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638A - 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638A
KR20010102638A KR1020000023626A KR20000023626A KR20010102638A KR 20010102638 A KR20010102638 A KR 20010102638A KR 1020000023626 A KR1020000023626 A KR 1020000023626A KR 20000023626 A KR20000023626 A KR 20000023626A KR 20010102638 A KR20010102638 A KR 20010102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board
consonants
key
vow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륭
Original Assignee
김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륭 filed Critical 김륭
Priority to KR102000002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2638A/en
Publication of KR2001010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638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자판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정확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글의 자음의 입력 다음에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과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input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input information easily and accurately by displaying a minimum keyboard.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and the Hangul keyboard of the vowels in order to enable the input of the vowel following the input of the Korean consonants A keyboard input system for displaying and an input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일단 표시된 자음 자판 배열을 보고 자음을 입력한 다음에, 이어서 표시되는 모음 자판 배열을 보고 모음을 입력하기 때문에, 키보드 전체의 자판 배열이 표시되는 종래의 터치 스크린 시스템보다 더욱 쉽고 정확하게 특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하나의 화면에는 자음 또는 모음의 자판 배열이 선택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구성이 간결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using the touch screen system sees the displayed consonant keyboard arrangement once, inputs consonants, and then inputs the vowel after viewing the displayed vowel keyboard arrangement, the keyboard layout of the entire keyboard is displayed. Entering specific information is easier and more accurate than touch screen systems. In addition, since the keyboard arrangement of consonants or vowels is selectively displayed on one screen,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screen is simplified.

Description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입력 방법{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키 조작이 용이한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에 최소한의 자판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정확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키 조작이 용이한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input system and a method for inputting the keys which are easy to operate,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 the minimum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input information, and the keys can be easily operated. A system and an input method thereof.

종래에는 컴퓨터 장치 등에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로 키보드를 이용하여 소망하고자 하는 입력 정보 및 제어 명령이나 데이터에 의해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means for inputting to a computer device or the like, processing is mainly performed by using desired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or data using a keyboard.

한편, 이와 동일하게 일반적인 종래 자판 입력 시스템도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 형태로 구성되는 컴퓨터 모니터 화면이 표시되고, 이 컴퓨터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된 키보드 자판의 배열에 직접 손가락을 접촉시켜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시켜 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conventional keyboard input system also displays a computer monitor screen configured in the form of a keyboard as an input device, and inputs and processes desired data by directly touching a finger on the keyboard keyboard displayed on the computer monitor screen. .

이러한 종래의 자판 입력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컴퓨터 키보드의 모든 자판 배열을 그대로 스크린에 표시하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keyboard input system, as shown in FIG. 1, all keyboard layouts of the computer keyboar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y are so that a user inputs necessary information.

하지만, 이와 같이 키보드의 모든 자판 배열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화면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 컴퓨터의 사용 방법을 잘 모르는 사람일 경우 정보를 입력하기가 어려우며, 그 입력 속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by displaying all the keyboard layouts on one screen like this, the screen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input information when the person who is unfamiliar with how to use the computer is slowed down. there was.

