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863Y1 - Recognition apparatus of key press of multi-type keyboard - Google Patents

Recognition apparatus of key press of multi-type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863Y1
KR200148863Y1 KR2019950051818U KR19950051818U KR200148863Y1 KR 200148863 Y1 KR200148863 Y1 KR 200148863Y1 KR 2019950051818 U KR2019950051818 U KR 2019950051818U KR 19950051818 U KR19950051818 U KR 19950051818U KR 200148863 Y1 KR200148863 Y1 KR 200148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top
stem
keyboard
reco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18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45589U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51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863Y1/en
Publication of KR970045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58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86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8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ontacts, e.g. conductive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1/00Contacts
    • H01H2201/022Material
    • H01H2201/032Conductive polymer; Rubb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다용도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a multipurpose keyboard.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본 고안은 판매활동 즉 슈퍼마켓이나 백화점 등에서 많은 물건을 취급하고, 영업활동을 하면서 관리효율의 극대화를 위하여 금전등록기의 키보드의 접촉과 분리가 정확하게 되어 기기의 온/오프가 항상 일정하게 작동하게 하고, 특정키이가 한번 눌려질 때, 그 접점을 인식하여 회로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기구적인 작동과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접점인식과는 상관없이 직접적으로 기구적인 로킹부등을 해제시켜 오픈 등의 동작은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부품수를 삭제하고, 기구적인 공간을 최소화하여 원가절감을 이루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ndles a lot of things in sales activities, such as su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and in order to maximize the management efficiency during sales activities, the contact and separation of the keyboard of the cash register is precisely made, so that the on / off of the device always works constantly, When a specific key is pressed once, it recognizes the contact and performs a circuit function.If a mechanical operation process is required, the mechanical locking process is released directly to perform the operation such as opening regardless of contact recognition. This eliminates the number of parts and minimizes the mechanical space to achieve cost savings.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of design

가이드 통을 구비한 키톱 하우징과, 스템을 갖는 키이톱과, 이들 키톱하우징과 키톱들과의 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을 가이드 통을 따라 승강시킴으로서 접점의 전환을 행하는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에 있어서, 대경부(20a)와, 상기 대경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봉(20d)으로 구성된 전도성 고무(20)가 상기 스템(8a)에 동축으로 설치되어짐으로서, 상기 전도성 고무(20)의 승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과 가동 접점부(10a)를 이루며, 동시적으로 상기 가동 접점부에 가이드 홀(10b)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봉이 관통하여 승강함에 따라 기구물 로킹부(51,52)와 연동하여 로킹 또는 로킹해제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구성이다.A key top housing having a guide tube, a key top having a stem, and a retur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se key top housings and the key tops, and a keyboard for switching contact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tem along the guide tube. In the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a conductive rubber 20 composed of a large diameter portion 20a and a guide rod 20d extending downwar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is provided coaxially to the stem 8a, whereby the conductive rubber ( 20,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0a are formed. The guide hole 10b is simultaneously formed i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guide rod penetrates and descends. 51, 52) to direct the locking or unlocking configuration.

4. 고안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금전등록기의 키누름 인식장치.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cash register.

Description

다용도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Key Press Recognition Device for Multi-use Keyboard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제2도는 종래의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2 is a view showing a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keyboard.

(a)는 누르기전 상태의 단면도이고,(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before pressing,

(b)는 누른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b)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after pressing.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th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고안의 키누름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4 is a view showing a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는 누르기전 상태의 단면도이고,(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before pressing,

(b)는 누른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b)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after press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프레임 4a : 구멍4: frame 4a: hole

5 : 복귀스프링 6 : 키톱 하우징5: return spring 6: key top housing

6a : 복귀스프링 6d : 걸림부6a: return spring 6d: locking part

6e : 돌출턱 8 : 키톱6e: protruding jaw 8: key top

8a : 스템 8d : 고정리브8a: stem 8d: fixed rib

20 : 전도성 고무 20a : 대경부20: conductive rubber 20a: large diameter part

20d : 가이드 봉 51,52 : 로킹부20d: guide rod 51,52: locking portion

본 고안은 각종 전자제품의 키보드장치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또는 금전등록기등의 입력장치의 키이 스위치로 사용되는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전등록기와 같이 한번의 키누름으로 인하여 회로적인 기능과 기구적인 기능을 동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키누름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a keyboard which is used as a switch of a key of an input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word processor or a cash register in a keyboard apparatus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d in particular, due to a single key press such as a cash regis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ircuit function and a mechanical function.

