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234Y1 - Disk tray assembly - Google Patents

Disk tra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234Y1
KR200145234Y1 KR2019960042565U KR19960042565U KR200145234Y1 KR 200145234 Y1 KR200145234 Y1 KR 200145234Y1 KR 2019960042565 U KR2019960042565 U KR 2019960042565U KR 19960042565 U KR19960042565 U KR 19960042565U KR 200145234 Y1 KR200145234 Y1 KR 200145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holders
holder
disk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5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9502U (en
Inventor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42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234Y1/en
Publication of KR19980029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50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234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디스크플레이어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도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Disc tray assemblies are disclosed which allow a disc to be mounted even when the disc player is arranged vertically.

이 디스크트레이 조립체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하우징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디스크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디스크수용부를 갖는 트레이본체와; 자유단부가 디스크수용부로 돌출되는 제1위치와 디스크수용부로부터 벗어나는 제2위치 사이에서 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홀더와; 홀더들이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단부에 위치결정돌기를 가지며, 홀더 각각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부와; 홀더의 디스크수용부쪽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와; 트레이본체의 디스크수용부 주변에 형성되어 홀더의 회동축이 결합되는 힌지공과; 트레이본체에 형성되어 홀더가 제1위치 및 제2위치 각각에 고정되도록 위치결정돌기를 잡아주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 tray assembly includes: a tray main body having a disc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allowed to enter and exit the housing of the disc player and is recessed to accommodate the disc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holders rotatably installed about a rotational axis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free end protrudes into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away from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A tension portion having a positioning protrusion at an end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fix the holder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extending from each of the holder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holder of the disc receiving portion; A hinge hole formed around the disc receiving portion of the tray body to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holder is coupled; And first and second stoppers formed on the tray body to hol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so that the holders are fix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respectively.

Description

디스크트레이 조립체Disc tray assembly

본 고안은 디스크 플레이어의 하우징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도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 tray assembly which is capable of mounting a disc even when the housing of the disc player is arranged vertically.

일반적으로 디스크를 채용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디스크를 본체 내외로 운반하기 위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가 설치된다.In general, a disc player that employs a disc to record / reproduce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a disc tray assembly for carrying the disc in and out of the main bod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크트레이 조립체(1)는 디스크수용부(2a)를 갖춘 트레이본체(2)와, 이 트레이본체(2)의 디스크수용부(2a) 둘레에 힌지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홀더(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홀더(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유단부가 디스크수용부(2a) 측으로 돌출되는 제1위치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수용부(2a)로부터 벗어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각 홀더(3)는 일단이 트레이본체(2)에 지지되고 타단은 그 홀더(3)에 지지되는 토오션스프링(4)에 의해 상기 제1위치 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참조부호 3b는 디스크수용부(2a)에 수용되는 디스크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홀더(3)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이다. 참조부호 2c는 트레이본체(2)에 형성된 돌기수용부로서, 홀더(3)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3b)가 출입될 수 있도록 그 돌기수용부(2c)의 출입구부의 폭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돌기수용부(2c)에 홀더(3)의 가이드돌기(3b)가 수용되게 되면, 그 홀더(3)는 토오션스프링(4)의 탄력에 대항하며 제2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1 and 2, a conventional disc tray assembly 1 includes a tray main body 2 having a disc receiving part 2a and a hinge around the disc receiving part 2a of the tray main body 2a. It is provided with the some holder 3 joined by. As shown in Fig. 1, each of the holders 3 has a first position at which its free end protrudes toward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a, and a second portion deviating from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a as shown in Fig. 2. It can be rotated between locations. Each holder 3 is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first position by a torsion spring 4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tray body 2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holder 3. Reference numeral 3b denotes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3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disc accommodated in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2a. Reference numeral 2c denotes a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tray main body 2, and the width of the entrance and exit portion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c is elastic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3b can enter and exi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older 3. It can be deformed. When the guide protrusion 3b of the holder 3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accommodation portion 2c, the holder 3 can be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against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4.