더욱이, 무인 안내기, 자동판매기 등에서 사용하는 스크린은 적게는 5인치, 크게는 17인치 정도로서, 모든 키보드의 자판 배열을 표시할 경우 그 화면에 표시되는 키보드의 배열은 작아질 수 밖에 없고, 또 실제 키보드의 자판 배열과는 달리 자판 사이의 경계 부분이 없으므로 잘못된 정보가 입력되는 수가 있었다.Furthermore, screens used in unmanned guides, vending machines, etc. are as small as 5 inches and as large as 17 inches. When the keyboard layout of all keyboards is displayed, the arrangement of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screen is small, and the actual keyboard is used. Unlike the keyboard layout in,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the keyboards, so incorrect information could be ente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결한 자판 배열을 갖는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자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input system and a keyboard input method having a concise keyboard layout, which are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의 입력이 정확해지고 용이한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자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input system and a keyboard input method for accurate and easy input of inform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자판 입력 시스템은, 한글의 자음의 입력 다음에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과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X, Y 좌표 평면을 갖고, 터치 조작에 의한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외선 신호의 입출력을검출하는 광 송수신 구동부와; 상기 광 송수신 구동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 상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된 위치의 키를 판정하여 해당 키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표시된 키가 자음인지 또는 모음인지를 판정하여 자음일 경우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하고 모음일 경우 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displays consonants and Hangul keyboard layouts of vowels so that vowels can be input afte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has X and Y coordinate planes. A touch panel for performing a key input function by the controller;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driver detecting an input / output of an infrared signal to detect a touch position of the touch panel; A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on the touch panel from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driver;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determines the key of the touched position of the touch panel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display unit, and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ed key is a consonant or a vowel, the vowel can be input if the consonant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vowels and displaying the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consonants so that input of the consonants is possible.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자판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일단 표시된 자음 자판 배열을 보고 자음을 입력한 다음에, 이어서 표시되는 모음 자판 배열을 보고 모음을 입력하기 때문에, 키보드 전체의 자판 배열이 표시되는 종래의 자판 입력 시스템보다 더욱 쉽고 정확하게 특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하나의 화면에는 자음 또는 모음의 자판 배열이 선택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구성이 간결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using the keyboard input system sees the displayed consonant keyboard arrangement first and then inputs the consonants, the vowel keyboard arrangement displayed subsequently displays the vowel layout, so that the keyboard layout of the entire keyboard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input specific information more easily and accurately than the conventional keyboard input system. In addition, since the keyboard arrangement of consonants or vowels is selectively displayed on one screen,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screen is simplified.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자판 입력 시스템에 자음과 모음으로 구별된 한글의 독창적인 형태에 따라 자/모음 자판 배열이 순차적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화면의 구성이 간결해 질 뿐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해 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of the vowel / vowel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original form of the Hangul distinguished by consonants and vowels on the keyboard input system, not only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The user's operation becomes simple.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자판 배열에 미리 형성된 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변환된 키 배열을 표시한다.Further,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ontrol unit displays a key arrangement convert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a conversion key previously formed in the keyboard arrangeme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자판 배열로서 미리 형성된 변환키, 예컨대 자음/모음 변환키, 숫자 입력키, 또는 특수 문자 입력키 등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변환된 키 배열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다양한 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touches a conversion key, for example, a consonant / vowel conversion key, a numeric input key, a special character input key, or the like, as a keyboard layout, the controller detects the converted key arrangement Is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screen, the user can easily enter a variety of characters desired.

이하,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for achiev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 그 자판 입력 방법을 더욱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keyboard input system and keyboard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하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추가의 목적, 이점 및 특징들이 명백히 나타내어질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fur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indicat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자판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keyboard arrangemen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에 표시되는 자음 자판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sonant keyboard layout displayed on a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에 표시되는 모음 자판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wel keyboard arrangement displayed on the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에 표시되는 숫자 자판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umeric keypad arrangement displayed on a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어부100: control unit

101 : 표시부101: display unit

102 : 터치 패널102: touch panel

103 : 송수신 구동부103: transmission and reception drive unit

104 : 메모리부104: memory section

105 : 위치 검출부105: position detection uni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판 입력 시스템은 크게 저항 패드를 이용한 저항 센서 방식과, 적외선 소자를 이용한 광센서 방식이 있으며, 이 광센서 방식은 센서의 센싱 포인트가 모니터의 표면에서 약 5mm∼10mm 정도 떨어져 있다. 따라서, 사람이 모니터를 보는 각도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First,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only used keyboard input system includes a resistance sensor method using a resistance pad and an optical sensor method using an infrared element, and the optical sensor method includes a sensing point of a sensor. It is about 5mm to 10mm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monitor. Therefore, there may be some errors depending on the angle at which the person looks at the monitor.

반면에, 저항 센서 방식은 저항 패드가 모니터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어서 보는 각도에 대한 오차는 없으나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이물질에 의하여 표면이 더러워져 정확한 값이 읽혀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광센서방식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빈번하게 이용하게 되는 장소에서는 광 센서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sensor method has a resistance pad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onitor, there is no error in the viewing angle, but when used for a long tim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urface is dirty by foreign matters, the correct value is not read. Therefore, since the optical sensor metho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the optical sensor method is frequently used in a place where many people frequently use i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소자를 이용한 광센서 방식을 채택하여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저항 패드를 이용한 저항 센서 방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Therefo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adopting an optical sensor method using an infrared ele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resistive sensor method using a resistive pa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Make sure to omit it.