제1도는 종래의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금속등의 경질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1)는 맴브레인 스위치(2)가 올려 놓여져 있다. 상기 맴브레인 스위치(2)는 가동접점(2d)을 가지는 상부 시이트(2c)와, 고정 접점(2d)을 가지는 하부 시이트(2a)로 구성된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keyboard. Referring to the drawing, a membrane switch 2 is placed on a frame 1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The membrane switch 2 is composed of an upper sheet 2c having a movable contact 2d and a lower sheet 2a having a fixed contact 2d.

상기 맴브레인 스위치(2)의 상부 시이트(2c)와 이격되게 프레임(4)이 프레임(1)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4)에는 다수개의 구멍(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4)에 형성된 구멍(4a)에는 합성수지재의 키톱 하우징(6)을 맴브레인 스위치(2)의 상부 스위치와 이격되게 설치한다.The frame 4 is installed in the frame 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heet 2c of the membrane switch 2. A plurality of holes 4a are formed in the frame 4. In the hole 4a formed in the frame 4, the key top housing 6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witch of the membrane switch 2.

상기 키톱 하우징(6)에는 환상의 가이드 통(6a)과 그 바깥쪽에 위치하는 돌기부(6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키톱 하우징(6)의 외측에는 걸림부(6d)를 상호 대응되게 형성하였고, 걸림부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에는 돌출턱(6e)을 상호 대응되게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가이드 통(6a)과 키톱 하우징(6)의 외측 사이에는 키톱(8)에 형성된 갈고리(8d)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인 사각구멍(6f)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키톱하우징(6)을 상기 프레임(4)에 형성된 구멍(4a)에 조립하되, 키톱하우징(6)의 걸림부(6d)가 텐션을 받아 구멍(4a)이 내벽에는 미끄러져 프레임(4)의 하면과 접촉되고, 프레임(4)의 상면에는 돌출턱(6e)의 하면과 접촉되어 조립되었다.The key top housing 6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annular guide cylinder 6a and a projection 6c located outside thereof.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s 6d we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key top housing 6, and the protruding jaws 6e we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where the locking portions were not formed. Further, a square hole 6f is formed between the guide barrel 6a and the outside of the key top housing 6 as a means for assembling a hook 8d formed on the key top 8. The key top housing 6 is assembled to the hole 4a formed in the frame 4, but the locking portion 6d of the key top housing 6 is tensioned so that the hole 4a slides on the inner wall of the frame 4 Was contact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4 and assembled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6e.

상기 가이드 통(6a)의 내벽에는 합성수지재의 키톱(8)의 천정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스템(8a)이 미끄러져 움직이게 삽입되었고, 이 스템(8a)내에는 중공(8c)이 형성되었으며, 이 중공(8c)의 내부에는 아래로 고정리브(8b)가 신장되었다.The stem 8a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key top 8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guide barrel 6a, and a hollow 8c is formed in the stem 8a. Inside the 8c, the fixed rib 8b was extended.

상기 고정 리브(8b)에는 코일 스프링(3)이 조립되었다. 또한, 키톱(8)의 외측 테두리에는 키톱의 윗면에서 아랫방향으로 신장된 갈고리(8d)가 형성되었다. 상기 키톱 하우징(6)의 가이드 통(6a)과 돌기부(6c)와의 사이에는 평탄면(6g)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면(6g)과 상기 키톱(8) 천장면과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5)이 개재 설치되어 있다.Coil springs 3 are assembled to the fixed ribs 8b. In addition, a hook 8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key top was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key top 8. A flat surface 6g is formed between the guide cylinder 6a of the key top housing 6 and the protrusion 6c, and a return spring is formed between the flat surface 6g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key top 8. (5) is interposed.

이 키톱(8)이 키톱하우징(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톱(8)에 형성한 갈고리(8d)를 키톱하우징(6)에 형성된 사각구멍(6f)에 조립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key top 8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key top housing 6, the hook 8d formed in the key top 8 is assembled into the square hole 6f formed in the key top housing 6.

