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675Y1 - 여행용 가방 - Google Patents

여행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675Y1
KR200149675Y1 KR2019960015215U KR19960015215U KR200149675Y1 KR 200149675 Y1 KR200149675 Y1 KR 200149675Y1 KR 2019960015215 U KR2019960015215 U KR 2019960015215U KR 19960015215 U KR19960015215 U KR 19960015215U KR 200149675 Y1 KR200149675 Y1 KR 200149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outer body
lip
latch
la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스틸리 레나토
반 호이 윌리
마일즈 리챠드
티모시 그린 스티븐
Original Assignee
디. 마이클 클레이톤
삼소나이트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85307923A external-priority patent/EP0221215B2/en
Application filed by 디. 마이클 클레이톤, 삼소나이트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디. 마이클 클레이톤
Priority to KR2019960015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가방(11)이 2개의 외각체(12,13)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래치(26)가 앞벽(18)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키로서 작동됨과 더불어, 2개의 래치들(24,25)은 케이스의 끝벽들의 앞쪽으로 위치되어 과도하에 내용물이 차있는 경우 케이스의 벌어짐을 방지하되, 상기 래치들(24,25)은 슬라이딩보울트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다.

Description

여행용 가방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을 뒷벽을 밑으로해서 수직으로 세워놓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4-4선을 따른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5-5선을 따른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8-8선을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8-8선을 따라 래치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의 10-10선을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의 11-11선을 따라 래치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을 밑에서 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외곽체로 구성되면서 이들 각 외곽체의 주변벽이 가방의 앞벽과 뒷벽 및 측벽을 이루고, 2개의 외곽체는 뒷벽에서 힌지로 서로 연결되는 한편, 가방이 닫혀질 때 외곽체의 가장자리부분을 분리가능하게 체결시켜 주는 래치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방에도 가방의 앞벽에 2개의 래치가 달려져 있기는 하지만, 이들 종래의 가방에는 가방둘레의 전체를 감싸주는 금속프레임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방에 내용물이 가득차게 되거나, 가방의 외곽체를 이루는 뚜껑의 중심부위에 사람이 앉은 등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서로 맞닿아 있어야 하는 가방의 가장자리 부분이 벌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이 가방의 가장자리 부분이 벌어지게 되면 가방에 들어있던 소형 내용물들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될 뿐 아니라 벌어진 틈새로 먼지나 물등이 스며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 같이 가방의 가장자리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해 주기 위해 측벽의 중간부에다 보조래치를 설치해 놓은 가방이 고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보조 래치는 특히 가방이 큰 경우에 개폐조작시 보조래치가 앞벽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사용자가 보조래치를 쉽게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이 따른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앞벽에 2개의 래치가 형성된 공지의 가방에서 측벽의 앞부분이나 앞벽과 측벽사이의 모서리부위에 래치를 설치해 주면 가방의 가장자리부가 벌어지게 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에 본 고안은, 2개의 외곽체로 구성되면서 이들 각 외곽체의 주변측벽이 가방의 앞벽과 뒷벽 및 측벽을 이루는 한편, 상기 2개의 외곽체가 뒷벽에서 힌지로 서로 연결됨과 더불어 가방이 닫혀질때 상기 2개의 외곽체의 가장자리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견고하도록 결합시켜 주기 위한 래치가 구비된 여행용가방에 있어서, 가방의 측벽 앞부분이나 가방의 앞벽과 측벽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2개의 래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가방 앞벽과 측벽사이 모서리에다 래치를 설치해 놓음으로써 측벽이 벌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게될 뿐만 아니라 가방 앞쪽에서 래치를 쉽게 조작할 수가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1개의 가방에 2개의 래치만을 설치해 놓을 수도 있으나, 앞벽이 벌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 보다 안전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가방의 앞벽위에도 또 다른 래치를 설치해 놓을 수도 있는 바, 이 제3의 래치는 열쇠 또는 조합 자물쇠로 작동되도록 하고 나머지 2개의 래치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걸쇠로써 잠글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앞벽을 따라 2개의 외곽체중 한쪽외곽체에 금속으로 만들어진 보강스트립을 고정시켜주게 되면 가방이 벌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 3개의 래치를 설치할 경우 제3의 래치를 상기 보강스트립위에 고정부착시킬 수가 있고, 운반손잡이도 상기 보강스트립에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보강스트립은 가방의 앞벽 전체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2개의 래치 바로 앞에서 끝나도록 되어있다.
