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631A - Baby bottle - Google Patents

Baby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631A
KR20010109631A KR1020000029733A KR20000029733A KR20010109631A KR 20010109631 A KR20010109631 A KR 20010109631A KR 1020000029733 A KR1020000029733 A KR 1020000029733A KR 20000029733 A KR20000029733 A KR 20000029733A KR 20010109631 A KR20010109631 A KR 2001010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neck
main body
cen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탄티룽그로이차이아누풍세
Original Assignee
엑수완차로엔 타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수완차로엔 타위 filed Critical 엑수완차로엔 타위
Priority to KR102000002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631A/en
Publication of KR2001010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631A/en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은 부모가 갓난아이에게 우유를 먹이는 여러 가지 자세나 또는 갓난아이 스스로 포유병을 지탱하는 여러 가지 자세에 부합된다. 이러한 자세들은 갓난아이가 바닥에 누워 있거나 높은 의자에 앉아 있거나 또는 부모의 팔에 안겨서 서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갓난아이에게 우유를 먹일 때 부모가 포유병을 지탱하는 것을 편안하게 해주고 또한 갓난아이 스스로 포유병을 지탱하는 것도 편안하게 해준다. 본 발명은, 포유병의 목부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이 포유병의 주 몸체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과 다른 높이에서 평행한 것에 의해, 우유가 항상 아래로 흘러 포유병의 목부와 젖꼭지에 차오르도록 설계된다. 포유병의 목부와 주 몸체를 연결하는 포유병의 벽 부분은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기울어짐이 우유 또는 액체 음식을 높은 위치에 있는 포유병의 주 몸체로부터 낮은 위치에 있는 포유병의 목부를 향해 아래로 흐르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기울어짐에 의해 갓난아이가 우유 또는 액체 음식을 장시간 동안 즐거움을 느끼면서 일정하게 흡입할 수가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은 복통이나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공기 매체가 그의 위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mother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various positions in which the parent feeds the infant milk or various positions in which the infant supports the mother bottle. These postures include infants lying on the floor, sitting in high chairs, or standing in the arms of their parents.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ier for a parent to support a bottle when feeding a baby and also for a baby to support a bottle by its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of the bottle neck is parallel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of the bottle's main body, so that milk always flows downward to the neck and the nipple of the bottle. It is designed to fill up. The wall part of the bottle connecting the neck and main body of the bottle is inclined. This inclination causes milk or liquid food to flow down from the main body of the bottle in the high position toward the neck of the bottle in the lower position. In addition, the inclination allows the infant to constantly inhale milk or liquid food while having fun for a long time. As a result, the mammalian dise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penetration of the air medium causing the stomach pain or indigestion.

Description

포유병{BABY BOTTLE}Mammal {BABY BOTTLE}

본 발명은 갓난아이용 포유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ottle.

포유병은 갓난아이 또는 유아를 우유로 기르는데 사용되는 필수적인 기본 기구이다. 포유병의 형태는 실제 사용시와 대응하면서 좀더 편의성을 주기 위해서 많은 개선과 창안들이 있어 왔다.Mammals are an essential basic tool for raising newborns or infants with milk. There have been many improvements and inventions in the form of mammals to provide more convenience while responding to actual use.

그러나, 시장에서 포유병에 관한 가능한 연구와 실험들이 시행된 후, 포유병을 좀더 간편하고 사용하기 용이하기 위해서 제기되고 개선되어야 할 아직 여러 문제 또는 단점들이 발견되었다.However, after the possible research and experiments on mammals on the market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or shortcomings that have to be raised and improved in order to make mammals simpler and easier to use.

갓난아이에게 우유를 먹이는 경우, 부모는 갓난아이에게 우유를 먹이거나 또는 갓난아이 스스로가 포유병으로부터 우유를 흡입하게 된다. 우유를 먹일 때, 갓난아이는 바닥에 누워 있거나 또는 높은 의자에 앉아 있거나 또는 부모품에 안긴 상태로 서 있는 여러 가지 자세가 있게 된다.When a baby is fed a milk, the parent may feed the baby or the baby himself sucks milk from the bottle. When feeding milk, the baby has various postures, lying on the floor, sitting in a high chair, or standing in a parent's arms.