이러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1)는 디스크(9)가 세워져서 운반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디스크수용부(2a)에 수용된 디스크(9)가 운반되는 도중에 그 디스크수용부(2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홀더들(3)을 제1위치에 두고 사용한다. 이와 같이 홀더들(3)이 제1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디스크(9)를 디스크수용부(2a)에 수용시키는 과정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홀더 중 도면의 하측에 위치된 홀더들과 상측에 위치된 홀더들에 부여된 참조부호를 서로 달리 하였다.This disc tray assembly 1, when the disc 9 is installed to stand upright, prevents the disc 9 contained in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a during transportation. As necessary, the holders 3 are u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disk 9 in the disk accommodating portion 2a in the state where the holders 3 are placed in the first posi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n FIG. 3 and FIG.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s given to holder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and holder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hold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9)를 상방으로부터 하측에 위치하는 홀더들(3x)과 디스크수용부(2a)의 바닥면 사이로 끼워넣고 그 디스크(9)를 통해 하측 홀더들(3x)의 가이드돌기들(3b)을 누른다. 이에 따라 하측 홀더들(3x)은 토오션스프링(4)을 탄력적으로 변형시키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 측으로 회전되고, 디스크(9)의 상측부위는 상측홀더들(3b)보다 도면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9)의 상측부위를 디스크수용부(2a)의 바닥면에 밀착시킨 후 디스크(9)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탄성 변형되어 있던 상기 토오션스프링들(4)에 의해 하측홀더들(3x)이 다시 제1위치측으로 회전되고, 디스크(9)는 상방으로 즉, 상측홀더들(3y)과 디스크수용부(2a)의 바닥면 사이로 진입되어 상,하측홀더들(3x)(3y)에 의해 디스크수용부(2a)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disk 9 is inserted between the holders 3x loc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k receiving portion 2a, and the lower holders 3x through the disk 9. Press the guide protrusions 3b. Accordingly, the lower holders 3x ar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side as shown in FIG. 4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torsion spring 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isk 9 is more than the upper holders 3b. It is located in the lower side.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k 9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k receiving portion 2a and then released from the disk 9, the lower holder is held by the torsion springs 4 which are elastically deformed. The fields 3x are rotated again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disk 9 enters upward, that is, between the upper holders 3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k receiving portion 2a, so that the upper and lower holders 3x ( By 3y), the detachment from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2a is prevented.

이처럼, 상술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홀더들(3)이 토오션스프링(4)에 의해 제1위치 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므로 디스크의 수용 및 이탈 방지를 위하여 홀더들(3)을 수작업에 의해 직접 회전시켜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described disc tray assembly, the holders 3 are elastically bias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torsion spring 4 so that the holders 3 are directly rotated by manual operation to prevent the disc from being accommodated and detached. The hassle that has to be done is eliminated.

한편, 디스크(9)가 수평으로 운반되는 형태의 경우에는, 디스크(9)가 운반되는 도중에 그 디스크(9)가 트레이본체(2)의 디스크수용부(2a)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으므로, 홀더들(3)을 각각 제2위치에 위치시켜 두고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disk 9 is transported horizontally, there is no fear that the disk 9 will be detached from the disk receiving portion 2a of the tray body 2 while the disk 9 is being transported. The fields 3 are respectively used in a second position.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각 홀더를 상기 디스크수용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으로써 토오션스프링(4)이 사용되므로, 조립공수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disc tray assembly, since the torsion spring 4 is used as an elastic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each holder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disc receiving portion s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work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또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1)를 디스크(9)가 수평으로 운반되는 형태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들(3)을 각각 상기 제2위치에 위치시켜 둔 상태에서 디스크수용부(2a)에 디스크(9)를 수용하게 되는데, 디스크(9)가 수직으로 운반되는 형태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되어 상술한 방식에 의해 디스크(9)를 수용하여야 하는 것을 감안하여 디스크수용부(2a)의 직경은 디스크(9)의 직경에 비해 상당히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수용된 디스크(9)가 그 직경방향으로 큰 폭으로 유동될 수 있어서, 디스크(9)의 운반 도중 디스크(9)의 위치가 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수용부(2a) 내에서의 디스크(9)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면, 그 디스크(9)가 디스크 플레이어 본체 내로 장착된 후 척킹시 바른 위치에 척킹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disc tray assembly 1 is applied to a disc player in which the disc 9 is horizontally transported, as described above,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with the holders 3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s, respectively. The disc 9 is accommodated in the 2a, and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a is applied to a disc player in which the disc 9 is vertically transported to accommodate the disc 9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Since the diameter of the inevitably must be formed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k 9, the accommodated disk 9 can flow largely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isk 9 during the transport of the disk 9 Becomes wrong. If the position of the disc 9 in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a is misaligned as described above, the disc 9 may not be chucked to the correct position upon chucking after being mounted into the disc player body.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홀더들을 탄성바이어스시키는 부재들을 홀더와 일체화하므로써 그 구조가 콤팩트하고, 수용된 디스크가 유동되지 않도록 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oin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c tray assembly in which the structure is compact by integrating members with elastic biasing holders and the housed disks do not flow. have.

