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519Y1 - Automatic announ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Automatic announ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19Y1
KR200142519Y1 KR2019960013485U KR19960013485U KR200142519Y1 KR 200142519 Y1 KR200142519 Y1 KR 200142519Y1 KR 2019960013485 U KR2019960013485 U KR 2019960013485U KR 19960013485 U KR19960013485 U KR 19960013485U KR 200142519 Y1 KR200142519 Y1 KR 200142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automatic notificatio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4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64438U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김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태 filed Critical 김석태
Priority to KR2019960013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19Y1/en
Publication of KR970064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43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19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04M11/04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센서에 의해 감지가 되면 자동 다이얼링에 의한 음성 통보가 되는 전자 통신 분야인 전화 자동 통보 장치로서 종래의 통보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전화국의 국선을 직접 연결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식에서 기인되는 장소나 설치 등의 한계로, 방범 및 노약자 장애자들이 비상 연락용으로 사용하기엔 불편한 기술적 과제를, 본 고안에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선 전화기의 장점인 휴대 장치의 이동성을 살려 별도의 착탈이 용이한 자동 통보 장치에 장착 휴대 장치의 수화기를 통해서 수신되는 호출음 등의 신호를 마이크에 의해 픽업, 검출하여 프로그래밍된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 제어 출력으로서 훅크 스위치를 제어하여 자동 통보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자동 다이얼링 및 음성 메시지를 휴대 장치의 송화기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함을 요지로 한, 본 고안은 방범 및 장애자의 비상 연락 통보와 통화 장치로 그 용도를 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lephon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which is an electronic communication field where voice notification by automatic dialing is detected when it is detected by a sensor. Conventional notification devices generally use direct connection of a telephone line of a telephone company, so it is caused by a fixed place or installation. 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which is inconvenient for security and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se for emergency contact,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by utilizing the mobility of a portable device, which is an advantage of a cordless phone. The microphone picks up and detects a signal such as a ringing tone received through the handset of the portable device, and controls the hook switch as an input control output to a programmed one-chip microcomputer, thereby automatically dialing and voice messages through the speaker of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To send to your handset As a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emergency communication notif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of security and handicapped people.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portable device of cordless telephone

제 1 도는 (a)는 본 고안 자동 통보 장치에 휴대장치를 장착시킨 측면도1 (a)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는 삐삐 호출시 마이크 대를 분리한 삽 탈식 마이크 대의 측면도(b) is a side view of the detachable microphone stand that removes the microphone stand when the pager is called.

제 2 도는 본 고안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the port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telephone

제 3 도는 본 고안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써3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the portable device of the wireless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는 긴급상황 발생시를 나타낸 흐름도(a) is a flow chart showing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는 휴대 장치가 분리된 자동 통보 장치의 동작 흐름도(b)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with the portable device separated;

(c)는 회부 전화로부터 확인 할때의 흐름도(c) is the flow chart when confirming from the call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휴대장치 2 : 훅트 스위치부1: portable device 2: hook switch

3 : 수화기 4 : 마이크3: handset 4: microphone

5 : 프리앰프 6 : 감지부5: preamplifier 6: detector

7 : 다이얼링부 8 ; 2중 톤 엔코더7: dialing portion 8; Dual tone encoder

9 : 전략 증폭기 10 : 스피커9: strategy amplifier 10: speaker

11 : 스위칭부 12 : 음성 합성기11 switch 12 voice synthesizer

13 : 송화기 14 : 콜 프로그레스 디코더(call progress decoder)13 talker 14 call progress decoder

15 : 원칩(one chip)마이크로 컴퓨터 16 : 자동 통보 장치15: one chip microcomputer 16: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17 : 휴대 장치 감지부 18 : 경보부17: portable device detection unit 18: alarm unit

19 : 리모콘 20 : 원격 수신기19: remote control 20: remote receiver

21 : 삐삐 호출 모드부 22 : 플러그 인 잭 스위치21: beep call mode section 22: plug-in jack switch