누워 있는 경우, 일반적인 실린더 형태의 포유병으로부터 우유를 흡입하거나 또는 먹이는 것은 이러한 자세에 적합하다. 그 이유는, 포유병의 젖꼭지와 목부가 아래를 향하고 그의 저부가 항상 들어올려진 상태이므로, 우유는 젖꼭지측으로 균일하게 흐르기 때문이다. 실린더 형태 또는 다른 형상의 포유병은 누워 있는 자세에서 우유를 먹이기에 항상 적합하다.When lying, inhaling or feeding milk from a normal cylindrical bottle is suitable for this position. The reason is that since the nipple and the neck of the bottle are downward and its bottom is always lifted up, the milk flows uniformly to the nipple side. Cylinders of cylindrical or other shape are always suitable for feeding milk in the lying position.

앉아 있거나 또는 갓난아이가 부모 팔에 안겨 있는 경우, 포유병의 젖꼭지와 목부의 위치는 갓난아이의 입과 동일한 위치보다 약간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동일해야만 한다. 일반적인 실린더 형태의 포유병은 이러한 자세에 무리없이 사용될 수 있다.If sitting or the baby is in the parent's arm, the position of the nipple and neck of the bottle should be raised or the same slightly above the same position as the baby's mouth. Common cylinder-type bottles can be used in this position without difficulty.

그러나, 포유병내의 우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포유병의 저부가 더 높이 들어올려져야만 한다. 동시에, 갓난아이가 포유병으로부터 우유를 일정하게 흡입하기 위해서는, 포유병의 저부가 점진적으로 상승됨에 따라, 갓난아이의 얼굴이 위를 향하는 것에 수반하여 갓난아이의 자세가 맞추어져야 된다. 이러한 것은 부모와 갓난아이 모두에게 다소 성가시고 어려운 일이 된다.However, as the amount of milk in the bottle decreases, the bottom of the bottle must be lifted higher. At the same time, in order for a baby to inhale milk constantly from the bottle, as the bottom of the bottle is gradually raised, the baby's face must be aligned with the face of the baby facing upwards. This is somewhat annoying and difficult for both parents and babies.

짐 디. 스테픈슨과 퓨얼 씨, 도너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676,387호에서의 포유병 형태에서는, 포유병 형상이 그의 주 몸체를 이분하는 목부와 젖꼭지를 통과하는 축에 대해 구부러져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형상은일반적인 실린더 형태의 포유병보다는 갓난아이에게 우유를 먹이기에 편리하다.Jim D. In the bottle shape in US Pat. No. 4,676,387 to Stephenson and Mr. Fuel, Donner, the bottle shape is bent at an angle by bending about its axis through the neck and the nipple dividing its main body. Becomes This shape is more convenient for feeding a baby than a normal cylindrical bottle.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포유병은 제기된 몇가지 단점을 갖는데, 특히 갓난아이가 그의 얼굴상에서 포유병을 지탱할 때이다. 그 이유는 포유병의 목부가 다소 짧기 때문에, 갓난아이는 포유병을 견고히 파지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더욱이, 포유병의 몸체가 위로 경사진 저부에 대해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갓난아이의 손목이 부자연스럽게 비틀린다는 사실이다. 갓난아이의 손목은 곧 피로를 느끼게 된다. 결과적으로, 갓난아이는 포유병을 떨어뜨릴 것이고 우유를 흡입하는 것에 싫증이 날 것이다.However, this type of mammal has some disadvantages raised, especially when a baby bears it on his face. The reason is that because the neck of the bottle is rather short, the baby cannot hold the bottle firmly. Moreover, the baby's wrist is unnaturally twisted because the body of the bottle is bent over the inclined bottom. The baby's wrist soon becomes tired. As a result, babies will drop off the bottle and get tired of inhaling milk.

