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959A -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의 선적 및 양륙 방법 - Google Patents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의 선적 및 양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959A
KR20010102959A KR1020017007748A KR20017007748A KR20010102959A KR 20010102959 A KR20010102959 A KR 20010102959A KR 1020017007748 A KR1020017007748 A KR 1020017007748A KR 20017007748 A KR20017007748 A KR 20017007748A KR 20010102959 A KR20010102959 A KR 2001010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solid material
cargo compartment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트네페르
한센-탄겐토레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페바텍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페바텍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riority claimed from PCT/NO1999/00007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38975A1/en
Publication of KR2001010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을 벌크 화물선(5)으로/부터 적재 및 양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벌크 화물선(5)은 표면에 수면층(7)을 형성할 만큼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6)을 적재하는 1개 이상의 화물실(2)을 갖고 있다. 상기 화물실(2) 안에 수면층(7) 위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부유체(1) 위에 탑재된 적합한 펌프(15)에 의하여 상기 고체물질(6)이 각 화물실(2)로부터 배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고체물질(6)과 물은 일정한 체적유량으로 화물실(2)로부터 배출되는 한편, 배출되는 수량과 대략 동일한 체적유량으로 보충수가 화물실(2) 안으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많이 포함된 고체물질을 수송하는 벌크 화물선(5)으로부터 또는 안으로 적재 및 양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펌프장(4)이 탑재된 부유체(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유체(1)는 상기 고체물질과 함께 상기 화물실(2) 내에 배치하는데 적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펌프장(4)의 흡입부(13)는 상기 부유체(1) 위에서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게 되어있다.

Description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의 선적 및 양륙 방법{LOADING AND UNLOADING OF SOLID SUBSTANCE HAVING HIGH DEGREE OF WATER CONTENT}
토지의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토지를 개간/간척하는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모래와 같은 물질이 바지선을 이용하여 대규모로 수송되고 있다. 한가지 예로는 바다 지역을 간척하는 것이다. 즉, 일본의 오사카 신공항과 같은 것이다. 다른 예로서는, 싱가포르에 있어서와 같이 도시확장을 위한 간척을 들 수 있다. 또 따른 예로서는, 사하라 사막으로부터 모래를 카나리아 섬으로 운반하여 모래가 없는 해변을 모래사장으로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벌크 화물선으로부터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을 하역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벌크 화물선은 고체물질을 싣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화물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체물질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그 위에 액체층이 형성되며, 화물실 내에서 액체층 위에 부유(浮遊) 상태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적절한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고체물질을 화물실로부터 퍼내게 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실 안에 펌프를 탑재한 부유체(浮遊體)를 갖고있는 벌크 화물선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을 선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고체물질과 물의 혼합물을 외부로부터 화물실 안으로 펌프에 의하여 적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을 수송하는 벌크 화물선의 하역(적하 및 양륙)에 사용될 펌프장이 설치된 부유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유체는 고체물질과 함께 화물실에 전용장비로서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전형적인 벌크 화물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모래와 물이 채워진 선창의 화물실과 수면 위에 떠 있는 부유체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서 화물실을 비우기 위하여 고체물질을 흩뜨리고 흡상(吸上)하는 부유체의 펌프장 작업을 포함하는 3단계의 양륙작업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단면도로서, 선박이 기울어져 있고, 거의 모든 모래가 양륙된 상태를 보여주는 최종 양륙 단계를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연장된 수송 호스와 다른 추가적인 펌프장을 이용하여 선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고체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 도 6c는 펌프장이 설치된 부유체의 개략도로서, 3개의 상이한 작업상태, 즉, 적하, 정비 및 양륙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의 부유체를 위로부터 내려다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6의 부유체를 밑에서 올려다 본 약저면도이다.