23 : 녹음 및 메모리부 24 : 마이크 대23: recording and memory 24: microphone stand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해 비상시 자동 통보를 하기위한 거승로 평상시는 일반 전화기로 사용하다가 비상시 별도의 착탈이 용이한 자동 통보 장치에 휴대 장치를 장착하여 휴대 장치의 송화기를 통해 다이얼링 및 음성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동 통보 장치에 이동성을 갖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 case of emergency through the portable device of the cordless phone. In general, it is used as a normal phone, but in case of emergency,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that is easily removable. It is related with the automatic notification apparatus by the portable apparatus of the wireless telephone which made it possible to transmit a message, and has mobility to an automatic notification apparatus.

종래의 통보 장치들은 무선 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본체에서 수신 처리하는 방식 또는 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통보 장치를 외부에서 원 터치에 의해 비상 통보케 하는 방식 또는 장애자들의 비상시 연락용으로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기능을 추가해서 임이의 키를 눌렀을 때 통보케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통보 장치가 고안되 있어 저마다 장 단점이 있으나 공통점은 전화국으로부터 국선을 직접 연결 사용하고 있는 점이다. 그 때문에 고정된 본체로부터 무선으로 또는 유선으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통보를 하는 일반적인 방식에서는 외부의 전자파 방해로 인한 오동작과 장소나 설치의 한계 또한 휴대장치에 다기능을 포함시키는데서 오는 부피와 사용상 보급등의 문제점등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가정용으로 근래 900MHZ의 고감도 통달 거리 1KM나 되는 고성능의 무선 전화기가 개발 보급되고 있고 또한 보급되어 있는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본 고안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Conventional notification devices receive a signal detected by the wireless sensor in the main body, or a notification device built in the phone to make an emergency notification by one touch from the outside, or for emergency contact of the handicapped. Various types of notification devices have been devised, such as adding a function to a mobile device to notify a user when a key is pressed, but each has its disadvantages. For this reason, in the general method of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a sensor wirelessly or wired from a fixed main body, a malfunction due to extern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 limitation of a place or an installation, and a volume of multifunction included in a portable device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high-performance cordless phone with a high sensitivity communication distance of 900MHZ of 1KM has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for home us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cordless telepho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a portable device of a telephone.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가정용 무선 전화기는 일반적으로는 국선이 연결되어 있는 고정 장치(도시 되있지 않음, 베이스 유니트)와 휴대 장치(핸드셋)로 되어 있고 고정 장치에서 휴대장치를 분리함으로써 훅크업 상태가 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장치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휴대 장치를 사용 무선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므로 분리된 휴대 장치를 비상시 별도의 착탈이 용이한 자동 통보 장치에 장착 외부 변화에 센서로부터 감지가 되면 휴대 장치의 송화기를 통해 미리 기억 되어 있는 비상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이 되고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음을 검출 분리하여 원칩 마이컴에 의해 훅크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음성 메시지를 자동으로 통보 할 수 있게 구성 되있다.Home cordless telephone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generally have a fixed device (not shown, base unit) and a portable device (handset) to which a trunk line is connected, and a hook-up state by separating the portable device from the fixed device. You are now able to make calls. Therefore,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wirelessly at a long distance through the fixed device. Therefore, the detached mobile device is mounted on a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in case of emergency. It dials the emergency phone number and detects and separates the ringing tone received from the receiver and controls the hook switch by one chip microcomputer to automatically notify the voice messag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 (a)는 자동 통보 장치(16)에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1)가 장착된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의 측면도를 보인 것으로 평상시는 고정 장치(도시되지 않았음)또는 자동 통보 장치에서 분리하여 쉽게 일반 전화기로 사용하며 방범 및 비상 연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 장치(1)를 착탈이 용이한 자동 통보 장치(16)에 장착 사용함으로써 호환성을 갖고 휴대 장치의 이동성에 의해 장소나 설치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FIG. 1 (a) show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a portable device of a wireless telephone equipped with the portable device 1 of a wireless telephone on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16, which is usually a fixed device (not shown). Alternatively, it can be easily used as a regular telephone by separating from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and used for security and emergency contact. The portable device 1 can be attached to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16 which can be easily detached and used for compatibility and mobility of the mobile device. We can use regardless of place and setting by this.