서 있는 자세는 부모의 도움없이 스스로 포유병을 지탱할 수 있는 성장한 갓난아이에게는 적합하다. 이러한 자세에서 갓난아이가 직면하는 문제는 갓난아이가 앉아 있는 자세일 경우에 직면하는 문제와 유사하다. 서 있는 자세에서, 갓난아이는 일반적인 실린더 형태의 포유병을 견고히 파지할 수 있는 반면에, 포유병의 저부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그의 머리를 위로 올려야만 하는 것에 있어서는 불편하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갓난아이가 우유를 흡입하는 도중에, 우유는 포유병의 목부까기 차오를 것이다.Standing poses are suitable for growing babies who can support a bottle on their own without parental assistance. The problem faced by a baby in this position is similar to the problem faced when the baby is in a sitting position. In a standing position, a baby can hold a regular cylinder-shaped bottle, whereas it is inconvenient to lift the head of the bottle and lift his head up at the same time. In this operation, while the baby sucks milk, the milk will fill the neck of the bottle.

스페픈슨과 도너에 의해 발명된 포유병이 포유병의 젖꼭지와 목부에 우유가 차오르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약간의 단점도 갖고 있다. 포유병을 지탱하는 중에, 갓난아이는 부자연스럽게 손목을 비틀어야만 하고, 이로 인하여 쉽게 손목에 피로를 느끼게 된다. 결과적으로, 갓난아이는 포유병을 떨어뜨릴 것이고, 또한 우유를 흡입하는 것에 싫증을 낼 것이다.While the mammals invented by Seffenson and Donner can cause milk to fill the nipples and throats of the mammals, they also have some drawbacks. While supporting a bottle, a baby has to twist his wrist unnaturally, which makes his wrist fatigue easily. As a result, the baby will drop the bottle and get tired of inhaling milk.

그러므로, 부모가 갓난아이에게 우유를 먹이거나 또는 갓난아이 스스로가 포유병을 지탱할 경우의 여러 가지 자세에 맞추어지는 포유병이 필요하게 된다. 포유병은 항상 그의 젖꼭지와 목부에 우유가 차오르도록 하여, 갓난아이가 장시간 동안 즐거움을 느끼면서 우유를 일정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더욱이, 복통이나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공기 매체를 갓난아이가 섭취하는 경우를 방지해야만 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bottle adapted to various postures when the parent feeds the baby or the baby supports the bottle. The bottle should always be filled with milk in his nipples and neck, so that the baby can inhale milk constantly while having a long time of pleasure. Moreover, infants should be prevented from ingesting air media that cause stomach pain or indiges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 mam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mamm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사용중에 있는 빈 포유병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n empty mammal bottle in use.

도 4는 사용중에 있는 빈 포유병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pty mammal bottle in use.

도 5는 누운 자세로 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나타낸 도면.Figure 5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ying a bottle with the front facing up in a lying position.

도 6은 누운 자세로 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기를 제외한 확대 도면.Figure 6 is an enlarged view except for a newborn baby supporting the front facing up in a lying position.

도 7은 누운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나타낸 도면.Figure 7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ying a bottle with the rear facing up in a lying position.

도 8은 누운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제외한 확대 도면.Figure 8 is an enlarged view excluding the newborn baby supporting the bottle facing the back in the lying down position.

도 9는 앉은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ying a bottle with the rear facing upwards in a sitting position.

도 10은 앉은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제외한 확대 도면.10 is an enlarged view excluding a newborn baby supporting a rearward facing up bottle in a sitting position;

도 11은 서 있는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나타낸 도면.11 is a view of a newborn baby supporting a bottle with the rear facing upwards in a standing position;

도 12는 서 있는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제외한 확대 도면.12 is an enlarged view excluding a newborn baby supporting a rearward facing up bottle in a standing posi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전면 2 ; 좌측면One ; Front 2; Left side