또한 탄성재질로 된 또 다른 스트립을 2개의 외곽체중 한쪽외곽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해주면, 상기 외곽체가 닫혀질 때 이 외곽체사이에서 스트립이 조여져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되고, 래치를 본 고안에 따른 위치에 설치시켜 줌으로써 가방 전체의 가장자리부위에 스트립에 의한 밀봉수단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밀봉수단은 먼지나 물에 대한 밀봉효과가 우수해서 가방을 승용차 지붕에다 올려놓고 빗속을 주행하더라도 가방속으로 빗물이 스며들지 않게 된다.
한편 가방의 밑면을 형성하게 되는 외곽체의 주변측벽은 앞벽쪽보다 뒷벽과 측벽쪽을 따라 더 높게 형성시켜 가방에 내용물을 채울 대 가방의 측벽과 뒷벽으로부터 내용물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가방의 2개의 외곽체가 앞벽의 거의 중심선을 따라 서로 마주치게되도록해서 바닥외곽체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운반손잡이가 앞벽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2개의 래치는 앞벽과 측벽 사이에서 벽의 높이가 높은 부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가방의 측벽의 전면부는 가방의 앞쪽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로 이 전면부에 래치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를 앞쪽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방(11)은 플라스틱재질로 성형된 2개의 외곽체(12,13)로 이루어지면서 그 중 한쪽 외곽체(12)가 윗벽(14)과 주변측벽(15)으로 구성되어 뚜껑역할을 하게 되고, 다른쪽 외곽체(13)는 바닥면(16)과 주변측벽(17)으로 구성되어 밑바닥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주변측벽(15,17)은 서로 가방(11)의 앞벽(18)과 뒷벽(19) 및 측벽(20)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곽체(13)의 앞벽(18)에는 운반손잡이(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쪽 외곽체(12,13)의 뒷벽(19)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11)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다리(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2개의 외곽체(12,13)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벽(19)을 따라 힌지(23)로 서로 연결되어 이들 외곽체(12,13)가 상기 힌지(23)를 축중심으로 하여 상호 선회되면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방(11)이 닫혀질 때 이 가방(11)의 가장자리부분을 서로 잠가주기 위해 3개의 래치(24,25,26)가 고정설치 되어있다.