제2도에 도시되었듯이, 키톱(8)은 복귀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트로크 최상점에 위치하고 있고, 이때, 코일 스프링(3)의 하단은 상부 시이트(2c)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맴브레인 스위치(2)는 가동접점(2d)과 고정접점이 비접촉인 오프상태에 있다.As shown in FIG. 2, the key top 8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trok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 where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3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heet 2c, so that the membrane switch (2) is in the off state where the movable contact 2d and the fixed contact are non-contact.

이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키톱(8)을 복귀스프링(5)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압입하면, 스템(8a)의 외벽이 가이드 통(6a)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여 키톱(8)은 스트로크 최하점까지 이동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key top 8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 the outer wall of the stem 8a is lower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guide barrel 6a, and the key top 8 moves to the lowest point of the stroke. do.

이 경우, 스템(8a)의 유지된 코일 스프링(3)은 상부 시이트(2c)에 맞닿아 점차 압축되기 때문에 이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시이트(2c)가 휘어져 가동접점(2d)이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맴브레인 스위치(2)는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된다.In this case, the retained coil spring 3 of the stem 8a abuts against the upper sheet 2c and is gradually compressed, so that the upper sheet 2c is ben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3, thereby moving the movable contact 2d.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the membrane switch 2 is turned on from off.

그리고, 이 온상태에서 키톱(8)에 대한 상기 조작력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키톱(8)은 스트로크 최상점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휘어져 있던 상부 시이트(2c)가 복원되고, 이에 따라 가동접점(2d)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져 맴브레인 스위치(2)는 온으로부터 오프상태로 전환된다.And when the said opera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key top 8 is removed in this on state, since the key top 8 raises to the stroke top poin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 the curved upper sheet 2c is restored, As a result, the movable switch 2d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and the membrane switch 2 is switched from on to off.

그러나, 이런 종류의 키보드에 있어서는, 조작자의 압입력과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통의 내벽을 따라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게 된다. 이 반복에 의하여 스템내에 내장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이 상하부 시이트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접촉과 분리의 작용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제품을 사용하는 한 계속되며, 코일 스프링에 피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is type of keyboard, the lowering and raising is repea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guide cylinder by the operator's pressing forc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By this repetition, the coil spring embedded in the stem acts as a contact and separa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upper and lower sheets. This process continues as long as the product is in use and fatigue occurs in the coil springs.

이러한 피로변형으로 변형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하부 시이트에 형성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과 분리를 불확실하게 하여, 기기의 온/오프전환이 잘 되지 않는 요인으로 발생하였다.The coil spring deformed by such a fatigue deformation caused the uncertainty of contact and separa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heets, resulting in a factor that is difficult to switch the device on and off.

