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744A -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744A
KR20010112744A KR1020000032929A KR20000032929A KR20010112744A KR 20010112744 A KR20010112744 A KR 20010112744A KR 1020000032929 A KR1020000032929 A KR 1020000032929A KR 20000032929 A KR20000032929 A KR 20000032929A KR 20010112744 A KR20010112744 A KR 2001011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ing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dip galvanized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성
오현운
이용진
고흥석
김용희
문만빈
Original Assignee
권수식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수식,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수식
Priority to KR102000003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2744A/ko
Publication of KR2001011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7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using electron or 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2Constituents thereof
    • G01N33/2028Metallic constitu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8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with scanning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0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e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1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particle si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 정도를 평가함에 있어 보다 정확하게 합금화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내분말박리(내Powdering)성을 정확히 예측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여러가지 조건에서 제조하여 각기 다른 합금화 정도를 가지게끔 제조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1000배 이상으로 관찰하여 표면에서 관찰되는상 및 δ1상을 10개 단위 이하, 예컨대 7단계로 구분하여

Description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Measuring Technique of Alloy Degree of Galvannealed Coating}
본 발명은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 정도를 평가함에 있어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합금화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내분말박리(내powdering)성을 정확히 예측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내분말박리성이란 GA강판을 가공시 합금도금층이 마찰 또는 압축응력 등에 의해 분말형태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뜻한다.
본 발명상의 개발방법의 하나는 실험실에서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장치를 이용하여 각 합금화 조건별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시편을 제작한 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내분말박리성을 알아보고 각 합금상의 비율을 평가한 후 60°굽힘시험한 후 압축부에 대해 테이프부착시험을 행하여 각 합금상의 존재비율만을 관찰하는 것에 의해 GA강판의 내분말박리성을 예측 확인하는 방법이다.
최근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GA)은 일반 용융아연도금강판보다 용접성, 도장성, 내식성 등의 품질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은 통상 용융도금 후 도금 욕 직상에서 가열처리를 해줌으로써 도금층 중의 Fe-Zn합금상을 성장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도금층은 Fe-Zn 합금상중 δ1상을 주체로 하고 가열처리의 과부족에 따라 Γ상,상이 일부 존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아연인상이 잔존하는 경우도 있다.
표 1과 같이 각 상은 화학조성, 경도 등 화학적 물리적 특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GA강판 사용시 주요공정인 프레스가공이나 용접, 인산염처리 등의 공정에서 각상의 분포비율이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프레스가공시 합금상 중상이나상이 우월하면 도금층이 비교적 연질이므로 내분말박리성은 우수하나 마찰계수가 커지므로 프레스성형성이 저하하고 δ1상이나 Γ상이 우월하면 표면경도가 증가하여 마찰계수가 작아지므로 성형성은 좋아지나 도금층이 취약하므로 내분말박리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도금층 품질특성은 이러한 합금상의 분포 또는, 합금화도가 어떻게 되어 있는가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합금화도를 어떻게 평가 관리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연속용융도금설비에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시 강판의 두께, 용융아연욕의 조성, 라인스피드, 도금 부착량, 강종 등 합금층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매우 많기 때문에 가령 어느 경우에 있어서의 최적 합금화 처리조건이 도출되었다고 하더라도 강종, 도금 부착량, 두께등 수많은 조건에서 수많은 종류의 제품을 1개 설비에서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상태가 적절하게 처리되고 있는지 정확히 확인 할 수 없다. 따라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개발에 있어서 최적 합금화 열처리 조건의 도출과 함께 바로 생산되고 있는 제품의 합금화도를 얼마나 정확히 신속하게 분석하여 설비제조조건에 반영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기술 해결과제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시 도금층의 합금화도를 신속 정확히 평가하여 합금층의 내분말박리성을 정확히 예측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표 1
종래기술
종래, 합금화 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를 평가 측정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가 있다. 우선 작업자가 '육안으로 강판의 색조를 보고 경험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말 그대로 매우 초보적이고 작업자에 따라 보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가 불가능하다.
한편 '습식분석방법'으로 도금층을 용해하여 도금층 중에서 Fe함량을 측정하여 합금화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도금층 용해시 소지철까지 녹아 나는 등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분석시간은 매우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방법 중, 비교적 과학적인 방법중의 하나인 'X-선 회절에 의한 방법'이 있긴 하나, 분석면적이 매우 작고 주위 온도나 도금층, 두께, X-선 튜브의 경시열화 등의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표면형상을 관찰함으로써 합금화 정도를 예측하는 방안을 창안하였다.