도 1은 종래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nventional disc tray assembly.

도 2는 도1의 홀더가 디스크수용부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of FIG. 1 is removed from the disk receiving portion. FIG.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에 디스크를 수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은 하측 홀더들이 회전되기 전의 상태, 도 4는 하측 홀더들이 약간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disk in the disc tray assembly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before the lower holder is rotated,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holder is rotated slightly.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트레이 조립체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Figure 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disk tr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Figure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disk tray assembly shown in FIG.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들이 제2위치에 위치하여 그 선단부가 디스크수용부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Figure 7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holder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ront end is separated from the disk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디스크트레이 조립체20...트레이본체20.Tray tray assembly 20 ... Tray body

21...디스크 수용부22...제1스토퍼21 ... disk housing 22 ... first stopper

23...제2스토퍼25...힌지공23 ... 2nd stopper 25 ... hinge

30...디스크고정수단31...홀더30 ... disc fixing means 31 ... holder

32...텐션부32a...위치결정돌기32 Tension section 32a Positioning projection

33...가이드돌기34...돌기부33.Guide projection 34 ... Protrusion

35...회동축35.Rotating shaf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스크 플레이어의 하우징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디스크가 수용되도록 디스크수용부를 갖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디스크수용부에 수용된 디스크를 고정하는 디스크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고정수단은 그 자유단부가 상기 디스크수용부로 돌출되는 제1위치와 디스크수용부로부터 벗어나는 제2위치 사이에서 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홀더와; 상기 홀더들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단부에 위치결정돌기를 가지며, 상기 홀더 각각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부와; 상기 홀더의 상기 디스크수용부쪽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기 디스크수용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의 회동축이 결합되는 힌지공과; 상기 트레이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위치결정돌기를 잡아주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 주변의 상기 트레이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위치결정돌기를 잡아주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tray main body having a disk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disk is accommodated in and out of the housing of the disc player and the upper surface; And disk fixing means hinged to the tray body to fix the disk accommodated in the disk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disk fixing means comprises: a first position at which a free end thereof protrudes into the disk receiving portion; A plurality of holders rotatably installed about a rotational axis between the second positions deviating from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A tension portion having a positioning protrusion at an end portion thereof to selectively fix the holders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each of the holder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holder in the disk receiving portion; A hinge hole formed around the disc receiving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coupled with a rotation shaft of the holder; A first stopper formed in the tray main body to hold the positioning projection to fix the holder to the first position; And a second stopper formed on the tray body around the first stopper to hold the positioning protrusion to fix the holder to the second posi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disc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홀더가 디스크 수용부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isc tr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 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shown in FIG. 5 is removed from the disc receiving por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크트레이 조립체(10)는 디스크(90)가 수평으로 운반되는 형태의 디스크 플레이어 뿐만 아니라 디스크(90)가 세워진 상태로 운반되는 형성태의 소위 버티컬(vertical)형 디스크 플레이어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디스크(90)를 수용하는 디스크수용부(21)를 가지는 트레이본체(20)와, 상기 트레이본체(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디스크수용부(21)에 수용된 디스크(90)를 고정하는 디스크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고정수단(30)은 상기 디스크수용부(21) 주변의 트레이본체(20) 상에 그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홀더(31)와, 이 홀더(31)에서 연장된 텐션부(32)와, 상기 홀더(31)의 상기 디스크수용부(21)쪽 단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34)와, 상기 트레이본체(20)에 형성된 힌지공(25), 제1 및 제2스토퍼(22)(23)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축(35)이 