도 8은 모래와 물을 적재하는 상태에서 선창의 화물실을 보여주는 약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벌크 화물선의 적하 작업중 거친 모래가 뾰족하게 쌓아 올려지는 것을 각각 보여주는 약측면도와 약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용한 벌크 화물선을 수송수단으로서 사용하는 아이디어가 도입되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선박하역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주로 해저 물질, 특히, 전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와 같은 프로젝트에는 모래가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명세서의 서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하역방법을 제공하는 바, 본 방법은 고체물질과 물을 함께 화물실로부터 일정한 체적유량으로 퍼내고, 배 밖으로 퍼낸 물의 체적에 대략 일치하는 체적유량으로 화물실 안으로 새로운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펌프는 물과 고체물질을 70 대 30 내지 60 대 40의 체적유량비율로 공급하는 것이 유리하다.
배출된 혼합물의 고체물질과 물의 최적비율에 따라 스스로 조절/적응하기 위하여 상기 부유체에서 수직으로 외부로 또는 내부로 펌프 흡입작용을 적절히 바꾸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서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적재방법은 고체물질을 적재하는 동안 배 안으로 함께 들어오는 물의 양과 거의 동일한 체적유량으로 물을 배 밖으로 상기 부유체 위의 펌프에 의하여 배출하며, 이때 물의 층 두께는 고체물질을 양륙(揚陸)할 때보다 깊게 유지함으로써 고체물질이 바닥에 가라앉은 다음, 배 밖으로 퍼내는 물과 함께 다시 배출되지 않도록 최대한 억제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서론에 기술된 부유체는 상기 펌프장의 흡입관은 부유체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전체 펌프장이 부유체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부유체에는 전체 펌프장을 지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빔이 장치된 정지형 안내기둥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장은 상기 펌프에 구동 연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전동장치와 지지대를 통하여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자체는 표준 머드펌프(mud pump) 또는 샌드펌프(sand pump)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체 부유체와 부속 펌프장, 파이프라인 및 호스는 기존의 벌크 화물선 위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장비들은 선박의 실체 치수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 설비 자체는 선체 내에 영구 변형이나 인터벤션(intervention)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통상, 배의 선수미(船首尾) 측면 중 한쪽은 적하용으로 사용하고, 그 반대쪽은 양륙용으로 사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제한함이 없이 우선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기타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들이 명백해진다.
도 1은 전형적인 벌크 화물선(5)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상기 배(5)는 고체물질과 물, 특히 모래와 해수를 싣기 위한 다수의 화물실(2)을 가지고 있다. 도 1b는 선수미 측면에서 본 벌크 화물선(5)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선창 안에 화물실(2)의 단면도이다. 각 화물실(2)은 각각 1개씩의 해치(hatch)출입구(3)를 가지고 있다. 각 해치 출입구(3) 안에는 펌프장(4)이 장치된 부유체(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유체(1)는 화물실(2)의 수면(9) 위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화물실(2)이 고체물질로 채워지면, 상기 부유체(1)가 상기 화물실(2)의 해치 출입구(3)의 경계 안에서만 이동될 수 있다. 고체물질이 배 밖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부유체(1)는 수면 위에서 선창 경계 내에 보다 넓은 범위 안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화물실(2) 안에 고체물질을 싣기 위하여 적하용 다기관(積荷用多岐管)(10M)이 장치된다. 