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563Y1 -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 Google Patents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563Y1
KR200147563Y1 KR2019960045607U KR19960045607U KR200147563Y1 KR 200147563 Y1 KR200147563 Y1 KR 200147563Y1 KR 2019960045607 U KR2019960045607 U KR 2019960045607U KR 19960045607 U KR19960045607 U KR 19960045607U KR 200147563 Y1 KR200147563 Y1 KR 200147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profile
insert
pan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721U (ko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원윤희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윤희, 주식회사 센추리 filed Critical 원윤희
Priority to KR2019960045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5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에 관한 것으로, 이 실링부재는 공조기를 형성하는 패널과 프로파일의 모서리측 접합부분에 삽지되어 공기의 누설 및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실링부재의 프로파일의 접합부 단부에 장착될 시에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파일 및 패널에 밀착하여 접촉하도록 단면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와 일체로 하단부에 형성된 단면이 ⊂자 형상의 삽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지부에는 상기 삽지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틸재인 견고한 인서트철심이 삽입되어 상기 삽지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도록 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삽지부가 접합부에 압지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의 재질을 EPDM(Ethylene Propylen Dien Monomer; 이하 EPDM이라 한다) 러버스폰지를 사용하여 상기 패널과의 밀착성을 좋게 하여 확실한 밀봉 및 누설방지의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본 고안은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기를 형성하는 패널과 프로파일의 접합부에 삽지되어 공기의 누설 및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A seal for preventing leakage of air handling unit)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에는 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실내 공기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실내에는 각종 먼지 또는 미립자등이 잔존하기 때문에, 항상 실내의 공기가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실내의 소정위치에 공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공조기는 공장 등의 대형 건물의 실내에 적용될 때에는 크기면에서 대형으로 제작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표준형으로서,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개의 에어필터가 내장된 혼합박스(1)가 전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냉.온수 코일 및 증기코일과 가습기가 내장된 코일박스(2)가 중앙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송풍기(3)가 내장된 송풍기박스(4)가 후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박스(1)의 전면에는 흡입그릴(5)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박스(4)의 상단면에는 상기 송풍기(3)와 일체로 토출구(6)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송풍기(3)를 구동하기 위한 블로우모터(7)가 송풍기박스(4)의 상단부에 장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조기는 상기 흡입그릴(5)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혼합박스(1)에 내장된 다단계의 에어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게 되고, 이 여과된 공기는 코일박스(2)를 통과하면서 각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코일을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되게 되고, 실내의 습도에 따라 봉 형상의 가습기를 구동시켜 상기 냉기 또는 온기와 혼합되어 송풍기(3)를 통해 토출구(6)로 실내에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공조기는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의 각 패널(10)의 상호 장착되는 각 모서리에 폐단면 구조로 형성된 프로파일(20)의 적용하되, 이 프로파일(20)의 하단부 일측 모서리에는 ㄱ 자 형상의 연장부(24)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이 연장부(24)의 외측으로 판상의 패널(10)이 각각 안착되어 리벳(26)으로 고정됨으로써 공조기 케이싱이 조립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패널(10)과 프로파일(20)의 모서리측 접합부(22)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의해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조기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공조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됨에 의해 공조기의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널(10)과 프로파일(20)의 접합부(22)에 러버스폰지(Rubber Sponge) 재질인 판상의 실링부재(30)를 형성하고, 이 판상의 실링부재(30)를 상기 각 접합부(22)에 삽입한 후, 여기에 상기 접합부(22) 및 실링부재(30)를 관통하도록 리벳(26)으로 리벳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소정 형상의 보온재(42)가 프로파일(20)의 연장부(24)의 모서리측 내측벽에 삽입되어 공조기의 내.외부 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실링부재(30)는 그 재질상 신축성이 떨어지므로 실링부재(30)와 각 접합부(22) 사이에서 다시 틈새가 발생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며, 상기 실링부재(30)의 형상에 있어서도 신축성이 떨어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므로, 실제로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 및 밀착성이 좋지 못하여 공기누설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게 되며, 보온재(42)를 지지하는 별도의 부재가 없어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서 아래로 처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링부재의 신축성을 높일 수 있도록 EPDM(Ethylene Propylen Dien Monomer; 이하 EPDM이라 한다) 러버스폰지를 적용하고, 상기 각 패널과 프로파일의 모서리측 접합부 사이에서 완전하게 밀봉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보온재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조기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각 패널과 프로파일의 모서리측 접합부에 삽지되어 공기의 누설 및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밀봉하는 실링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실링부재가 프로파일의 접합부 단부에 장착될 시에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파일 및 패널에 밀착하여 접촉하도록 단면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와 일체로 하단부에 형성된 단면이 ⊂자 형상의 삽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지부에는 상기 삽지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틸재인 견고한 인서트철심이 삽입되어 상기 삽지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도록 하며, 소정 형상의 보온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의 단부가 상향.절곡된 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재질을 EPDM 러버스폰지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프로파일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링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링부재가 장착된 프로파일에 패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패널 20 : 프로파일
