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205Y1 - Alarm apparatus when recoeding no signal - Google Patents

Alarm apparatus when recoeding no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205Y1
KR200153205Y1 KR2019970000733U KR19970000733U KR200153205Y1 KR 200153205 Y1 KR200153205 Y1 KR 200153205Y1 KR 2019970000733 U KR2019970000733 U KR 2019970000733U KR 19970000733 U KR19970000733 U KR 19970000733U KR 200153205 Y1 KR200153205 Y1 KR 200153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camcorder
alarm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7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56689U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0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205Y1/en
Publication of KR19980056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68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205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고안은 영상을 녹화하거나 재생하는 캠코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corder for recording or playing back images.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I. The technical challenge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종래 캠코더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많은 테이프의 손상 및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테이프에 무신호가 기록되어 재생시 화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못하였다.In a conventional camcorder, due to a user's mistake, damage and inefficient use of many tapes resulted in no signal being recorded on the tape, so that images were not continuously reproduced during playback.

다.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All. The gist of the solution of the devise:

본 고안은 오프모드로 전환될 시 무신호가 검출되면 다음 녹화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무신호에 의한 연결 녹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무신호 기록시 알람 발생장치를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alarm generating apparatus during no signal recording so that an alarm sound is generated to notify the user that connection recording by no signal is not possible when the next recording request is generated when no signal is detected when the signal is switched off.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la.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캠코더의 무신호 기록시 알람 발생장치.Alarm generator for no signal recording of the camcorder.

Description

무신호 기록시 알람 발생장치Alarm generator when no signal recording

본 고안은 캠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코더에서 기록된 무신호가 검출될 시 알람을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a non-signal recorded in a camcorder is detected.

종래 캠코더 또는 비디오에서는 녹화 또는 재생모드에서 전원 차단 요구가 발생되면 녹화 시작점에서 녹화가 끊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시점으로 테이프를 이동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고 오프모드(off-mode)로 전환하는 연속 녹화 동작을 수행하였다.In a conventional camcorder or video, when a power off request occurs in the recording or playback mode, the continuous record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tape to an appropriate time point and then turning off the power and turning off the mode in order to prevent the recording being disconnected at the starting point of recording. The operation was performed.

하지만 사용자가 녹화된 화상을 보기 위한 재생모드 또는 녹화된 화상을 편집하기 위한 에디트(EDIT(+),EDIT(-))모드를 동작시켜 테이프를 무신호 영역으로 많이 이동시켰을 경우에는 최종 녹화 영역과 최초 녹화 시작 영역 간의 무신호 영역이 발생된다.However, if the user moves the tape to the no-signal area by operating the playback mode for viewing the recorded image or the edit (EDIT (+), EDIT (-)) mode for editing the recorded image, A no-signal area between the first recording start areas is generated.

즉, 캠코더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능이 종료되어 오프모드로 전환될 시 연결 녹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테이프가 적정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녹화 또는 녹화 대기 등의 경우에는 테이프가 적정 위치로 이동되어 다음 녹화 시작시 완전한 연속 녹화가 이루어져 재생시 자연스러운 연속 화상이 재생된다. 하지만 되감기(REW), 고속전진(FF), 에디트(EDIT(+),EDIT(-)) 등에 의한 기능이 종료되어 오프모드로 전환될 시에는 연결 녹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테이프가 적정 위치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무신호 영역에 위치하게 되어 다음 녹화시 무신호 영역이 남게 된다.That is, when all functions provided by the camcorder are terminated and the mode is switched to off mode, the tape is moved to the proper position by the connection recording operation program. As a result, in the case of recording or recording standby, the tape is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and complete continuous recording is performed at the next recording start, so that a natural continuous image is reproduced during playback. However, when the functions such as the rewind, fast forward, and edit functions are switched to off mode, the tape is moved to the proper position by the connected recording operation program. Even if it is located in the no-signal area, the no-signal area will be left in the next recording.