한편, 제1도와 제2도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체(13)의 주변측벽(17)은 앞벽(18)쪽보다는 뒷벽(19) 및 측벽(20)쪽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바닥외곽체(13)의 주변측벽(17)앞부분이 가방(11) 전체높이의 절반을 약간 넘게 형성되어 있고, 측벽(20)과 뒷벽(19)쪽에서의 주변측벽(17)부위는 가방(11) 전체높이의 약 3/4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상기 주변측벽(17)의 뒷벽(19)과 측벽(20)쪽이 높게 형성된 것은 가방(11)이 열려질때 내용물이 쏟아져나오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이고, 바닥외곽체(13)의 주변측벽(17)의 앞쪽을 낮게 하는 것은 바닥외곽체(13)의 가장자리부분에 운반손잡이(21)를 부착시켜 가방(11)의 앞벽(18)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11)의 측벽(20)의 전면부(27)는 가방(11)의 앞벽(18)쪽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전면부(27)에 2개의 래치(24,25)가 설치되며, 가방(11)의 앞벽(18)을 따른 중간쯤에 또 다른 래치(26)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면부(27)에서 바닥외곽체(13)의 주변측벽(17)의 높이가 앞벽(18)쪽에서부터 측벽(20)쪽으로 가면서 점점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외곽체(12,13)의 가장자리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외곽체(13)의 가장자리부분에 내측립(29)과 외측립(30)이 형성되면서, 이들 립(29,30) 사이에 개방통로(31)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립(29)과 외측립(30)이 개방통로(31)의 바닥부분에서 바닥외곽체(13)의 주변측벽(17)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립(29)은 외측립(30)보다 길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뚜껑외곽체(12)의 가장자리 부분에도 내측립(32)과 외측립(3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립(32,33)사이에 개방통로(34)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립(32)과 외측립(33)은 개방통로(34)의 바닥에서 주변측벽(15)의 오목홈부분에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립(32)은 상기 바닥외곽체(13)의 내측립(29)이 외측립(30)을 지나 돌출된 길이보다 훨씬 더 길게 외측립(33)을 지나 돌출되어 뚜껑외곽체(12)의 내측립(32)이 바닥외곽체(13)의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개방통로(31)에 끼워맞춰지게 됨으로써 양쪽 외측립(33,30) 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방통로(34)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된 중공튜브형 밀봉스트립(35)이 전체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지지플랜지(36)를 매개로 견고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밀봉스트립(35)의 중공튜브부분에는 뚜껑외곽체(12)에 형성된 외측립(33)의 가장자리부분이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방(11)이 닫혀지게 되면 뚜겅외곽체(12)의 내측립(32)이 바닥외곽체(1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측립(29)과 외측립(30)사이의 개방통로(31)에 끼워지게 되고, 밀봉스트립(35)의 중공튜브부분은 외곽체(12,13)의 각 외측립(30,33)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착되어져 먼지나 물이 가방(11)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밀봉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방(11)이 닫혀지더라도 상기 밀봉스트립(35)이 밖으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외관상 가방의 미적감각을 높여주기위해 상기 밀봉스트립(35)의 색상을 외곽체(12,13)의 색상과 대조되는 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봉스트립(35)의 두께는 외측립(30,33)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치수가 되도록 설계해서 가방(11)이 닫혀질 때 상기 밀봉스트립(35)이 적당하게 압축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제조상의 허용오차로 인한 외측립(30,33) 사이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할 수 있는 바, 예컨대 외곽체(12,13)의 외측립(30,33)사이 간격보다 밀봉스트립(35)을 2mm쯤 두껍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벽(18)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외곽체(13)의 내측에 금속제스트립(85)이 결합되면서, 이 스트립(85)이 가방(11)의 앞벽(18) 전체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앞벽(18)의 모서리부분에 끝나도록 되어 있는 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래치(24,25)는 상기 스트립(85)에 고정되지 않고 이 스트립(85)의 끝에서 약간 떨어진 부분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트립(85)에는 그 가장자리부분을 보강해주기 위한 2개의 V자형 리브(87)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편평한 웨브부분(85)이 형성되어 이 편평한 웨브부분(86)이 내측립(29)의 내면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립(85)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금속제 스트립(85)은 가방(11)의 앞벽(18)의 가장자리부분을 보강시켜 앞벽(18)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해 주게됨과 더불어 중앙래치(26)와 운반손잡이(21)가 부착되어져 있는 가방부위를 보강해주게 되고, 가방(11)이 운반될 때 외곽체(12,13)에 가해지는 하중을 앞벽(18)의 길이를 따라 분산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제5도는 가방(11)에 운반손잡이(2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2개의 지지브래킷(38)에는 운반손잡이(21)의 끝에 형성된 구멍(40)에 끼워 맞춰지는 원통형 회동축(39)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운반손잡이(21)가 상기 회동축(39)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운반손잡이(21)는 금속재 코어를 연질의 플라스틱재질로 모울딩해서 형성시킨 것으로 이 금속제코어의 끝에 형성된 구멍(40)에 상기 회동축(39)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한편, 각 지지브래킷(38)의 아랫면에 형성된 원통형 돌기부(41)가 바닥외곽체(13)의 외측립(30)에 형성된 구멍(42)에 끼워지게 되고, 가방(11)의 안쪽으로부터 금속제스트립(85)에 형성된 구멍과 바닥외곽체(13)의 내측립(29)의 벽에 형성된 구멍에 태핑나사(43)가 차례로 관통해서 지지브래킷(38)의 아랫쪽 원통형 돌기부(41)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체결됨으로써 운반손잡이(21)가 바닥외곽체(13)의 바깥쪽에 결합되게 되고, 금속제스트립(85)은 바닥외곽체(13)의 안쪽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중앙래치(26)는 외측립(30)에 형성된 공간부(44)내에 위치하여 태핑나사(45)가 금속제스트립(85)과 바닥외곽체(13)의 내측립(29)의 벽을 관통해서 나사체결되게 됨으로써 바닥외곽체(13)에 결합되게 된다.
