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0866Y1 - Aircleaner with a perfume cartridge - Google Patents

Aircleaner with a perfume cart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866Y1
KR200140866Y1 KR2019970002358U KR19970002358U KR200140866Y1 KR 200140866 Y1 KR200140866 Y1 KR 200140866Y1 KR 2019970002358 U KR2019970002358 U KR 2019970002358U KR 19970002358 U KR19970002358 U KR 19970002358U KR 200140866 Y1 KR200140866 Y1 KR 200140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cartridge
filter cartridg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3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58018U (en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02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866Y1/en
Publication of KR19980058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01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86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체를 형성하며 전면 및 상면쪽으로 공기 흡입구(5)와 배출구(7)가 개구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3), 상기 외부 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상기 배출구(7) 쪽으로 바뀌는 지점에 모터(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열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9), 상기 외부 케이스(3)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후미 보조등(13) 및, 상기 흡입구(5)와 상기 크로스 플로어 팬(9) 사이에서 브래킷(15)에 의해 고정되어 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상방 연장되어 있는 필터 카트리지(17)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17)에 설치된 필터(18)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배출구(7)를 통해 빠져 나가는 공기에 향기 입자를 실어 보내도록 상기 필터 카트리지(17)와 상기 크로스 플로어 팬(9) 사이에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17) 후면에 인접하여 상기 브래킷(15)에 장착되어 있는 향 카트리지(19)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outer body and has an outer case (3) having an air inlet (5) and an outlet (7) open to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3) of the air flowing from the inlet (5) Cross floor fan 9 which is rotatably moun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the motor 11 at the point where the flow path changes toward the outlet 7, and the rear auxiliary lamp mounted to the rear of the outer case 3 ( 13) and an exterior type of a vehicle composed of a filter cartridge 17 which is fixed between the intake port 5 and the cross floor fan 9 by a bracket 15 and extends upwardly in a horizontally arranged state. In the air purifier (1), the filter cartridge (17) and the cross to purge by the filter 18 installed in the filter cartridge 17 to carry the fragrance particles to the air exiting through the outlet (7) Flo Between the fans (9) it relates to the filter cartridge (17) for automobiles, which comprises a flavor cartridge 19 adjacent to the rear is attached to the bracket 15, an external air purifier.

Description

향 카트리지를 구비한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Automotive external air purifier with incense cartridge

본 고안은 향 카트리지를 구비한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 선반 위에 별도로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차내 공기를 청정하면서 내부에 장착된 향 카트리지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향기를 발산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air purifier for an automobile having an incense cartridge. More specifically, 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separately on a rear shelf of a car to independently clean air in the car and emit various types of fragrance from the incense cartridge mount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air purifier for automobiles.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중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윈도우를 개방하여 외기를 차량 실내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자동차가 긴 터널을 지나고 있다거나 매연을 심하게 뿜는 차량의 후미에서 주행 중일 때 또는 눈비가 오는 등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은 등 일시적이거나 장기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상황이 윈도우를 개방하기 곤란한 상황이라면 차내 공기가 탁해지더라도 불가피하게 윈도우를 닫고 주행할 수밖에 없었다.In general, in order to keep the indoor environment comfortable while driving, the driver opens the window of the car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In this case, however, if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car is difficult to open the window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when the car is passing through a long tunnel, while driving at the rear of a vehicle that emits heavy smoke, or when the weather is bad, such as snow or snow, Even when the air became cloudy, I had to close the window and drive.

특히, 여름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차내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쾌적한 운행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냉방 시스템에 의해 내부 순환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차내부를 냉방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이때에도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윈도우를 개방하여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고자 한다면 냉방을 포기하거나 열악한 차내 환경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In particular,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rises sharply, such as in the summer, the inside of the car is cooled by cooling the internal circulation air by a cooling system in order to maintain the inside temperature at an appropriate level and to create a comfortable driving condition. If they wanted to exchange the indoor and outdoor air by opening the windows to purify, they had to give up cooling or suffer the poor in-car environment.

