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362Y1 -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362Y1
KR200151362Y1 KR2019970009611U KR19970009611U KR200151362Y1 KR 200151362 Y1 KR200151362 Y1 KR 200151362Y1 KR 2019970009611 U KR2019970009611 U KR 2019970009611U KR 19970009611 U KR19970009611 U KR 19970009611U KR 200151362 Y1 KR200151362 Y1 KR 200151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drying
frame
small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902U (ko
Inventor
신종국
Original Assignee
신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국 filed Critical 신종국
Priority to KR2019970009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3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362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써, 단면상으로 장방형원으로 된 파이프를 철봉틀과 같이 절곡한 큰지주틀 내에 작은지주틀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큰지주틀의 상방측에는 빨래를 너는 한쌍의 건조틀과 이 건조틀을 밑에서 임의 각도로 받치도록 하는 받침철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작은지주틀에는 2쌍의 건조틀을 상하에 배열시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큰지주틀에 상기의 작은지주틀의 건조틀을 받치는 걸이구를 연결시켜 빨래를 널 때에는 큰지주틀과 작은지주틀을 평면에서 보면 +자 형으로 펴고, 큰지주들과 작은지주들의 건조틀을 수평방향으로 펴 빨래를 건조틀에 널도록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의 각 건조틀을 밑으로 접고 작은지주틀을 큰지주틀과 같은 방향으로 접어 부피를 작게 절첩하는 절첩수단을 구비시켜 종래 보관과 사용상태에 따라 분해조립하게 된 것보다는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빨래건조대
본 고안은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빨래건조대는 지주틀의 상하방에 빨래를 널게 되는 걸이대 또는 걸이틀을 수평선상으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널리 알려져 왔다. 이들은 사용할 때에는 걸이틀을 지주에 연결하는 작업을 하게되고, 또 보관할 경우에는 지중에 연결된 걸이틀을 분해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사용과 보관을 반복함에 따라 조립과 분해 작업을 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라도 조립된 상태에서 그대로 방치하여 놓을 수 있으나 이는 수평방향으로 지주틀에 조립된 걸이틀에 의하여 좁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특히 아파트 생활에서는 걸리적거리는 불편함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해하지 않고서도 부피를 자게하는 절첩수단을 갖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빨래건조대는 큰지주를 내경에 작은지주틀을 수평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설하고, 상기 큰지주틀과 작은지주틀에 빨래를 너는 건조틀을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설하여 완전조립된 상태에서 부피가 작게 절첩이 되는 절첩수단으로 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의 (a)(b)(c)는 본 고안의 연결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일부 발췌사시도.
제4도는 큰지주틀에 작은지주틀을 접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큰지주틀 11, 12, 13, 14 : 연결구
15. 16 : 걸이구 20 : 작은지주틀
41, 42 : 연결대 46, 47 : 핀볼트
50, 50', 51, 51',52, 52' 건조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각요부의 조립부분을 나타낸 일부 발췌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보면, 부호10은 큰지주틀을 부호20은 작은지주틀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큰지주틀(10)의 양측 지주에는 위에서 밑으로 연결구(11)(12)(13)와 양측 하단에 연결구(14)를 대향으로 삽착하는데 연결구(11)(12)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이홈(31)(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연결구(13)는 삽착공(33)을, 연결구(14)는 삽착홈(34)과 삽착공(35)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또, 연결구(13)와 연결구(14) 사이에는 내면에 걸이편(36)이 형성된 걸이구(15)(16)를 삽착하며, 작은지주틀(20)의 양측 지주에는 위에서 밑으로 연결구(17)(18)(19)를 연결하는데 상기 연결구(17)(18)는 연결구(11)(12)와 똑같이 걸이홈(37)(38)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고, 연결구(19)는 상기한 연결구(13)와 같은 구성으로 된 연결공(39)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된 큰지주틀(10)내에 작은지주틀(20)을 회동가능하게 장설하는데 그 장설형태는 큰지주틀(10) 양측 지주에 끼운 연결구(13)(14)에 상하연결대(41)(42)를 끼워 연결하고, 작은지주틀(20)의 양측 지주 하단에 연결한 연결구(19)간에 걸이철(43)을 하나이상 형성한 연결대(44)를 연결하여 상기한 상하 연결대(41)(42) 중간에 작은 지주틀(20)을 핀볼트(46)(47)로 유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은지주틀(20)을 큰지주틀(10)에 대하여 +자 방향 또는 -자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자 방향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큰지주틀(10)과 작은지주틀(20)의 양측 지주하단에 삽착된 연결구(14)(19)가 받침 역할을 하여 지면이나 실내바닥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작은지주틀(20)을 큰지주틀(10)과 같은 방향이 -자로 회동시켜 작은지주틀(20) 양측 지주하단에 삽착시킨 연결구(19)를 큰지주틀(10)의 양측 지주하단에 삽착한 연결구(14)의 삽착홈(34)에 끼워 지도록 절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큰지주틀(10)의 연결구(11)와 작은지주틀(20)의 연결구(17)(18)에는 건조틀(50)(50')(51)(51')(52)(52')을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데 그 연결상태는 각 건조틀(50)(50')(51)(51')(52)(52')의 내측양단에 돌기(53)(53')를 돌출시켜 본 고안에서 다수개를 사용하게 되는 원판(54)에 천공시킨 