상기 다기관 (10M)은 각각의 화물실(2)로 분기되어 있고, 상기 해치 출입구(3) 주위에 적절히 위치한 다수의 출구(1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각 화물실(2)에 4개씩의 출구(10D)들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모래(6)와 물의 혼합물의 적하 최종단계 동안의 화물실(2)을 도시하고 있다. 모래와 물의 비중 차이 때문에 벌크 화물선(5)의 배 밑바닥(8)에 가까워질수록 모래층이 점점 더 조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래(6)는 수표면(9)에 접근할수록 점점 더 물을 많이 함유한다. 최상부에는 수면층(水面層)(7)이 형성되고, 그 수면층(7)의 깊이는 상기 부유체(1)의 부유에 충분하고, 이러한 상태는 적하 및 양륙 작업에 유리하다. 모래 봉우리를 형성하는 크기는 적하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원칙적으로, 모래가 거칠수록 봉우리(T)의 형성이 가파르고 높아지는 것이다. 가는 모래와, 진흙이 포함된 모래는 봉우리(T)가 낮아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없어져서 평탄한 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표면(9) 위에서 부유체(1)를 조정하기 위하여, 2개의 견인윈치(traction winch)(24)를 상기 해치 출입구(3)의 가장자리에 장치할 수 있다. 견인윈치(24) 중 한 개는 상기 해치 출입구(3)의 횡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종방향 가장자리에 위치시킨다. 상기 윈치와이어(winch wire)는 폐루프를 형성하여 해치 출입구(3)의 맞은 편의 회전풀리(25)를 통과시킨 다음, 윈치와이어의 양단을 상기 부유체(1)에 고정시킨다. 상기 2개의 윈치를 이용하여 위치와이어들을 조정하므로 써, 상기 부유체(1)를 화물실(2) 내에 어디에나 위치시킬 수 있다. 도 3c에서 수평 화살표(R)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1)는 수면층(7) 위에서 조정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랙시블 호스(10)와 수직 파이프(23)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직 파이프(23) 한쪽 단부는 상기 부유체(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수직 파이프(23)의 다른 쪽 단부는 벌크 화물선(5)의 선수미 측면 쪽으로대략 90도로 구부려져 있으며, 상기 플랙시블 호스(10)와 수직 파이프(23)는 물의 재보충을 위하여 전용적으로 사용된다. 모래(6)와 물의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호스(11)가 다른 쪽의 선수미 측면에 장치된다. 상기 펌프장(4)으로부터 시작하여 견고한 드렌칭 파이프(drenching pipe)(22)가 대체로 수직으로 갑판 높이까지 연장된 다음 대략 90도로 구부러져서 벌크 화물선(5)의 배출 측면 쪽으로 향한다. 상기 배출호스(11)는 가요성 호스로서 상기 배출 파이프(22)의 자유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호스(11)는 이동 가능하며, 화물실(2)이 비워짐에 따라 상기 배출호스(11)가 1개 이상의 회전풀리(12) 위에 올려져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파이프(22 및 23)들은 해치 출입구(3) 범위 내에서 부유체(1)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플랙시블(재보충) 호스(10)는 그 대신 고정시키고, 펌프의 흡입부(13)로부터 충분히 이격 시킨다. 상기 플랙시블 호스(10)는 수중펌프(26)를 이용하여 송수(送水)하거나, 또는 그 대신 충분한 용량이 있다면 선박의 배러스트 시스템(ballast system)으로부터 송수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화물실(2)의 모래(6)가 거의 비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모래(6)를 가능한 한 많이 제거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벌크 화물선(5)의 경사도를 약 2도의 경사각(α) 만큼 옆으로 기울일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나머지 물질이 상기 화물실(2)의 한쪽 편으로 펌프장(4)의 흡입부(13)가 위치하는 곳으로 몰리도록 한다.
그밖에 광범한 지역에 모래(6)를 원거리 배출을 위하여 상기 장치를 연장파이프(26)에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이와 같은 방법을 도 5에 예시하였으며, 수송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펌프장(27)이 벌크 화물선(5)의 외부에 설치된다.
