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803A -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803A
KR20010109803A KR1020000030447A KR20000030447A KR20010109803A KR 20010109803 A KR20010109803 A KR 20010109803A KR 1020000030447 A KR1020000030447 A KR 1020000030447A KR 20000030447 A KR20000030447 A KR 20000030447A KR 20010109803 A KR20010109803 A KR 20010109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field
length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4202B1 (ko
Inventor
안교한
Original Assignee
박일근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근,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일근
Priority to KR102000003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20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04L1/0042Encoding specially adapted to other signal generation operation, e.g. in order to reduce transmit distortions, jitter, or to improve sign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제어정보필드에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추출하는 단계와; 프레임에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와 추출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비교하여 유휴비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유휴비트를 활용할 수 있는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프레임의 상태에 따라 부가정보필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프레임에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보다 실제의 정보데이터필드의 짧을 때 존재하는 유휴비트를 활용하여 에러의 검출 또는 정정에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효율 및 에러 검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An Adaptive Error-control Method using Padding Bits}
본 발명은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용된 정보필드의 길이보다 실제의 정보데이터길이가 짧을 때 발생되는 유휴비트를 사용하여 에러의 검출 또는 정정을 수행함으로써 에러제어능력을 향상시키고, 부가적인 절차 또는 회로 등의 변경없이 원하는 전송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전달하는 일종의 정보 통신에 해당하는 것으로 임의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 형태인 부호로 바꾸어 그 데이터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간을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전화와 같은 전기 통신과는 달리 데이터 통신은 부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므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기술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기술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통신방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단말장치(DTE:Data Terminal Equipment)(10,50),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20,40), 데이터 교환장치(DSE:Data Switching Equipment)(30)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단말장치(10,50)는 데이터 통신의 주체로서 단말기 또는 컴퓨터를 가리키며, 정보의 입/출력 및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단말장치(10)가 데이터 송신의 기능을 담당하고, 데이터 단말장치(50)가 데이터 수신의 기능을 담당한다.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20,40)는 데이터 단말장치(10,50)와 데이터 교환장치(30)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하고 보호 예방하기 위한 모든 기능 또는 신호의 교환, 부호화 등을 실행하는 장치로서, 음성 대역 아날로그 통신망인 전화망에 접속할 경우에는 모뎀이 필요하고, 데이터 통신망의 경우에는 데이터 서비스 유닛(DSU)이 필요하다. 데이터 교환장치(30)는 망 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장치로서, 전용회선과 교환망으로 구성되고, 음성 대역의 아날로그망과 디지털 통신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로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전송 장비 또는 전송매체를 통해 원래의 정보에 에러가 혼재하는 정보로는 수신측에서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신된 정보로부터 올바른 의미를 전달받기 위해서는 수신 정보 내에 포함된 에러를 찾아내어 이를 수정하는 절차, 즉 에러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정보에 대한 신뢰성 요구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에는 더욱 에러 제어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러 제어 기술은 에러 검출과 에러 정정으로 나누어진다.
수신된 정보 내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미리 송신측에서 보내고자 하는 원래의 정보 이외에 별도로 잉여분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수신측에서는 이 잉여 데이터를 검사함으로써 에러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있는 에러 검출 방식으로는 패리티 검사(parity check)와 순환잉여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를 들 수 있다. 패리티 검사는 한 블록의 데이터 끝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는 것으로서 가장 간단한 에러 검출 방식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ASCII 전송으로 7비트 길이의 ASCII 데이터의 끝에 한 비트를 추가하여 8비트로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이 때, 패리티 비트 값은 8비트 문자 정보 내의 1의 개수를 짝수 또는 홀수 개가 되도록 조정하는 과정에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짝수 패리티는 동기식 전송에, 홀수 패리티는 비동기식 전송에 자주 사용된다.