자동 통보 장치에는 근접 센서와 원거리 센서로 구성된 감지기(6)가 부착되어 있고 센서의 전환에 의해 부재시 방범용으로는 원거리 센서를 비상시 연락용으로는 근거리 센서에 의해 노약자 시각 장애자 들이 손이나 몸을 가까이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자동 통보 및 통화를 할 수 있으며 다이얼링아기 위한 키 보턴(7)과 멜로디와 싸이렌 음을 출력시키는 경보부(18), 필요시 외부로 출력을 내기 위한 스피커 잭 등으로 구성된 측면도(b)는 플러그 인 잭 스위치(22)에 의해 삽탈분리가 가능한 마이크 대(24)를 분리하여 삐삐호출을 하기 위해 자동 통보 장치에 장착된 휴대 장치의 측면도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is equipped with a detector (6) consisting of a proximity sensor and a remote sensor, and by switching the sensor, the remote sensor is used for security in the absence and the short-range sensor is used for emergency communication. Side view consisting of a key button (7) for dialing baby, an alarm unit (18) for outputting melody and sirens, and a speaker jack for outputting to the outside if necessary (b). )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device mounted on a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for making a beep call by detaching a microphone stand 24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y a plug-in jack switch 22.

제 2 도는 휴대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의 구성에 대한 동작을 보인 것으로 휴대 장치에 의한 통보는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무선 전화기의 고정 장치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동 통보를 하기 위해서는 훅크 스위치를 자동 제어 함으로써 통보가 이루어지며 휴대 장치의 송화기(13)를 통해 다이얼링이 가능한 것은 전화기의 키보턴은 2중 톤 신호방식의 2가지 주파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해당되는 신호 주파수로 바꿔주는 2중 톤 엔코더 IC(18)에 의해 이루어진다.2 show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the mobile device. The notification by the mobile device is performed by separating the supplied charging power from the fixed device of the wireless telephone. Notification is made and the dialing is possible through the handset 13 of the portable device, since the telephone button of the telephone is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the two frequencies of the dual tone signaling method. By the IC 18.