계속해서, 도 2의 자판 입력 시스템을 참조하면, 표시부(101)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자음 자판 배열, 모음 자판 배열, 특수 문자 자판 배열 등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102)은 X, Y 좌표 평면을 갖고 표시부(101)에 대한 손가락 터치 조작에 의한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the keyboard input system of FIG. 2, the display unit 101 displays the consonant keyboard layout, the vowel keyboard layout, the special character keyboard layout, and the lik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ler 100. The touch panel 102 has a X and Y coordinate plane and performs a key input function by a finger touch operation on the display unit 101.

한편, 송수신부(103)는 터치 패널(102)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외선 신호의 입출력을 검출한다. 위치 검출부(105)는 송수신 구동부(103)에 의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102) 상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메모리부(104)는 제어부(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한글 자판 배열을 기억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ceiver 103 detects the input and output of the infrared signal in order to detect the touch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02. The position detector 105 detects a touch position on the touch panel 102 from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river 103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00. The memory unit 104 stores the Hangul keyboard layou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00.

제어부(100)는 위치 검출부(105)에서 검출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패널(102)의 터치된 위치의 키를 판정하여 해당 키를 표시부(101)에 표시하는 동시에, 표시된 키가 자음인지 또는 모음인지를 판정하여 자음일 경우 모음의 입력이가능하도록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하고 모음일 경우 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한다.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key of the touched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02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or 105, displays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display 101, and indicates whether the displayed key is a consonant or If it is a vowel, the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vowel is displayed to enable the input of the vowel, and if it is a vowel, the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consonant is displayed.

또, 제어부(100)는 자판 배열에 미리 형성된 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변환된 키 배열을 표시하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표시부(101)에 표시된 자음 자판 배열을 보고 자음을 터치하여 입력한 후, 다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자음/모음 변환키를 터치하여 입력하면, 모음 자판 배열을 다시 표시부(101)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the key arrangement conver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nversion key previously formed on the keyboard arrangement. For example, the user views the consonant keyboard arrange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1, touches the consonants, inputs the vowels, and then collects them again. If the input by touching the consonant / vowel conversion key to input the, the display keyboard layou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1 again.

즉, 제어부(100)는 전자(前者)와 같이 자음과 모음 변환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자음의 입력후 모음 자판 배열을 자동으로 표시하며, 사용자의 변환키 조작에 대한 수동 제어에 의하여 모음 자판 배열을 표시한다.That is, the controller 1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nsonant and vowel conversion as the former, and automatically displays the vowel keyboard arrangement after inputting the consonant, and controls the vowel keyboard arrangement by manual control of the user's conversion key operation. Display.

이러한 사용자의 변환키 조작에 대한 수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0)의 기능을 하기의 나머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00 for performing manual control of the user's conversion key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accompanying drawings.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자음 자판 배열을, 도 5는 모음 자판 배열을, 그리고, 도 6은 숫자 자판 배열을 보인 도면이다.Next, FIG. 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sonant keyboard arrangemen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IG. 5 is a vowel keyboard arrangement, and FIG. 6 is a numeric keypad arrangement. Figure is shown.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자음 자판 배열(도 4에 도시하였음)을 표시부(101)에 먼저 표시한다. 이것은 자음부터 시작하는 한글의 특성에 따른 것이다. 일단 사용자가 자음을 입력하면(단계 106), 제어부는 자음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07).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00 first displays the consonant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4) on the display unit 101. This 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that starts with consonants. Once the user inputs a consonant (step 106),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consonant has been input (step 107).

그리고, 자음의 입력이 안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다시 자음/모음 변환키를 눌렀는가를 판정하여 확인한 후(단계 108),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자판 배열(단계 109 : 도 5 참조)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모음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모음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10). 모음의 입력이 안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다시 자음/모음 변환키를 눌렀는가를 판정하여 확인한 후(단계 111), 자음 입력을 위한 자음 자판 배열을 표시하여 단계 106으로 피드백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no consonant has been input, it is determined by checking whether the consonant / vowel conversion key is pressed again (step 108), and then the vowel keyboard arrangement for vowel input (step 109: see Fig. 5) is displayed. When the user inputs the vowel,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vowel is input (step 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wels are not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nsonant / vowel conversion key is pressed again (step 111), and then the consonant keyboard layout for consonant input is displayed and fed back to step 106.