더욱이, 키보드의 키의 누름을 인식하여 기구적인 잠김장치를 해제하거나 오픈기능을 수행토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키누름 인식장치는 회로적으로 장치를 구성하여 키입력을 구성하고, 별도의 로킹장치는 솔레노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기구적 동작을 수행하게 함으로서, 결국은 별도의 키누름 인식장치와 로킹장치(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로킹 또는 로킹을 해제하는 구성임)가 각각 독립적으로 기기세트에 장착되어짐으로서, 장치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releasing a mechanical locking device or performing an open function by recognizing a press of a key of a keyboard, a conventional key press recognizing device constructs a device by constructing a key input circuit and separate locking. The device performs a mechanical operation by using a solenoid (not shown in the drawing) or the like, so that a separate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and a locking device (which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using a solenoid)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By being installed in a set of devices, the device is not only bulky but also a cost increase factor.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판매활동 즉 슈퍼마켓이나 백화점 등에서 많은 물건을 취급하여 영업활동을 하면서 관리효율의 극대화를 위하여 금전등록기의 키보드의 접촉과 분리가 정확하게 되어 기기의 온/오프가 항상 일정하게 잘되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ndle a lot of goods in a sales activity, such as a supermarket or a department store, and do business activitie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to contact the keyboard of the cash register. It is to provide a device that is properly separated so that the device is always on and off.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특정키이가 한번 눌려질 때, 그 접점을 인식하여 회로적인 기능(키입력동작)을 수행하고, 동시적으로 기구적인 작동과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접점인식과는 상관없이 직접적으로 기구적인 로킹부등을 해제시켜 오픈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부품수를 삭제(별도의 로킹장치가 삭제됨)하고, 기구적인 작동공간을 최소화(별도의 로킹장치의 작동을 위한 공간이 삭제됨)하여 원가절감을 이루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the contact point when a particular key is pressed once, perform a circuit function (key input operation), and if a mechanical operation process is required at the same time, regardless of the contact recognition directly By releasing the mechanical locking part to perform the operation such as opening, the number of parts can be deleted (separate locking device is deleted), and the mechanical operating space is minimized (space for operating the separate locking device is deleted). It is to provide a device that achieves saving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이드 통을 구비한 키톱 하우징과, 스템을 갖는 키이톱과, 이들 키톱하우징과 키톱들과의 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을 가이드 통을 따라 승강시킴으로서 접점의 전환을 행하는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에 있어서, 대경부(20a)와, 상기 대경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봉(20d)으로 구성된 전도성 고무(20)가 상기 스템(8a)에 동축으로 설치되어짐으로서, 상기 전도성 고무(20)의 승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과 가동 접점부(10a)를 이루며, 동시적으로 상기 가동 접점부에 가이드 홀(10b)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봉이 관통하여 승강함에 따라 기구물 로킹부(51,52)와 연동하여 로킹 또는 로킹해제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구성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y top housing having a guide barrel, a key top having a stem, and a retur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se key top housings and the key tops, and the stem is guided. In the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the keyboard which switches the contact by raising and lowering along the surface, a conductive rubber 20 composed of a large diameter portion 20a and a guide rod 20d extending downwar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includes the stem 8a. By being coaxially install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0a by raising and lowering the conductive rubber 20, and simultaneously forming a guide hole (10b) i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s the guide rod moves up and down, it is configured to directly instruct locking or unlocking in conjunction with the mechanism locking units 51 and 52.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시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above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ts operating state.

동도면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 상면에는 프레임(4)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4)에는 다수개의 구멍(4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멍에는 합성수지재의 키톱하우징(6)이 조립된다.Referring to the same figure, the frame 4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 plurality of holes 4a are formed in the frame 4, and the respective keyholes 6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re assembled in the holes.

상기 키톱하우징(6)은 환상의 가이드 통(6a)과 그 바깥쪽에 위치하는 돌기부(6c)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키톱하우징(6)의 외측에는 걸림부(6d)를 상응하게 형성하며, 걸림부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에는 돌출턱(6e)을 상응하게 형성한다.The key top housing 6 has an annular guide cylinder 6a and a protrusion 6c located at an outer side thereof integrally formed, and a locking portion 6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key top housing 6 correspondingly. Protruding jaws 6e are correspondingly formed on the outer side where no part is formed.

또한, 상기 가이드 통(6a)과 키톱하우징(6)의 외측 사이에는 키톱(8)에 형성된 갈고리(8d)를 조립하기 위산 수단인 사각구멍(6f)이 형성되었다.In addition, a square hole 6f is formed between the guide barrel 6a and the outer side of the key top housing 6 as a means for assembling a hook 8d formed on the key top 8.

이러한, 키톱하우징(6)을 상기 프레임(4)에 형성된 구멍(4a)에 조립하되, 키톱하우징(6)의 걸림부(6d)가 텐션을 받아 구멍(4a)에서 미끄러져 프레임(4)의 하면과 접촉되고, 프레임의 상면에는 돌출턱(6e)의 하면과 접촉되어 조립되었다.The key top housing 6 is assembled to the hole 4a formed in the frame 4, but the locking portion 6d of the key top housing 6 is tensioned and slides out of the hole 4a. It wa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and was assembl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6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상기 가이드 통(6a)의 내벽에는 합성수지재의 키톱(8)의 천정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스템(8a)이 미끄러져 움직이게 삽입되었고, 이 스템(8a) 내에는 중공(8c)이 형성되며, 이 중공(8c)에서 하방으로 신장된 고정리브(8b)를 형성시킨다.The stem 8a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key top 8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guide barrel 6a, and a hollow 8c is formed in the stem 8a. A fixed rib 8b extending downward from 8c is formed.