제6도 내지 제11도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래치(24)를 상세히 설명한다.
바닥외곽체(13)의 내측립(29)에 금속제지지판(50)이 태핑나사(51)로 고정결합되고, 외측립(30)에는 래치(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50)의 한쪽 가장자리는 윗쪽으로 굴곡되어 직립부(52)가 형성되고, 이 직립부(52)의 상부가 굽혀져 베어링슬리이브(53)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래치부재(54)는 U자형링크(55)를 매개로 지지판(50)에 연결되고, 각 링크(55)의 한쪽다리(56)는 베어링슬리이브(53)에 삽입되면서 다른 한쪽 다리(57)는 상기 래치부재(54)의 안쪽에 형성되어져 있는 웨브(58)의 구멍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U자형링크(55)가 베어링슬리이브(53)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래치부재(54)가 웨브(58)의 구멍을 축중심으로해서 상기 링크(55)상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지지판(50)의 직립부(52)에 2개의 멈춤편(59)이 굴곡성형되어 U자형 링크(55)가 끼워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또 래치부재(54)에 형성된 웨브(8)을 관통하게 도는 U자형링크(55)의 다리(57)에는 걸림편(60)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직립부(52)의 반대편 지지판(50)의 가장자리부분은 윗쪽으로 굴곡되어 지지판(50)의 기준면 위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립(61)이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래치(24)가 닫혀질때 멈춤편(60)의 후크부(62)가 립(61)의 윗면에 물리면서 닫혀진 래치(24)를 지지해주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U자형링크(55)에서 한쪽 링크의 다리(56)둘레의 소정부위(71)에 먼저 스프링(70)이 감겨진 다음, 다른쪽 링크의 다리(57)둘레의 소정부위(72)에도 스프링(70)이 감겨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70)의 한쪽끝(73)은 지지판(50)의 직립부(52)를 지탱해 주게 되며, 상기 스프링(70)의 다른쪽끝(74)은 걸림편(60)을 지탱해주게 되어, 제8도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55)가 베어링슬리이브(53)를 축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비스듬하게 결합되게 되는 한편, 상기 걸림편(60)은 U자형링크(55)의 다리(57)를 축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비스듬하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60)에는 래치부재(54)의 안쪽에 걸려지는 돌기부(75)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60)이 반시계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결합되어져, 상기 돌기부(75)가 링크(55)의 다리(57)를 축중심으로 상기 래치부재(54)가 반시계방향으로 비스듬히 결합되도록 해주게 되는데, 링크(55)에 대한 래치부재(5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래치부재(54)의 안쪽에 형성된 멈춤편(77)에 링크(55)의 하부(76)가 걸리게 됨으로써 제한을 받게되고, 또 베어링슬리이브(53)를 축중심으로 한 상기 링크의 움직임은 지지판(50)의 직립부(52)의 소정부위(78)에 링크(55)의 하부(76)가 걸리게 됨으로써 제한을 받게된다.
