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355Y1 -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355Y1
KR200151355Y1 KR2019960050633U KR19960050633U KR200151355Y1 KR 200151355 Y1 KR200151355 Y1 KR 200151355Y1 KR 2019960050633 U KR2019960050633 U KR 2019960050633U KR 19960050633 U KR19960050633 U KR 19960050633U KR 200151355 Y1 KR200151355 Y1 KR 200151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container
contents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065U (ko
Inventor
남봉식
Original Assignee
남봉식
주식회사옥봉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봉식, 주식회사옥봉화학 filed Critical 남봉식
Priority to KR2019960050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355Y1/ko
Publication of KR970008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장류를 보관하는 장류보관용기의 덮개를 이중으로 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용기의 상측에 캡만이 설치되어 내용물의 사용시 큰 캡을 다열고 나서 내용물을 사용해야만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캡의 일측면에서 힌지의 상측에 접힘부를 설치하고 하측에 절개부를 설치하며 열림부의 일측 한곳에 고정돌기와, 반대편의 3면에 고정돌기를 설치하여 열림부가 개폐되도록 구성시켜 캡의 일부분만을 개폐시켜 내용물을 사용하며 개폐가 편리하고 청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등 각종 장류를 포장하는 장류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덮는 캡을 이등분하여 일측면은 용기에 결합되고 일측은 열린상태가 되도록 하여 캡을 모두 열지 않고도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류용기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류용기나 각종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는 상측으로 하나의 캡으로 덮어 내용물을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내용물이 적게는 몇 그림에서 몇 킬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포장되어진다.
이러한 용기의 덮개는 모두가 캡만을 덮어 보관하였으나 내용물을 필요로 할 때마다 캡을 일일이 열고 닫아야 하는 관계로 잘 열리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완전히 연후 닫아야 하므로 사면이 잘 맞추어지지 않아 닫아지지 않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번거로운 결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용기의 주변이 지저분하고 청결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캡을 열어놓고 내용물을 퍼내게 되므로 캡을 분실할 염려가 있으며, 캡에 내용물이 묻어 있어서 캡을 개폐시킬 때 손에 묻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캡을 덮은후 캡이 일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캡중 일부만을 열고 닫으면서 내용물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캡의 일측면에서 힌지의 상측에 접힘부를 설치하고 하측에 절개부를 설치하며 열림부의 일측면에서 힌지의 상측에 접힘부를 설치하고 하측에 절개부를 설치하며 열림부의 일측 한곳에 고정돌기와, 반대편의 3면에 고정돌기를 설치하여 열림부가 접힘부에서 개폐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열린상태 요부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2 : 용기
3 : 열림부 4 : 접힘부
5 : 힌지 6 : 절개부
7, 7' : 고정돌기 8 : 돌출부
9 : 돌출면 10 : 손잡이
상측에 돌출면(9)이 설치되고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2)에 캡(1)으로 지도록 구성하는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캡(1)의 상측 테두리에 돌출부(8)를 설치하여 용기(10)의 돌출면(11)에 의해 캡(1)이 고정되도록 돌기(8)를 일정간격을 두고 전체면을 돌출시키며, 전체크기에서 약 ⅓되는 지점에 힌지(5)를 설치하고 외측에 돌출부(8)를 설치한다.
힌지(5)의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힘부(4)를 설치하고 양선단의 돌출부(8)가 위치하는 부분은 깍아내어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고 힌지(5)의 하측으로 위치하는 부분은 절개시킨 절개부(6)를 설치하여 접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캡(1)의 하측 내면에는 고정돌기(7)를 설치하되 캡(1)중 열리는 부분인 열림부(3)의 일측에는 돌출면(9)에 걸리는 고정돌기(7)를 하나만 설치하고, 반대편은 3면에 각각의 고정돌기(7')를 설치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고안은 용기(1)에 내용물을 저장한후 캡(1)을 덮으면 고정돌기(7)(7')가 돌출면(9)을 타고 넘어가서 고정되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용물을 저장하게 되며, 사용시에는 손잡이(10)를 잡고 캡(1)을 위로 들어 올리면 고정돌기(7)가 돌출면(9)에서 이탈되어지면서 제2도의 가상선과 같이 캡(1)중 열림부(3)가 들리면서 용기(1)가 개방되어 지게된다.
