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520Y1 -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520Y1
KR200148520Y1 KR2019970003417U KR19970003417U KR200148520Y1 KR 200148520 Y1 KR200148520 Y1 KR 200148520Y1 KR 2019970003417 U KR2019970003417 U KR 2019970003417U KR 19970003417 U KR19970003417 U KR 19970003417U KR 200148520 Y1 KR200148520 Y1 KR 200148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as
tempering furnace
chamber
tempering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940U (ko
Inventor
한점수
Original Assignee
한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점수 filed Critical 한점수
Priority to KR2019970003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5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8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clean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처리 공정중칭오일을 사용하여칭을 마친 금속제품의 템퍼링시 템퍼링로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제품에 묻어있던 오일의 증발하며 발생시키는 폐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히터(2)가 설치된 템퍼링로본체(1)와, 상기 템퍼링로본체(1)의 내부에 금속제품(10)을 수납시킬 수 있게 형성한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단 입구를 밀폐하기위한 챔버커버(6)와, 상기 챔버커버(6)에 설치된 송풍기(5)로 이루어진 템퍼링로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챔버커버(6)에 설치한 흡기관(21)과, 상기 챔버 내부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템퍼링로본체(1)에 설치한 배출관(22)과, 상기 배출관(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배출관(22)의 출구쪽에 설치한 연소기(2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본 고안은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열처리 공정중오일을 사용하여칭을 마친 금속제품의 템퍼링시 템퍼링로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제품에 묻어있던 오일의 증발하며 발생시키는 폐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제품은 경도와 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열처리를 하게되는데 그 과정은 우선 금속제품을 고온으로 가열시킨 다음 금속제품을 오일에 급냉시켜 경도를 높이는칭을 거친 후 상기 금속제품을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충분히 가열시킨 다음, 다시 냉각시켜 점도를 높이는 템퍼링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칭을 거친 금속제품을 템퍼링로에 넣어 가열할 경우칭중 금속제품의 표면에 묻은칭오일이 증발되며 폐가스가 발생되고, 이러한 폐가스는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 되어 공기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템퍼링로에 넣기 전에 금속 제품에 묻은칭오일을 화학약품의 세척제로 세척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작업도 세척제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오염물질의 처리비용과 세척 비용의 부담으로 인하여 대부분 템퍼링로 내에서 직접 연소시키는 실정이다.
제1도는 종래의 템퍼링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템퍼링로는 내부 둘레를 따라 히터(2)가 설치된 템퍼링로본체(1)와, 열처리할 금속 제품을 담아 상기 템퍼링로본체(1)의 히터(2) 내측에 삽입하는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단을 덮어 밀폐하며 날개(4)를 갖는 송풍기(5)가 구비된 챔버커버(6)와, 피스톤(7)에 의해 암(8)에 지지된 체인(9a)이 승강되어 상기 챔버커버(6)를 개폐하는 승강장치(9)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템퍼링로에 금속제품을 넣어 템퍼링을 할 경우에는 우선 승강장치(9)의 암(8)을 상승시켜 이와 연결된 챔버커버(6)를 열고, 챔버(3)에칭을 마친 금속제품(10)을 투입하며, 다시 상기 챔버커버(6)를 덮어 밀폐한 다음, 템퍼링로본체(1) 내부의 열선으로 가열하여 금속제품(10)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템퍼링로는 금속제품(10)을 담은 챔버(3)의 상단에 결합된 챔버커버(6)에 의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템퍼링로의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금속제품(10)의 표면에 묻은 오일이 증발되며 폐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폐가스가 빠져나갈 곳이 없으므로 템퍼링로의 내부압력이 증가하여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챔버커버(6)를 열고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도 하는데 이 또한 고온으로 상승시킨 템퍼링로의 내부온도를 급격히 저하시킴은 물론 인체에 유해한 폐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때문에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에 금속제품의 열처리과정인 템퍼링중 발생되는 폐가스의 처리에 대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템퍼링중 발생하는 폐가스를 완전히 연소하여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템퍼링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인 폐가스 연소장치가 장착된 템퍼링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템퍼링로본체 2 : 히터
3 : 챔버 5 : 송풍기
6 : 챔버커버 7 : 피스톤
8 : 암 9 : 승강장치
9a : 체인 10 : 제품
21 : 흡기관 21a : 흡기밸브
22 : 배출관 22a : 배기밸브
23 : 연소기 23a : 가열망
23b : 버너 23d : 연소통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히터(2)가 설치된 템퍼링로본체(1)와, 상기 템퍼링로본체(1)의 내부에 금속제품(10)을 수납시킬 수 있게 형성한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단 입구를 밀폐하기위한 챔버커버(6)와, 상기 챔버커버(6)에 설치된 송풍기(5)로 이루어진 템퍼링로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챔버커버(6)에 설치한 흡기관(21)과, 상기 챔버 내부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템퍼링로본체(1)에 설치한 배출관(22)과, 상기 배출관(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배출관(22)의 출구쪽에 설치한 연소기(2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소기(23)는, 내부에 가열망(23a)이 구비된 연소통(23d)과, 상기 가열망(23a)을 가열하며 폐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 (23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인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는 상기 챔버(3)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챔버커버(6)에 형성한 흡기관(21)과, 상기 챔버(3) 내부와 연통되도록 템퍼링로본체(1)에 형성한 배출관(22)과, 상기 배출관(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23)로 구성된다. 