더욱이 이 경우 냉방 시스템의 가동으로 인해 차량 실내 공기의 청정도가 점차 악화되므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외기와의 교환 없이 실내에서 자체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Moreover, in this case, the cleanliness of the interior air of the vehicle is gradually deteriorat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system.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ind a means for purifying the air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itself without exchanging the outside air.

이러한 필요에 따라 제안된 것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장형 공기 정화기이다.Proposed according to this need is an external air purifier as shown in FIG. 1.

이 외장형 공기 정화기는 도면에 도면번호 101로 표시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후방 시트(103) 뒤쪽의 후방 선반(105)과 후방 글라스(107) 사이에 설치된 외부 케이스(109)로 외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케이스(109)의 전방 경사면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개방되어 있으며, 유입구(111)의 대향측 케이스(109)의 후방 상단에는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뒤 자동차 실내로 다시 빠져 나가는 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9)의 후방면에는 보조 후미등(115)이 장착될 수도 있다.This external air purifier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01 in the drawing, and the outer body is formed by an outer case 109 provided between the rear shelf 105 and the rear glass 107 behind the rear seat 103 of the vehicle. The inlet 111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flows is opened on the front inclined surface of the outer case 109, and the back air is purifi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case 109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11. An exit port 113 exiting is formed. In addition, an auxiliary taillight 115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09.

또한, 케이스(109)의 공기 유입구(111)에는 힌지축(117)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는 도어(119)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도어(119)에는 격자 형태로 관통된 입구 그릴(121)이 형성되어 있다. 입구 그릴(121)의 바로 아래쪽에는 정화필터(123)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정화 필터(123)와 유출구(113)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크로스 플로어 팬(125;cross flow fan)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ir inlet 111 of the case 109 is equipped with a door 119 which is rotated and opened around the hinge shaft 117, and the door 119 has an inlet grill 121 penetrated in a lattice form. Formed. A purification filter 123 is detachably mounted directly below the inlet grill 121, and a cross flow fan 125 is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purification filter 123 and the outlet 113. It is rotatably mounted.

이러한 종래의 공기 정화기(101)는 필터(123)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미세 먼지는 물론 악취 등 냄새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등 차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운행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취향에 알맞는 방향제를 별도로 사용해야 했다.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101 is capable of purifying the air in the vehicle by removing the odor such as odors as well as the fine dust inside the vehicle by the filter 123, but in order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You had to use a fresh air freshener that suits your tastes.

이는 방향제를 어떤 형태로든 차내에 퍼뜨릴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나 방향제 팩을 추가로 구비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뒤따랐으며, 추가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도 무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has been accompanied by the need to additionally have a fragrance case or a fragrance pack that can spread the fragrance in any form,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ignore the cost burden of additional purchas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 정화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에 있어서 정화기 내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필터와 공기의 유출입 유동을 일으키는 크로스 플로어 팬 사이에 향 카트리지를 추가 장착하여 향 카트리지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크로스 플로어 팬에 의해 취출되는 정화된 공기에 실어 차량 실내 전체에 확산시킴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보다 쾌적한 주행 여건에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대 그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and causes an outflow and inflow flow of the purifying filter and air to purify the air flowing in the purifier in the external air purifier of the automobile. Additional fragrance cartridges are installed between the cross-floor fans to spread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cartridges into the clean air drawn by the cross-floor fans, so that the driver or passengers can operate in more comfortable driving conditions. I would say that there is a purpose.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체를 형성하며 전면 및 상면쪽으로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개구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배출구 쪽으로 바뀌는 지점에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열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 외부 케이스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후미 보조등 및, 흡입구와 크로스 플로어 팬 사이에서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어 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상방 연장되어 있는 필터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구를 통해 빠져 나가는 공기에 향기 입자를 실어 보내도록 필터 카트리지와 크로스 플로어 팬 사이에서 필터 카트리지 후면에 인접하여 브래킷에 장착되어 있는 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uter case which forms the outer body and the air inlet and outlet openings are opened to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the point where the flow path of the air flowing from the inlet inside the outer case is turned toward the outlet port Cross-floor fan rotatably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motor, a rear auxiliary lamp mounted on the rear of the outer case, and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a bracket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cross-floor fan. In an external air purifier of an automobile composed of an upwardly extending filter cartridge, the filter cartridge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cartridge and the cross-floor fan so that the fragrance particles are carried by the filter installed in the filter cartridge and carry the fragrance particles out through the outlet. Adjacent to the rear brack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air purifier for an automobile including an installed incense cartridg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의 평단면도.1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exterior air purifier for automobile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 카트리지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air purifier having a flavo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공기 정화기 3 : 외부 케이스1: air purifier 3: outer case