순환잉여 검사(CRC)는 에러 검출 코드인 FCS(Frame Check Sequence)를 생성해 내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패리티 검사와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에러 검출 방식이다. FCS는 프레임 내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비트열로서 송신시에 임의의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되어 정보 프레임과 함께 전송된다.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전체 데이터 가운데 정보 프레임만을 대상으로 송신측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FCS를 계산한 다음 이 값이 수신된 FCS값과 동일하면 전송 중에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에러 검출 방식은 에러 검출을 위한 부가정보의 필드 길이가 고정되어 있고 수신측에서도 이 고정된 필드에 들어있는 부가 정보를 활용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CRC-16을 사용하는 에러 검출 방식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어정보필드 정보데이터필드 부가정보필드
일반적으로, 제어정보는 전체 메시지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정보데이터 길이가 고정된 경우에는 길이정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에러를 정정하는 방식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자동 재전송(ARQ) 방식으로, 이 방식은 에러 검출 후에 송신측에게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블록을 다시 전송해 주도록 요청함으로써 에러를 정정한다. 또한, 전진에러 수정방식은 에러의 검출과 수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에러 제어 방식으로 ARQ 방식에 비해 역채널이 불필요하고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에러의 검출과 수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커서 시스템 효율을 저하시키고 기기와 코딩이 복잡하다는 단점 때문에 현재까지는 그다지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에러 검출 방식은 에러검출을 위한 부가정보의 필드 길이가 고정되어 있고 수신측에서도 이 고정된 필드에 들어있는 부가정보를 활용하여 에러를 검출하므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에 에러 검출율이 상대적으로 가변적이 되어 에러 검출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보데이터의 길이가 가변형일 경우 고정형인 데이터프레임을 사용하게 되면 정보데이터필드의 미 사용부분은 0과 같은 무의미한 값으로 채워져서 송신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무의미한 데이터까지 포함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부가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송효율 및 에러 검출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고정이고 정보데이터필드의 실제 데이터길이가 가변적인 경우 유휴비트의 길이와 초기 부가정보필드의 길이를 합한 확장부가정보필드를 데이터프레임에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효율 및 에러 검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이미 고정된 부가정보필드를 사용하는 경우 유휴비트 길이를 추가한 추가부가정보필드를 데이터프레임에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유휴비트를 활용할 수 있는 최고차수의 생성다항식으로 추가부가정보필드를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효율 및 에러 검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부가정보필드 또는 추가부가정보필드에 에러 정정용 부호를 사용하여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0: 데이터 단말장치 20,40:데이터 회선 종단장치
30: 데이터 교환장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의 데이터정보필드 이외에 별도로 잉여분의 데이터 비트를 부가정보필드에 추가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형성된 프레임을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프레임에 의해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의 제어정보필드에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추출하는 단계와; 프레임에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와 추출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비교하여 유휴비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유휴비트를 활용할 수 있는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프레임의 상태에 따라 부가정보필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부가정보필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고정이고 정보데이터필드의 실제 데이터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에는 유휴비트와 부가정보필드를 포함한 확장부가정보필드를 구성하고,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이미 고정된 부가정보필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휴비트를 추가부가정보필드로 구성하여 고정된 부가정보필드와 추가부가정보필드를 포함한 부가정보필드를 구성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휴비트에 에러정정용 부호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에러정정용부호를 판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2a는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고정이고 정보데이터필드의 실제 데이터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2b는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이미 고정된 부가정보필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초기상태는 각각의 프레임(n, n+1, n+2, n+3…)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프레임(n, n+1, n+2, n+3…)은 세부적으로 제어정보필드, 정보데이터필드, 부가정보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정보데이터필드는 유휴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고정되지 않고 가변적일 때는 그에 부합되도록 에러검출용 부가정보필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에러검출용 부가정보필드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CRC-16 또는 CRC-32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IBM 기종의 플로피 디스크에서는 16비트 CRC를 사용하며, 또한 압축 프로그램들이 데이터 복구 과정에서 에러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LHA(MS-DOS용 압축 프로그램)는 16비트 CRC를 사용하며, IBM 플로피 디스크 16비트 CRC를 반전시켜 사용하고 있다. 또한, PKZIP(파일 압축 해제용 소프트웨어)와 ARJ(압축-해제 유틸리티 프로그램)는 32비트 CRC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에 따라 추가할 부가정보필드의 길이를 16비트로 할 것인지 32비트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전송할 데이터프레임은 원래의 데이터프레임에 추가할 필드를 포함하도록 재구성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제어정보필드에는 라우팅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정보는 메시지의 근원지와 목적지 및 메시지가 생성될 때의 메시지 번호가 포함된다. 또한, 전체 메시지 길이, 플래그 정보, 활성화되는 시간, 기타 다른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정보데이터필드에는 한 곳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른 곳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적인 정보가 포함되며, 메시지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부분이다. 정보데이터필드에는 실제의 정보데이터를 구성하지 않는 유휴비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가 데이터프레임에 할당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유휴비트를 가진다. 반면에, 실제 정보데이터필드이 길이와 데이터프레임에 할당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가 같은 경우에는 유휴비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부가정보필드에는 메시지가 전송되기 전에 계산되어 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에 추가되는 에러제어용 CRC가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정보필드는 프레임의 마지막에 추가하여 구성되지만 몇몇 프레임들은 제어정보필드 내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고정이고 정보데이터필드의 실제 데이터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에는 정보데이터필드에 존재하는 유휴비트와 초기의 부가정보필드를 포함(즉, 확장부가정보필드)하여 전송할 데이터프레임을 재구성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이미 고정된 부가정보필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가정보필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정보데이터필드에 존재하는 유휴비트를 부가정보필드로 활용(즉, 추가부가정보필드)하여 전송할 데이터프레임을 재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데이터프레임의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가 N이고 제어정보필드에 있는 데이터길이정보로부터 얻은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가 n이라고 할 때,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고정이고 정보데이터필드의 실제 데이터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프레임의 부가정보필드의 길이는 P, 확장부가정보필드의 추가길이를 f[k]라고 가정하고,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이미 고정된 부가정보필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프레임의 고정부가정보필드의 길이는 T, 추가부가정보필드의 추가길이를 g[k]라고 가정한다. 또한, N-nf[k]를 만족하는 f[k]의 최대값을 F[k], N-ng[k]를 만족하는 g[k]의 최대값을 G[k]라고 가정한다. 여기에서, k=1,2,3...이다.