3 ; 후면 4 ; 저면3; Rear 4; Bottom

5 ; 스크류 커버 6 ; 젖꼭지5; Screw cover 6; nipple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은 갓난아이 또는 유아가 병으로부터 우유 또는 액체 음식을 장시간 동안 즐거움을 느끼면서 흡입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은 우유로 갓난아이를 기를 경우 갓난아이의 여러 다른 자세에 맞추어지거나, 또는 누워있거나 앉아있거나 또는 서있는 것을 포함하는 여러 다른 자세로 포유병을 지탱하는 부모 또는 갓난아이에 맞추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갓난아이가 우유를 흡입하는 중에, 포유병의 목부와 몸체간의 높이가 다르다는 잇점이 있는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 덕분에, 우유는 항상 아래로 흘러서 포유병의 목부에 차오르게 된다.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llow a newborn or infant to inhale milk or liquid food from the bottle for a long time with pleasure. In addition, the mother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apted to a parent or newborn child supporting the bottle in various other postures, including adapting to a different position of the newborn or lying, sitting or standing when the newborn baby is raised. It is to be tailored. And, while the infant sucks milk, thanks to the speci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the height between the neck and the body of the bottle is different, the milk always flows down and fills the neck of the bottle.

본 발명의 포유병을 사용하게 되면, 포유병을 기울이거나 또는 항상 포유병의 저부를 들어올리지 않아도 된다. 목부와 몸체간의 포유병 연결부가 기울어져서, 우유 또는 액체 음식은 항상 높은 위치에 있는 포유병의 몸체로부터 낮은 위치에 있는 목부로 흐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복통이나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공기 매체가 갓난아이의 위로 침투하는 경우를 최대한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With the mammalian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tilt the bottle or to always lift the bottom of the bottle. The bottle connection between the neck and the body is tilted so that milk or liquid food always flows from the body of the bottle in the high position to the neck in the lower position.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as much as possible the infiltration of an air medium causing abdominal pain or indigestion into the ba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의 정면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은 포유병의 전면, 2는 좌측면, 3은 후면, 4는 저면, 5는 스크류 커버, 6은 니플을 나타낸다. 도 1은 포유병 사용중에, 니플(6)을 포유병의 입구에 지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작용하는 스크류 커버(5)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am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the front of the bottle, 2 is the left side, 3 is the rear, 4 is the bottom, 5 is a screw cover, 6 is a nipple. 1 shows a screw cover 5 which acts a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nipple 6 at the entrance of the bottle during the use of the bott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의 후면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3은 포유병의 후면, 2는 좌측면, 4는 저면을 나타낸다. 도 2는 포유병의 주 몸체 형상이 내측으로 구부러진 포유병의 저면(4)과 함께 실린더 형상이란 것을 도시하고 있다. 포유병의 주 몸체의 상부의 단부는 경사지게 앞쪽으로 구부러진 후 방향을 전환해서 위를 향해 있다. 포유병의 이러한 부분은 주 몸체와 목부를 연결하는 포유병의 결합벽이라 칭해진다. 포유병의 목부는, 그의 사용중에 스크류 커버(6)와 젖꼭지(5)와 함께 조립되는 상단 개방구와 함께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the rear of the bottle, 2 is the left side, 4 is the bottom. FIG. 2 shows that the main body shape of the bottle is cylindrical with the bottom face 4 of the bottle bent inwardly. Th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bottle is obliquely bent forward and then turns upward to face upward. This part of the bottle is called the mating wall of the bottl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neck. The neck of the bottl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top opening that is assembled with the screw cover 6 and the nipple 5 during its use.

도 3은 포유병 사용중의 위치에서 포유병 측면도이다. 젖꼭지와 스크류 커버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은 주 몸체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 축들은 포유병의 저면(4)으로부터 목부와 젖꼭지(6)를 향하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side view of the mammal in a position in use of the mammal.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nipple and screw cover is located below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main body. These axes are shown in dashed lines from the bottom 4 of the bottle towards the neck and the nipple 6.

도 4는 빈 포유병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음의 특징들과 부분들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pty mammal bottle. 4 shows the structure of a mamm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eatures and parts.