제7도 및 제9도는 래치(24)가 열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닫혀져 있는 상태의 래치(24)를 고정시겨주기 위해 그 끝부분이 D자형으로된 길다란 걸쇠(80)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 걸쇠(80)는 래치부재(54)의 윗면에 형성된 끝부분이 D자형인 오목홈부(81)에 끼워져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쇠(80)의 하부로부터 돌출된 후크(82)는 오목홈부(81)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83)을 관통해서 끼워져 이 후크(82)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스프링 클립(84)이 맞물려지게 됨으로서 상기 걸쇠(80)가 오목홈부(81)내에 유지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클립(84)의 한쪽끝에는 상기 걸쇠(80)를 제위치에 위치시켜 임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쇠(80)의 미끄럼 경로의 한족 부분인 지지판(50)의 하부에 형성된 2개의 수용부(86-1,87-1)에 맞물려질 수 있도록 융기부(85-1)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래치(24)의 윗측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요철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판(50)으로부터 브래킷(9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래치(24)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걸쇠(80)가 제6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위치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걸쇠(80)에 형성된 후크(82)는 브래킷(90)아래에 걸리게 되어 상기 걸림편(60)이 풀려졌을 때라도 상기 래치(24)가 풀려지기 않도록 되어 있고, 스프링 클립(84)에 형성된 융기부(85-1)는 수용부(87-1)에 맞물려져서 상기 걸쇠(80)가 잠금위치로부터 뜻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쇠(80)를 제7도에 도시된 열림상태로 이동시켜 주고자 할 경우 상기 걸쇠(80)의 윗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손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걸쇠(80)를 이동시켜줄 수가 있는데, 이러한 래치(24)의 열림상태에서는 브래킷(90) 밑으로부터 후크(82)가 분리되게 되므로 걸림편(60)이 풀어지게될 때 상기 래치(24)도 풀어질 수 있게 되고, 스프링클립(84)에 형성된 융기부(85-1)는 열림상태에 있는 걸쇠(80)를 지탱해 주도록 수용부(86-1)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래치부재(54)에는 U자형링크(55)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장자리부분의 전체길이를 따라 후크부(9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치(24)가 설치된 바닥외곽체(13)에는 가방(11)이 닫혀질 때 뚜겅외곽체(12)의 밀봉스트립(35)이 압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기 위해 외측립(30)대신에 내측립(29)으로부터 연장된 직립돌기(92)가 형성되어 있으며, 래치(24)가 설치된 바닥외곽체(13)의 가장자리부분에는 뚜껑 외곽체(12)의 내측립(32)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통로(31)와 같은 수단이 별도록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뚜껑외곽체(12)의 내측립(32)이 밀봉스트립(35)을 초과하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어져 있고, 뚜껑외곽체(12)에 형성된 가장자리부분의 뒷쪽에는 래치부재(54)의 후크부(9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래치부재(24)를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걸어잠그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가방(11)의 2개의 외곽체(12,13)를 서로 근접시켜서 후크부(91)가 수용부(93)에 맞물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래치부재(54)를 스프링(70)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55)에 인접해 있던 래치부재(54)의 끝부분이 가방(11)쪽으로 압착되게 되고, 상기 링크(55)는 스프링(70)의 탄성력에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져 토글운동을 하면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래치부재(54)가 2개의 외곽체(12,13)를 서로 견고하게 잡아당겨 주게 되며, 상기 래치부재(54)가 지지판(50)에 근접하게 됨에 따라 걸림편(60)의 후크부(62)의 비스듬한 앞쪽 언저리(94)가 립(61)에 걸리게 되는데, 상기 걸림편(60)이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55)의 다리(57)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62)가 립(61)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일단 후크부(62)가 립(61)을 통과하게 되면 걸림편(60)이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되돌아오게 되고, 후크부(62)는 립(61)의 하부에 맞물려지게 되어 닫힘상태에 있는 래치(24)를 지탱해 주게 된다.