도 6a 내지 도 6c도는 복합부유체(1)와 펌프장(4)을 예시하고 있다. 제6A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1)는 밑창이 평탄하며 난간(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유체(1)가 가동중 일 때 한명 또는 그이상의 작업요원이 그 위에 머무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부유체(1)에는 하나의 안내기둥(14)이 장치된다. 전체 펌프장(4)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빔(18)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빔(18)은 안내기둥(14)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상하운동을 한다. 상기 빔(18)에는 모터(16)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빔(18)에 펌프(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16)는 전동장치(17)와 지지대(19)를 거쳐 펌프(15)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시, 상기 모터(16)는 펌프(15)를 일정한 속도와 배출율로 구동한다. 상기 펌프(15)의 흡입부(13)는 펌프 하우징 밑에 위치한다. 상기 펌프(15)는 해저에서 ??과 모래의 흡상을 위하여 적합한 표준 모래/점토수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1)의 저부에 다수의 노즐(30)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30)들은 만약 침전물질이 너무 많이 침전하여 경화되었을 경우에 분사수를 직접 침전물질에 대하여 분사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장(4)은 상기 부유체(1) 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적하, 정비 및 양륙과 같은 장비의 상이한 운전상태에 적합하게 펌프장(4)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든 운전상태들이 제6a, 6b 및 6c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13)에는 만약 침전물질이 너무 많이 침전하여 다른 방법으로는 흩뜨릴 수없는 경우에 침전물질을 찢어 흩뜨릴 수 있는 커터헤드를 장치할 수 있다.
도 7a도는 상기 부유체(1)를 위에서 본 평면도로서, 상기 펌프장(4)은 부유체(1)의 중앙에 장치되어 있다. 상기 부유체(1)에는 펌프장(4)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기 위하여 공동(空洞)을 형성하는 문 풀(moon pool)(21)이 설치되어 있다.
도 7b도는 수송 중에 단단하게 침전된 물질에 물을 분사하여 흩뜨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군의 노즐(30)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저면도이다.
상기 모터(16)와 펌프(15)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13)만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펌프장(4)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흡입부(13)는 신축자재식 장치로 제작하여 상기 펌프장(4)으로부터 신축시킬 수 있다.
도 8은 적하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래와 물의 혼합물이 파이프라인(10a)을 통하여 선박의 화물실(2)로 적하된다. 상기 모래(6)는 아래로 침전하고 물을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부유체(1)와 펌프장(4)은 오직 모래 함량이 가능한 한 적은 물만을 배출 파이프라인(11a)을 통하여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질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하중에 봉우리(T)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45도에 가까운 비교적 높은 식각(息角)을 갖는 거친 모래에서 나타난다. 미세한 모래에 있어서는 식각이 훨씬 작아지고, 진흙 또는 흙에 있어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어느 정도의 모래를 함유하는 진흙에 있어서는 수면층과 그 수면층의 유동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모래의 세척효과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미세 물질들이 물 속에서 부유상태로 펌프(15)에의하여 배출수와 함께 다시 배 밖으로 배출된다.
만약 선박의 전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추가적으로 별도의 발전기 세트를 펌프 근처의 갑판 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목표 지점들 사이에서 물질을 수송하는 동안에, 모래(6)와 이와 같은 물질이 너무 단단하게 침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최대의 범위로 수송물질이 적절한 수면층(7)에 의하여 덮이도록 시도한다.
최대의 작업효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물실(2)에 부유체(1)와 펌프장(4)을 배치할 수 있다. 만일 전체적인 경제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2개 또는 그이상의 가용한 부유체/펌프장 장치들을 화물실(2)들 사이에 옮겨 놓을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양륙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샌드펌프의 흡입부(13)를 부유체(1)의 바닥으로부터 약 1.5 미터 하강시킨다 - 제6C도 참조. 상기 펌프(15)가 모래(6)와 물을 일정한 체적유량으로 흡상하는 동안 상기 부유체(1)는 모래 표면에서 지그재그로 이동한다. 필요시에는, 노즐(30)들을 작동시킨다. 효과적인 양륙을 위한 비결은 퍼낼 혼합물을 흡상하기 쉽게 하고, 흡상 혼합물 속에 가능한 한 높은 고체물질의 함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적의 수면층(7)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펌프(15)는 머드펌프(샌드펌프)의 체적유량과 거의 동일한 체적유량으로 물/모래 혼합물을, 즉, 70 대 30 내지 60 대 40의 혼합물을 배출한다. 이것은 상기 재보충 호스(10)를 통한 공급수는 샌드펌프(15) 용량의 60 내지 70%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의 높이와 수면층의 두께는 물의 보충을 위한 외부펌프(26)에 의하여 조절된다. 양륙작업의 마지막 단계에는 배의 선수미 측면을 약 2도 가량 기울여서 펌프 흡입부(13)가 화물실(2) 내에 남아있는 모래(6)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약 고체물질이 너무 단단하게 침전된 경우에는 상기 펌프 흡입부(13)에 커터해드를 장착할 수 있다. 이것은 해저의 모래와 점토를 채취하기 위하여 빈번히 광범하게 사용되는 장비이다.