종래 캠코더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많은 테이프의 손상 및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테이프에 무신호가 기록되어 재생시 화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amcorder, there is a problem that no signal is recorded on the tape and the images cannot be reproduced continuously during playback due to the error and inefficient use of many tapes due to a user error.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이 차단되면 테이프의 무신호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경보음을 발생하여 녹화시 테이프에 무신호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detect and store no signal of the tape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a recording request is generat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 signal area on the tape during recording. In providing a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신호 기록시 알람 발생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larm generating apparatus when no signal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신호 기록시 알람 발생을 위한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no signal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발생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3 is a waveform diagram of a signal output for alarm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신호 기록시 알람 발생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no signal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캠코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으로는 전원 차단 요구가 발생되면 연속 녹화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연속 동작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무신호 검출부(14)를 통해 무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되는 무신호 정보를 메모리(16)에 저장하며,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메모리(16)에 저장된 무신호 정보에 따른 경보음 발생부(22)를 제어한다. 키입력부(12)는 캠코더의 각종 기능의 수행을 요구하는 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키가 눌리면 상기 눌린 키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제공한다. 무신호 검출부(14)는 연속 녹화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특정 영역에 무신호가 기록되었는 가를 검색한다. 상기 무신호 검출부(14)는 종래 캠코더에서 사용되었으며, 통상적으로 ATF IC를 사용한다. 메모리(16)는 캠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제공되는 무신호 정보를 저장한다. 경보음 발생부(22)는 증폭기(18)와 스피커(20)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제공되는 부져 구동신호(BUZ_H)와 경보 발생신호(BUZZER)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amcorder. With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wer-off request is generated,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ntinuous recording program, and the signalless detection unit 14 detects no signal while the continuous operation program is executed. In addition, the detected no-sig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6, and when a recording request is generated, the alarm sound generation unit 22 according to the no-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6 is controlled. The key input unit 12 is composed of keys for requesting the performance of various functions of the camcorder. When a key is pressed by the user, the key input unit 12 provides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to the controller 10. The no-signal detecting section 14 searches whether or not no signal is recorded in a specific area while the continuous recording program is being executed. The signal-free detector 14 has been used in a conventional camcorder, and typically uses an ATF IC. The memory 16 stores various control program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 camcorder, and stores no sign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0. The alarm sound generator 22 includes an amplifier 18 and a speaker 20 to generate an alarm sound by the buzzer driving signal BUZ_H and the alarm generation signal BUZZER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10.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신호 기록시 알람을 발생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흐름도에 의해 수행된다.The process of generating an alarm during no signal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flowchart shown in FIG.

상기 도 2는 동작상태에서 전원 차단 요구가 발생되면 연결 녹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녹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무신호를 검색하여 무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저장된 무신호 정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2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n operation for connection recording when a power-off request is generated in the operation state, searching for no signal and storing no signal information during the connection recording operation, and generating a recording request. When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ored no signal information.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발생을 위해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waveform diagram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 for generating an al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부져 구동신호(BUZ_H)는 부져가 구동될 시간을 결정하는 신호이며, 경보 발생신호(BUZZER)는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특정 주기를 가지는 신호이다. 스피커 구동신호(SPK_H)는 스피커를 통해 실질적으로 경보음이 출력되는 시간을 나타낸다.The buzzer driving signal BUZ_H is a signal for determining a time for the buzzer to be driven, and the alarm generation signal BUZZER is a signal having a specific period so that an alarm sound can be generated. The speaker driving signal SPK_H indicates a time when the alarm sound is substantially output through the speake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무신호 녹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발생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to prevent no signal record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제어부(10)는 210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행되는 기능은 화상을 녹화하는 기능, 녹화된 화상을 재생하는 기능, 녹화된 화상을 편집하는 기능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동작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2)에 구비된 전원 차단을 요구하는 키를 누르는 가를 212단계에서 감지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전원 차단을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연결 녹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 녹화 동작은 종래에 녹화시 무신호가 녹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를 적정 위치로 되감기 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 연속 녹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제어부(10)는 216단계에서 무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무신호 검출은 무신호 검출부(14)를 통해 검출한다. 상기 무신호 검출부(14)는 상기 연속 녹화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테이프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검색하므로서 무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연결 녹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6단계에서 무신호 검출부(14)로부터 무신호 검출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216단계에서 무신호 검출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224단계로 진행하여 캠코더의 통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무신호 검출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무신호 검출에 따른 정보를 메모리(16)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무신호 검출에 따른 정보가 메모리(16)에 저장되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12단계의 전원 차단에 대응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녹화 요구가 있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녹화 요구는 키입력부(12)에 구비된 녹화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림으로 인한 키 데이터의 입력을 말한다. 상기 녹화 요구에 응답하여 테이프의 현재 위치로부터 녹화를 시작하면 상기 216단계에서 검출된 무신호가 녹화되는 그대로 남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10)는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2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22단계로 진행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해 부져 구동신호(BUZ_H)와 경보 발생신호(BUZZER)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가 증폭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증폭기(18)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부져 구동신호(BUZ_H)와 경보 발생신호(BUZZER)는 증폭기(18)로 입력되어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스피커(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The controller 10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step 210. The function performed includes both a function of recording an image, a function of reproducing a recorded image, a function of editing a recorded image, and the like. In the operation state, the controller 10 detects whether the user presses a key for requesting power cutoff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 in step 21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2 that key data for power off is input,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14 to perform a connection recording operation. The connected recording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of rewinding a tape to an appropriate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recording of no signal during conventional recording. During the continuous recording operation, the controller 10 detects no signal in step 216. The signal-free detection is detected through the signal-free detector 14. The no-signal detection section 14 detects no-signal by searching fo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ape area moved by the continuous recording operation. When the connection recor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n-signal detection is input from the non-signal detector 14 in step 216. If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n-signal detection is not received in step 216, the flow proceeds to step 224 to perform a normal function of the camcorder. However, when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n-signal detec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0 proceeds to step 218 and stor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n-signal detection in the memory 16. When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n-signal detec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6,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20 and detects whether power is supplied and a recording request is made in response to the power cut of step 212. The recording request refers to input of key data due to the recording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 being pressed by the user. When the recording starts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ape in response to the recording request, the signal-free signal detected in step 216 remains as it is recorded, so when the recording request is generated,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22. When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22, the controller 10 outputs a buzzer driving signal BUZ_H and an alarm generation signal BUZZER to generate an alarm sound, and controls the amplifier 18 to output the amplified signal. Output the signal. The buzzer driving signal BUZ_H and the alarm generation signal BUZZER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are input to the amplifier 18,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n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20.