만일 상기와 같은 작동 초기에 걸쇠(80)가 잠긴상태 즉 수영부(86-1)에 융기부(85-1)가 맞물려있게 되면, 브래킷(90)이 걸쇠(80)의 후크부(82)에 형성된 경사부면(95)에 걸려지게 되어 걸쇠(80)에 힘을 가해 상기 걸쇠(80)를 열림상태로 움직여 가도록 하게된다.
그리고 일단 래치(24)가 닫혀지게 되면 제6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걸쇠(80)가 슬라이딩되어 잠김상태가 되므로 상기 래치(24)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래치(24)가 풀려 가방(11)이 열려질때에는, 먼저 걸쇠(80)가 슬라이딩 되면서 열림상태가 된 다음 걸림편(60)이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걸림편(60)에는 리브(96)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리브(96)는 걸림편(60)의 축방향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면서 래치부재(5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단부(97)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브(96)를 래치부재(54)의 몸체쪽으로 압착시켜주게 되면 걸림편(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크부(62)를 립(61) 아랫쪽으로부터 풀어주게 되므로, 래치부재(54)가 가방(11)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제8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동하게 되는 바, 그 다음 이 상태에서 래치부재(54)의 후크부(91)는 수용부(93)로부터 완전히 풀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래치부재(54)는 비대칭형으로서 지지판(50)과 후크부(91)가, 바닥외곽체(13)의 측벽(17)의 높이가 앞벽(18)쪽에서 측벽(20)쪽으로 증가하게 되는 외곽체(12, 13)의 경사부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도록 하여 래치부재(54)의 측면 가장자리가 가방(11)의 바닥벽(16)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하나의 래치(25)는 상기 래치(24)와 대칭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 중앙래치(26)는 미끄럼 걸쇠(80)를 제외하고는 상기 래치(24)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져 있는 바, 이 중앙래치(26)에는 닫힘상태에 있는 중앙래치(26)를 잠그기 위해 브래킷(90)에 대응되는 또다른 브래킷의 하부를 걸려지도록 회전식 열쇠로 작동되는 또 다른 걸림편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래치(24, 25)는 가방(11)이 과적되거나 또는 가방(11)에 큰 하중이 가해질때 가방(11)의 끝부분에서 외곽체(12, 13)의 가장자리부분이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고, 또 상기 래치(24, 25)는 가방(11)의 앞쪽으로부터 훨씬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편, 닫힘상태에 있는 래치(24, 25)를 고정시켜 주기위해 열쇠로 잠그지 않는 수동의 미끄럼 걸쇠(80)를 사용해서 중앙래치(26)에만 열쇠로 잠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위치에 2개의 열쇠로 작동되었던 래치가 형성된 가방에서보다 가방을 여는데 훨씬 시간이 단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밀봉스트립(35)은 래치(24, 25, 26)가 형성된 부위를 포함한 가방(11)의 전체 주변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방(11)이 닫혀질때 래치(24, 25, 26)는 상기 밀봉스트립(35)을 가로질러 이 스트립(35)의 바깥쪽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게 함으로써, 가방(11)의 외곽체(12, 13)가 닫혀져서 서로 결합되어 있을때 상기 가방(11)의 둘레에 연속적인 밀봉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6)