상기 펌프장(4)은 문 풀(21) 안에서 상승/하강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펌프장(4)은 정비 목적을 위해서는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다. 상기 높이조절장치가 장치된 빔(18)과 안내기둥(14)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장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수동 또는 전기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펌프(15)의 흡입부(13)는 부유체(1)에 대하여 최적의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정할 수 있으며, 즉, 이는 모래를 선적하는 동안에는 배수 펌핑(pumping)을 위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모래를 양륙하는 동안에는 낮은 위치로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적 순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부펌프(26)가 물과 모래(6)의 혼합물을 선적 파이프라인(10a)을 통하여 화물실(2) 안으로 공급한다. 물과 모래(6) 사이의 체적비율은 통상 70 대 30 내지 60 대 40이다. 상기 부유체(1)의 배출펌프(15)는 화물실(2) 내에서 이때 상기 선적 파이프라인(10a)의 출구에 대하여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배출펌프(15)는 이때 화물실(2) 내의 최대수면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모래를 적당하게 침전시키고, 배출펌프(15)와 배출 파이프라인(11a)을 통한 모래의 재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수면층(7)을 비교적 깊게 유지한다. 상기 선적파이프라인(10a)과 배출 파이프라인(11a)의 용량과 이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상대적으로 큰 화물실(2)의 면적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유지한다. 상기 모래(6) 안에 높은 흙의 함량에 있어서는, 만약 가능한 한 많은 흙을 배 밖으로 다시 통과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수면 높이는 상기 배출펌프(15)를 중지 또는 작동시키거나, 또는 배출 파이프라인(11a)의 물흐름을 억제하므로 써 조절할 수 있다. 작업상태를 현장에서 또는 CCTV를 이용하여 또는 배의 브리지에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경사각(α) 봉우리(T)
부유체(1) 해치 출입구(3)
펌프장(4) 화물실(2)
벌크 화물선(5) 모래(고체물질)(6)
수면층(액체층)(7) 배 밑바닥(8)
수표면(9) 플랙시블호스(재보충 호스)(10)
파이프라인(선적 파이프라인)(10a) 출구(10D)
다기관 (10M) 배출호스(11)
배출 파이프라인(11a) 흡입부(펌프 흡입부)(13)
안내기둥(14) 샌드펌프(머드펌프, 배출펌프)(15)
모터(16) 전동장치(17)
빔(18) 지지대(19)
난간(20) 문 풀(21)
수직 파이프(22) 수직 파이프(23)
견인윈치(24) 회전풀리(25)
수중펌프(외부펌프)(26) 제4도 연장 파이프(26) 제5도
펌프장(27) 노즐(30)

Claims (10)

  1. 최소한 표면에 수면층을 형성할 만큼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이 적재되는 1개 이상의 화물실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화물실 내의 액체층 위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부유체 위에 탑재된 적절한 펌프에 의하여 상기 고체물질을 화물실로부터 펌핑 배출하도록 되어있는 벌크 화물선으로부터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을 양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체물질과 물이 화물실로부터 일정한 체적유량으로 펌프로 배출되는 한편,
    배출수의 부피에 대략 동일한 체적유량으로 보충수를 상기 화물실 안으로 공급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 양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물과 고체물질의 혼합물을 70 대 30 및 60 대 40의 체적비율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 양륙방법.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배출된 혼합물의 고체물질과 물 사이의 선택조건에 따라 유입량을 조절하고 적응시키기 위하여 상기 펌프 흡입작용을 부유체 위에서 수직으로 외부 또는 내부로 적절히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 양륙방법.