따라서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15)내부의 메모리에는 비상시 연락할 전화번호를 다이얼링부의 키보턴으로부터 입력 받아 기억되어 있고 감지부(6)로부터 감지되면 제어출력에 의해 훅크 스위치(2)를 제어, 발신 상태에서 4비트 2진 데이터로 순차 출력되어 다이얼링부(7)의 매트릭스를 거쳐 2중 톤 엔코더(8)에 의해 변조, 증폭된 후스피커(10)로 부터 휴대 장치(1)의 자동 통보 장치(16)의 마이크(4)를 통해 교환기로 부터 출력되는 호출음 통화중음 부재중음 등의 피호출자의 호출 응답 여부의 신호로 이를 검출 분리하여 제어 신호로 사용하기 위해 콜 프로 그레스 디코더(14)를 거쳐 프로그래밍된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이 되면 제어 출력은 검출 신호에 응답하기 의해 훅크 스위치(2)를 제어하고 또한 녹음 및 메모리부(23)의 입력에 따라 소정 제어에 의해 음성 신호를 기록영역에 저장하고 재생제어에 의해 기록된 음성을 재생 출력하는 음성기록 재생부로 구성된 음성 합성기(12)로 부터 메시지를 휴대 장치의 송화기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 자동 통보 장치(16)에서 삐삐 호출 설정 모드(21)의 설정 스위치가 플러그 인 잭 스위치(22)에 의해 삽 탈식 마이크 대(24)로부터 마이크(4)가 분리됨으로써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삐삐호출 모드가 설정이 되며 따라서 제1도(b)의 마이크 대(24)의 분리로 인해 삐삐 호출전용으로 자동 통보 장치의 기능이 전환 된다. 스위칭부(11)는 음성 합성기로 부터 출력될 때와 다이얼링 할때의 스피커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스위칭부로써 리셋트시는 다이얼링쪽으로 음성이 출력된 후 통보 쪽에 고정이 되므로 외부에서 전화로 확인시 현재의 상황을 알 수 있게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Therefore, the memory inside the one-chip microcomputer 15 receives and memorizes the telephone number to be contacted in case of emergency from the dial button of the dialing part, and when detected by the sensing part 6, the hook switch 2 is controll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output.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16 of portable device 1 from after-speaker 10 which is sequentially output as 4-bit binary data and modulated and amplified by dual tone encoder 8 via matrix of dialing section 7 One chip programmed through call progress decoder 14 to detect and isolate the call answering signal such as call tone, busy tone, missed tone, etc. When input to the microcomputer, the control output controls the hook switch 2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and also by predetermined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recording and memory section 23. The voice synthesizer 12, which stores a voice signal in the recording area and reproduces and outputs the voice recorded by the reproduction control, transmits the message through the handset of the portable device. In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16, the setting switch of the beep calling setting mode 21 is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microphone stand 24 by the plug-in jack switch 22, so that the beep calling mode is applied to the one-chip microcomputer. As a result, the function of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is switched to beep call only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microphone stand 24 of FIG. The switching unit 11 is a switching unit for driving the speaker when outputting from the voice synthesizer and when dialing, and when it is reset, it is fixed to the notification side after the voice is output to the dialing side. It has a feature configured to know the situation.

제 3도의 (a)(b)(c)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흐름도로써(A) (b) (c) of FIG. 3 is a flowch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녹음 및 메모리붐(23)의 입력에 의해 다이얼링부(7)로 타가입자의 전화번호와 음성 합성기(12)를 제어 메시지를 녹음 해놓은 상태에서First, while recording the control message of the other subscriber's telephone number and voice synthesizer 12 to the dialing unit 7 by recording and input of the memory boom 23.

제3도 (a)이 긴급 상황 발생시의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a) is a flow chart when an emergency occurs.

비상시 노약자로부터 인접해있는 곳에는 근접 센서에 의해 부재시 방범용으로는 원거리 센서에 의해(단계100)간지가 되면 훅크 스위치가 온(단계101)상태에서 휴대 장치의 장착(단계102)여부를 확인한 후 장착이 되었으면 다음 훅크 오프 상태(단계106)로 전환이 되며 스피커는 다이얼링 상태(단계107)에서 다음 다이얼링부(단계108)에서 정해진 조건에 맞으면 송출정지(단계 109) 안맞으면 다음으로 진행되면서 다이얼링 송출(단계110)을 거쳐 삐삐 호출 모드(단계111)가 설정되었으면 다음 과정은 끝난다. 그러나 삐삐 호출 모드 설정이 안되었으면 다음 단계인 전화 통보(단계112)로 가서 호출 여부에 따라 호출이 안되면 다음 순서 제어(단계113)에 의해 훅크 온 상태로 넘어간다. 그러나 통보가 될 경우에는 스피커 전환이 다이얼링 쪽에서 통보 쪽으로전환(단계114)이 되며 음성 합성기를 제어(단계115)하여 음성 메시지를 송출(단계116)하게 된다.In case of emergency by proximity sensor in the place where it is adjacent to elderly person in emergency, if it is separated by remote sensor (step 100) for crime prevention, check whether hook-up switch is on (step 101) and then install portable device (step 102). If it is installed, it is switched to the next hook-off state (step 106) and the speaker is sent out when the condition is met in the next dialing part (step 108) in the dialing state (step 107). If the beep calling mode (step 111) is set via (step 110), the next process is finished. However, if the beeping mode has not been set, go to the next step, call notification (step 112), and if the call is not mad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all is switched to the hook on state by the next step control (step 113). However, if notified, the speaker switch is switched from the dialing side to the notification side (step 114) and the voice synthesizer is controlled (step 115) to send a voice message (step 116).