  1. 2개의 외곽체(12, 13)로 구성됨과 더불어 각 외곽체(12, 13)가 동일한 플라스틱재질로 성형되면서 주변측벽(15, 17)을 갖추고, 이 주변측벽(15, 17)이 각각 가방의 앞벽(18)과 뒷벽(19) 및 측벽(20)을 이루며, 상기 한쪽 외곽체(12)가 뚜껑외곽체를 이루는 반면에 다른쪽 외곽체(13)는 바닥외곽체를 형성하고, 이들 2개의 외곽체(12, 13)가 뒷벽(19)에서 서로 힌지연결되면서 가방이 닫혀질 때에 외곽체의 가장자리부위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앞벽(18)에 구비된 래치수단을 갖춘 여행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앞벽(18)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간부위에 장착된 래치(26)를 갖춤과 더불어 이 래치(26)이 잠궈질 때에 2개의 외곽체(12, 13)를 서로 끌dj당겨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20)의 각 전면부(27)에 2개의 외곽체(12, 13)의 가장자리 부위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래치(24, 25)가 설치되면서 이 래치(24, 25)가 잠궈질 때에 2개의 외곽체(12, 13)를 끌어당겨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래치(24, 25, 26)가 각각 뚜껑외곽체(12)나 바닥외곽체(13) 중의 한쪽 외곽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부(91)와, 이 후크부(91)를 해제위치로부터 외곽체(12, 13)를 당겨서 고정시키는 잠금위치로 이동시키는 U자형 링크(55)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0)의 전면부(27)가 앞벽(18)쪽을 향해 가방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26)가 키이나 혹은 자물통으로 채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래치(24, 25)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걸쇠(80)로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벽(18)을 따라 한쪽 외곽체에 보강스트립(85)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트립(85)이 측벽(20)상에서 래치(24, 25)앞쪽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외곽체(12, 13)의 가장자리부위에 외측립(30, 33)이 형성되면서 이 외측립(30, 33)사이에 밀봉스트립(35)이 고정되어 가방이 닫혀졌을 때에 상기 스트립(35)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스트립(35)이 관형상부와 이 관형상부로부터 전체 길이에 걸쳐 돌출된 지지플랜지(36)를 갖추고, 상기 외곽체(12)의 가장자리부위에 내측립(32)이 형성되면서 이 내측립(32)과 상기 외측립(33)사이에 개방통로(34)가 형성되어, 이 개방통로(34)에 상기 플랜지(36)가 끼워져 밀봉스트립(35)이 외곽체(12)에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외곽체(12)의 내측립(32)이 외측립(33)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고, 다른 외곽체(13)의 가장자리부위에 내측립(29)이 형성되면서 이 내측립(29)과 외측립(30) 사이에 개방통로(31)가 형성되어, 가방이 닫혀졌을 때에 한쪽 외곽체(12)의 내측립(32)이 다른쪽 외곽체(13)의 내측립(29)과 외측립(30)사이에 형성된 개방통로(31)내에 삽입되는 한편, 상기 스트립(35)의 관형상부가 각 외곽체(13, 12)의 외측립(30, 33)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24, 25, 26)가 설치된 부위에는 외측립(30)이 설치되지 않으면서 내측립(29)으로부터 직립돌기(92)가 연장형성되어 이 직립돌기(92)에 의해 밀봉스트립(35)이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외곽체(12, 13)의 가장자리부위에 외측립(33, 30)이 형성되면서 이들 외측립(33, 30)이 2개의 래치(24, 25)가 설치된 부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외곽체(12)에는 외측립과 수용부(93)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2개의 래치(24, 25)는 바닥외곽체(13)의 외측에 장착되면서 각각 후크형상의 래치부재(54)를 갖추고 가방이 닫혀질 때에 이 래치부재(54)가 뚜껑외곽체(12)의 외측립(33)위로 뻗어 수용부(93)에 걸려져 토글작용으로 인해 외곽체(12, 13)가 서로 끌어당겨지게 되며, 상기 래치(24, 25)가 잠궈질때에 래치부재(54)가 각 외측립(33, 30) 사이의 공간내에서 외측립(33, 30)의 외측면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수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래치(24, 25)가 설치된 외곽체의 외측립(30)에 형성된 수용부내에 2개의 래치(24, 25)와 동일한 구조로 된 제3래치(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외곽체(13)의 주변측벽(7)이 2개의 래치(24, 25)가 설치된 측벽의 전면부에서 점차로 높이가 증가해서 앞벽(18)쪽보다 뒷벽(19)과 측벽(20)을 따라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외곽체(13)의 가장자리 부위가 측벽의 전면부쪽에서 앞쪽으로부터 뒷쪽으로 윗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상에 장착된 래치가 비대칭형상으로 되어 래치부재의 옆가장자리가 가방의 바닥벽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고, 상기 래치부재의 후크부가 외곽체의 경사진 가장장리부위와 평행하게 뻗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
