 밀어내게됨으로서, 탄성을 갖는 날개(2a)(2b)는 더욱 매설관(11)에 밀착하게 되어 더욱더 내재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가 없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마찬가지로 외부 물질도 오링의 외측 날개(2c)(2d)를 고압으로 내외측부(12)(13) 쪽으로 밀어내게되어 탄성을 갖고있는 날개(2c)(2d)는 더욱더 내외측부(12)(13) 쪽으로 밀착됨으로서 외부물질이 유입되기 어렵게 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보면, 하수관이나 우수간 등 매설되는 각각 별체로 된 매설관들의 결합시 삽입결합되는 원형띠인 오링에 있어서, 오링의 원형단면에 서로 1/4원의 네등분으로 대칭이되게 탄성을 갖는 얇은 두께의 날개를 원형단면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한 것으로, 본 고안이 결합되어 매설된 매설관은 오링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얇은 날개에 의하여 관내 압력이 더욱 커지게 되면 더욱더 날개가 매설관에 밀착되어 관내 내재물이 유출되지 않게 고안된 것으로서, 내재물의 유출로 인해 폐수 유출에 의한 지하수 및 토양 오염등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아울러 매설관 손실을 방지하여 매설관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매설관(11)의 내측부(12)와 외측부(13)를 결합시킬시 내외측부(12)(13) 사이에 삽입결합시키는 오링에 있어서, 상기 오링(1)은 끝이 이어진 원형띠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원형 오링(1) 단면에 대한 표면과 나란하게 구성된, 탄성을 갖는 네 개의 날개(2a)(2b)(2c)(2d)를 오링 단면 중심에 대해서로 1/4원의 네등분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하는 사각 날개형 오링.
KR2019960039716U 1996-11-13 1996-11-13 사각 날개형 오링 KR200153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716U KR200153214Y1 (ko) 1996-11-13 1996-11-13 사각 날개형 오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716U KR200153214Y1 (ko) 1996-11-13 1996-11-13 사각 날개형 오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806U KR19980026806U (ko) 1998-08-05
KR200153214Y1 true KR200153214Y1 (ko) 1999-08-02

Family

ID=1947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716U KR200153214Y1 (ko) 1996-11-13 1996-11-13 사각 날개형 오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2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80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793A (en) Gasket with encapsulated locking ring
IE62593B1 (e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US3503636A (en) Conduit joint assembly
KR200153214Y1 (ko) 사각 날개형 오링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US5979908A (en) Pipe seal for concrete structures
EP0225305B1 (en) Pipe connector device
FI91992B (fi) Sujutusputki
FI75414B (fi) Roerkoppling.
KR0133072Y1 (ko) 하수관의 실링장치
KR0167436B1 (ko) 매설관의 내부보수용 패킹링
KR200333360Y1 (ko) 하수관 보수 작업용 바이패스기기
KR200201079Y1 (ko) 맨홀 방수용 러버 씰의 구조
CA1079993A (en) Manhole seal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for
KR20050123082A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KR200252819Y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
GB1576573A (en) Pipe joints
KR100194750B1 (ko) 하수관용 분기관 연결부재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CN220851225U (zh) 一种hdpe排水管道人孔连接用a型柔性接头
KR200472958Y1 (ko)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KR100463940B1 (ko) 상.하수도용콘크리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