한편, 제어부(100)는 단계 108 또는 단계 111에서 자음/모음 변환키를 누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숫자 입력키를 눌렀는지 판정하고(단계 112), 숫자 입력키를 눌렀다고 판정된 경우 숫자 입력을 위한 숫자 자판 배열(도 6에 도시 하였음)을 표시한다(단계 113).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08 or 111 that the consonant / vowel conversion key has not been pressed,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numeric input key has been pressed (step 11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eric input key has been pressed, the controller 100 enters the numerical input key. The numeric keyboard arrangement (shown in FIG. 6) is displayed (step 113).

또, 단계 112에서 숫자 입력키를 누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특수 문자키를 눌렀는지 판정하고(단계 114), 특수 문자키를 눌렀다고 판정된 경우 특수 문자 입력을 위한 특수 문자 자판 배열을 표시한다(단계 115). 또, 단계 114에서 특수 문자키를 누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편집키를 눌렀는지 판정하고(단계 116), 편집키를 눌렀다고 판정된 경우 편집을 위한 편집용 자판 배열을 표시한다(단계 116).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2 that the number input key has not been press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al character key has been pressed (step 114),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key has been presse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arrangement for inputting the special character is displayed (step 11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4 that the special character key has not been press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dit key is pressed (step 116),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dit key is pressed, an editing keyboard layout for editing is displayed (step 116).

한편, 단계 116에서 편집키를 누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종료키를 눌렀는지 판정하고(단계 118), 종료키를 누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그외의 다른 루틴 처리 단계로 진행하고(단계 119), 종료키를 눌렀다고 판정된 경우 위의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숫자 입력 단계 113, 특수 문자 입력 단계 115, 편집 단계 117 및 그외의 루틴 처리 단계 119는 다시 자음 입력 단계 106으로 다시 피드백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6 that the edit key has not been press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d key has been pressed (step 11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nd key has not been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another routine processing step (step 119). If it is determined that is pressed, the above process ends. The number input step 113,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tep 115, the editing step 117 and the other routine processing step 119 are fed back to the consonant input step 106 again.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자판 입력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일단 표시된 자음 자판 배열을 보고 자음을 입력한 다음에, 이어서 표시되는 모음 자판 배열을 보고 모음을 입력하기 때문에, 키보드 전체의 자판 배열이 표시되는 종래의 자판 입력 시스템보다 더욱 쉽고 정확하게 특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es the displayed consonant keyboard arrangement once and inputs consonants, and then inputs the vowel by viewing the displayed vowel keyboard arrangement, whereby the keyboard layout of the entire keyboard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input specific information more easily and accurately than the conventional keyboard input system.

또, 하나의 화면에는 자음 또는 모음의 자판 배열이 선택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사용자는 컴퓨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쉽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keyboard arrangement of consonants or vowels is selectively displayed on one screen,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screen is simplified, and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respond to a request from the computer.

한편, 본 발명에서는 터치 스크린의 입력 방식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다양한 입력장치에도 그 형식에 의해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input method of the touch screen as an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various input devices by the form thereof.

Claims (3)