상기 힌지공(25)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홀더(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수용부(21)쪽으로 돌출되는 위치(이하 제1위치라 칭함)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수용부(21)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이하 제2위치라 칭함)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축(35)이 상기 힌지공(25)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탄성편들(35a)이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회동축(35)이 상기 힌지공(25)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걸림턱(25a)이 상기 트레이본체(20)의 저면에 걸려서 상기 홀더(31)가 트레이본체(20)로부터 이탈 되지 않도록 한다.5 and 6, the disc tray assembly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only a disc player in which the disc 90 is horizontally transported, but also a so-called vertical in a form in which the disc 90 is carried upright. Applicable to the) disc player, the tray main body 20 having a disc receiving portion 21 for accommodating the disc 90 and hinged to the tray main body 20 accommodated in the disc receiving portion 21 And disk fixing means 30 for fixing the disk 90. The disk fixing means 30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31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rotation shaft 35 on the tray body 20 around the disk receiving portion 21, and the holders 31. A tension portion 32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a projection portion 34 protruding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holder 31, and a hinge hole 25 formed in the tray body 20, First and second stoppers 22 and 23 are included. As the pivot shaft 35 is fitted into the hinge hole 25, the holder 31 is projected toward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7, it may be rotated between positions away from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osition). Here, referring to FIG. 6,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ivot shaft 35 to the hinge hole 25, the elastic pieces 35a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pivot shaft 35 is connected to the hinge hole 25. When fully inserted, the locking jaw 25a is cau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20 so that the holder 31 is not separated from the tray body 20.

상기 텐션부(32)는 상기 홀더(31)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홀더들(31)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단부에 위치결정돌기(32a)를 갖는다. 상기 제1스토퍼(22)는 상기 트레이본체(20)에 내부에 오목홈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홀더(31)가 제1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위치결정돌기(32a)를 잡아준다. 반면, 상기 제2스토퍼(23)는 상기 트레이본체(20)의 상기 제1스토퍼(22) 주변에 그 내부에 오목홈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홀더(31)가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위치결정돌기(32a)를 잡아준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22)(23)는 외력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돌기(32a)가 내부 오목홈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그 출입구의 폭은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tension part 3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 31 and has a positioning protrusion 32a at an end portion so that the holders 31 are selectively fixed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stopper 22 protrudes from the tray body 20 to have a concave groove therein to hold the positioning protrusion 32a so that the holder 31 is fixed at the first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topper 23 is protruded to have a concave groove in the periphery of the first stopper 22 of the tray main body 20 so that the holder 31 is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Hold the crystal projection (32a).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22 and 23 ar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width so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 32a can enter and exit the internal concave groove by an external force.

상기 텐션부(32)는 상기 홀더(31)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돌기(32a)가 상기 제1스토퍼(22)에 끼워진 경우, 상기 홀더(31)를 제1위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The tension portion 32 extends integrally with the holder 31, and the holder 31 is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first position when the positioning protrusion 32a is fitted to the first stopper 22. Let's do it.

상기 돌기부(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31)가 상기 제2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디스크수용부(21)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홀더(31)가 제2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수용부(21)에 수용된 디스크(90)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holder 31 is plac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protrusion part 34 protrudes into the disc accommodating part 21. In the state of being positioned, it is op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90 accommodated in the disk receiving portion 21.