  4. 펌프가 탑재된 하나의 부유체가 화물실에 장치되어 있고, 고체물질과 물의 혼합물이 외부펌프에 의하여 배 밖으로부터 상기 화물실로 적재되도록 되어있는 벌크 화물선 안으로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을 적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체물질을 적재하는 동안, 배 안으로 들어오는 물과 대체로 동일한 체적유량으로 상기 부유체의 펌프에 의하여 다시 화물실로부터 물이 배 밖으로 배출되며,
    고체물질을 침전시킨 다음, 다시 배출되는 물과 함께 고체물질이 가능한 한 적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면층을 양륙할 때 보다 더 깊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 적재방법.
  5.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6)을 수송하는 벌크 화물선(5)들의 적재 및 양륙 작업에 사용되는 펌프장(4)이 설치되어 상기 고체물질(6)과 함께 화물실(2)내에 배치하도록 되어있는 부유체(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펌프장(4)의 흡입부(13)는 상기 부유체(1)에서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1).
  6. 제5항에 있어서,
    전체 펌프장(4)이 상기 부유체(1) 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에는 전체의 펌프장(4)을 지지하고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빔(18)이 장치된 고정안내기둥(1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장(4)은 펌프(15)와 구동 연결된 모터(1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6)는 전동장치(17)와 지지대(19)를 통하여 펌프(1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1).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5) 자체는 표준 흙/모래 펌프이며, 상기 부유체(1)의 밑바닥에는 아래쪽으로 장치된 다수의 분사수 노즐(30)들이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1).
KR1020017007748A 1998-12-23 1999-03-05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의 선적 및 양륙 방법 KR20010102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19986101 1998-12-23
NO19986101 1998-12-23
PCT/NO1999/000079 WO2000038975A1 (en) 1998-12-23 1999-03-05 Loading and unloading of solid substance having high degree of water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959A true KR20010102959A (ko) 2001-11-17

Family

ID=5840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748A KR20010102959A (ko) 1998-12-23 1999-03-05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의 선적 및 양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29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78171A (en) Apparatus for removing floating pollutants
US6834604B2 (en) Transporting a ship over shallows of a watercourse
US6575692B2 (en) Method of unloading of solid substance having high degree of water content
US20180214794A1 (en) Pumping system
CN1115280C (zh) 驳运货物的浮动结构
WO1998020208A1 (fr) Procede de dragage et appareil de dragage
US11959248B2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sludge and/or sand from the bottom of a wetland
EP22121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s
CN112049641A (zh) 一种基于浮力重力差垂直提升装置的节能深海采矿系统
US5167841A (en) Removing material debris from body of water
CN212508304U (zh) 一种基于浮力重力差垂直提升装置的节能深海采矿系统
KR100454709B1 (ko) 물분사를 이용한 수면부유물 회수장치
KR101026182B1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US5445093A (en) Unloading facility for flexible water transporting barges
KR20010102959A (ko)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고체물질의 선적 및 양륙 방법
KR101026183B1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JP2838054B2 (ja) 水圧を利用した浚渫方法と浚渫船の構造
CA1063039A (en) Oil spill recovery vessel and method
WO2003042028A2 (en) Vessel for collecting oil from water surface
US11535350B2 (en) Anti-sedimentation system for marine vessels
KR20090072061A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SU1728536A1 (ru) Эрлифтна установка
EP0329404A1 (en) Aeration equipment
UA60564A (uk) Спосіб видобутку донних відкладень водой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