구멍(55)(55')에 상기의 돌기(53)(53')를 끼운 상태에서 구멍(55)(55')을 관통한 돌기(53)(53')를 상기한 연결구(11)와 연결구(17)(18)의 내면측에 형성시킨 걸이홈(31)(32)과 걸이홈(37)(38)에 끼워 마주보는 각 연결구(11)(17)(18)에 한쌍의 건조틀(50)(50')(51)(51')(52)(52')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한 큰지주틀(10)의 양측 지주에 끼운 연결구(12)에는 강철봉의 중간을 절곡하여 받침홈(60)을 갖추운 받침철(61)을 만들어 철봉(62)(62')의 양단마다 상기의 받침철(61)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철봉(62)(62')의 양끝단을 상기한 원판(54)의 구멍(55)(55')에 끼워 연결구(12)의 내면에 형성한 걸이홈(31)(32)에 끼워 철봉(62)(62') 양단마다 연결된 받침철(61)을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시켜 이 받침철(61)로 상기한 연결구(11)에 연결시킨 건조틀(50)(50')을 수평 또는 경사각으로 받쳐놓아 건조틀(50)(50')에 빨래를 널게되는데 상기 받침철(61)이 건조틀(50)(50')을 받쳐주기 위한 구성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건조틀(50)(50')에는 수건이나 런닝셔츠를 걸어놓기 위한 다수의 가는철봉(70)을 나란하게 연결하는데 그 연결상태는 건조틀(50)(50')의 길이방향 또는 폭의 방향으로 건조틀(50)의 경우에는 건조틀(50)이 받침철(61) 받침홈(60)에 끼워 받쳐지는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결된 가는철봉(70)이 받침철(61)의 끝단측 밑면에 걸리게 되어 받침철(61)의 하향회동을 제지하게 되므로 결국 받침철(61)이 건조틀(50)을 받치게 되는 것이고, 또 가는철봉(70)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건조틀(50')의 경우에는 상기 건조틀(50')의 밑면에 다수의 걸림턱(71)을 등간격으로 배열 장착하여 받침철(61)의 받침홈(60) 저면측이 상기 걸림턱(71)에 걸려 받침철(61)의 하향회동을 제지하게 되므로 이 역시 받침철(61)의 건조틀(50')의 받치게 되며 그 받쳐지는 각도 조절은 건조틀(50)의 경우에는 건조틀(50)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받침철(61)을 해당하는 가는철봉(70)에 걸리도록 하여 건조틀(50)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하게 되고, 건조틀(50')의 경우에는 다수의 걸림턱(70) 중 받침철(61)을 선택적으로 걸리게 받쳐 놓아 이 역시 건조틀(50')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은지주틀(20)의 건조틀(51)(51')(52)(52')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큰지주틀(10)에 삽착시킨 걸이구(15)(16)의 내면에 형성시킨 걸이편(36)에 건조틀(51)(51')(52)(52')의 외단측을 끼워 넣어 수평선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큰지주틀(10)과 작은지주틀(20)을 +자형 또는 -형으로 펴거나 접도록 되어 있고, 또 큰지주틀(10)의 건조틀(50)(50') 및 받침철(61)과 작은지주틀(20)의 건조틀(51)(51')(52)(52')를 제1도의 상태에서 제5도의 상태로 절첩하여 부피를 작게하는 절첩 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종래 것과 같이 부피를 작게 하기 위한 분해작업과 사용하기 위한 조립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큰지주틀(10)의 상하 연결대(41)(42) 중간에 핀볼트(46)(47)로 작은지주틀(20)을 유동가능하게 장설하고, 상기 큰지주틀(10)의 상방에는 건조틀(50)(50')과 이 건조틀(50)(50') 아래측에 받침철(61)을 양단에 연결한 철봉(62)(62')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작은지주틀(20)의 중간 상하방에 건조틀(51)(51')(52) (5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켜 이 건조틀(51)(51')(52)(52')을 큰지주틀(10)의 양측 지주에 삽착시킨 걸이구(15)(16)의 걸이편(36)에 걸어두도록 구성하여 건조틀(50)(50')(51)(51')(52)(52')와 받침철(61)을 하향회동시킨 상태로 절첩하며 작은지주틀(20)을 큰지주틀(10) 내경에 일치되도록 절첩시켜 부피를 작게하는 절첩 수단으로 되는 빨래 건조대.
KR2019970009611U 1997-04-30 1997-04-30 빨래건조대 KR200151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611U KR200151362Y1 (ko) 1997-04-30 1997-04-30 빨래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611U KR200151362Y1 (ko) 1997-04-30 1997-04-30 빨래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902U KR19980064902U (ko) 1998-11-25
KR200151362Y1 true KR200151362Y1 (ko) 1999-07-15

Family

ID=1950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611U KR200151362Y1 (ko) 1997-04-30 1997-04-30 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3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902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200409316Y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450680Y1 (ko) 다용도 이동식 건조대
KR101359703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80064388A (ko) 빨래건조대의 행거 거치구조
KR200151362Y1 (ko) 빨래건조대
KR20210101821A (ko) 건조대 겸용 세탁물바구니
KR19980015637U (ko) 개량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1734432B1 (ko) 간편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90003383U (ko) 착탈식 걸이대 및 이를 장착한 빨래 건조대
KR200226527Y1 (ko) 빨래 건조대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100771141B1 (ko) 빨래 건조대
KR200268703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JP2851233B2 (ja) 物干し具
KR200243033Y1 (ko) 빨래거치대가 설치된 빨래건조대
KR20170087595A (ko) 절첩식 세탁물 건조대
KR200438210Y1 (ko) 빨래 건조대
KR200361295Y1 (ko) 세탁물 건조대의 행거 구조
KR0119533Y1 (ko) 절첩식 세탁물 건조대
KR960009229Y1 (ko) 벽걸이용 절첩식 세탁물 건조대
KR200146895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403290Y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0439174Y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용 접철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