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507A -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 Google Patents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507A
KR20010109507A KR1020010069303A KR20010069303A KR20010109507A KR 20010109507 A KR20010109507 A KR 20010109507A KR 1020010069303 A KR1020010069303 A KR 1020010069303A KR 20010069303 A KR20010069303 A KR 20010069303A KR 20010109507 A KR20010109507 A KR 2001010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electrode
heating element
pre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797B1 (ko
Inventor
김창주
Original Assignee
김창주
전지수
(주)부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주, 전지수, (주)부풍 filed Critical 김창주
Priority to KR10-2001-006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79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5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heating conductor arranged in metal tubes, the radiating surface having heat-conducting f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여러겹의 방열판을 압입결속시킨 스텐레스 원통 내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제원통을 압입밀착시키고, 상기 동제원통 내측에 내열성이 높은 산화알루미나를 양생후 소결시켜 절연층을 형성시킨 하우징부와, 상기 절연층 내측에 충진되는 탄소입자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부의 원통관 양단에서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를 압입밀봉시키며 중심부에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절연플러그와, 상기 절연플러그의 통공에 내삽되는 스텐레스제 원통도관으로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전극용소켓과, 상기 전극용 소켓의 암나사에 안내되어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내에 압입되는 탄소전극과,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단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조임되면서 상기 탄소전극에 압입력을 제어시키는 포금제볼트와, 상기 포금제볼트에 전극용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시키는 외부전원터미널로 된 전극조정부로 구성된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 전호의 길이가 일정하게 조절되어 발열량이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탄소입자의 산화가 방지되고 열팽창에 의한 스트레스가 발생되지 않아 장치의 수명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저항을 조정할 수 있어 3상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heat generating device with cabon grains}
본 발명은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면에여러겹의 방열판을 압입결속시킨 스텐레스(SUS) 원통 내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제원통을 압입밀착시키고, 상기 동제원통 내측에 내열성이 높은 산화알루미나를 양생후 소결시켜 절연층을 형성시킨 하우징부와, 상기 절연층 내측에 충진되는 탄소입자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부의 원통관 양단에서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를 압입밀봉시키며 중심부에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절연플러그와, 상기 절연플러그의 통공에 내삽되는 스텐레스제 원통도관으로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전극용소켓과, 상기 전극용 소켓의 암나사에 안내되어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내에 압입되는 탄소전극과,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단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조임되면서 상기 탄소전극에 압입력을 제어시키는 포금제볼트와, 상기 포금제볼트에 전극용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시키는 외부전원터미널로 된 전극조정부로 구성된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발열장치는 아크방전에 의한 열과 주울열을 열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장치로써, 절연체에 수용된 탄소입자의 양단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인접한 상기 탄소입자간의 아크방전과 접촉저항에 의해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장치로써, 석유계 연료를 사용할 경우와 달리 공해물질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아크방전이란 전호방전 또는 호광방전, 줄여서 전호 또는 아크라고도 하는데, 아크방전상태에서는 음극에서 충분한 열전자가 공급되고 음양 두 극간의 전위차는 낮아 큰 전류가 흐른다.
아크상태에서 음극강하는 작고 양극과의 사이는 플라스마로 이어져 있으며,플라스마의 온도는 3,000~6,000 ℃로 강하게 빛나는데, 양극 부근은 특히 온도가 높으며, 전극 물질의 일부가 증발되어 있고 연속스펙트럼의 광원이 된다.
아크방전을 일으키는 일반적인 방법은 탄소나 금속 막대를 전극으로 해서 수 Ω의 안전저항을 통해 약 100 V의 전원에 연결하고, 두 전극을 접속시켰다가 떼어놓으면서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가스가 들어 있는 방전관에 직렬저항을 넣고 전극전압을 방전개시전압 이상으로 높이면 글로(glow) 방전을 거쳐 이 상태로 된다.
아크의 이용으로는 수은정류기 ·열음극정류관 ·사이러트론 ·광원을 비롯하여 각종 아크등 ·수은아크등이 있으며, 탄소 또는 텅스텐 등 끓는점이 높은 전극을 사용해서 금속의 발광분석을 하고, 고온을 이용한 아크가열은 금속을 용접하거나, 전기로 ·아크로 등을 만드는 등 용도가 넓다.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또다른 열원으로는 주울열이 있다.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량 Q(칼로리)는 전류 I(A)의 제곱과 저항 R(Ω), 시간 t(초)의 곱에 비례하는데 주울열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Q = 0.24I2Rt(칼로리)
그런데 도체의 저항은 온도에 따라 또한 변한다. 금속의 저항은 온도가 올라가면 커진다.