본 고안은 녹화시 테이프에 무신호가 녹화되지 않도록 연결 녹화를 수행함으로서 녹화된 테이프를 재생할 시 녹화 내용이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제품 사용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nnection recording so that no signal is recorded on the tape during recording, thereby preventing the recording contents from being partially blocked when playing the recorded tape, thereby maximizing user satisfaction.

Claims (1)

캠코더에 있어서,In a camcorder, 전원 차단 요구에 응답하여 연결 녹화 동작이 수행되는 중에 테이프의 해당 영역에 기록된 무신호를 검출하는 무신호검출부와,A no-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no-signal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tape while the connection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ower-off request; 상기 무신호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무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signal-fre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ignal-free detector; 상기 메모리에 무신호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부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which outputs a buzzer driving signal when a recording request is generated while no sig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부져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호 기록시 알람 발생장치.And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in response to a buzzer driving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KR2019970000733U 1997-01-21 1997-01-21 Alarm apparatus when recoeding no signal KR20015320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733U KR200153205Y1 (en) 1997-01-21 1997-01-21 Alarm apparatus when recoeding n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733U KR200153205Y1 (en) 1997-01-21 1997-01-21 Alarm apparatus when recoeding no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689U KR19980056689U (en) 1998-10-15
KR200153205Y1 true KR200153205Y1 (en) 1999-08-02

Family

ID=1949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733U KR200153205Y1 (en) 1997-01-21 1997-01-21 Alarm apparatus when recoeding no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205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689U (en)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13599B2 (en)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KR200153205Y1 (en) Alarm apparatus when recoeding no signal
KR960005941B1 (en) Detecting method & recording method of recording end signal
US63515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hoto information in digital cassette recorder (DVCR)
KR100219148B1 (en)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last recording signal area
KR0141867B1 (en) Method of skipping advertisement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KR970001978B1 (en) Video tape rewinding method
KR100274451B1 (en) The method for index mark/search and recording on the video tape
KR900007021B1 (en) Recording initial position automatic rewinding method
JP3423138B2 (en)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US5481416A (en) Search method and circuit utilizing an audio signal
KR0176447B1 (en) Automatically setting device and method in counter mode
KR0170679B1 (en) Auto-moving apparatus & method that can move to the position to be recorded automatically
KR0150963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40003754Y1 (en) High-speed editing device in audio system
JPH0810878Y2 (en) Tape recorder
JPS6087487A (en) Program retrieval device of magnetic tape recorder
KR20000039188A (en) Method for searching starting/ending position of video tape in vcr
KR19980031187A (en) How to Measure Remaining Video Tape
JP2008243278A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H04152777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61230693A (en) Music selecting device for tape recorder
JPH04141848A (en) Vtr index code write system
KR20000040384A (en) Method for recording audio and video signals in vcr
JPH06267146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