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482Y1 - 액체수용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수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482Y1
KR200150482Y1 KR2019960038580U KR19960038580U KR200150482Y1 KR 200150482 Y1 KR200150482 Y1 KR 200150482Y1 KR 2019960038580 U KR2019960038580 U KR 2019960038580U KR 19960038580 U KR19960038580 U KR 19960038580U KR 200150482 Y1 KR200150482 Y1 KR 200150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hole
liquid container
liquid
pai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754U (ko
Inventor
최요석
Original Assignee
최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요석 filed Critical 최요석
Priority to KR2019960038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48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영역에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주입구마개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수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균등한 액체수용용량을 갖는 한 쌍의 수용부와; 상기 한 쌍의 수용부 보다는 비교적 작은 둘레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수용부를 상호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수용부내의 내용물을 모두 소모한 후 물이나 모래를 채워 아령 등의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액체수용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체수용용기
본 고안은, 일영역에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주입구마개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수용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위 PET병이라고도 불리는 종래의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는 그 수용부가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의 상단부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축소된 주입구와, 주입구를 기밀적으로 개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PET액체수용용기는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강도가 높아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용물을 모두 소모한 후에는 그 자체로서 재활용되지 못하고 거의 폐기되거나 수거되어 재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조로운 외양에 변화를 주고, 아령등의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액체수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수용용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액체수용용기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액체수용용기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액체수용용기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수용용기 4 : 상부수용부
5 : 손잡이부 6 : 하부수용부
7 : 주입구마개 9 : 안내리브
10 : 손가락파지부 11 : 돌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영역에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주입구마개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수용용기에 있어서, 균등한 액체수용용량을 갖는 한 쌍의 수용부와 ; 상기 한 쌍의 수용부 보다는 비교적 작은 둘레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수용부를 상호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수용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단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외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파지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수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액체수용용기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수용용기(1)는 균등한 액체수용용량을 갖는 거의 원통형상의 한 쌍의 수용부(4, 6)가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수용부(4, 6)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손잡이부(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5)는 양 수용부(4, 6)를 상호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수용부(4)의 상단부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축소된 주입구(미도시)와, 주입구를 기밀적으로 개폐하는 주입구마개(7)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수용부(6)의 저면은 상부수용부(4)와 하부수용부(6)가 균형을 이루며 넘어지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5)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안내리브(9)가 형성되어 손가락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각 안내리브(9) 사이의 손가락파지부(10)에는 그외 표면에 다수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파지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손잡이부(5)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취급시 손가락파지부(1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1)에 의하여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아니라, 빈 상태의 액체수용용기(1)내에 모래나 물 등 적절한 중량을 가진 물질을 수용하여 아령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액체수용용기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수용용기는, 도1 및 도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액체를 균등하게 수용하는 상부수용부(24)와 하부수용부(26)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수용부(24)의 상단에는 주입구마개(27)에 의해 개폐가능한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의 실시예에서는 중심축선을 따라 손잡이부(5)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25)가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5)에 대향하여 쪽에는 상하수용부(24, 26)를 연결하는 연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5)와 연결부(28)는 상하수용부(24, 26)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손잡이부(25)에는 도1 및 도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복수의 안내리브(29)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안내리브(29)사이의 손가락파지부(30)에는 그 외 표면에 다수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연결부(28)만큼 액체수용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외양의 다양성을 부가하여 새로운 미감을 창출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액체수용용기 정면도이다. 도1, 도2 및 도3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액체수용용기(41)도 액체를 균등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수용부(44)와 하부수용부(46)로 나뉘어 상하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수용부(44)의 상단에는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주입구마개(47)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개폐된다.
본 액체수용용기(41)는 전술한 도3의 실시예와 달리 양측에 주상형으로 손잡이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부(45)는 상하수용부(44, 46)를 연통시키며, 도1과 도2 및 도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안내리브(49)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안내리브(49)사이의 손가락파지부(50)에는 그 외 표면에 다수의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외양의 단조로움을 탈피할 수 있고, 액체수용용기의 파지가 보다 용이하며, 운동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용부내의 내용물을 모두 소모한 후 물이나 모래를 채워 아령 등의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액체수용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1)

  1. 일영역에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주입구마개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수용용기에 있어서, 균등한 액체수용용량을 갖는 한 쌍의 수용부와; 상기 한 쌍의 수용부 보다는 비교적 작은 둘레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수용부를 상호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수용용기.
KR2019960038580U 1996-11-05 1996-11-05 액체수용용기 KR200150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580U KR200150482Y1 (ko) 1996-11-05 1996-11-05 액체수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580U KR200150482Y1 (ko) 1996-11-05 1996-11-05 액체수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754U KR19980025754U (ko) 1998-08-05
KR200150482Y1 true KR200150482Y1 (ko) 1999-07-01

Family

ID=1947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580U KR200150482Y1 (ko) 1996-11-05 1996-11-05 액체수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4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55A (ko) * 2001-07-16 2002-08-22 마기형 마사지도구로 사용가능한 플라스틱 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754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8975A (en) Liquid container with handle
CA2009244C (en) Bottle
ES2041475T3 (es) Cierre de plastico para bocas de recipientes y botellas.
KR200150482Y1 (ko) 액체수용용기
CA1300090C (en) Aerosol structure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0309751Y1 (ko) 패트 병
KR200202908Y1 (ko) 액체보관통
KR200296136Y1 (ko) 껌 포장용기
CN214597200U (zh) 不容易松脱的玩具陀螺功能插合件及玩具组装陀螺
KR0130640Y1 (ko) 배출캡
KR20020026069A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0262406Y1 (ko) 화장품 용기
KR102199520B1 (ko) 화장품용 용기
KR200239438Y1 (ko) 액체용통
KR200190809Y1 (ko) 손톱소제용기구 케이스
KR20000011936U (ko) 보조용기가 구비된 용기 뚜껑
KR200230297Y1 (ko) 음료용기
KR200237645Y1 (ko) 방독마스크용 누드 필터 포장용기
KR200318882Y1 (ko) 액체포장용기 연결용 보조취출관
KR200202889Y1 (ko) 음료용기를 겸한 아령
KR100520089B1 (ko) 저장용기
KR200338631Y1 (ko) 페트병에 채결하는 물조리개
KR100433817B1 (ko) 디스펜서
KR970004046Y1 (ko) 자동판매기용 소형 완구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