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008Y1 - Devic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2008Y1 KR200152008Y1 KR2019940027944U KR19940027944U KR200152008Y1 KR 200152008 Y1 KR200152008 Y1 KR 200152008Y1 KR 2019940027944 U KR2019940027944 U KR 2019940027944U KR 19940027944 U KR19940027944 U KR 19940027944U KR 200152008 Y1 KR200152008 Y1 KR 2001520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frame
- guide
- bottom plate
- guide member
- remote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45C2011/002—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 수납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emote control housing.
본 고안은, 사각틀상의 몸체를 가지며, 그 일측 전면에는 상단부로 부터 길이 방향으로 절개 홈이 마련되고, 바닥면에는 수직, 수평 가이드 홈이 마련된 고정틀, 고정틀의 내부 좌,우 양측면에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되며, 수평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단부로 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측판을 갖는 제 1, 2 가이드 부재, 고정틀의 배면 내측에 위치되며, 수직 가이드 홈을 따라 이송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바닥판과, 이 바닥판으로 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판을 갖는 제 3 가이드 부재, 제 1, 2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돌기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상호 내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 1 스프링, 고정틀의 후면과 제 3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돌기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틀의 전면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제 2 스프링, 고정틀의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다수의 리모콘을 각각 별개로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리모콘을 보관한 상태에서도 전자기기의 조작이 가능하여 그 만큼 소비자의 편리성을 도모한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frame-shaped body, one side of the front is provided with a cutti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a fixing frame provided with vertical, horizontal guide grooves on the bottom surface, the position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frame And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having a bottom plat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sliding along the horizontal guide groove, and a side plate bent upwardly from an end of the bottom plate, the rear side of the fixing frame, and a vertical guide groove. Both ends of the third guide member and the guide protru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having a bottom plat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to be transported along the side plate and a side plate bent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are elastically mutually inward. Located between the supporting first spring, the rear of the fixing frame an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third guide member, and is elastic toward the front of the fixing frame. The basement includes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second spr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fixing frame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can be stored separately, especially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stored. Sinc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possibl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moting consumer convenience.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리모콘 수납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receiving device.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수납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mote control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의 결합 단면도.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제4도는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upport means.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5 is a front view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고정틀 11 : 절개홈10: fixing frame 11: incision groove
12,13 : 수직, 수평 가이드 홈 20,30,40 : 제 1, 2, 3, 가이드 부재12,13: vertical, horizontal guide groove 20,30,40: first, second, third, guide member
21,31,41 : 바닥판 22,32,42 : 측판21,31,41: Bottom plate 22,32,42: Side plate
50 : 지지판 60 : 지지부재50: support plate 60: support member
본 고안은 리모콘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리모콘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 storage device that can firmly support the remote control.
근래에 들어와서 각종 전자기기 예컨대 텔레비젼,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음향기기등에는 사용자가 좀더 편하게 조작하기 위해 즉, 원거리에서 전자기기를 작동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시스템(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함)이 채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s, video tape recorders, and sound devices have been adopted by a remote controller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for more convenient operation by a user, that is, to operate electronic devices at a long distance.
이와같은 리모콘은 각 전자기기 마다 별개로 마련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보관하여왔다.Such a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electronic device, and has been stored in a location convenient for a user.
그러나 각 전자기기마다 마련된 리모콘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함에 있어서는, 미관상 보기에 좋지 못한 문제점과 어린이등의 장난등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근래에는 리모콘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However, in storing the remote controller provid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in a separate pla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 damaged by aesthetic problems and children's mischief, and in recent year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remote controller separately has been proposed. .
제1도에는 종래 리모콘 수납장치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illustrates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receiver conceptually.
이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1a)이 마련된 사각틀상의 고정틀(1)을 통해 수납하는 것이다.This is to be accommodated through the fixing frame 1 on the rectangular frame provided with the storage space (1a) therein.
즉, 고정틀(1)의 수납공간(1a)내에 다수의 리모콘(2)을 수납하도록 된 것이다.That is, it is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2 in the storage space (1a) of the fixing frame (1).
