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598Y1 -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598Y1
KR200145598Y1 KR2019950010876U KR19950010876U KR200145598Y1 KR 200145598 Y1 KR200145598 Y1 KR 200145598Y1 KR 2019950010876 U KR2019950010876 U KR 2019950010876U KR 19950010876 U KR19950010876 U KR 19950010876U KR 200145598 Y1 KR200145598 Y1 KR 200145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ower
folded
power transmission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825U (ko
Inventor
정원영
Original Assignee
정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영 filed Critical 정원영
Priority to KR2019950010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598Y1/ko
Publication of KR960037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풍력(風力)을 이용한 가변식 풀차의 동력전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풍력(風力)을 이용하여 전력 생산방법으로는 여러 가지로 화력, 수력, 원자력, 조력 등을 이용한 대규모 발전과 풍력과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소규모 발전이 있다.
본 고안은 특히, 기류(氣流)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두쪽이 한 개조를 이루는 회측개폐용 날개를 절첩 가능한 상태로 설치 하므로써 기류의 풀력을 받아 들일 때에는 외측개폐용 날개가 전개되어 내측 고정용 날개방향으로 공기의 면적을 최대로 하여 회전축을 회전 시켜서 전달된 동력은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로 원활히 전달 되도록 하고, 기류의 풍력을 받아 들이지 않을 때에는 외측개폐용 날개가 절첩식으로 접혀져서 공기의 마찰 저항을 줄이도록 한 풍력(風力)을 이용한 가변식 풀차의 동력 전달 결합구조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풍력(風力)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요부인 풍익의 작동상태를 요약 표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가동풍익 장착부의 확대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동축 2 : 횡 간
3 : 커버판 4 : 지지간
5 : 고정풍익 6 : 풍압실
7 : 축공 8 : 축공편
9 : 제동구 10 : 가동풍익
11 : 보조지지간 12 : 주동기어
13 : 연동기어
본 고안은 풍력을 이용하는 고성능적 회동력을 얻음에 있어 두 개의 풍익을 일방향으로 절첩되게 구성시켜서 비교적 소형태의 풍차로써 강력한 회동력을 얻는데에 목적이 있다.
원래 풍력은 기류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무공해적 에너지 자원인 동시에 장소에 따라 또는 기상조건에 따라 변성이 심한 류체에너지이므로 동일한 공간에서도 풍압을 받는 구조물에 따라 그 응용적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류체에너지 지원의 이용방식으로 본인 고안의 공고번호 제 89-622호를 개발하였으나 이는 그 설치장소가 극한 되었기에 본 고안에서는 풍력을 이용하여 빌딩옥상이나 도서지방 또는 산상등 어느곳에서도 풍력을 효율성 높게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문명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풍력을 이용한 동력 결합장치이다.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회전주축(1)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방사상으로 횡간(2)을 다수개 배설하고, 그 상하부에 원형의 커버간(3)을 고설하며 횡간(2)에는 지지간(4)을 입설하고 각 지지간(4)측으로부터 내측이 낚시모양으로 만곡진 고정풍익(5)을 배설하여 풍압실(6)을 구축하고 지지간(2)외에는 선단부에 축공(7)을 가진 축공편(8)을 고설한 다음 고정풍익(5)보다 소형이며 한 모서리에 축핀(9)을 갖인 반호형의 가동풍익(10)을 축공(7)에 관삽시켜서 가동풍익(10)이 개폐작동되게 하여서된 구조로써, 도면중 11은 보조지지간이고 12은 구동기어이며 13은 연동기어를 표시한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주동축(1)을 중심으로 하여 원곡형의 고정풍익(5)이 각 횡간(2)간에 방사형으로 배립되어 각 풍익(5)내측으로 일종의 풍압실(6)을 구축하게 되므로 받었던 풍압이 압축작용을 하게 되는 동시에 그 선단부에서 절첩되는 가동풍익(10)이 주동축(1)의 일방측에서 길게 퍼지면서 풍입을 공조적으로 받게 되며 이 가동풍익(10)이 반대방향에 이르게 될 때는 풍압실(6)을 원만형으로 폐봉시키게 되므로 본 회동체는 보다 강력한 회동에너지를 전달되게 한다.
이와같은 구성이므로 비교적 적은 물체로 구축된 풍차을 효율적으로 결합시켜서 회동력을 얻게 되는 산업적 고안이다.