  16. 2개의 외곽체(12, 13)로 구성되면서 이들 각 외곽체(12, 13)가 주변측벽(15, 17)을 갖추고, 이 주변측벽(15, 17)이 각각 가방의 앞벽(18)과 뒷벽(19) 및 측벽(20)을 이루며, 상기 2개의 외곽체(12, 13)에는 최소한 2개의 래치(24, 25)가 구비되어 가방이 닫혀질 때에 외곽체의 가장자리부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2개의 래치(24, 25)가 가방의 앞벽(18)과 측벽(20)사이의 모서리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되고, 상기 외곽체(12, 13)의 가장자리부위에 바깥쪽으로 뻗도록 돌출된 외측립(33, 30)이 각각 형성되면서 이들 외측립(33, 30)에 각각 상기 래치(24, 25)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래치(24, 25)가 한쪽 외곽체의 외측에 상기 공간과 상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면서 후크부(91)를 갖춘 래치부재(54) 및 상기 립(33, 30)의 형상과 유사한 외측면을 갖추고, 상기 외곽체(12, 13)중의 한쪽 외곽체에 래치부재(54)의 후크부(91)가 걸려지는 2개의 수용부(93)가 형성되어, 가방이 닫혀짐에 따라 한쪽 외곽체의 래치부재(54)의 후크부 (91)가 다른쪽 외곽체의 해당 수용부(93)에 걸려져 상기 래치가 잠궈질 때에 래치부재의 외측면이 상기 외측립(33, 30)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된 여행용 가방.
KR2019960015215U 1985-10-31 1996-06-10 여행용 가방 KR200149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215U KR200149675Y1 (ko) 1985-10-31 1996-06-10 여행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5307923A EP0221215B2 (en) 1985-10-31 1985-10-31 Luggage case
KR1019870700568A KR950000767B1 (ko) 1985-10-31 1986-10-08 여행용 가방
KR2019960015215U KR200149675Y1 (ko) 1985-10-31 1996-06-10 여행용 가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00877005680 Division 1987-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9675Y1 true KR200149675Y1 (ko) 1999-06-15

Family

ID=2722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215U KR200149675Y1 (ko) 1985-10-31 1996-06-10 여행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6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767B1 (ko) 여행용 가방
US5024471A (en) Safety release latch
US5924533A (en) Luggage case
US5044476A (en) Rigid or semi-rigid suitcase made of plastic material
US4260084A (en) Vehicle luggage racks and containers carried thereby
US4517711A (en) Plate clamping device
US4522288A (en) Luggage
US6550793B2 (en) One-piece molded/copolymeric wheeled display case
US5370254A (en) Hinge and latching mechanism for containers
EP0591484A1 (en) Luggage case
AU692291B2 (en) Luggage case
KR200149675Y1 (ko) 여행용 가방
KR0132661Y1 (ko) 용기의 뚜껑 착탈구조
FR2518376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d'articles divers, notamment chaussures, vetements ou sacs
JP3682996B2 (ja) ペット用キャリーケース
JPS63103Y2 (ko)
JPH0144096Y2 (ko)
JPH029702Y2 (ko)
JPH0452162Y2 (ko)
JP2004196361A (ja) 収納容器
JPH0123493Y2 (ko)
KR930004171Y1 (ko) 학생용 가방
JP3047471U (ja) コーナーボックス
JPH0221944Y2 (ko)
GB2319766A (en) Luggag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3

Year of fee payment: 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