그러나 이와같은 수납장치에 있어서는 , 고정틀내에 보관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리모콘이 서로 충돌함으로써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리모콘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고정틀로 부터 리모콘을 빼낸 상태에서만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storage device, the remote control may collide with each other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while being stored in the fixing frame, and in particular, the remote control may be operated only when the remote control is removed from the fixing frame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giv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일정크기 이상의 리모콘은 수납 보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over a certain size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stored.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모콘을 별개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납 시킨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여 그 만큼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리모콘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remote control separately,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torage device that can be operated even when housed in that much convenient to the user. Its purpose is.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수납장치는, 사각틀상의 몸체를 가지며, 그 일측 전면에는 상단부로 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절개홈이 마련되고, 그 바닥면에는 수직, 수평 가이드 홈이 다수 마련된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내부 좌,우 양측면에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되며, 그 하부에 수평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는 가이드 돌기가 그 하면에 마련된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단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측판을 갖는 제 1, 2 가이드 부재, 상기 고정틀의 배면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틀의 수직 가이드 홈을 따라 이송되는 가이드 돌기가 그 하면에 마련된 바닥판과, 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판을 갖는 제 3 가이드 부재, 상기 제 1, 2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돌기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제 1, 2 가이드 부재를 상호 내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 1 스프링, 상기 고정틀의 후면과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돌기 사이에 위치되어 제 3 가이드 부재를 고정틀의 전면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제 2 스프링, 상기 고정틀의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mote control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frame-shaped body, and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utt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thereof,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guide groove is provided at its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fixing frames, which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frame, and a bottom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with guide protrusions slid along the horizontal guide grooves, and vertically upward from an end of the bottom plat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having a bent side plate, a bottom plate which is locat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which is provided with guide protrusions that are transported along the vertical guide groove of the fixing frame and is bent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Both ends of the third guide member having a side plate formed and the guide protru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are formed. A first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inwardly in a mutu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third guide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third guide member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spring 2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fixing frame.
이와같은 본 고안은, 리모콘을 견고히 수납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수납 시킨 상태에서도 리모콘의 조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This invention, as well as being able to receive and support the remote control firm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can be stored even in the housed stat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수납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제 3 도는 결합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mote control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그리고 제 4 도는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And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upport means, Figure 5 is a front view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수납장치는, 사각틀상의 몸체를 갖는 고정틀(10)을 구비한다.As shown therein, the remote control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frame 10 having a body on a rectangular frame.
이 고정틀(10)의 전면에는 그 중심 상단부로 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절개홈(11)이 마련된다.The front of the fixing frame 10 is provided with a cutting groove 11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er.
그리고 그 바닥면에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수직, 수평 가이드 홈(12,13)이 다수 마련된다.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guide grooves 12 and 13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한편, 고정틀(10)의 좌,우 양측 내면에는 서로 대면하도록 제 1, 2 가이드 부재(20,30)가 위치되는 바, 이 제 1, 2 가이드 부재(20,30)는, 고정틀(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 홈(12)을 따라 이송되도록 가이드 돌기(21a,31a)가 형성된 바닥판(21,31)과, 이 바닥판(21,31)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측판(22,32)을 구비한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20 and 30 are pos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frame 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20 and 30 are fixed to the fixing frame 10. Bottom plates 21 and 31 having guide protrusions 21a and 31a formed so as to be transported along the horizontal guide grooves 1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side plates 22 bent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ttom plates 21 and 31. And 32).
전술한 고정틀(10)의 배면 내측에는 제 3 가이드 부재(40)가 위치된다.The third guide member 40 is position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0 described above.
이때 제 3 가이드 부재(40)는 전술한 제 1, 2 가이드 부재(20,30)와 동일하게 수직 가이드 홈(13)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그 하면에 가이드 돌기(41a)가 형성된 바닥판(41)과, 이 바닥판(41)으로 부터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측판(42)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third guide member 40 is the bottom plate 41 having the guide protrusion 41a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so as to slide along the vertical guide groove 13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20 and 30 described above. ) And a side plate 42 bent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41.
이때 전술한 제 3 가이드 부재(40)의 바닥판(41)의 설치위치는 제 1, 2 가이드 부재(20,30)의 바닥판(21,3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또는 낮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41 of the third guide member 40 described above is relatively higher or lower than the bottom plates 21 and 31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20 and 30. desirable.
이는, 서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xclude mutual interference in the sliding process.