포유병의 주 몸체는 밀폐된 하단을 제외하고 개방된 상단과 함께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포유병의 주 몸체는 그와 목부를 연결하는 포유병의 벽에 연결된다. 포유병의 연결벽은 개방된 양단과 함께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연결벽의 직경 중심을 관통하는 축의 저부는 포유병의 주 몸체의 직영 중심을 관통하는 축의 상부와 교차되어서, 10 내지 90。 정도 범위내의 각도로 구부러진 곡률부를 형성하게 된다. 연결벽의 직경 중심을 관통하는 축의 상부는 목부의 직경 중심을 관통하는 축의 하부와 교차된다. 포유병의 목부는 개방된 양단과 함께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연결벽의 직경 중심을 관통하는 축의 상부는 목부의 직경 중심을 관통하는 축의 저부와 교차되어서, 10 내지 90。 범위내의 각도로 구부러진 곡률부를 형성하게 된다. 포유병의 주 몸체의 직경 중심을 관통하는 축이 목부의 직경 중심을 관통하는 축과 평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두 축간에는 높이차 x가 존재하고, 그 차이는 5㎜이다. 또한, 포유병의 목부 상부면은 포유병의 저부면과 평행하다.The main body of the bottl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except for the closed bottom. The main body of the bottle is connected to the wall of the bottle that connects it with the neck. The connecting wall of the bottl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he bottom of the shaft penetrating the diameter center of the connecting wall intersects with the top of the shaft penetrating the direct center of the bottle's main body, thereby forming a curvature bent at an angle in the range of 10 to 90 degrees. The upper part of the shaft penetrating the diameter center of the connecting wall intersects the lower part of the shaft penetrating the diameter center of the neck. The neck of the bottl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he upper part of the shaft penetrating the diameter center of the connecting wall intersects with the bottom of the shaft penetrating the diameter center of the neck, thereby forming a curvature bent at an angle in the range of 10 to 90 degre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xis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main body of the bottle is parallel to the axis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neck.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x between the two axes, the difference being 5 mm. Also, the neck top surface of the mammal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mmal.

도 5는 갓난아이가 누워있는 자세에서 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경우에서 포유병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갓난아이가 포유병을 지탱하는 방식이 갓난아이가 우유를 흡입하는 방식과 맞추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포유병의 니플(6)은, 갓난아이가 주 몸체의 부분을 지탱할 때, 아래를 향하고, 저면(4)은 위를 향하게 된다.Figure 5 shows the use of the bottle in the case of supporting the bottle with the front facing up in the newborn baby lying position. In addition, FIG. 5 shows that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supports the bottle is matched with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inhales milk. In this position the nipple 6 of the bottle is faced down when the baby bears a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bottom 4 is faced up.

도 6은 갓난아이가 바닥에 누워서 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경우에서 갓난아이를 제외한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포유병은 도 5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우유 또는 액체 음식은 항상 포유병의 목부와 젖꼭지(6)에 차올라서, 포유병에는 적은 양의 우유 또는 마지막 액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rt except the baby in the case where the baby is lying on the floor and supporting the bottle with the front facing upward. The mammal is placed in the position as shown in FIG. 5.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ilk or liquid food will always fill the neck and nipple 6 of the bottle so that a small amount of milk or the last liquid remains in the bottle.

도 7은 누운 상태에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갓난아이가 포유병을 지탱하는 방식과 갓난아이가 우유를 흡입하는 방식이 맞추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갓난아이가 도 5와 유사하게 주 몸체 부분을 지탱하는 경우에, 포유병의 젖꼭지(6)는 아래를 향하고, 저면은 들어올려진다. 그러나, 포유병은 그의 후면이 위를 향하면서 전도된다. 또한, 포유병의 이러한 자세는 부모가 갓난아이에게 우유를 먹이는 경우에 적합하다.Figure 7 shows a baby carrying a bottle with the rear facing upwards in a state of lying down. In addition, FIG. 7 shows that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supports the bottle and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inhales milk are matched. In this position, when the baby bears the main body part similarly to Fig. 5, the nipple 6 of the bottle is facing down and the bottom is lifted up. However, the mammal is inverted with its rear face up. In addition, this position of the mammal is suitable when the parent is feeding the baby with milk.