먼저, 메시지 송신측은 확장부가정보필드 또는 추가부가정보필드를 구성할 수 있는 최고차수의 생성다항식을 테이블에 저장시켜 둔다(S10). 여기에서, 비트별 최고차수의 생성다항식의 예를 들면 12비트, 16비트, 32비트의 경우에 다음과 같다.
CRC-12=X12+X11+X3+X2+X+1
CRC-16=X16+X15+X2+1
CRC-32=X32+X26+X23+X22+X16+X12+X11+X10+X8+X7+X5+X4+X2+X+1
이와 같은 CRC-12, CRC-16, CRC-32는 각각 12, 16, 32비트의 FCS를 생성하여 부가정보필드를 확장 또는 추가하도록 동작한다.
메시지의 송신측은 최고차수의 생성다항식을 테이블에 저장시켜 둔 후, 전송할 프레임이 있는가를 판단한다(S20). 판단 결과, 전송할 프레임이 없으면 전송할 프레임이 있을 때까지 계속 대기하고, 전송할 프레임이 있으면 n 번째 프레임을 판독한다(S30). 프레임을 판독한 후, 그 프레임이 가변 프레임인가를 판단(S40)하여 가변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고정 프레임을 전송하는 일반적인 CRC 방식에 의해 프레임을 수신측으로 전송하고(S50), 가변 프레임인 경우에는 데이터프레임의 제어정보필드를 판독하여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추출한다(S60). 그 후, 데이터프레임에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와 상기 단계(S60)에서 추출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비교(S70)하여 정보데이터필드 내에 유휴비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80). 유휴비트는 단계(S60)에서 추출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가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존재하며, 추출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가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와 같을 경우에는 유휴비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S80)의 판단 결과, 정보데이터필드 내에 유휴비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유휴비트를 활용할 수 있는 최대값을 산출(S90)하여 확장부가정보필드 또는 추가부가정보필드를 생성한다(S100). 최대값을 산출하는 방법과 확장부가정보필드 또는 추가부가정보필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고정이고 정보데이터필드의 실제 데이터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이하, "1의 경우"라 칭한다)와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이미 고정된 부가정보필드를 사용하는 경우(이하, "2의 경우"라 칭한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1의 경우에는 N-nf[k]를 만족하는 f[k]의 최대값을 F[k]라고 가정하였으므로 N의 값이 64비트, n의 값이 48비트, P의 값이 16비트이고, f[1]=1, f[2]=8, f[3]=12, f[4]=16...일 때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F[k]는 16이 된다. 따라서, 에러검출을 위한 확장부가정보필드의 길이는 원래의 부가정보필드와 F[k]의 값을 합한 32비트가 된다. 원래의 부가정보필드는 16비트이었으므로 CRC-16을 적용하여야 하지만 새로이 구성된 확장부가정보필드는 32비트이므로 CRC-32를 적용하게 되어 확장된 에러검출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2의 경우에는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nf[k]를 만족하는 g[k]의 최대값을 G[k]라고 가정하였으므로 N의 값이 64비트, n의 값이 48비트, T의 값이 16비트이고, g[1]=1, g[2]=8, g[3]=12, g[4]=16...일 때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G[k]는 16이 된다. 따라서, 에러검출을 위한 확장부가정보필드의 길이는 원래의 부가정보필드와 G[k]의 값을 합한 32비트가 된다. 원래의 부가정보필드는 16비트이었으므로 CRC-16을 적용하여야 하지만 새로이 구성된 전체의 부가정보필드는 추가부가정보필드를 합한 32비트가 되므로 CRC-32를 적용하게 되어 확장된 에러검출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전송할 프레임의 확장부가정보필드 또는 추가부가정보필드를 생성하면, 해당 프레임이 마지막 프레임인가를 판단(S110)하여 마지막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 프레임을 판독(S120)한 후 상기 단계(S40)로 복귀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고, 마지막 프레임인 경우에는 전송할 모든 프레임을 결정한 것이므로 원래의 프레임에 상기 단계(S100)에서 결정된 확장부가정보필드 또는 추가부가정보필드를 포함한 새로운 프레임을 구성한 후 수신측으로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의 처리과정을 종료한다(S1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부가정보필드 또는 추가부가정보필드에 에러정정용 부호를 첨가하여 전송하면 수신측에서는 데이터프레임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에러정정용 부호에는 에러를 검출 및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부호인 해밍(hamming)부호를 사용하거나 비순차적인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BCH(Bose-Chaudhuri-Hocquenghem)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해밍부호는 동기식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되며, 단일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코드이다. 이러한 해밍부호는 8421 코드에 3비트의 짝수 패리티를 추가하여 구성하며, 7비트 코드는 1, 2, 4 번째 비트에 짝수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BCH부호를 확장한 경우가 RS(Reed-Solomon)부호이며 RS부호는 연집에러 정정(Burst Error Correction)에 유용하다. 