상기 흡기관(21)은 챔버커버(6)를 관통하도록 결합하여 흡기관(21)을 통해 외부와 챔버(3)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외부로 노출된 흡기관(21)의 소정부위에는 흡기밸브(21a)를 설치하여 챔버(3)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22)은 템퍼링로본체(1)의 상부를 지나 챔버(3)의 측면을 관통하여 챔버(3)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배기밸브(22a)를 설치하여 폐가스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소기(23)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파이프를 벤딩하거나 용접하여 ㄴ형상의 연소통(23d)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통(23d)의 내부에는 가열망(23a)을 간격을 두어 다수 설치하며, 연소통(23d)의 외주연에는 폐가스를 점화시키는 동시에 가열망(23a)을 가열하는 버너(23b)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버너(23b)는 LPG나 휘발유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토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템퍼링로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며칭을 마친 금속제품(10)에 묻어있던 오일이 증발하여 폐가스가 발생되고, 상기 폐가스가 배출관(22)를 통하여 연소기(23)의 연소통(23d)로 이동되면, 연소기(23)의 버너(23b)를 점화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가 스를 연소시킨다. 이때, 상기 가열망(23a)은 버너(23b)의 불꽃과 폐가스가 연소하며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고온으로 달구어져 일정시간 후 버너(23b)를 끄게 되더라도 이 가열망(23a)에 의해 폐가스가 지속적으로 연소되며, 폐가스가 소진되면 자연소화된다. 또한, 상기 흡기관(21)으로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며 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된 폐가스의 빈 공간을 충전하여 템퍼링로본체(1)의 진공상태를 해소함으로써 배출관(22)을 통한 폐가스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연소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템퍼링로에 흡기관과, 배출관과, 연소기로 이루어진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를 설치하여 템퍼링 공정중 발생하는 폐가스를 완전히 연소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템퍼링 공정중에 발생되는 폐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템퍼링로 내부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여 작업환경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챔버커버를 열 경우 급격히 저하되는 템퍼링로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폐가스의 유출을 억제하여 대기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히터(2)가 설치된 템퍼링로본체(1)와, 상기 템퍼링로본체(1)의 내부에 금속제품(10)을 수납시킬 수 있게 형성한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상단 입구를 밀폐하기위한 챔버커버(6)와, 상기 챔버커버(6)에 설치된 송풍기(5)로 이루어진 템퍼링로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챔버커버(6)에 설치한 흡기관(21)과, 상기 챔버(3) 내부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템퍼링로본체(1) 에 설치한 배출관(22)과, 상기 배출관(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가스를 연 소시키기 위하여 배출관(22)의 출구쪽에 설치한 연소기(2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소기(23)는, 내부에 가열망(23a)이 구비된 연소통 (23d)과, 상기 가열망(23a)을 가열하며 폐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23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KR2019970003417U 1997-02-28 1997-02-28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KR200148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417U KR200148520Y1 (ko) 1997-02-28 1997-02-28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417U KR200148520Y1 (ko) 1997-02-28 1997-02-28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940U KR19980058940U (ko) 1998-10-26
KR200148520Y1 true KR200148520Y1 (ko) 1999-06-15

Family

ID=1949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417U KR200148520Y1 (ko) 1997-02-28 1997-02-28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5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23B1 (ko) 2009-09-21 2012-04-18 이순석 대형 침탄 열처리로
KR20170010649A (ko) * 2015-07-20 2017-02-01 김민석 폐가스 연소기능을 갖는 금형 열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910B1 (ko) * 2001-11-02 2006-04-05 주식회사 포스코 직화로 배출가스 완전연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23B1 (ko) 2009-09-21 2012-04-18 이순석 대형 침탄 열처리로
KR20170010649A (ko) * 2015-07-20 2017-02-01 김민석 폐가스 연소기능을 갖는 금형 열처리장치
KR101706303B1 (ko) * 2015-07-20 2017-02-27 김민석 폐가스 연소기능을 갖는 금형 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940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991A (en) Heating device operated by means of liquid fuel
US4630553A (en) Dual stage combustion furnace
KR200148520Y1 (ko) 템퍼링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ES2171090T3 (es) Estufa de calefaccion, en particular con quemadores de gas y/o de fuel-oil.
US4037582A (en) Oil stove
KR100205565B1 (ko) 화장로
JP5297095B2 (ja) 廃油燃焼装置
CN216143751U (zh) 一种废气处理装置
RU213354U1 (ru) Банный чан с водяным контуром
KR200248815Y1 (ko) 히터
AU2003202621B2 (en) A water heater and a method of heating water in a tank
KR20030067800A (ko) 난로
KR200275430Y1 (ko) 연소로에 부설된 보조 연소로의 원심분리 연소장치
KR200327481Y1 (ko) 고효율 폐타이어 연소장치
JP2023167476A (ja) 熱処理炉の油煙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S59107113A (ja) バキユ−ムカ−の臭気ガス燃焼筒
KR890007392Y1 (ko) 구멍탄 온수 보일러
JP2584024Y2 (ja) ごみ焼却炉
KR0125061Y1 (ko) 작업장용 난로
KR100189320B1 (ko) 배기가스 재연소 장치
JPH0566460U (ja) 温水ボイラ
US794957A (en) Heating apparatus.
JPH08104879A (ja) 廃タイヤ等の乾留処理装置
KR920005645Y1 (ko) 유동상로의 배기가스 연소장치
SU576504A1 (ru) Газова печ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