도 8은 바닥에 누워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포유병은 그의 후면이 위를 향한 상태로 도 7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도 6과 유사하게, 우유 또는 액체 음식은 포유병의 목부와 젖꼭지로 항상 차올라서, 포유병내에는 미량의 우유 또는 액만이 남게 된다.Figure 8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other parts except the newborn baby lying on the floor to support the bottle with the rear facing upwards. The bottle is inclined as shown in FIG. 7 with its rear side facing up. Similar to FIG. 6, milk or liquid food is always filled with the neck and nipple of the bottle, leaving only a small amount of milk or liquid in the bottle.

도 9는 앉아 있는 자세에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는 갓난아이가 포유병을 지탱하는 방식이 갓난아이가 우유를 흡입하는 방식과 맞추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갓난아이가 주 몸체의 부분을 편안하게 지탱할 때, 포유병의 젖꼭지(6)는 아래를 향하고, 후면은 위을 향하며, 저면은 약간 들어올려지게 된다. 포유병을 지탱할 때, 갓난아이의 손목은 부자연스럽게 비틀어지지 않게 되고, 반면에 갓난아이는 머리를 들어올리거나 위를 향하지 않아도 되므로, 갓난아이의 목내에 있는 근육에 피로를 느끼지 않게 된다.9 shows a baby carrying a bottle with the rear facing up in a sitting position. 9 also shows that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supports the bottle is matched with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inhales milk. In this position, when the baby comfortably supports a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bottle's nipple 6 faces downwards, the rear face upwards and the bottom slightly lifts up. When supporting a bottle, the baby's wrist is not unnaturally twisted, while the baby does not have to lift his head or face up, so he does not feel fatigue in the muscles in the baby's neck.

도 10은 앉아 있는 자세에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확대 도시하고 있다. 포유병은 그의 후면이 위를 향한 상태로 도 9와 같이 약간 기울어지게 된다. 우유나 액체 음식은 높은 위치에 있는 포유병의 주 몸체로부터 계속해서 흘러 낮은 위치에 있는 젖꼭지(6)로 균일하게 차오르게 됨을 알 수 있다.Figure 10 shows an enlarged view of other parts except the newborn baby supporting the rear facing upwards in the sitting position. The bottle is inclined slightly as shown in FIG. 9 with its rear side facing up. It can be seen that milk or liquid food continues to flow from the main body of the bottle in the high position and evenly fills the nipple 6 in the low position.

도 11은 서 있는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은 갓난아이가 포유병을 지탱하는 방식과 갓난아이가 우유를 흡입하는 방식이 맞추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갓난아이가 주 몸체의 부분을 편안하게 지탱할 때, 포유병의 젖꼭지(6)는 아래를 향하고, 후면은 위를 향하며, 저면은 약간 상승된다. 포유병을 지탱하는 중에, 갓난아이의 손목은 부자연스럽게 비틀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위치는 걸음마를 배우기 시작하는 갓난아이에게 적합하다. 갓난아이는 그의 머리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위를 향하지 않게 하여도 서 있거나 또는 걸어다니면서 우유를 흡입할 수가 있게 되므로, 그의 목내에 있는 근육에 피로를 느끼지 않게 된다.11 shows a baby carrying a bottle with the rear facing upwards in a standing position. In addition, FIG. 11 shows that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supports the bottle and the manner in which the infant inhales milk are matched. When the baby comfortably bears a part of the main body, the bottle's nipple 6 faces downwards, the rear face upwards, and the bottom rises slightly. While supporting a bottle, the baby's wrist is not unnaturally twisted. This position is suitable for babies who are beginning to learn to walk. A baby is able to inhale milk while standing or walking without lifting his head or facing upwards, so he does not feel fatigue in the muscles in his neck.

도 12는 서 있는 자세로 후면이 위를 향하는 포유병을 지탱하는 갓난아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확대 도시하고 있다. 포유병은 그의 후면이 위를 향한 상태로 도 10과 유사하게 도 11과 마찬가지로 약간 기울어지게 된다. 우유나 액체 음식은 높은 위치에 있는 포유병의 주 몸체로부터 계속해서 흘러서 낮은 위치에 있는 젖꼭지(6)에 차오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gure 12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other parts of the baby except for the baby supporting the rearward facing up bottle in the standing position. The bottle will be slightly inclined as in FIG. 11 with its rear face up. It can be seen that milk or liquid food continues to flow from the main body of the bottle in the high position to fill the nipple 6 in the low position.