이외의 해밍부호 및 BCH부호의 구체적인 작성방법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프레임에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보다 실제의 정보데이터필드의 짧을 때 존재하는 유휴비트를 활용하여 에러의 검출 또는 정정에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효율 및 에러 검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널 상의 에러가 증가하는 경우 송신측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통지하여 송신할 정보데이터의 길이를 보다 짧게 구성하여 유휴비트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부가적인 절차 또는 회로 등의 변경없이 원하는 전송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송신측에서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의 데이터정보필드 이외에 별도로 잉여분의 데이터 비트를 부가정보필드에 추가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형성된 프레임을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프레임에 의해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어정보필드에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에 허용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와 상기 추출한 정보데이터필드의 길이를 비교하여 유휴비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휴비트를 활용할 수 있는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상태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필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필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고정이고 정보데이터필드의 실제 데이터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에는 상기 유휴비트와 상기 부가정보필드를 포함한 확장부가정보필드를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길이가 이미 고정된 부가정보필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휴비트를 추가부가정보필드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된 부가정보필드와 상기 추가부가정보필드를 포함한 부가정보필드를 구성하는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비트에 에러정정용 부호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에러정정용 부호를 판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KR1020000030447A 2000-06-02 2000-06-02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KR10032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447A KR100324202B1 (ko) 2000-06-02 2000-06-02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447A KR100324202B1 (ko) 2000-06-02 2000-06-02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803A true KR20010109803A (ko) 2001-12-12
KR100324202B1 KR100324202B1 (ko) 2002-02-16

Family

ID=4592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447A KR100324202B1 (ko) 2000-06-02 2000-06-02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4202B1 (ko) 200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26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rror protection for over the air file transfer
KR10127596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단 순환 중복 검사 코드
EP0794631A2 (en) Err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JP5282574B2 (ja) データブロックにおけるエラー検出方法およびエラー検出装置
JP4703310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11905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using parity check combining
US20130159808A1 (en)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in xDSL Using Data Retransmission
EP1154576A2 (en) Error detection scheme for ARQ systems
EP1271833A1 (en) ARQ system with transmission priority and receiver quality feedback
US6643815B1 (en) Data compression over communications links which are exposed to occasional errors
US20040064782A1 (en) Reduced latency interleaver utilizing shortened first codeword
KR100641461B1 (ko) 펑쳐링 또는 반복된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60109810A1 (en) Preamble miss detection in transmission of multi-slot packets
US7178089B1 (en) Two stage date packet processing scheme
KR20010006205A (ko) 데이터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 전송시 프레임 에러 레이트를 줄이는 방법
US20020056065A1 (en) Turb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30027792A (ko) 포맷 검출 방법
KR20090061563A (ko) 오류제어방법
KR100324202B1 (ko)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KR100376249B1 (ko) 메시지 길이에 따른 가변형 에러 제어 방법
WO1998042097A1 (en) Message encoding technique for communication systems
US6781987B1 (en) Method for packet transmission with error detection codes
JP2006345475A (ja) ネットワークのデータ伝送用エラー検出・訂正アーキテクチャ及び方法
JPH09130368A (ja) データ通信装置
US20020162071A1 (en) Forward error control of redundantly-transmitted codew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