제3도 (b)의 휴대장치가 분리된 자동 통보 장치의 흐름도에서In the flowchart of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of FIG.

휴대 장치가 장착이 안된 상태에서는 경보기로써 작동이 되는데 그 과정은 리셋트 에서 센서(단계100)에 의해 감지가 되면 훅크 온(단계101)상태로 들어가 휴대 장치의 장착을 확인(단계102)하여 장착이 안되었을 때는 다이얼링을 정지(단계103)하여 음성 통보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 경보 제어(단계104)를 통해 경보음 설정이 싸이렌 또는 멜로디에 따라 경보음 송출(단계105)이 되나 송출을 원치않을때에는 대기 상태가(단계121)된다.When the portable device is not mounted, it is operated as an alarm. When the process is detected by the sensor (step 100) at reset, it enters the hook on (step 101) state and confirms the mounting of the portable device (step 102). If this is not the case, dialing stops (step 103) to stop the operation of voice notification, and through alarm control (step 104), the alarm sound is set according to the siren or melody (step 105), but when it is not desired The wait state is reached (step 121).

제3도 (c)는 외부 전화로부터 확인할 때의 흐름도3 (c) is a flowchart when confirming from an external telephone

부재시 현재의 작동 상황이 어떤가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 메시지 송출 여부로 이루어지면 음성 합성기로부터 메시지가 송출이 되었을 경우는 스피커의 위치가 다이얼링 상태에서 통보 상태(단계114)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 오면 호출음을 신호로 해서 훅크 스위치를 제어(단계117) 메시지 제어(단계115)메시지 송출(단계116)이 되며 이때 송출 여부를 확인(단계119)하여 송출이 되고 있으면 비상(단계120) 송출이 안되면 이상 없음으로 (단계118)확인이 된다.It is to confirm externally how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is in absence. If the message is sent from the voice synthesizer, when the message is sent from the voice synthesizer, the speaker's position is notified in the dialing state (step 114). When a call comes in, the hook switch is used as a signal to control the hook switch (step 117) and message control (step 115) to send a message (step 116). If the transmission fail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error (step 11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 통보 장치에 휴대 장치르 장착 사용함으로서 이동성과 평상시에는 전화기로써의 호환성을 가지므로 방범 및 노약자의 비상시 연락용으로 사용하는데 보다 편리함을 이점으로 제공하는 되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convenient to use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crime prevention and the elderly in case of emergency because it is equipped with a mobile device in th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and has mobility and compatibility with the telephone in ordinary times.

Claims (2)