상기 중공(8c)과 고정리브(8b)에는 전도성 고무(20) 또는 탄소인쇄한 일반 고무가 강하게 끼워 맞추어져 설치된다. 상기 전도성 고무(20)의 외형은 중간부 위에 대경부(20a)를 형성하되, 상단의 소경부(20b)는 홈(20c)을 형성하며, 키톱의 고정리브(8b)에 조립되고, 상기 소경부(20b)의 외측 원통면은 중공의 내주부에 억지로 끼워 맞추게 된다. 또한, 하측으로 가이드 봉(20d)이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가동접점부(10a)에는 가이드 홀(10b)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10b)을 상기 가이드 봉(20d)이 관통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 봉(20d)이 상기 가이드 홀(10b)을 관통하여 승강하는 작용을 함으로서 로킹부(51,52)는 상기 가이드 봉(20d)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The conductive rubber 20 or carbon-printed general rubber is strongly fitted to the hollow 8c and the fixed rib 8b. The outer shape of the conductive rubber 20 forms a large diameter portion 20a on the middle portion, the small diameter portion 20b at the top forms a groove 20c, is assembled to the fixed ribs 8b of the key top, The outer cylindric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20b is forcibly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In addition, the guide rod 20d extends downward, a guide hole 10b is formed i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0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guide hole 10b is formed by the guide rod 20d. Let it penetrate. Furthermore, the lowering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cts to lift and guide the guide rod 20d through the guide hole 10b so that the locking parts 51 and 52 interlock with the guide rod 20d.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키톱(8)의 외측 테두리에는 키톱이 상면에서 하방으로 신장된 갈고리(8d)가 형성되었고, 상기 하우징(6)의 가이드 통(6a)과 돌기부(6c) 사이에는 평탄면(6g)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6g)과 상기 키톱(8)의 천장면과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5)이 개재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edge of the key top (8) is formed with a hook (8d) is a key top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 flat surface (6g) between the guide barrel (6a) and the projection (6c) of the housing (6) Is formed, and a return spring 5 is interposed between the flat surface 6g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key top 8.

상기 키톱(8)이 키톱하우징(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톱(8)에 형성된 갈고리(8d)를 키톱하우징(6)에 형성된 사각구멍(6f)에 조립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key top 8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key top housing 6, the hook 8d formed on the key top 8 is assembled into the square hole 6f formed on the key top housing 6.

상기 구성에 따라서,키톱(8)은 복귀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트로크 최상점에 위치하고, 이때, 전도성 고무(20)의 하단은 인쇄회로기판(10)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0)상의 접점부가 오프상태에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key top 8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trok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 where the lower end of the conductive rubber 20 is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 Contact is off.

이 상태로부터 제4도에 도시되었듯이, 조작자가 키톱(8)을 복귀스프링(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압입하면, 스템(8a)의 외주면이 가이드 통(6a)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여 키톱은 스트로크 최하점까지 이동된다. 이 경우, 스템(8a)에 유지된 전도성 고무의 대경부(20a)의 하면은 인쇄회로기판상의 접점부(10a)에 접촉되어 반원형으로 이격된 접점부를 전도성 고무(20)가 도통되게 하여, 키보드는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된다. 동시적으로, 상기 전도성 고무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 봉은 인쇄회로기판이 가동접점부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기구물의 로킹부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고, 이에 따라 오픈 등의 기구물동작이 가능하게 된다.From this state, as shown in FIG. 4,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key top 8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8a is lower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cylinder 6a and the key top is pressed.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stroke.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20a of the conductive rubber held on the stem 8a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0a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the conductive rubber 20 conducts the semicircularly spaced contact portion. Is switched from off to on. Simultaneously, the guide rod formed to extend downward of the conductive rubber releases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mechanism through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thereby enabling the mechanism operation such as opening. do.