즉,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도금강판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조직을 1000배 이상으로 관찰하여 주상정()과 괴상정(δ1)의 분포율을 화상분석기로 산정하고, 이 산정된 분포율을 10개 단위 이하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주상정()의 비율에 따라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 합금화도 평가방법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제 1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480℃, 10초,치 6으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2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480℃, 13초,치 5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3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480℃, 16초,치 4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4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520℃, 10초,치 4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5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520℃, 13초,치 3으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6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520℃, 16초,치 2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7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550℃, 10초,치 3으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8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550℃, 13초,치 1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제 9 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표면조직에 따른 도금층 특성평가 실시예로서,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을 각각 550℃, 16초,치 1로 처리된 현미경조직사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여러가지 조건에서 각기 다른 합금화 정도를 가지게끔 제조하여 예컨대 표면에서 관찰되는상 및 δ1상이 0~6까지 7단계로 구분하여치로 평가하고 굽힘시험을 통하여 각각의 경우 내분말박리성을 측정함으로써 합금화 적절성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δ1상은 그 형상이 주로 괴상정(塊狀晶)형태로 되어 있고상은 주로 주상정(柱狀晶)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이들의 분포상태를 직접적으로 관찰함으로써합금화 정도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용융도금 및 합금화열처리조건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를 다수의 시험결과 다음 표 2와 같은 처리조건범위로 설정하였다.
표 2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합금화도 평가를 위한 처리 전제조건으로서 특히 합금화처리상의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 및 냉각속도로서, 이는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균열온도, 시간이 부족하면 합금화가 불충분해지고 반대인 경우, 또는 냉각속도가 -20℃/sec 이상이 될 경우 합금화조직의 내분말박리성의 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전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실험방법 및 분석평가과정을 실시예를 통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여러 종류의 합금상 분포를 갖는 GA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0.8mm 두께로 압연된 강판을 10cm ×25cm의 크기로 다량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편들에 대해 85℃ NaOH용액 중에서 충분히 탈지 건조시켰다. 이 시편을 용융도금장치에 장입하여 표 2와 같은 조건하에서 용융도금 및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특히 합금화 처리조건 및 도금욕 Al농도의 변화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합금층구조를 갖는 시편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특히 합금화처리를 위한 균열온도와 시간이 중요한데, 이와 같이 제조된 시편들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표면을 관찰한 결과를 도 1~도 9로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합금화 시간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표면조직 중에 δ1상인 괴상정의 차지 비율이 증가하고 반대로상이 주체인 주상정의 형태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를 평가함에 있어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주상정()과 괴상정(δ1)의 분포율을 화상분석기(Image Analyzer)로 평가하여 0~6까지치로 규정하고 이 수치를 이용하여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 정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표 3으로 나타내었다.
표 3
위에서 말한 도 1~도 9까지의 현미경조직사진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한 내분말박리성을 판정한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았다.
표 4
위 표 4 및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균열에 의한 합금화 시간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표면조직중의 δ1상(괴상정)의 점유비가 증가하고,상을 주로 하는 주상정의 형태가 감소하므로써 내분말박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로부터 조직중의상의 분포에 따른 내분말박리성을 예측할 수 있어, 합금화도를 정확히 예측, 평가 및 제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평가를 위하여 강판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조직을 관찰하여 주상정()과 괴상정(δ1)의 분포율을 산정하고, 이 산정된 분포율을 10개 단위 이하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합금화정도를 평가하도록 한 발명이다.
이 결과로부터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상의 분포량(치라 칭한다)에 따라 내분말박리(내Powdering)성을 예측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합금화 처리시의 적절한 처리조건을 도출하는 것까지 가능하다. 표 3은 표면조직에 따라 그 정도를 규정하여치로 나타낸 것이며, 표 4는 각 경우에 있어서 도금층 미세조직과 그에 따른치 및 굴곡시험(Bending Test) 결과 내분말박리성 경향을 나타낸 것이다.치가 3 이상인 경우 내분말박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치의 변화에 따라 내분말박리 특성의 차가 나타나고 있으며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구한치로부터 내분말박리성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단시간에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관찰하여 10단계 이하로치를 측정 내분말박리성을 정확히 평가하므로써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를 정확히 파악, 평가할 수 있게 되어 합금화 적절성 여부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었고, 관찰결과를 신속히 반영하여 불량율이 적은 최적의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Claims (3)

  1.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도금강판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조직을 관찰하여 주상정()과 괴상정(δ1)의 분포율을 산정하고, 이 산정된 분포율을 10개 단위 이하 등급으로 분류하여 주상정()의 비율에 따라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정도를 평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 평가를 위한 조업처리조건에 있어서, 특히 균열온도 및 균열시간은 각각 480~550℃, 10~16초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평가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강판의 합금화 평가를 위한 조업처리조건에 있어서, 특히 합금화 열처리 후 냉각속도를 -20℃/초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평가방법.