그것은 금속원자의 열진동이 심해져서 자유전자의 운동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온도가 1도 상승하는데 따른 저항의 증가비율을 저항의 온도계수라고 한다.
그러나 탄소, 반도체, 전해질, 방전관 등은 온도가 상승하면, 반대로 저항이감소하는데 이것을 부성저항라고 한다.
종래기술방식에 있어서 탄소발열체는 내화벽돌케이스 좌우에 전극을 설치하고 케이스내에 탄소입자를 수용한 후, 양단의 전극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방식이다.
이에의해 탄소입자간 접촉점에는 아크방전이 발생되고, 양단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주울열이 발생되게 된다.
도1은 종래기술방식의 탄소발열장치의 대표적인 도면이다.
종래기술방식의 탄소발열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입자(10)가 내화절연 케이스(20)내에 수용되어 있다.
종래 방식의 탄소발열장치는 수용된 탄소입자(10)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종래기술방식에 의한 탄소발열장치의 경우 아크방전에 의한 열이나 주울열의 발생은 양호하나, 사용시간이 오래되면 열원에 의하여 탄소입자가 고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케이스내의 탄소입자가 사용중 진동에 의해 분급되어 저면에는 미세입자가 모이고 표면으로 갈수록 굵은 입자가 모여들어 열원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아크방전에 의해 열이 많이 발생되므로 분급후에는 상층으로 열원이 집중되고 상기 열원으로 인하여 고화현상이 더욱 두드려져 탄소발열장치의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표면층은 공기에 노출되어 탄소입자의 산화가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층의 수명도 같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자간의 크기차이로 인하여 극주변에 아크가 많아서 전극(50)의 양단측에서 발생되는 열원과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열원의 차이가 커서 열효율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전극(50)의 소손정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내의 탄소량을 조정하기 힘들어 동일한 저항을 가지는 장치를 구성할 수 없어 부하가 3상평형일 때 사용할 수 있는 3상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탄소발열장치의 탄소입자가 분급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용되며 고화및 열집중이 방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3상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탄소발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방식에 의한 케이스형 탄소발열장치.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의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스텐레스 원통 115 : 방열판
120 : 동제원통 130 : 절연층
210 : 절연플러그 220 : 전극용 소켓
230 : 탄소전극 240 : 포금제금속
250 : 외부전원터미널 260 : 전극용너트
310 : 탄소입자발열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여러겹의 방열판을 압입결속시킨 스텐레스(SUS) 원통 내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제원통을 압입밀착시키고, 상기 동제원통 내측에 내열성이 높은 산화알루미나를 양생후 소결시켜 절연층을 형성시킨 하우징부와 상기 절연층 내측에 충진되는 탄소입자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부의 원통관 양단에서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를 압입밀봉시키며 중심부에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절연플러그와, 상기 절연플러그의 통공에 내삽되는 스텐레스제 원통도관으로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전극용소켓과, 상기 전극용 소켓의 암나사에 안내되어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내에 압입되는 탄소전극과,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단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조임되면서 상기 탄소전극에 압입력을 제어시키는 포금제볼트와, 상기 포금제볼트에 전극용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시키는 외부전원터미널로 된 전극조정부로 구성된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탄소입자발열체는 하우징부내에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적층되어 입자층이 크기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입자층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양단에서 압입되는 상기 탄소전극과 접촉되는 미세입자로 구성된 미세입자층과 상기 미세입자층과 접촉압입되는 중간입자층과, 중간입자층과 접촉압입되는 큰입자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중간입자층과 큰입자층은 상기 하우징부내의 절연층내에서 교번하여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2와 도3에는 크게 하우징부와 탄소입자발열체와 발열량조절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외주면에 여러겹의 방열판(115)을 압입결속시킨 스텐레스 원통(110) 내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제원통(120)을 압입밀착시키고, 상기 동제원통(120) 내측에 내열성이 높은 산화알루미나를 양생후 소결시켜 절연층(130)을 형성시켜 구성된다.
상기 탄소입자발열체(310)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절연층 내측에 충진되는 탄소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탄소입자는 하우징부내에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적층되어 입자층이 크기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주목할 만 하다.
또한 상기 탄소입자발열체(310)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양단에서 압입되고 탄소전극(230)과 접촉되는 미세입자로 구성된 미세입자층(310-a)과 상기 미세입자층(310-a)과 접촉압입되는 중간입자층(310-b)과, 중간입자층(310-b)과 접촉압입되는 큰입자층(310-c)으로 구분되고, 상기 중간입자층(310-b)과 큰입자층(310-c)은 상기 하우징부의 절연층내에서 교번하여 적층되는 것을 주목할 만 하다.