5 : 공기 흡입구 7 : 공기 배출구5: air intake port 7: air outlet port

9 : 크로스 플로어 팬 11 : 모터9: cross floor fan 11: motor

13 : 후미 보조등 15 : 브래킷13: tail light 15: bracket

17 : 필터 카트리지 18 : 필터17: filter cartridge 18: filter

19 : 향 카트리지 20 : 향필터19: Incense Cartridge 20: Incense Filter

25 : 안내돌기25: guide protrus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향 카트리지를 구비한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an external air purifier for a vehicle having an incens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번호 1로 표시된 본 고안의 공기정화기는 일반적인 종래의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통상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후방시트(51)와 후방 글래스(53) 사이의 후방 선반(55) 위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conventional external air purifier for a vehicle, and similarly to a conventional external air purifier, the rear seat 51 and the rear glass of an automobile. It is mounted on the rear shelf 55 between 53.

이 공기 정화기(1)는 대체로 외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3)와 이 외부 케이스(3) 내부에서 공기를 정화하도록 되어 있는 공기 필터(18) 그리고 케이스(3) 내부로 자동차 실내 공기를 유입한 다음 공기 필터(18)를 통과시킨 뒤 케이스(3)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크로스 플로어 팬(9)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air purifier (1) is generally provided with an outer case (3) intended to form an outer body, an air filter (18) adapted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outer case (3), and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interior air. It is composed of a cross-floor fan (9) that flows i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18) and then discharges back out of the case (3).

여기에서, 외부 케이스(3)의 전방 측면에는 자동차의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입구(5)에는 공기 이외의 이물질이 정화기(1) 안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격자 형태로 된 그릴(21)이 끼워져 있다.Here, the front side of the outer case (3) is formed with an air inlet (5)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is introduced, the inlet (5) to prevent foreign matter other than air into the purifier (1). For example, a grille 21 in the form of a grid is fitted.

또한, 외부 케이스(3)의 상면 후방에는 정화기(1) 안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공기가 재차 자동차 실내로 유출되는 공기 배출구(7)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7)에도 마찬가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릴(23)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n air outlet 7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purifier 1 and flows out again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outer case 3, and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outlet 7 in the same manner. In order to prevent that, the grille 23 is fitted.

케이스(3)의 내부에는 후방측에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9)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팬(9)은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1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흡입구(5)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며, 배출구(7)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배출구(7)의 케이스(3) 안쪽 둘레면에는 크로스 플로어 팬(9)에 의해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배출구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 돌기(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side the case 3, a cross floor fan 9 is arranged on the rea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ch is counterclockwise as shown by the motor 11 mounted on the side. It rotates in the direction and introduces air through the inlet port 5, and outflows the air through the outlet port 7.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25 for guiding the flow of air blown out by the cross-floor fan 9 towar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 of the discharge port 7.

그리고, 케이스(3)의 후방에는 일반적으로 승용차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후미 보조등(13)을 일체로 설치하여 공기 정화기능과 브레이크 보조등의 역할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ar auxiliary lamp 13, which is generally widely used in a passenger car, is integr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se 3 so as to satisfy the role of the air purifying function and the brake auxiliary lamp at the same time.