무선전화기의 휴대 장치(1)를 착탈이 용이한 별도의 자동 통보 장치(16)에 장착, 스피커(10)를 통해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과 음성 메시지를 휴대 장치의 송화기(13)로 송출하고 수화기(3)로 부터는 제어신호를 픽업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하여 훅크스위치(2)를 제어, 음성 통보가 되게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에 있어서 감지기(6)로 부터 입력이 되는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15)와 제어 출력에 의해 기억된 전화번호를 휴대 장치(1)의 송화기(13)를 통해 다이얼링하기 의한 2중 톤 엔코더(8)와 전력 증폭기(9) 음성 메시지를 송출시키기 의한 음성 합성기(12)와 녹음 메모리부(23)스피커 전환 스위칭부(11) 그리고 제어신호로서 휴대장치의 수화기(3)로부터 호출시 수신되는 호출음 등의 신호를 픽업하기 의한 마이크(4)와 프리 앰프(5) 그리고 이들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콜 프로그레스 디코더(14)와 분리된 출력을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시켜 훅크 스위치를 제어 하는 훅크 스위치부(2) 그리고 삐삐 호출 모드부(21)와 휴대 장치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7) 외부 스피커 단자(EXT)가 포함된 경보부(18)와 경보음 및 전원과 기능의 일시 정지를 제어하는 리모콘(19)과 원격 수신기(20)등으로 구성된 것을 프로그래밍된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게 한 특징을 갖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The portable device 1 of the radiotelephone is mounted on a separat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16 that is easily detachable, and the speaker 10 transmits the automatic dialing and voice message to the handset 13 of the portable devic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 Is a one-chip microcomputer that is input from the detector 6 in a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a portable device of a wireless telephone which controls a hook switch 2 by in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pick-up one-chip microcomputer. Voice synthesizer by sending a dual tone encoder 8 and a power amplifier 9 voice message by dialing the telephone number memorized by the control output 15 and the control unit 13 through the talker 13 of the portable device 1 12) and recording memory unit 23, speaker switching switching unit 11, and microphone 4 and preamplifier 5 for picking up a signal such as a ringing tone received when calling from handset 3 of the portable device as a control signal; That And the hook switch unit 2 for controlling the hook switch by inputting the call progress decoder 14 and the separated output for separating these signals into the one-chip microcomputer, and whether the beep call mode unit 21 and the portable device are installed. The sensing unit 17 that detects the alarm unit 18 including the external speaker terminal (EXT) and the remote control 19 and remote receiver 20 for controlling the alarm sound and the suspension of power and function are programmed. A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a portable device of a radiotelephone having a feature that is controlled by a one-chip microcomputer. 청구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도면 제 1 도(b)의 마이크(11)접속 스위치인 플러그 인 잭 스위치(22)가 부착된 마이크 대(24)를 분리시킴으로써 삐삐 호출 모드(21)가 설정되게 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의한 자동 통보 장치.The beep calling mode 21 is set in accordance with claim 1 by disconnecting the microphone stand 24 to which the plug-in jack switch 22, which is the microphone 11 connection switch in FIG. 1 (b), is attached.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by portable device of cordless telephone.
KR2019960013485U 1996-05-29 1996-05-29 Automatic announ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KR2001425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485U KR200142519Y1 (en) 1996-05-29 1996-05-29 Automatic announ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485U KR200142519Y1 (en) 1996-05-29 1996-05-29 Automatic announ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438U KR970064438U (en) 1997-12-11
KR200142519Y1 true KR200142519Y1 (en) 1999-06-01

Family

ID=1945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485U KR200142519Y1 (en) 1996-05-29 1996-05-29 Automatic announ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1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207A (en) * 2002-06-20 2003-12-31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recognition of a call for the dea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207A (en) * 2002-06-20 2003-12-31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recognition of a call for the dea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438U (en)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372B1 (en) Method of calling automatically in a cordless phone
KR200234152Y1 (en) Telephone System Having Remote Alarm/Interphone Function
KR200142519Y1 (en) Automatic announ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JPH0313040A (en) Cordless telephone set
JP3667087B2 (en) Control method of mobile phone terminal
JP3364262B2 (en) Wireless security automatic reporting system
JP2003283688A (en) Emergency monitor informing apparatus
JP2793684B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JP4010295B2 (en)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JP3954738B2 (en) Telephone having alarm function and time notification method of telephone
JPH11187152A (en) Emergency telephone set
KR19980033508A (en) Remote dialing method of the telephone and its apparatus
JPH0456505B2 (en)
KR100401698B1 (en) Silver system and method using telephone wire
JP4104738B2 (en) Intercom device
JP368220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KR100962112B1 (en) Wirwless-wirwline telephone emergency conditions alarm device and method
JPH09261308A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JPH0350951A (en) Interphone system
KR200183227Y1 (en) Telephone system for multi-ability protector
JPS59154855A (en) Loudspeaker telephone set of remote operation
JP3021819U (en) Wireless activated auto dial telephone
KR200234153Y1 (en) Telephone System Having Remote Interphone/Alarm Function
JP2533760Y2 (en) Intercom master unit having monitor function and intercom system using the same
JPH04239859A (en) Cordless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