상기 전극조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원통관 양단에서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를 압입밀봉시키며 중심부에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절연플러그(210)와, 상기 절연플러그의 통공에 압입되는 스텐레스제 원통도관으로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전극용소켓(220)과, 상기 전극용 소켓(220)의 암나사에 안내되어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내에 압입되는 탄소전극(230)과,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단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용 소켓(220)에 나사조임되면서 상기 탄소전극(230)에 압입력을 제공시키는 포금제볼트(240)와, 상기 포금제볼트(240)에 전극용너트(260)에 의해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시키는 외부전원터미널(25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부는 탄소입자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하여 절연층(130)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통상 절연체는 열전도성이 나쁘므로 상기 하우징부의 절연층은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야 한다.
또한 상기 탄소입자층의 불균일로 인하여 국부적인 열집중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열집중으로 절연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층을 내열성이 높은 산화 알루미나(98%)로 동제원통(120) 내측에 직접 양생하고 자연건조시킨 후 600℃ 정도로 소결시켜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절연층(130)을 형성시키면서,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제원통(120)이 절연층(130)의 집중열을 하우징부 전체로 분산시키면서 방사시키도록 하여 절연층(130) 전체가 고르게 열평형되도록 함으로써 절연층(130)의 부등 팽창 수축에 의한 균열발생을 억제시킨다.
또한 상기 절연층(130)은 외부의 동제원통(120)보다 온도 변화에 의한 열 팽창률이 적어서, 발열에 의한 열팽창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즉, 내부발열에 의하여 절연층(130) 및 동제원통(120)은 열팽창 되는 데 동제원통(120)의 열팽창율이 절연층(130)보다 크므로 먼저 팽창되어 절연층(130)이 열팽창되면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제원통(120)은 400℃ 이상의 고열에서 산화 마멸되므로, 동제원통(120)의 외측을 보호시키고 열을 외부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여러겹의 방열판(115)을 압입결속시킨 스텐레스 원통(110)을 외측에 피복시킨다.
이하 상기 탄소입자발열체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부에 압입밀봉되고 내부에 적층되는 탄소입자(310)가 크기별로 적층되어 입자간 공극이 일정하므로, 내부 탄소입자는 외부진동에 의한 물리적인 이동이 발생되지 않아, 내부의 적층구조가 사용중 변화되지 않는다.
탄소계 발열체 입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열은 아크(전호)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상온에서 1700℃의 온도 이하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가능한한 아크(전호)의 길이를 짧게하고 발생 아크열을 내부에 축적되지 않고 외부로 잘 배출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탄소입자발열체(310)에 전기가 통전될 때, 탄소입자발열체(310)의 입자간 전호가 일정하게 발생되게 하기 위하여는 탄소입자의 모양을 구형으로 균일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소입자발열체(310)가 입자의 크기에 따라 미세입자층(310-a), 중간입자층(310-b), 큰입자층(310-c)으로 분류되어 상기 하우징내에 적층된다.
이때 상기 미세입자층(310-a)은 하우징부 양측단의 탄소전극(230)과 접촉되고 순차적으로 중간입자층(310-b), 큰입자층(310-c)이 적층되며, 중간입자층(310-b)과 큰입자층(310-c)은 하우징부의 중간부분에서 교번하여 적층된다.
본 발명의 탄소입자가 발생시키는 열은 주울열과 아크열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울열은 저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주울열은 Q = 0.24I2Rt(칼로리) 이므로 전류가 일정하면 발생되는 주울열은 저항에 의해 비례되는데, 상기 하우징부 내측의 탄소입자층은 직렬연결상태이므로 통과하는 전류의 양은 일정하여 상기 탄소발열체의 발열량은 탄소입자의 저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탄소입자의 저항은 입자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입자가 작을 수록 접촉면적이 넓어 저항이 작고, 입자가 클수록 접촉면적이 크므로 저항이 크다.
또한 아크방전의 경우에도 탄소입자간의 거리에 의해 전호의 거리가 결정되고 전호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열량이 비례된다.
따라서 입자가 클수록 주울열이나 아크열의 발생량이 크다.
본 발명의 탄소입자의 적층구조를 다시보면 양단에는 미세입자층(310-a)이 탄소전극(230)과 접속되어 있다.