또한, 상기 디스크고정수단(30)은 상기 홀더(31)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각 홀더(3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3)와, 상기 가이드돌기(33)에 대향되는 상기 트레이본체(20)에 형성된 가이드홈(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k fixing means 30 is a guide protrusion 33 formed on each holder 31 so a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holder 31, the tray body 20 opposite to the guide protrusion 33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24 formed i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트레이 조립체(10)를 디스크(90)가 세워진 채로 운반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수용부(21)에 수용된 디스크(90)가 운반되는 도중에 그 디스크수용부(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들(31)을 제1위치에 놓고 사용한다. 즉, 상기 위치결정돌기(32)가 상기 제1스토퍼(22)에 끼워지도록 홀더들(31)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디스크(90)를 끼우는 경우, 상기 디스크(90)의 외주가 상기 돌기부(34)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텐션부(32)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홀더(31)가 상기 회동축(35)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돌기(3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회동되어 디스크(90)의 삽입 공간이 확보된다. 이후, 디스크수용부(21)에 디스크(90)가 수용되면, 상기 텐션부(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기부(34)가 디스크(90)를 밀어주므로 디스크(90)가 디스크수용부(21) 내의 바른 위치에 놓이게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c tr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c tray assembly 10 is installed in a disc player to which the disc 90 is standing, the disc tray assembly 10 is detached from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21 while the disc 90 accommodated in the disc accommodation portion 21 is being transport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holders 31 are used in the first position. That is, the holders 31 are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 32 is fitted to the first stopper 22. As such, when the disk 90 is fitted in the installed state,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9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4, and the holder 31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the tension portion 32 is elastically deformed. The guide shaft 33 is rotated while being guided around the pivot shaft 35 to secure an insertion space of the disk 90. Thereafter, when the disc 90 is accommodated in the disc accommodating part 21, the protrusion 34 pushes the disc 9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part 32, so that the disc 90 is the disc accommodating part 21. In the right place.

한편, 트레이본체를 수평으로 사용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된 경우에는, 상기 홀더들(31)을 제2위치에 위치시킨다. 즉, 상기 위치결정돌기(32a)를 상기 제2스토퍼(23)에 끼운다. 이 경우, 상기 홀더들(31)의 간섭이 없으므로 상기 디스크수용부(21) 내부로의 상기 디스크(90)의 수용이 자유롭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34)는 상기 디스크수용부(21)에 수용된 디스크(90)의 외주면과 대향하므로, 트레이본체(20)의 이송 중 상기 디스크(90)의 직경방향으로의 유동을 잡아준다. 따라서, 디스크(9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운반되는 형태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되어 상술한 방식에 의해 디스크(90)를 수용하여야 하는 것을 감안하여, 디스크수용부(21)의 직경이 디스크의 직경에 비해 상당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돌기부들(34)에 의해 상기 디스크수용부(21) 내에서의 디스크 유동이 작아지게 되어, 이송중에 디스크는 바른 위치에 놓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employed in a disc player using the tray body horizontally, the holders 31 are placed in the second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ing protrusion 32a is fitted to the second stopper 23.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interference of the holders 31, the disc 90 is freely accommodated in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1. In this case, the protrusion 34 fac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 90 accommodated in the disc accommodating part 21, so that the protrusion 34 catches the flow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sc 90 during the transfer of the tray body 20. Accordingl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disc 90 is to be applied to a disc player having a vertically arranged state to accommodate the disc 90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diameter of the disc accommodating portion 21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disc. Although formed to be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the projections 34 make the disk flow in the disk receiving portion 21 small, so that the disk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during transport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트레이 조립체는, 디스크의 가압에 의해 휘게되는 텐션부를 홀더와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별도의 스프링이 불필요하므로 조립공수를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홀더의 디스크수용부쪽에 돌기부를 형성하므로써, 디스크 수용부의 직경이 디스크의 직경보다 큼에 의해 야기되는 디스크의 유동을 잡아 줄 수 있다.Disc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tension portion bent by the pressure of the disc integrally with the holder, since a separate spring is unnecessary, the assembly labor can be simplified. Further, by forming the projection on the disc receiving portion side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atch the flow of the disc caused by the diameter of the disc receiving por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