한글의 자음의 입력 다음에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과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자판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keyboard input system that sequentially displays the consonants and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vowels so that the vowels can be input after the Hangul consonants, X, Y 좌표 평면을 갖고, 터치 조작에 의한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02)과;A touch panel 102 having an X, Y coordinate plane and performing a key input function by a touch operation; 상기 터치 패널(102)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외선 신호의 입출력을 검출하는 광 송수신 구동부(103)와;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driver 103 for detecting an input / output of an infrared signal to detect a touch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02; 상기 광 송수신 구동부(103)에 의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102) 상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05)와;A position detection unit (105)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on the touch panel (102) from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driver (103); 상기 위치 검출부(105)에서 검출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패널(102)의 터치된 위치의 키를 판정하여 해당 키를 표시부(101)에 표시하는 동시에, 표시된 키가 자음인지 또는 모음인지를 판정하여 자음일 경우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하고 모음일 경우 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하는 제어부(1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 입력 시스템.The key of the touched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02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05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display unit 101,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ed key is a consonant or a vowel. Keyboard input system for displaying the Korean keyboard layout of the vowels to enable the input of the vowels in the case of consonants and the Korean keyboard layout of the consonants to enable the input of the consonants in the case of the vowel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자판 배열에 미리 형성된 변환키의 입력에 따라 변환된 키 배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 입력 시스템.The keyboard inpu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 key arrangement converted according to input of a pre-formed conversion key on the keyboard arrangement. 한글의 자음의 입력 다음에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과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자판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sequentially displaying the consonants and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vowels so that the vowels can be input after the input of the Hangul consonants, X, Y 좌표 평면을 갖고, 터치 조작에 의한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02)을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touch panel 102 having an X, Y coordinate plane and performing a key input function by a touch operation; 상기 터치 패널(102)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외선 신호의 입출력을 검출하는 광 송수신 구동부(103)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driver 103 for detecting an input / output of an infrared signal to detect a touch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02; 상기 광 송수신 구동부(103)에 의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102) 상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05)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position detector (105)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on the touch panel (102) from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driver (103); 상기 위치 검출부(105)에서 검출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패널(102)의 터치된 위치의 키를 판정하여 해당 키를 표시부(101)에 표시하는 동시에, 표시된 키가 자음인지 또는 모음인지를 판정하여 자음일 경우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모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하고 모음일 경우 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의 한글 자판 배열을 표시하는 제어부(100)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 입력 방법.The key of the touched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02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05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display unit 101,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ed key is a consonant or a vowel. And displaying the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vowels in order to enable the input of the vowels in the case of consonants, and providing the controller 100 displaying the Hangul keyboard layout of the consonants in order to enable the input of the consonants. Keyboard input method.
KR1020000023626A 2000-05-03 2000-05-03 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0101026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626A KR20010102638A (en) 2000-05-03 2000-05-03 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626A KR20010102638A (en) 2000-05-03 2000-05-03 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38A true KR20010102638A (en) 2001-11-16

Family

ID=4578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626A KR20010102638A (en) 2000-05-03 2000-05-03 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2638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48A (en) * 2003-06-26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a text on software keyboard
KR100910113B1 (en) * 2007-05-28 2009-08-03 팅크웨어(주) Device and method for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search resul
KR100966606B1 (en) * 2008-11-27 2010-06-29 엔에이치엔(주)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stricting input by referring to database
WO2011025200A2 (en) * 2009-08-23 2011-03-03 (주)티피다시아이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WO2023243818A1 (en) * 2022-06-16 2023-12-21 이춘형 Double layer-type character input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48A (en) * 2003-06-26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a text on software keyboard
KR100910113B1 (en) * 2007-05-28 2009-08-03 팅크웨어(주) Device and method for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search resul
KR100966606B1 (en) * 2008-11-27 2010-06-29 엔에이치엔(주)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stricting input by referring to database
WO2011025200A2 (en) * 2009-08-23 2011-03-03 (주)티피다시아이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WO2011025200A3 (en) * 2009-08-23 2011-07-07 (주)티피다시아이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US10936086B2 (en) 2009-08-23 2021-03-02 Tp-I Co., Ltd.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WO2023243818A1 (en) * 2022-06-16 2023-12-21 이춘형 Double layer-type character inpu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847B2 (en) User-defined gesture enablement protocols for touch input device
KR101121402B1 (en) Improvement of input precision
KR1008230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document of display included touch screen
KR100975168B1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4828826B2 (en) Automatically adaptable virtual keyboard
KR1013529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 on-screen keyboard
KR101456490B1 (en) Touch screen keyboar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90066659A1 (en) Computer system with touch screen and separate display screen
US200701208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hange-over method
JP2009129443A (en) Input receiving method of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input system of touch screen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8097371A (en) Display system, coordinat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40240234A1 (en) Input Device
EP0725331A1 (en) Information imput/output device using touch panel
JP2009009252A (en) Touch type input device
KR20010102638A (en) Keyboard system having easy key ope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2006085218A (en) Touch panel operating device
JPH09325851A (en) Coordinat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20120081422A (e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according to touch event thereof
KR20060108162A (en) Mobile terminal using optical sensor to perform navigation function
KR101706909B1 (en) Finger Input Devices
KR20090006043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 electronic apparatus
JPH0314121A (en) Programmable display device
US20150138102A1 (en) Inputting mode switch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KR1011417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small eletronic device
KR101117651B1 (en) System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