이는 탄소전극(230)이 과열에 의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입자층(310-a)을 적층하여 중간입자층(310-b)이나 큰입자층(310-c)보다 작은 열량이 발생되도록 유도시키고, 중간입자층(310-b)과 큰입자층(310-c)의 순서로 적층시킴으로써 탄소전극(230)와의 거리에 따라 점증발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중간입자층(310-b)과 큰입자층(310-c)은 하우징부내에 교번 적층되는데, 입자의 크기에 따른 발열량도 규칙적으로 교번된다.
즉, 입자가 큰쪽의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전극으로부터 최대발열점(큰입자층(310-c))까지 순차 점증발열되고, 중간입자층(310-b)과 교번적층시킴으로써 내부발열량을 조정시키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큰입자층(310-c)은 하우징부 내에서 교번적으로 분배적층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고른 발열이 되며, 중간에 적층되는 중간입자층(310-b)을 삽입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발열량을 조절시키는 것이다.
상기 발열량의 조절은 큰입자층(310-c)과 중간입자층(310-b)의 길이비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교번 적층구조는 하우징부의 절연층의 부등팽창수축을 최소화시키는 데도 이점이 있다.
이하 도2, 도3, 도4와 함께 상기 절연플러그(210)와 전극용소켓(220)과 탄소전극(230)과 포금제볼트(240)와 외부전원터미널(250)로 구성되는 전극조정부의 기능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탄소입자에 내삽된 탄소전극(230)은 500℃ 이상의 고온에서는 산소와 접촉시 산화마멸되므로 전기저항의 변화나 전기스파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내의 탄소입자는 공극이 일정하도록 압입 밀착시켜 공극을 최소화시켜야 하고, 하우징 내부는 외부공기로부터 밀폐 차단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 양단에는 절연플러그(210)를 압입밀착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절연플러그(210)를 압입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 동제원통(120)의 끝단을 내측으로 플랜지(A)되도록 성형시킨다.
상기 절연플러그(21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은 전극용 소켓(220)이 압입되고 포금제 볼트(240)와 탄소전극(230)에 의하여 밀봉된다.
상기 구조는 하우징부를 양측에서 밀봉시키는 구조임을 주목할 만하다.
하우징부는 상기 절연플러그와 전극용소켓, 포금제볼트등으로 압입밀봉됨으로써, 외부공기에 의한 내부탄소입자의 산화가 방지된다.
상기 포금은 주석을 10% 정도 함유한 청동을 의미하며, 옛날에는 대포의 포신을 청동의 주조품으로 만들었으므로 대포용의 금속이라는 것이 그 어원이다. 강도가 적당하고 연성도 있으며, 내식성 ·내마모성도 좋아서 각종 밸브 ·기어 ·플런저용 등 기계부품의 주물로 사용한다. 주조를 편하게 하기 위해 1∼9%의 아연을 가하거나, 절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납을 가하여 널리 기계용으로 사용되는 금속이다.
도4은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3개를 1조로 구성하여 결합시킨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는 도4와 같이 1조로 구성하여 사용될 수 있는 데, 이와 같은 장치의 구성은 3상입력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는 동일체적의 동일 탄소입자가 내부에 적층 충진되어도 도4와 같이 3상전원을 사용하는 1조를 구성시키면 각 장치간에 미세한 저항차이가 발생된다.
상기 저항차이는 3상간 평형을 깨트리므로 운전효율을 위하여 1조를 이루는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는 저항이 균일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저항은 실제로 1개의 발열장치로 입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통하여 측정 가능하므로, 처음부터 저항이 동일한 3개의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극조정부는 발열장치의 전체저항을 조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은 절연플러그(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에 내삽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스텐레스제 전극용소켓(220)과, 상기 전극용 소켓(220)의 암나사에 압입된 탄소전극(230)과, 상기전극용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인 포금제볼트(240)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전극조정부의 포금제볼트의 단부에는 드라이버홈이 있어 조임과 풀림이 쉽도록 구성되고, 전극용너트(260)에 의해 외부전원터미널(250)이 체결된다.
