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470Y1 -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470Y1
KR200148470Y1 KR2019960063520U KR19960063520U KR200148470Y1 KR 200148470 Y1 KR200148470 Y1 KR 200148470Y1 KR 2019960063520 U KR2019960063520 U KR 2019960063520U KR 19960063520 U KR19960063520 U KR 19960063520U KR 200148470 Y1 KR200148470 Y1 KR 200148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use
lead
microwave oven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349U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63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47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0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9Modular assembly of fuses or holders, e.g. side by side;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dentical fus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퓨즈가 내장되는 안착부를 가지고, 안착부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한쌍의 걸림돌기가 소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한쪽에 탄성변형이 유연하게 가능한 폴드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케이스에 내장되는 퓨즈를 보호하는 안착부를 가지고, 안착부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케이스의 걸림돌기에 걸림유지되게 연장플레이트가 한쌍의 걸림돌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퓨즈의 캡이 각각 끼워져 접속되는 링소켓을 가지고, 링소켓의 한쪽에 케이스의 제 1 및 제 2 인출부에 위치되도록 연결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을 포함한다.
따라서, 퓨즈가 단순한 구조 및 구성으로 제작되는 퓨즈 홀더에 내장되어 스파크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 및 배선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구동실의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본 고안은 전자렌지(microwave ove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퓨즈(fuse)를 설치하기 위한 전자렌지의 퓨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magnetron)으로부터 발진(發振)되는 고주파(microwave)를 음식물에 조사(照射)하여 분자 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마찰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으로, 전자렌지는 규정전압이 110V, 220V 등으로 파워 코드(power cord)에 의해 인가되면, 이것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렌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cabinet: Ca)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대략 사각형상체의 조리실(cavity: Cv)과 구동실(driving room: Dr)로 구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실(Dr)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Ma)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고압 트랜스포머(high voltage transformer: Ht) 및 도시하지 않은 다이오드(diode) 및 커패시터(capacitor), 서모스탯(thermometer) 등과 같은 많은 전장품(電裝品: P)들이 설치된다.
그런데, 전자렌지의 사용도중에 전압의 변동이나 과전류(過電流), 즉 규정이상의 전류가 전기 회로에 흐르게 되면, 전자제품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특히 심한 경우에는 마그네트론(Ma) 등에 화재를 불러 일으킬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장치의 하나로 관형(또는 통형)의 퓨즈가 사용되고 있으며, 퓨즈는 전압의 변동이나 과전류가 흐르가 되면 가열되어 녹아 끊어지므로, 전기 회로를 자동적으로 오프(off)시켜 전장품(P)들을 보호하게 된다. 퓨즈는 퓨즈 홀더에 내장되어 설치되거나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케이블(cable)의 배선에 의해 전장품(P)들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 전자렌지의 퓨즈 홀더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즈 홀더(H)는 퓨즈(F)가 내장되는 케이스(case: 10)와, 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cover: 11)가 탄성변형(彈性變形)이 유연하게 가능한 폴드(fold: 1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의 한쪽에 결합돌기(10a)가 형성되고, 커버(11)의 한쪽에 결합돌기(10a)에 결합되는 결합홈(11a)이 형성되며, 케이스(10)와 커버(11)는 폴드(12)를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결합돌기(10a)와 결합홈(11a)의 결합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퓨즈(F)의 캡(cap: C)은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 13a,134b)에 각각 끼워져 접속되고, 리셉터클 터미널(13a,13b)에는 케이블(14a,14b)의 한쪽 끝이 각각 연결되며, 케이블(14a,14b)의 다른쪽 끝에 터미널 하우징(terminal housing: 15a,15b)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터미널 하우징(15a,15b)은 전장품(P)들의 터미널(T)과 접속되어 배선된다.