Claims (4)

개방된 상단과 밀폐된 하단을 갖는 실린더 형상의 주 몸체;A cylindrical main body having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상기 주 몸체와 목부를 연결하고, 개방된 양단을 갖는 실린더 형상의 벽 부분; 및A cylindrical wall portion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neck and having open ends; And 개방된 양단을 갖는 실린더 형상의 목부를 포함하고,A cylindrical neck having open both ends, 상기 주 몸체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과 상기 연결벽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는 연결벽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의 상부와 상기 목부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와 동일하며,An angle formed by connecting a shaf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main body and a shaf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connecting wall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connecting wall and a shaft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of the neck. Is the same as the angle formed, 상기 목부의 상부는, 우유나 액체 음식을 채우기 위해 또한 젖꼭지와 스크류 커버를 조립하기 위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병.The upper part of the neck is an open cylindrical shape for filling milk or liquid food and for assembling the nipple and the screw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은 목부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과 평행하고, 상기 두 축간에는 5 내지 50㎜의 높이차가 있으며, 상기 주 몸체와 목부를 연결하는 벽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은 주 몸체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의 상부와 교차되어서 곡률부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벽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도 목부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의 하부와 교차되어서 다른 곡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병.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of the main body is parallel to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of the neck,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of 5 to 50mm between the two axes, the wall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neck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main body intersects with the top of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main body to form a curva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wall intersects with the bottom of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diameter of the neck to form another curvature. Mammal,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와 목부를 연결하는 벽의 직경중심을 통과하는 축이 주 몸체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과 교차되어 형성되는 각도의 측정치와, 상기 연결벽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이 목부의 직경 중심을 통과하는 축과 교차되어 형성되는 각도의 측정치는 1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병.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measured value of the angle formed by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diameter of the wall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neck intersects with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of the main body, A mamm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angle formed by intersecting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with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center of the neck is 10 to 90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의 입구면은 저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병.The mammal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its entrance face is parallel to the bottom.
KR1020000029733A 2000-05-31 2000-05-31 Baby bottle KR200101096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33A KR20010109631A (en) 2000-05-31 2000-05-31 Baby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33A KR20010109631A (en) 2000-05-31 2000-05-31 Baby bott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631A true KR20010109631A (en) 2001-12-12

Family

ID=6027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733A KR20010109631A (en) 2000-05-31 2000-05-31 Baby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6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6387A (en) Nursing bottle for infants
US6966904B2 (en) Feeding device and feeding method for infants
KR100769545B1 (en) Pacifier
US5234117A (en) Straw adaptor for baby bottle
US6305562B1 (en) Nursing bottle with gripping recesses
US20120012550A1 (en) Nipple for a Baby Container with Pressure-Equalizing Valve
WO2000064315A1 (en) Drinking learning cup
JP7467035B2 (en) pacifier
KR20010109631A (en) Baby bottle
JP4049451B2 (en) Beverage container
AU762200B2 (en) Baby bottle
EP1121923B1 (en) Baby bottle
CN209092201U (en) A kind of oral administration unit
CN207545487U (en) A kind of children's solid-state and liquid medicine dual-purpose type medicine feeding spoon
CN208851027U (en) A kind of infant holding pad and its component
JPH0731788Y2 (en) baby bottle
CN2089339U (en) Nursing container
CN2524612Y (en) Spoon for feeding food
KR200223432Y1 (en) Milk-supplying divece using siphon effect
KR900000787Y1 (en) Feeding bottle
JPS6223486Y2 (en)
JP3060825U (en) Safe nursing baby bottle
JP2545672Y2 (en) Handicapped cup
KR200256043Y1 (en) a bottle of inclination
KR200263608Y1 (en) Bottle with straw and learn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