Claims (2)

디스크 플레이어의 하우징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디스크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디스크수용부를 갖는 트레이본체와;A tray main body which is provided to be accessible in and out of the housing of the disc player and has a disc accommodating portion recessed to accommodate the disc on its upper surface; 상기 트레이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디스크수용부에 수용된 디스크를 고정하는 디스크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디스크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A disc tray assembly comprising: a disc fixing means hinged to the tray body to fix a disc accommodated in the disc receiving portion. 상기 디스크고정수단은 그 자유단부가 상기 디스크수용부로 돌출되는 제1위치와 디스크수용부로부터 벗어나는 제2위치 사이에서 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홀더와;The disk fix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rotatably installed about the rotational axis between a first position of the free end of which protrudes into the disk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away from the disk receiving portion; 상기 홀더들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단부에 위치결정돌기를 가지며, 상기 홀더 각각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부와;A tension portion having a positioning protrusion at an end portion thereof to selectively fix the holders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each of the holder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s; 상기 홀더의 상기 디스크수용부쪽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와;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holder in the disk receiving portion;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기 디스크수용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의 회동축이 결합되는 힌지공과;A hinge hole formed around the disc receiving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coupled with a rotation shaft of the holder; 상기 트레이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위치결정돌기를 잡아주는 제1스토퍼와;A first stopper formed in the tray main body to hold the positioning projection to fix the holder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제1스토퍼 주변의 상기 트레이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위치결정돌기를 잡아주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트레이 조립체.And a second stopper formed on the tray body around the first stopper and hold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to fix the holder to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고정수단은 상기 홀더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향되는 상기 트레이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트레이 조립체.The disk fixing unit of claim 1, wherein the disk fixing unit comprises: guide protrusions formed on each of the holder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holder; And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tray body opposite to the guide protrusion.
KR2019960042565U 1996-11-27 1996-11-27 Disk tray assembly KR2001452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65U KR200145234Y1 (en) 1996-11-27 1996-11-27 Disk tray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65U KR200145234Y1 (en) 1996-11-27 1996-11-27 Disk tray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02U KR19980029502U (en) 1998-08-17
KR200145234Y1 true KR200145234Y1 (en) 1999-06-15

Family

ID=1947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565U KR200145234Y1 (en) 1996-11-27 1996-11-27 Disk tray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23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658B1 (en) * 2001-02-16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isk stopping apparatus for disk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02U (en)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5234Y1 (en) Disk tray assembly
JP2935473B2 (en) Disc cartridge and hub assembly
US7434239B2 (en) Disc player with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0224888B1 (en) Disktray assembly of diskplayer
US5315336A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KR100490437B1 (en) A loading apparatus for disk cartridge
KR100231319B1 (en) Magnetic recording reproducer
JPH1031856A (en) Disk holder
KR200142357Y1 (en) Disc tray for disc player
US6691941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KR200142352Y1 (en) Disc tray
US6867945B2 (en) Cassette loading device
KR0183829B1 (en) Disk tray assembly and disk player using it
JP3567715B2 (en) Cassette front lid lock release mechanism of cassette loading device
JP3414993B2 (en) Disk rotation mechanism
KR950006935Y1 (en) Compact disk case
US6279846B1 (en) Data tape cartridge with modified hub mounting arrangement
JP2903586B2 (en) Mechanism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of disc cartridges
KR100343680B1 (en) Device for securing recording medium for vertical drive
KR20020084887A (en) Chip carrier, and method of testing a chip using the chip carrier
KR100188964B1 (en) Disk tray assembly and player empolying it
KR200235972Y1 (en) Locking hook for sub chassis of disc player
KR900007500Y1 (en) Disk clamping apparatus
JP2626567B2 (en) Disk cartridge
KR960000769Y1 (en) Compact disk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