그러나, 퓨즈 홀더(H)는 케이스(10)와 커버(11)가 닫혀지면서 그 경계면이나 폴드(12)가 부분적으로 갈라져 틈새가 발생됨에 따라 스파크(spark)가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퓨즈 홀더(H)와 케이블(14a,14b)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구동실(Dr)의 공간 활용에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장품(P)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 케이블(14a,14b)의 경로가 휘어지면서 퓨즈 홀더(H)와 케이블(14a,14b)의 유동이 발생되므로, 퓨즈(F) 및 전장품(P)들의 접속 상태가 불량해져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퓨즈 홀더(H)의 케이스(10)와 커버(11)에 의해 내장된 퓨즈(F)를 배선시키기 위하여 리셉터클 터미널(13a,13b), 케이블(14a,14b) 및 터미널 하우징(15a,15b)이 사용되므로, 배선 작업이 번거롭고 곤란해져 조립성이 저하되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퓨즈가 전장품들과 용이하고 간단하게 접속되도록 한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과전류가 전기 회로에 흐르면 자동적으로 오프시키는 퓨즈를 전장품들과 접속시켜 설치하기 위한 전자렌지의 퓨즈 홀더로서, 퓨즈가 내장되는 안착부를 가지고, 안착부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한쌍의 걸림돌기가 소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한쪽에 탄성변형이 유연하게 가능한 폴드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케이스에 내장되는 퓨즈를 보호하는 안착부를 가지고, 안착부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케이스의 걸림돌기에 걸림유지되게 연장플레이트가 한쌍의 걸림돌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퓨즈의 캡이 각각 끼워져 접속되는 링소켓을 가지고, 링소켓의 한쪽에 케이스의 제 1 및 제 2 인출부에 위치되도록 연결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및 배선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에서 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에서 커버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케이스21; 안착부
22,23; 제 1 및 제 2 인출부24; 실드리브
30; 커버31; 안착부
32,33; 제 1 및 제 2 인출부34; 실드홈
40,45;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1,46; 링소켓
42,47; 연결플레이트43; 탭터미널
48; 권선홈50; 케이블
F; 퓨즈C; (퓨즈의) 캡
P; 전장품T; (전장품의) 터미널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즈 홀더(H)의 케이스(20)는 퓨즈(F)가 내장되는 안착부(21)를 가지고, 안착부(21)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가 각각 형성되며, 안착부(21)에는 퓨즈(F)의 캡(C)이 위치되는 한쌍의 클립(clip: 21a)이 소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즉, 안착부(2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20)의 전체 형상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상면에 안착부(2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실드리브(shield rib: 24)가 형성되고, 케이스(20)의 외주면에 한쌍의 걸림돌기(25)가 소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20)는 안착부(2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의 모서리에 다수의 지지돌기(26)들이 각각 돌출형성되며, 제 1 인출부(22)의 끝부분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가이드면(27)들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퓨즈 홀더(H)는 케이스(20)의 한쪽에 탄성변형이 유연하게 가능한 폴드(28)에 의해 커버(3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케이스(20)와 커버(30)는 대략 반원형상체로 각각 분할되어 폴드(2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커버(30)는 케이스(20)에 내장된 퓨즈(F)를 보호하는 안착부(31)를 가지고, 안착부(31)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32)(33)가 각각 형성되며, 안착부(31)에는 케이스(20)의 클립(21a)에 위치되는 퓨즈(F)의 캡(C)을 지지하는 한쌍의 누름편(31a)이 소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즉, 안착부(3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32)(33)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30)의 전체 형상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과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0)는 안착부(3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32)(33)의 가장자리에 케이스(20)의 실드리브(24)가 서로 대등되어 끼워지는 실드홈(34)이 형성되고, 케이스(20)의 외주면에 연장플레이트(35)가 한쌍의 걸림돌기(35a)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 1 인출부(32)의 중앙에 지지리브(36)가 형성된다.
연장플레이트(35)의 걸림돌기(35a)는 케이스(20)의 걸림돌기(25)에 서로 대응되도록 걸림유지되어 케이스(20)와 커버(30)가 폴드(28)를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퓨즈(F)의 캡(C)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링소켓(ring socket: 41)(46)에 각각 끼워져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은 링소켓(41)(46)의 한쪽에 연결플레이트(42)(47)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링소켓(41)(46)은 케이스(20)의 클립(21a)에 각각 끼워지며, 링소켓(41)(46)의 상부는 커버(30)의 누름편(31a)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연결플레이트(42)(47)는 케이스(20)의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에 각각 장착된다.
한편, 제 1 리셉터클 터미널(40)은 연결플레이트(42)의 끝부분에 탭 터미널(tap terminal: 43)이 형성되고, 탭 터미널(43)은 전장품(P)들의 도시하지 않은 터미널에 직접 끼워져 접속된다.
그리고,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5)의 끝부분에 케이블(50)의 와이어(wire: 51)가 권선에 의해 접속되는 권선홈(48)이 형성되며, 이 케이블(50)의 한쪽에 터미널 하우징(52)이 장착되고, 터미널 하우징(52)은 전장품(P)들의 터미널(T)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에 대한 조립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링소켓(41)(46)에 퓨즈(F)의 캡(C)을 끼워 접속시키고,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링소켓(41)(46)을 케이스(20)의 클립(21a)에 끼워 장착시킨다.
이때,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연결플레이트(42)(47)는 케이스(20)의 지지돌기(26)들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고,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5)의 권선홈(48)에 케이블(50)의 와이어(51)를 권선시킨다.