또한 전술한 제 1, 2, 3 지지부재(20,30,40)의 측판(22,32,42)의 단부는 각각 외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s 22, 32, and 42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members 20, 30, and 40 are preferably inclined out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이는, 리모콘(100)의 삽입을 좀더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ore easily insert the remote controller 100.
제 1, 2 가이드 부재(20,30)는 그 각각의 바닥판(21,31)에 마련되어 고정틀(10)의 수평 가이드 홈(12)을 따라 이송되도록 수평 가이드 홈(12)을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 돌기(21a,31a)에는 스프링(S)의 양단이 결합되어 있어 상호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20 and 30 are provided in the respective bottom plates 21 and 31 so as to pass through the horizontal guide grooves 12 so as to be transported along the horizontal guide grooves 12 of the fixing frame 10. Both ends of the spring S are coupled to the protrusions 21a and 31a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ward to each other.
또한 제 3 지지부재(40)의 바닥판(41)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1a)와 고정틀(10)의 후면 사이에도 스프링(S)의 양단이 결합되어 있어 제 3 지지부재(40)는 고정틀(10)의 전면을 향해 탄성 지지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pring S are coupl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41a formed on the bottom plate 41 of the third supporting member 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0 so that the third supporting member 40 is fixed frame ( 10)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front side.
한편, 전술한 제 1, 2, 3 지지부재(20,30,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틀(10)은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frame 10 in which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members 20, 30, and 40 are slidably installed is installed to be able to adjus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by the support means.
고정틀(10)을 소정각도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고정틀(10)의 하면 중심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그 일측 전면에 관통공(51)이 형성된 지지판(50)이 돌출 설치된다.In configuring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fixing frame 10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upport plate 50 having the through hole 51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0 toward the bottom is protruded. .
그리고 지지판(50)의 하부에는 실질적으로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재(60)가 위치되는 바, 이 지지부재(60)의 중심 상면으로 부터는 전술한 지지판(5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61)이 형성되며 지지판(50)을 감싸듯이 결합되는 결합판(62)이 돌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60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50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late 50 described above from the center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60. The through hole 61 is formed and the coupling plate 62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50 so as to surround the protrusion.
그리고 지지판(50)과 결합판(62)의 관통공(51,61)으로는 상호간의 위치 고정을 위한 볼트(70)와 너트(71)가 체결된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s 51 and 61 of the support plate 50 and the coupling plate 62 are fastened to the bolt 70 and the nut 71 for fixing the positions.
이때 전술한 지지부재(60)의 하면에는 흡착판(80)을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6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adsorption plate 80 is detachable.
이는, 고정틀(1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60)를 그 표면이 매끄러운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 즉, 대리석 바닥면이나 유리면등에 설치할 경우 좀더 견고히 흡착판(80)을 통해 좀더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when the support member 60 supporting the fixing frame 1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surface is smooth, that is, when installed on the marble floor or glass surface, such that more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80 For sake.
한편,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3 지지부재(20,30,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틀(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함이 즉, 서로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or more fixing frames 10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ing members 20, 30, and 40 are slidably installed may be installed, ie, a plurality of fixing frames 10 are arranged side by side. This is preferable.
이는 다수의 리모콘을 보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store multiple remote controls.
이때 고정틀(10)을 다수 마련함에 있어서는, 지지부재(60)의 설치위치는 무게 중심을 이루고 있는 고정틀(10)의 하부에 마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in providing a plurality of fixing frame 10,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60 will be preferab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10 forming the center of gravity.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수납장치는, 먼저 소정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리모콘을 수납함에 있어서는, 리모콘을 고정틀(10)의 상부로 부터 삽입한다.In the remote control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when accommodating a remote control used in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the remote control is inser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10.
이때 리모콘의 삽입 방향은 그 전면에 마련된 각종 조작버튼이 고정틀(10)의 절개홈(11)을 통해 노출되는 방향으로 삽입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rious operation button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through the cutting groove 11 of the fixing frame 10.
이와같이 리모콘(100)을 고정틀(10)의 상부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고정틀(1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2, 3 지지부재(20,30,40)의 측판(22,32,42) 상부를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각 바닥판(21,31,41)에 안착된다.As such, when the remote controller 10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10, the side plates 22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ing members 20, 30, and 40 are slid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0. 32, 42 are slidably inserted through the top and seated on the bottom plates 21, 31, 41, respectively.