물질의 저항은 전극간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상기 포금제볼트(240)의 회전에 의하여 전극간 거리를 미세조정함으로써 저항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조정부에 의하여 도4의 실시예와 같이 3개 1조의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를 구성하여 3상평형 부하결선을 할 수 있으며, 각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에 동일 방열판(115)을 결속시키면 3상을 이용하여 발열되는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가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적층되는 탄소입자층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발열량이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탄소입자의 산화가 방지되고 열팽창에 의한 스트레스가 발생되지 않아 장치의 수명이 길어지고, 진동에 의한 분급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저항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3상평형 부하결선이 가능하여 3상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외주면에 여러겹의 방열판을 압입결속시킨 스텐레스 원통 내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제원통을 압입밀착시키고, 상기 동제원통 내측에 내열성이 높은 산화알루미나를 양생후 소결시켜 절연층을 형성시킨 하우징부와;
    상기 절연층 내측에 충진되는 탄소입자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부의 원통관 양단에서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를 압입밀봉시키며 중심부에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절연플러그와, 상기 절연플러그의 통공에 압입되는 스텐레스제 원통도관으로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전극용소켓과, 상기 전극용 소켓의 암나사에 안내되어 상기 탄소입자 발열체내에 압입되는 탄소전극과,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단부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용 소켓에 나사조임되면서 상기 탄소전극에 압입력을 제어시키는 포금제볼트와, 상기 포금제볼트에 전극용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시키는 외부전원터미널로 된 전극조정부로;
    구성된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입자발열체는
    하우징부내에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적층되어 입자층이 크기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층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양단에 압입되어 상기 탄소전극과 접촉되는 미세입자로 구성된 미세입자층과;
    상기 미세입자층과 접촉압입되는 중간입자층과, 중간입자층과 접촉압입되는 큰입자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중간입자층과 큰입자층은 상기 미세입자층 사이에서 교번하여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KR10-2001-0069303A 2001-11-07 2001-11-07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KR10042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03A KR100420797B1 (ko) 2001-11-07 2001-11-07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03A KR100420797B1 (ko) 2001-11-07 2001-11-07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507A true KR20010109507A (ko) 2001-12-10
KR100420797B1 KR100420797B1 (ko) 2004-03-02

Family

ID=4586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303A KR100420797B1 (ko) 2001-11-07 2001-11-07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7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560A (ko) * 2004-02-06 2005-08-10 박성철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748B1 (ko) * 2008-03-11 2009-09-29 주식회사 애니 핫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관상 발열장치
KR200452815Y1 (ko) * 2009-07-23 2011-03-21 주식회사 애니 핫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관상 발열장치의 전극 구조
WO2012096540A3 (ko) * 2011-01-13 2012-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232Y1 (ko) * 1985-09-06 1989-08-09 이종국 음식물용 밀폐용기
JPH04282589A (ja) * 1991-03-08 1992-10-07 Somar Corp 加熱ロール
JPH10116674A (ja) * 1996-10-14 1998-05-06 Daiichi:Kk ヒーター
JP2000268946A (ja) * 1999-03-19 2000-09-29 Sakaguchi Dennetsu Kk シースヒーター
KR200223321Y1 (ko) * 2000-12-13 2001-05-15 이진우 반도체 발열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560A (ko) * 2004-02-06 2005-08-10 박성철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748B1 (ko) * 2008-03-11 2009-09-29 주식회사 애니 핫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관상 발열장치
KR200452815Y1 (ko) * 2009-07-23 2011-03-21 주식회사 애니 핫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관상 발열장치의 전극 구조
WO2012096540A3 (ko) * 2011-01-13 2012-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029735B2 (en) 2011-01-13 2015-05-12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797B1 (ko)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862A (en) Spark plug including magnetic field producing means for generating a variable length arc
EP0378591A4 (en) Spark plug temperature control
GB2309741A (en) Spark plug with a magnetic field at the electrodes
CN105308392A (zh) 用于能够调节的预热塞的预热管
KR100420797B1 (ko) 입자형 탄소발열체로 된 발열장치
US11289244B2 (en) Electronic component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JP2023537507A (ja) 熱的に結合した中心電極を備えたスパークプラグ
CN1328719A (zh) 火花塞的导电密封材料
AU2007209789B2 (en) SL plane embedded type noble metal spark plug with multi-level and high energy
CN1272969A (zh) 具有单个电涌放电块的电涌放电器
CN105281202B (zh) 具有冷却和/或阻尼功能的火花隙装置
US8251760B2 (en) Terminal for electrical resistance element
JPH0669002A (ja) 正特性サーミスタ
Shea Glowing connections in DC circuits
CN104919565A (zh) 闪光光源装置
JP2003342655A (ja) 合金、該合金を含有する電極及び点火装置
US2318440A (en) Spark plug
CN213304385U (zh) 一种增加导电稳定性的电导元件
CN208846930U (zh) 一种直热式回转窑
CN218040208U (zh) 一种电子火花塞
JP3215648U (ja) 炉ヒータ用端子ベース
AU5961999A (en) An electric hob
KR200420179Y1 (ko) 수,배전반 습기제거용 ptc히터
JPH0622913Y2 (ja) 自己復旧型電流制限装置
JPH05332241A (ja) セラミックグロープラグの通電発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