KR1020000032929A 2000-06-15 2000-06-15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KR20010112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29A KR20010112744A (ko) 2000-06-15 2000-06-15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29A KR20010112744A (ko) 2000-06-15 2000-06-15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44A true KR20010112744A (ko) 2001-12-22

Family

ID=1967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29A KR20010112744A (ko) 2000-06-15 2000-06-15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27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1039A (zh) * 2015-07-10 2015-10-21 首钢总公司 一种合金化镀锌层粉化性能评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2434A1 (en) * 1995-05-09 1996-11-13 Acerinox S.A. X-ray quantative microanalysis method for metal alloys
JPH11269627A (ja) * 1998-03-20 1999-10-05 Kawasaki Steel Corp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合金化炉およ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合金化度の制御方法
KR20000025344A (ko) * 1998-10-10 2000-05-06 이구택 형광 엑스선을 이용한 도금량 및 합금화도 측정방법
KR100328926B1 (ko) * 1997-12-26 2002-05-09 이구택 레이저를 이용한 도금강판의 온-라인 합금화도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2434A1 (en) * 1995-05-09 1996-11-13 Acerinox S.A. X-ray quantative microanalysis method for metal alloys
KR100328926B1 (ko) * 1997-12-26 2002-05-09 이구택 레이저를 이용한 도금강판의 온-라인 합금화도측정방법
JPH11269627A (ja) * 1998-03-20 1999-10-05 Kawasaki Steel Corp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合金化炉およ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合金化度の制御方法
KR20000025344A (ko) * 1998-10-10 2000-05-06 이구택 형광 엑스선을 이용한 도금량 및 합금화도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1039A (zh) * 2015-07-10 2015-10-21 首钢总公司 一种合金化镀锌层粉化性能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2516B2 (en) Hot-dip Al—Zn—Mg—Si coat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EP3575434A1 (en) Plated steel
EP2957648B1 (en) Hot-dip al-zn alloy co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266075B1 (ko) 도금 강판
CN117026132A (zh) 熔融Al-Zn-Mg-Si-Sr镀覆钢板及其制造方法
CN113508186B (zh) 熔融Al-Zn-Mg-Si-Sr镀覆钢板及其制造方法
EP3770296B1 (en) Hot stamp molded body
KR102384674B1 (ko) 내식성, 내골링성, 가공성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8169085A1 (ja) めっき鋼板
AU640770B2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dip coating of a steel strip
CN110100036A (zh) 焊接性和冲压加工性优异的热浸镀锌系钢材及其制造方法
CN105051239A (zh) 热浸镀Al-Zn系钢板及其制造方法
Ma et al. Microstructure and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Fe–B alloy in liquid 0.25 wt.% Al–Zn at various bath temperatures
AU2014212962A1 (en) Hot-dip Al-Zn galvaniz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3677820B (zh) 镀层钢材
JP6509160B2 (ja) 溶融Al−Zn系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TWI654338B (zh) Fused Zn-based plat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fter painting
CA2030914C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press formability of galvannealed steel sheets by x-ray diffraction
KR20010112744A (ko)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도 측정방법
WO2020250759A1 (ja) 溶融亜鉛めっき処理方法、その溶融亜鉛めっき処理方法を用い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溶融亜鉛めっき処理方法を用い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Gogola et al. Intermetallics formation during hot dip galvanizing of high carbon steel
Marek The impact of galvaniz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ebars
Tintelecan Ilut, iu-Varvara, D.-A.; Sas-Boca, IM; Aciu, C. The Behavior of a Zn-Al Anticorrosive Coating in the Wiredrawing Process. Materials 2022, 15, 6190
Jędrzejczyk et al. Changes in properties of hot-dip zinc coating resulting from heat treatment
Tiron et al. The effect on some controlling factors of quality of hot-dip galvanized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