그리고, 온상태에서 키톱(8)에 대한 상기 조작력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키톱(8)은 스트로크 최상점가지 상승하기 때문에 하강되었던 전도성 고무(20)가 복원되고, 이에 따라 접점부(10a)가 단락되어 키보드는 온으로부터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동시적으로 상기 로킹부(51,52)의 로킹을 해제시켰던, 가이드 봉(20d)은 상기 가이드 홀(10b)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기구물의 로킹부(51,52)의 로킹을 형성한다.Then, when the operation force for the key top 8 is removed in the on state, the conductive rubber 20 which has been lowered is restored because the key top 8 rises to the top of the strok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 The contact portion 10a is shorted and the keyboard is switched from on to off. At the same time, the guide rod 20d, which has unlocked the locking portions 51 and 52, moves upward of the guide hole 10b to form the locking of the locking portions 51 and 52 of the appliance agai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키누름 인식장치는 접점부를 도통시키기 위한 수단을 고무로 사용함으로서, 기기를 오랜시간 반복사용하여도 접점을 전환시키는 수단이 발생치 않아 접점부를 정확하게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고, 더불어 상기 전도성 고무가 회로적인 기능(키입력기능)뿐만 아니라 키입력동작과 동시에 연동할 수 있는 로킹부의 로킹 및 로킹해제를 구현함으로서 공간삭제(솔레노이드의 작동공간)에 따른 기기세트의 소형화, 부품삭제(종래의 솔레노이드)에 따른 원가절감 및 공수절감이라는 잇점을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ans for conducting the contact portion as rubber, so that even if the device is repeatedly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no means for switching the contact so that the contact portion can be accurately conducte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and in addition to the circuit function (key input function), as well as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part that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key input operation, the space is removed (operating space of the solenoid). It has the advantages of miniaturization of equipment set, cost reduction and man-hour reduction due to component removal (conventional solenoid).

Claims (1)

가이드 통을 구비한 키톱 하우징과, 스템을 갖는 키이톱과, 이들 키톱하우징과 키톱들과의 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을 가이드 통을 따라 승강시킴으로서 접점의 전환을 행하는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에 있어서, 대경부(20a)와, 상기 대경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봉(20d)으로 구성된 전도성 고무(20)가 상기 스템(8a)에 동축으로 설치되어짐으로서, 상기 전도성 고무(20)의 승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과 가동 접점부(10a)를 이루며, 동시적으로 상기 가동 접점부에 가이드 홀(10b)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봉이 관통하여 승강함에 따라 기구물 로킹부(51,52)와 연동하여 로킹 또는 로킹해제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키보드의 키누름 인식장치.A key top housing having a guide tube, a key top having a stem, and a retur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se key top housings and the key tops, and a keyboard for switching contact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tem along the guide tube. In the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a conductive rubber 20 composed of a large diameter portion 20a and a guide rod 20d extending downwar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is provided coaxially to the stem 8a, whereby the conductive rubber ( 20,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0a are formed. The guide hole 10b is simultaneously formed i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guide rod penetrates and descends. 51, 52) key press recognition device of the multi-purpos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directly instructs to lock or unlock.
KR2019950051818U 1995-12-29 1995-12-29 Recognition apparatus of key press of multi-type keyboard KR2001488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818U KR200148863Y1 (en) 1995-12-29 1995-12-29 Recognition apparatus of key press of multi-type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818U KR200148863Y1 (en) 1995-12-29 1995-12-29 Recognition apparatus of key press of multi-type key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589U KR970045589U (en) 1997-07-31
KR200148863Y1 true KR200148863Y1 (en) 1999-06-15

Family

ID=1944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1818U KR200148863Y1 (en) 1995-12-29 1995-12-29 Recognition apparatus of key press of multi-type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863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589U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8371A (en) Keyswitch assembly with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support plate beneath printed circuit board
TWI607474B (en) Keyswitch
EP0499449B1 (en) Key switch
CN105914073B (en) Button
US9000313B2 (en)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and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4602138A (en) Keyboard with removable modular keys
US5588760A (en) Key switch unit for computer keyboards
WO1982001852A1 (en) A keyboard
KR1004668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148863Y1 (en) Recognition apparatus of key press of multi-type keyboard
KR102380716B1 (en) Keyboard Switch
CN108305806B (en) Key and its key switch
US9312079B2 (en) Keyswitch and keyboard therewith
US6392176B1 (en) Keyswitch of keyboard
US6133539A (en) Key switch
US8143544B2 (en) Switch
CN109950082B (en) Keyboard with a keyboard body
KR100568914B1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N107887186B (en) Key
US6133538A (en) Keyswitch with rubber dome disposed within housing provided by the plunger
CN210668179U (en) Push type key switch
KR100411552B1 (en) Elevator push button
US6661332B1 (en) Press-type varistor switch
CN217061844U (en) Electric tool trigger switch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mistaken touch
US20190244770A1 (en) Button switch and keyswitch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