이와 같이 케이스(20)의 안착부(21)에 퓨즈(F)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케이스(20)와 커버(30)를 폴드(28)를 중심으로 접으면서 케이스(20)의 걸림돌기(26)들과 커버(30)의 걸림돌기(35a)들을 서로 대응되게 걸림유지시키게 되면, 케이스(20)는 커버(30)에 의해 닫혀지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20)가 커버(30)에 의해 닫혀지면서 커버(30)의 누름편(31a)이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링소켓(41)(46)을 눌러주게 되어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접속 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실드리브(24)가 실드홈(34)에 끼워져 틈새의 발생이 제거되어 스파크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퓨즈(F)의 사용이 보다 안전해져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한편, 케이스(20)의 제 1 인출부(22)(23)에 위치되는 제 1 리셉터클 터미널(40)의 탭 터미널(43)은 전장품(P)들의 터미널(T)에 직접 끼워 접속시키며, 이때 전장품(P)들의 터미널(T)은 케이스(20)의 가이드면(27)들에 의해 제 1 인출부(22)를 통하여 탭 터미널(43)과 용이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 1 리셉터클 터미널(40)의 탭 터미널(43)이 전장품(P)들의 터미널(T)에 직접 접속되므로, 퓨즈 홀더(H)의 유동이 방지되고, 조립 및 배선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구동실(Dr)의 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가능해지며,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원가가 크게 절감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50)의 터미널 하우징(52)을 전장품(P)들의 터미널(T)에 접속시키게 되면, 퓨즈(F)와 전장품(P)들간에 전기 회로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구성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퓨즈 홀더에 의하면, 퓨즈가 단순한 구조 및 구성으로 제작되는 퓨즈 홀더에 내장되어 스파크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 및 배선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구동실의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7)

  1. 과전류가 전기 회로에 흐르면 자동적으로 오프시키는 퓨즈를 전장품들과 접속시켜 설치하기 위한 전자렌지의 퓨즈 홀더로서,
    상기 퓨즈(F)가 내장되는 안착부(21)를 가지고, 상기 안착부(21)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가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한쌍의 걸림돌기(25)가 소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한쪽에 탄성변형이 유연하게 가능한 폴드(28)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는 퓨즈(F)를 보호하는 안착부(31)를 가지고, 상기 안착부(31)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인출부(32)(33)가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케이스(20)의 걸림돌기(25)에 서로 대응되도록 걸림유지되게 연장플레이트(35)가 한쌍의 걸림돌기(35a)를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30)와;
    상기 퓨즈(F)의 캡(C)이 각각 끼워져 접속되는 링소켓(41)(46)을 가지고, 상기 링소켓(41)(46)의 한쪽에 상기 케이스(20)의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에 위치되도록 연결플레이트(42)(47)가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퓨즈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와 커버(30)는 그 안착부(21)(3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32)(33)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에 안착부(2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실드리브(24)가 형성되고, 상기 실드리브(24)는 상기 커버(30)의 안착부(3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32)(33)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실드홈(34)에 서로 대등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4. 제 1 항 또는 제 2 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안착부(21)와 제 1 및 제 2 인출부(22)(23)의 모서리에 상기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0)(45)의 연결플레이트(42)(47)가 지지되도록 다수의 지지돌기(26)들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5. 제 1 항 또는 제 2 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제 1 인출부(22)의 끝부분에 상기 전장품(P)들의 터미널(T)이 가이드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가이드면(27)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셉터클 터미널(40)은 연결플레이트(42)의 끝부분에 상기 전장품(P)들의 터미널(T)이 끼워져 접속되는 탭 터미널(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셉터클 터미널(45)은 연결플레이트(47)의 끝부분에 케이블(50)의 와이어(51)가 권선되도록 권선홈(4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KR2019960063520U 1996-12-30 1996-12-30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KR200148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520U KR200148470Y1 (ko) 1996-12-30 1996-12-30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520U KR200148470Y1 (ko) 1996-12-30 1996-12-30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349U KR19980050349U (ko) 1998-10-07
KR200148470Y1 true KR200148470Y1 (ko) 1999-06-15

Family

ID=1948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520U KR200148470Y1 (ko) 1996-12-30 1996-12-30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4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349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5555A (en) Terminal housing for an electrical resistance heater
US3229026A (en) Grommet and canister construction
US4516054A (en) Lamp protection arrangement
US10938126B2 (en) Wire connector
KR200148470Y1 (ko) 전자렌지용 퓨즈 홀더
CA1116665A (en) Fuse clip for a cartridge fuseholder
KR101698569B1 (ko) 삽입형 발열 식별기 커넥터
KR102596895B1 (ko) 열 차단 장치
US11387597B2 (en) Connector device
KR100603205B1 (ko) 직류용 전자렌지의 전원 컨넥터
US5584729A (en) Electrical outlet adapter
KR100200235B1 (ko) 퓨즈용 리셉터클 터미널
TWM617776U (zh) 繼電器
KR19980030349U (ko) 퓨즈용 리셉터클 터미널
KR100224443B1 (ko) 온도 스위치의 단자 접속 구조
JP4308636B2 (ja) 特に電気的な動作手段用の接続装置
CN213522389U (zh) 电加热器以及具有其的电器
KR19980050393U (ko) 전자렌지의 퓨즈 접속구조
KR10111569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172711Y1 (ko) 감전방지구조를 갖춘 전자렌지용 온도스위치
KR200215283Y1 (ko) 전자렌지의 부품과 와이어 접속구조
CN112312596A (zh) 电加热器以及具有其的电器
KR19980074670A (ko) 단자접속구조
KR200264921Y1 (ko) 옥내 전용 고휘도 방전 램프의 안정기
KR0139296Y1 (ko) 전자 렌지의 고압 트랜스 보호용 퓨즈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