Claims (1)

  1. 주동축(1)을 중심체로 하여 만곡형 고정풍익(5)을 방사형으로 횡간(2)과 지지간(4)간에 배착시켜서 풍압실(6)을 구축하고 상하의 축공편(8)간에 보다적은 반호형의 가동풍익(10)의 축핀(9)을 관삽할 것을 지지간(4)으로 받쳐서 가동풍익(10)을 전방측에 한하여 절첩되게 하는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장치.
KR2019950010876U 1995-05-22 1995-05-22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KR200145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876U KR200145598Y1 (ko) 1995-05-22 1995-05-22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876U KR200145598Y1 (ko) 1995-05-22 1995-05-22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25U KR960037825U (ko) 1996-12-18
KR200145598Y1 true KR200145598Y1 (ko) 1999-06-15

Family

ID=1941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876U KR200145598Y1 (ko) 1995-05-22 1995-05-22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5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948B1 (ko) 2005-01-19 2006-09-07 유병수 풍력 발전기
KR20150145868A (ko) * 2014-06-19 2015-12-31 김다원 풍량조절 방향키를 갖는 터보팬 및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956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엔지테크놀러지 사보니우스 날개 및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의동력전달구조
KR101040450B1 (ko) * 2009-08-12 2011-06-09 조영철 교량구조물을 이용한 발전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948B1 (ko) 2005-01-19 2006-09-07 유병수 풍력 발전기
KR20150145868A (ko) * 2014-06-19 2015-12-31 김다원 풍량조절 방향키를 갖는 터보팬 및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장치
KR101642567B1 (ko) 2014-06-19 2016-07-25 김다원 풍량조절 방향키를 갖는 터보팬 및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25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034B2 (en) Wind turbine assembly
US5463257A (en) Wind power machine
US5577882A (en) Unidirectional reaction turbine operable under reversible fluid flow
KR20090064731A (ko) 풍력발전기용 풍차
KR100966523B1 (ko) 가변형 날개를 구비하는 풍력발전기용 풍차
KR100976382B1 (ko) 쌍엽 풍력 발전장치
RU2562351C1 (ru) Гидроэлектрическ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без обустройства плотины
WO2009091782A1 (en) Check valve turbine
US20040057829A1 (en) High efficiency vertical axis windmill
KR200145598Y1 (ko) 풍력을 이용한 가변식 풍차의 동력전달 장치
EP1310671A4 (en) COMBINED WIND TURBINE
RU2714584C1 (ru) Гелиоветр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EP2446141B1 (en) Wind turbine
KR20100004299U (ko) 발전기 구동용 회전장치
KR102142243B1 (ko) 돛 장치
KR20130024612A (ko) 풍력 발전기용 가변형 블레이드
JP4157913B2 (ja) 軸沿回転翼風車
CN107859593A (zh) 耦合型垂直轴风力发电机及其发电方法
KR20070077653A (ko) 수직형 풍력 발전 장치
KR102098961B1 (ko) 블레이드 가변형 풍력발전장치
CN207526636U (zh) 耦合型垂直轴风力发电机
CN112196729A (zh) 一种风力发电机的风叶结构及其风力发电机
KR20020005538A (ko) 비행기 날개형상 댐퍼부착 반타원관형 수직축 풍력회전날개
RU2182255C2 (ru) Составной ротор типа савониуса
CN212079514U (zh) 一种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