22 : 접합부 24 : 연장부
26 : 리벳 30,30a : 실링부재
32 : 압착부 34 : 중공부
36 : 삽지부 38 : 인서트철심
40 : 안착부 42 : 보온재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공조기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패널(10)과 프로파일(20)의 모서리측 접합부(22)에 삽지되어 공기의 누설 및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밀봉하는 실링부재(30a)를 형성하되, 상기 실링부재(30a)가 프로파일(20)의 접합부(22) 단부에 장착될 시에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파일(20) 및 패널(10)에 밀착하여 접촉하도록 단면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압착부(32)와, 상기 압착부(32)와 일체로 하단부에 형성된 단면이 ⊂자 형상의 삽지부(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지부(36)에는 상기 삽지부(36)와 동일한 형상의 스틸재인 견고한 인서트철심(38)이 삽입되어 상기 삽지부(36)의 형상성을 좋게 하고, 보온재(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36)의 단부가 상향.절곡된 안착부(40)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30a)의 재질은 신축성이 좋은 EPDM 러버스폰지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각 패널(10)과 프로파일(20)과의 모서리측 접합부(22)에 상기 실링부재(30a)를 적용하되, 상기 프로파일(20)의 접합부(22) 단부에 실링부재(30a)의 삽지부(36)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인서트철심(38)의 압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4와 같이, 상기 프로파일(20)의 상.측면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4)에 패널(10)을 안착시켜 상기 패널(10)과 프로파일(20)의 연장부(24)을 관통하여 리벳(26)으로 리벳팅하게 되면, 상기 프로파일(20)과 패널(10) 사이에 위치한 신축성이 뛰어난 실링부재(30a)의 압착부(32)가 압착되면서 밀착되게 되고, 이로 인해 틈새가 완전하게 밀봉되게 되므로 공조기의 케이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되고,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케이싱 내부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20)의 연장부(24) 내측벽에 삽입.고정된 보온재(42)는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되면서 지지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는 간편하게 장착이 가능하며, 실링부재의 자체 신축성에 의해 상기 패널 및 프로파일과의 모서리측 접합부 사이에서 완전하게 밀봉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조기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각 패널(10) 및 프로파일(20)간의 모서리측 접합부(22) 사이에 장착되는 러버스폰지 재질인 판상의 실링부재(30)에 있어서, EPDM 러버스폰지 재질인 실링부재(30a)는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부 및 프로파일(20)의 접합부(22)에 상호 밀착하여 접촉하도록 단면이 내부에 중공부(34)가 형성된 링 형상의 압착부(32)와, 상기 압착부(32)와 일체로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파일(20)의 접합부(22) 단부에 삽입되는 단면이 ⊂자 형상인 삽지부(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지부(36)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삽지부(36)와 동일한 형상의 스틸재인 인서트철심(38)이 삽지부(36)에 삽입되고, 소정형상의 보온재(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36)의 단부가 상향.절곡된 안착부(40)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프로파일(20)에 패널(10)이 안착되면서 상기 실링부재(30a)의 압착부(32)가 압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KR2019960045607U 1996-12-04 1996-12-04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KR200147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607U KR200147563Y1 (ko) 1996-12-04 1996-12-04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607U KR200147563Y1 (ko) 1996-12-04 1996-12-04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721U KR19980032721U (ko) 1998-09-05
KR200147563Y1 true KR200147563Y1 (ko) 1999-06-15

Family

ID=1947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607U KR200147563Y1 (ko) 1996-12-04 1996-12-04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5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09B1 (ko) * 2016-02-04 2018-07-18 서울산업기술주식회사 정압탭이 구비된 풍량 측정용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09B1 (ko) * 2016-02-04 2018-07-18 서울산업기술주식회사 정압탭이 구비된 풍량 측정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721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719B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TW425469B (en) Ceiling imbedded type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H10246470A (ja)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327786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147563Y1 (ko) 공조기의 공기누설방지용 실링부재
CN112888903A (zh) 空调室内机的组装结构
RU22329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воздуха с радиатором
KR100804424B1 (ko) 공기조화장치
CN216131983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147562Y1 (ko) 공조기 프로파일의 결로방지용 보온재 장착구조
KR101064556B1 (ko) 이종 케이싱 조립용 프레임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
CN211876227U (zh) 一种外置窗式室内新风净化器
JP2571306Y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560787B1 (ko) 환기 유니트의 열교환 소자용 고정장치
CN209944696U (zh) 风道部件和具有其的新风机
KR101127006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 환기장치
KR200164649Y1 (ko) 공조기 케이싱의 조립구조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270932Y1 (ko) 누설방지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가스켓 구조
KR100579558B1 (ko)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9990035831U (ko) 공기조화기의 방음 겸 누수방지 베이스 팬
JP2004138315A (ja) 空気調和機
KR200206879Y1 (ko) 실링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상부 커버 구조
JPS6240248Y2 (ko)
KR200154611Y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