또한, 케이스(3)의 내부에는 흡입구(5)와 인접한 위치의 크로스 플로어 팬(9)과의 사이에서 브래킷(15)에 의해 케이스(3)의 바닥면에 부착된 필터 카트리지(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카트리지(17) 내부에는 공기 정화용 필터(18)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 필터 카트리지(17)는 흡입구(5)로 유입되는 공기를 빠짐없이 거르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뻗어 있다.Further, inside the case 3, a filter cartridge 17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3 by a bracket 15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5 and the cross floor fan 9 in a position adjacent thereto. In the cartridge 17, an air purification filter 18 is inserted. The filter cartridge 17 extends laterally and extends upward to filter out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5.

여기에서, 브래킷(15)에는 필터 카트리지(17)의 후면과 인접하여 크로스 플로어 팬(9)과의 사이에 향 카트리지(19)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 향 카트리지(19)의 내부에는 필터 카트리지(17)에 설치된 필터(18)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구(7)를 통해 차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 입자를 실어 보내기 위한 향필터(20)가 삽입 부착되어 있다.Here, the incense cartridge 19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15 between the cross floor fan 9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cartridge 17. The fragrance filter 20 is inserted into the fragrance cartridge 19 so as to purify the fragrance particles into the air which is purified by the filter 18 installed in the filter cartridge 17 and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discharge port 7. It is.

이 향필터(20)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취향에 따라 예컨대 솔잎향 및 꽃잎향 등과 같은 적정 향기의 방향제를 박막 형태의 필터에 도포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운전자 등의 건강 증진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휘산성을 갖는 한방약제 등을 박막 필터에 도포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The fragrance filter 20 may be manufactured by applying a fragrance of appropriate fragrance, such as pine needle and petal fragrance, to a thin film type filter according to a driver's or passenger's tast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nd apply a herbal medicine having a kind of volatilization to a thin film filter.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공기 정화기(1)에 의하면, 운전자 등이 탁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정화기(1)의 전원을 온시키면 모터(11)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크로스 플로어 팬(9)이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1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driver or the like turns on the power of the purifier 1 to purify the air in a muddy interior of the car, the motor 11 is driven and thus the cross-floor fan. (9) It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is figure.

이렇게 되면, 차내의 탁한 공기는 팬(9)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5)를 통해 정화기(1) 안으로 유입되며 이와 동시에 필터 카트리지(17)를 통과하면서 카트리지(17) 내부의 필터(18)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먼저 정화된다. 그리고 나서 정화된 공기는 곧바로 향 카트리지(19)를 거치면서 향필터(20)에 도포되어 있는 각종 방향제나 한방약제를 휘산시켜 각종 향기를 동반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urbid air in the vehicle is introduced into the purifier 1 through the suction port 5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9 and at the same time passes through the filter cartridge 17 to the filter 18 inside the cartridge 17. The air introduced by this is first purified. Then, the purified air immediately passes through the incense cartridge 19, and volatilizes various fragrances or herbal medicines applied to the fragrance filter 20 to accompany various fragrances.

이렇게 여러 가지 향기 입자가 동반된 정화공기는 크로스 플로어 팬(9)에 의해 안내돌기(25)로 안내되면서 배출구(7)를 통해 자동차 실내로 재차 배출된다.The purified air accompanied with various fragrance particles is guided to the guide protrusion 25 by the cross-floor fan 9 and discharged again 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outlet 7.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외장형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공기 정화필터와 크로스 플로어 팬 사이에 향 카트리지를 추가 장착하여 향 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정화된 공기에 의해 향 카트리지 내부의 향필터로부터 각종 향기를 휘산시켜 크로스 플로어 팬에 의해 취출되는 공기에 이 향기의 입자를 실어 보냄으로써 차량 실내에 운전자 등의 취향에 따른 향기가 확산되도록 하여 운전자나 탑승자가 보다 쾌적한 주행 여건 하에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ternal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floor is volatilized from the fragrance filter inside the fragrance cartridge by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fragrance cartridge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fragrance cartridge between the air purification filter and the cross-floor fan. By sending the particles of the fragrance to the air blown out by the fan, the fragranc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driver or the like is diffused in the vehicle interior, so that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drive under more comfortable driving conditions.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yone who has a can easily know.