이때 고정돌기(7')는 일측의 3면에서 용기(2)와의 결합력으로 접힘부(4)를 중심으로 손잡이(10)가 있는 쪽이 열리게 되더라도 캡(1)의 일부분이 열리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며, 힌지(5)를 축으로 하여 접힘부(4)가 접히게 되고 절개부(6)에 의하여 상측으로 접혀지면서 열림부(3)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열림부(3)가 열리게 되면 용기(1)의 일부가 개방되어지게 되므로 개방되어진 공간을 통하여 내용물을 스픈이나 기타의 도구로 퍼내어 사용하며, 캡(1)을 여는데 허비되는 힘이나 불편함을 해결하면서 열림부(3)에 의해 편리하게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돌기(7)는 중앙의 한곳에만 설치되어 열거나 닫을 때 돌출면(9)에서 열림부(3)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이어서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며, 편리하게 사용하고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밝힌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를 덮는 캡의 일부분에서 접히도록 하여 열면 일부분이 개방되어져서 캡의 전체를 열지 않아도 용기의 일부만을 개방시켜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항상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하며 열거나 닫기 어려운 캡의 전체를 사용하지 않고 일부분만이 열리도록 하여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캡을 완전히 열지않고 별도의 조립이 되지 않는 하나의 캡에서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캡의 분실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상측에 돌출면(9)이 있는 용기(2)의 상측으로 캡(1)을 덮어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장류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1)의 일측면에서 힌지(5)의 상측 양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접힘부(4)를 설치하고 하측 양단에서 절개부(6)를 설치하며 개방되는 열림부(3)의 일측 중앙의 손잡이(10) 내부에 고정돌기(7)를 설치하고 반대편의 3면에 고정돌기(7')를 설치하여 열림부(3)가 접힘부(4)에서 개폐되도록 구성시킨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KR2019960050633U 1996-12-18 1996-12-18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KR200151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633U KR200151355Y1 (ko) 1996-12-18 1996-12-18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633U KR200151355Y1 (ko) 1996-12-18 1996-12-18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65U KR970008065U (ko) 1997-03-27
KR200151355Y1 true KR200151355Y1 (ko) 1999-07-15

Family

ID=1948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633U KR200151355Y1 (ko) 1996-12-18 1996-12-18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3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26B1 (ko) * 2011-12-22 2014-02-27 (주)펀트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26B1 (ko) * 2011-12-22 2014-02-27 (주)펀트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65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US6305546B1 (en) Food storage containers
KR200151355Y1 (ko) 장류용기의 개폐구조
EA027087B1 (ru) Коробка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EP0245484A1 (en) REUSABLE LOCKING DEVICE FOR CARDBOARD CONTAINERS WITH A GABLE-LIKE TOP.
US7513388B2 (en) Retractable straw device
JP2004315090A (ja) 容器
GB2432823A (en) Packet/ bag held within rigid container
JP3936416B2 (ja) 容器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0342903Y1 (ko) 용기뚜껑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KR100741664B1 (ko) 포장박스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KR200420267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0138095Y1 (ko) 식품용기의 원터치 개폐구조
KR200334767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의 뚜껑구조
KR200360690Y1 (ko) 식품용기용 뚜껑
JPH0739803Y2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0218085Y1 (ko) 뚜껑이 개폐되는 음식물 보관용기
KR200290889Y1 (ko) 캔 개방구 구조
KR200173349Y1 (ko) 캔용기의뚜껑
KR20080000506U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