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0926Y1 -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926Y1
KR200140926Y1 KR2019960037443U KR19960037443U KR200140926Y1 KR 200140926 Y1 KR200140926 Y1 KR 200140926Y1 KR 2019960037443 U KR2019960037443 U KR 2019960037443U KR 19960037443 U KR19960037443 U KR 19960037443U KR 200140926 Y1 KR200140926 Y1 KR 200140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us
getting
separa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054U (ko
Inventor
허병호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7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9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0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 출입문의 승하차시 이를 보다 손쉽게 하기 위해 손잡이를 설치한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텝측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터의 면에 손잡이를 부설시켜서 승하차를 편리케 한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세퍼레이터면에 체결부재로 고정될 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상부로 요입부를 가지게 라운드부를 형성해서 된 우레탄재질의 손잡이를 세퍼레이터의 전면에 상기 스텝의 경사면에 맞게 적어도 2개 이상의 일정 간격을 가지며 부설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본 고안은 버스 출입문으로 승하차시 이를 보다 손쉽게 하기 위해 손잡이를 설치한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텝부측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터의 면에 손잡이를 부설시켜서 승하차를 편리케 한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승하차시 스텝을 밟고 오르내리게 되는데, 통상 버스의 스텝은 단고가 높아 승하차시 용이치 못하다. 따라서 노약자나 어린이는 승하차시 많은 시간이 걸리며 힘들게 오르내린다.
따라서 폴딩엔트런스 도어식(도시안됨)에서는 도어의 개방시 도어 내측에 손잡이봉을 부설하여 승하차시 이를 잡고 오르내리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도 출입 도어가 개방된, 즉 버스의 프론트측의 출입구에서 활용할 수 있을 뿐이며, 슬라이딩 개폐식 도어에서는 그나마 도어상에 설치하지 못하며, 승하차를 위한 가이드봉 및 손잡이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 이상 버스의 승하차시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승강을 위한 스텝의 일측에 설치되는 안내승무원 보호용 내지는 앞승객 보호용 세퍼레이터를 이용, 그 전면에 우레탄재질의 손잡이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서 승객의 승하차간에 편리함을 도모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세퍼레이터면에 체결부재로 고정될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부로 요입부를 가지게 라운드부를 형성해서 된 우레탄재질의 손잡이를 세퍼레이터의 전면에 상기 스텝의 경사도에 맞게 적어도 2개 이상의 일정 간격을 가지며 부설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1 : 플랜지
12 : 요입부13 : 라운드부
이하에서 이를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객의 승하차를 돕기 위한 손잡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제 2도에서와 같이 세퍼레이터 전면에 체결부재로 고정될 플랜지(11)를 가지며, 내측으로 요입부(12)를 가지게 하여 손잡이용 라운드부(13)를 형성한 일정길이로써 우레탄재질로 형성된 손잡이(10)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여 세퍼레이터(20) 전면의 스텝 경사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설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10)를 우레탄재질로 한 이유는 손잡이로써 파지감을 양호케 하기 위함이며, 급정거 제동시 부딪힘에도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를 길이재의 한 몸체로 형성하지 않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체로 형성한 것은 승하차간에 손잡이로의 활용면을 전둘레에 걸쳐서 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객이 오르내릴 때 상기 세퍼레이터(20)상에 부설된 손잡이(10)를 잡으면서 승하차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사람의 신장에 따라 또는 오르내림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손잡이(10)를 상부 또는 하부의 것을 선택하여 파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라운드부(13)와 요입부(12)는 사람이 손이 안내되기에 양호하게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손이 걸려서 빠지지 않을 요소가 배제된다.
한편, 본 고안은 설치시 외측으로 어떠한 돌출부를 갖지 않으며, 그 재질도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져 승하차간의 몸쏠림으로 부딪히더라도 상처를 입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없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사용예로써 승하차를 완료한 후의 장거리 여행시 상기 손잡이(10)의 라운드부(13) 및 요홈(12)과 세퍼레이터(20)면이 형성한 요입부를 이용하여 우산 및 지팡이 등과 같은 길이재의 물건을 탄력있게 삽입하여 보관 재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매우 간단한 구조의 손잡이를 적어도 2개 이상을 세퍼레이터의 전면에 스텝경사도에 맞게 빗방향으로 이격설치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간에 손잡이로 활용되는 것으로, 특히 노약자나 여성 등이 보다 편리한 승하차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버스의 스텝부측 세퍼레이터 전면에 우레탄재질의 손잡이를 부설하여 승객의 승하차간에 손잡이로 활용되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제고한 고안이다.

Claims (1)

  1. 승객의 승하차를 돕기 위한 손잡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전면에 체결부재로 고정될 플랜지(11)를 가지며 내측으로 요입부(12)를 가지게 하여 손잡이용 라운드부(13)를 형성한 일정길이로써 우레탄재질로 형성된 손잡이(10)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여 세퍼레이터(20) 전면의 스텝 경사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설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KR2019960037443U 1996-10-31 1996-10-31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KR200140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443U KR200140926Y1 (ko) 1996-10-31 1996-10-31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443U KR200140926Y1 (ko) 1996-10-31 1996-10-31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54U KR19980024054U (ko) 1998-07-25
KR200140926Y1 true KR200140926Y1 (ko) 1999-04-01

Family

ID=1947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443U KR200140926Y1 (ko) 1996-10-31 1996-10-31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9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54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6699A (en) Safety runner for use in umbrellas
KR200140926Y1 (ko)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DK0504588T3 (da) Afdækningshætteindretning på en tagbagagebærers tværdrager
US4622868A (en) Tool used to manually lock and unlock a passenger door of a motor vehicle
US4238133A (en) Door-lock button assembly
JPH03100514U (ko)
KR970000242Y1 (ko) 옷걸이가 내장된 자동차용 천정손잡이
JPS62124187U (ko)
KR200162558Y1 (ko) 길이가 조절되고 회전되는 버스용 손잡이
JPS6232172U (ko)
KR200144198Y1 (ko) 차량의 도어록크용 노브 함몰방지 장치
JPS61161378U (ko)
JPH0172577U (ko)
KR200146789Y1 (ko) 차량의 승객 보호용 핸들
KR200162331Y1 (ko) 버스의 개폐 윈도우 잠금장치
KR890005366Y1 (ko) 승용차 보디 카버
JPH0647888Y2 (ja) エレベータ用引き戸
JP2001171579A (ja) 伸縮式自転車一体型傘装着機
JPS6352880U (ko)
JPH0367275U (ko)
JPH0653284U (ja) 自動車に取り付た傘立て
KR19980052760A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JPH0258582U (ko)
JPS61196812U (ko)
JPS637799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