Claims (2)

외체를 형성하며 전면 및 상면쪽으로 공기 흡입구(5)와 배출구(7)가 개구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3), 상기 외부 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상기 배출구(7) 쪽으로 바뀌는 지점에 모터(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열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9), 상기 외부 케이스(3)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후미 보조등(13) 및, 상기 흡입구(5)와 상기 크로스 플로어 팬(9) 사이에서 브래킷(15)에 의해 고정되어 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상방 연장되어 있는 필터 카트리지(17)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17)에 설치된 필터(18)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배출구(7)를 통해 빠져 나가는 공기에 향기 입자를 실어 보내도록 상기 필터 카트리지(17)와 상기 크로스 플로어 팬(9) 사이에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17) 후면에 인접하여 상기 브래킷(15)에 장착되어 있는 향 카트리지(1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An outer case 3 having an outer body and having an air inlet 5 and an outlet 7 open to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thereof, and a flow path of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5 inside the outer case 3 A cross-floor fan 9 which is rotatably moun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a motor 11 at a point that changes toward the outlet 7, a rear auxiliary light 13 mounted to the rear of the outer case 3, and And an external air purifier of a vehicle, which is composed of a filter cartridge 17 which is fixed between the intake port 5 and the cross floor fan 9 by a bracket 15 and extends upwardly in a horizontally arranged state ( 1), the filter cartridge 17 and the cross-floor fan (20) are purged by the filter 18 installed in the filter cartridge 17 to carry fragrance particles to the air exiting through the outlet 7. 9) 4 In the car air cleaner for exter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vor cartridge 19 is mounted to the bracket 15 adjacent the rear of the filter cartridge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 카트리지(19)에는 솔잎향 및 꽃잎향 등 각종 방향제와 한방약제 등이 도포된 향필터(2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The exterior air purifi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grance cartridge (19) is attached with a fragrance filter (20) coated with various fragrances such as pine needle and petal fragrances and herbal medicines.
KR2019970002358U 1997-02-17 1997-02-17 Aircleaner with a perfume cartridge KR20014086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358U KR200140866Y1 (en) 1997-02-17 1997-02-17 Aircleaner with a perfume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358U KR200140866Y1 (en) 1997-02-17 1997-02-17 Aircleaner with a perfume cart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018U KR19980058018U (en) 1998-10-26
KR200140866Y1 true KR200140866Y1 (en) 1999-05-15

Family

ID=1949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358U KR200140866Y1 (en) 1997-02-17 1997-02-17 Aircleaner with a perfume cart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86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59B1 (en) * 2008-08-05 2011-03-03 최호상 potable air fresh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59B1 (en) * 2008-08-05 2011-03-03 최호상 potable air fresh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018U (en)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1263A1 (en) Natural air ventilation system for a vehicle cab
JP2925338B2 (en) Vehicle air purifier
KR200140866Y1 (en) Aircleaner with a perfume cartridge
KR200465900Y1 (en) Ionizing and purification device of vehicle
KR200303821Y1 (en) Air filter in air cleaner
KR100352527B1 (en) Car air cleaning ventilation device
KR100353058B1 (en) Device for notifying replacement time of air filter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KR0185827B1 (en) Air cleaner in a car
KR200367919Y1 (en)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indoor air of automobile
JPS601740Y2 (en) Fragrance release adjustment mechanism
JPH0577641A (en) Ceiling-type cooling unit for vehicle
JP4613722B2 (en)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s
KR200367931Y1 (en)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indoor air of automobile
KR200264209Y1 (en) Air cleaner for auto-mobile
KR980001069A (en) Built-in air purifier for automobile
KR980001067A (en) Built-in air purifier for automobile
KR0185828B1 (en) Air cleaner in a car
KR100894956B1 (en) Perfum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of a Car
KR200248239Y1 (en) Vantilating apparatus for vehicles
KR200219339Y1 (en) Air cleaner for a car having smmoth inner stream
KR19990017851U (en) Car Air Purifier with Incense Case
KR19980068174A (en) Air purifier with heating type incense actuator and incense volatilization method
JPS6144513Y2 (en)
KR100461194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of an automobile
KR19980035601U (en) Automotive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