이때 각 측판(22,32,42)의 상단부는 그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리모콘(100)의 삽입이 용이하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each side plate (22, 32, 42)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thereof is easy to insert the remote control (100).
이와같은 상태에서 지지부재(60)를 통해 소정각도로 조정하여 지지함에 있어서는, 고정틀(10)의 하면에 마련된 지지판(50)을 감싸듯이 결합하고 있는 지지부재(60)의 결합판(62)을 통해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In this state, the support plate 60 is adjus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upport the coupling plate 62 of the support member 60, which is coupled to surround the support plate 5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0. Angle can be adjusted through.
즉, 지지판(50)과 결합판(62)을 상호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70)와 너트(71)의 체결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고정틀(10)을 원하는 경사각도로 기울이고 동시에 볼트(70)와 너트(71)를 통해 지지판(50)과 결합판(62)을 체결하게 되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고정틀(10)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xing frame 10 is inclined at a desired inclination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70 and the nut 71 which secure the support plate 50 and the coupling plate 62 to each other are released, and the bolt 70 and the nut ( When the support plate 50 and the coupling plate 62 are fastened through the 71, the state is maintained so that the fixing frame 1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와같이 고정틀(10)을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즉, 조작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향해 그 경사각도를 맞춘 상태에서는 리모콘(도시되지 않음)을 고정틀(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그 조작이 가능하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frame 1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is set toward the electronic device to be operated,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removing the remote controller (not shown) from the fixing frame 10.
즉, 리모콘이 조작버튼(110)이 고정틀(10)의 절개홈(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통해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기 때문이다.That is, the remote control is because the operation button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ting groove 11 of the fixing frame 10 becaus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rough this.
한편,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틀(10,10`,10...)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리모콘을 별개로 보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기기를 한곳에서 조작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by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frames (10, 10`, 10 ...) not only can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remote control, it is possible to operat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in one pl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수납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리모콘을 각각 별개로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리모콘을 보관한 상태에서도 전자기기의 조작이 가능하여 그 만큼 소비자의 편리성을 도모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s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in particular,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operated even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 is stored. There is thi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7944U KR200152008Y1 (en) | 1994-10-26 | 1994-10-26 | Devic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7944U KR200152008Y1 (en) | 1994-10-26 | 1994-10-26 | Devic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5891U KR960015891U (en) | 1996-05-17 |
KR200152008Y1 true KR200152008Y1 (en) | 1999-07-15 |
Family
ID=1939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27944U KR200152008Y1 (en) | 1994-10-26 | 1994-10-26 | Devic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2008Y1 (en) |
-
1994
- 1994-10-26 KR KR2019940027944U patent/KR200152008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5891U (en) | 1996-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9600713A (en) | Construction system for rack frames and sub-rack enclosures and cabins | |
EP0869523B1 (en) | Switch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 |
CA2043350A1 (en) | Multiscreen projector apparatus | |
US5033802A (en) | Television enclosure | |
KR200152008Y1 (en) | Devic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 |
CA1171990A (en) | Wall telephone cradle assembly | |
US6219251B1 (en) | Universal retention module | |
CN216491504U (en) | Household television is with preventing falling remote controller | |
JPH0220099A (en) |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mounting frame of electronic device | |
US5166802A (en) | Television receiver with loudspeaker enclosure | |
US20050146256A1 (en) | Storage device for a refrigerator | |
JP4485654B2 (en) | Box standing system | |
JPH0643629Y2 (en) | Remote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 |
JPS6012216Y2 (en) | Article extrusion equipment | |
JP2000124641A (en) | Assembly element set for covering assembly parts rack | |
KR0139435Y1 (en) | Conductance preven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appliances | |
JPS6348151Y2 (en) | ||
KR970007226Y1 (en) | Installing device for room controller of a gas boiler | |
EP0389053B1 (en) | Improved fixing plate for concealed devices used for wall-mounting an item of wall furniture | |
JPH07213360A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rack using corner part | |
KR200243140Y1 (en) | Fixing apparatus of network equipment | |
KR920006594Y1 (en) | Antena mounting device | |
JPS60140030A (en) | Device to fit air conditioner | |
KR200157502Y1 (en) | Vtr support for tv | |
JPH11244058A (en) | Corner t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3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