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380A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결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380A
KR20010100380A KR1020000023338A KR20000023338A KR20010100380A KR 20010100380 A KR20010100380 A KR 20010100380A KR 1020000023338 A KR1020000023338 A KR 1020000023338A KR 20000023338 A KR20000023338 A KR 20000023338A KR 20010100380 A KR20010100380 A KR 20010100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credit card
inform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식
Original Assignee
윤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식 filed Critical 윤영식
Priority to KR102000002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0380A/ko
Publication of KR2001010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380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거래된 물품 또는 제공된 용역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이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결제방법은, 결제 단말기로 사용할 이동통신 단말기에 신용카드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비용을 지불할 때에는 고객이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대금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신용카드 정보를 제공하면서 지불할 금액과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면, 대금결제 서버가 수신된 신용카드와 지불금액의 정보에 근거하여 신용카드 서버로부터 승인을 획득하고 그 결과를, 수신된 가맹점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번호의 가맹점 단말기에 호 연결하여 송신함으로써 가맹점에서 지불절차가 완료되도록 하고 그 거래에 대한 영수증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절차로 이루어져, 고객이 판매점 등에 신용카드 정보를 제시하지 않고 상거래가 행해진다. 이로써 이용자는 분실의 위험이 많은 현금 또는 신용카드를 소지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해 비용을 지불할 수 있게 되므로, 신용거래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 결제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aying a charge of goods or service using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거래된 물품 또는 제공된 용역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이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물품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에 있어서는, 대부분 현금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용자가 소지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는데,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물품판매점에서 물품을 구입하거나 용역을 제공받은 뒤, 신용카드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물품판매점 등에서는 구비된 신용카드 조회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서버에 조회요청하여 승인받음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제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소지해야 하는 신용카드는 분실의 경우가 잦고, 또한 분실되는 경우에도 소액거래 보다는 몇 만원 이상의 고액거래에 사용되기 때문에 그 사용빈도가 낮아서, 분실된 사실을 쉽게 알수 없어, 분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동안 부정거래 등의 악의적 거래에 이용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신용카드는 마그네틱 스트립방식으로 저장된 정보에 의해 상거래를 수반하기 때문에, 위변조에 취약하며 이로 인하여 위변조 신용카드에 의한 수천만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분실이나 위변조가 아니라 하더라도, 인터넷을 통한 쇼핑이 일상화되고 있는 요즈음에는, 물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를 위해서 제공되는 정보가, 신용카드의 번호와 유효기간만으로도 족하고, 이러한 정보는 신용카드에 의한 거래시에 온라인 쇼핑몰 또는 판매점에서 쉽게 노출되므로, 이를 악의적으로 이용하여 인터넷 쇼핑몰에서 부정한 이익을 취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신용카드를 소지한 구매자는, 인터넷 쇼핑몰 또는 판매점을 신뢰하지 못하게 되어 자신의 신용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꺼리게 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많은 현금을 소지해야 하거나, 아예 통신망을 통한 구매는 고려치 않음으로써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이 신용사회로 진일보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이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이에 저장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거래에 따른 대금 결제를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에 의해 구매한 물품 또는 제공받은 용역에 대한 대금이 결제되는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대금 결제서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통합하여 도식화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대금 결제서버로부터 승인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전체 절차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대금 결제서버에 등록된 가맹점에 대한 등록정보와 거래내역이 저장되는 일 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a 및 6b는 휴대폰에서 대금 결제서버로 지불비용을 승인요청하기 위해 송신하는 메시지 포맷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대금 결제서버가 신용카드사의 서버로, 수신받은 지불비용을 승인요청하기 위해 송신하는 메시지 포맷의 일 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a 및 8b는 신용카드사의 서버가 대금 결제서버에, 요청한 승인에 대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의 포맷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대금 결제서버가 가맹점 단말기에 승인사실을 통보하는 메시지 포맷의 일 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가맹점 단말기의 다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100n : 기지국
105 : 기지국 제어기 110 : 이동 교환기
120 : 왑(WAP) 서버 130 : 신용카드 서버
140 : 신용정보 서버 200 : 대금 결제서버
201 : 데이터 링크모듈 202 : 패킷 데이터 모듈
204 : 응용 프로토콜 모듈 205 : 데이터 서비스 모듈
206 : 호처리 모듈 207 : 데이터 저장모듈
208 : 시계부 209 : 결제 처리모듈
211 : 트렁크 접속모듈 212 : 데이터 변복조부
213 : PPP (Pont-to-Point Protocol) 모듈
220 : 가입자 관리모듈 300n : 가맹점 단말기
301 : 마이크로 프로세서 310 : 버저/구동부
311 : 키패드 312 : 키 인터페이스
313 : 액정화면 314 : 액정 구동기
315 : 병렬포트 316 : 신호 변복조부
317 : 전화망 접속부 330 : 영수증 출력 프린터
341 : CDMA 모뎀 342 : RF 송수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은, 결제 단말기로 사용할 이동통신 단말기에 신용카드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고객이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대금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신용카드 정보를 제공하면서 지불할 금액과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면, 대금결제 서버가 수신된 신용카드와 지불금액의 정보에 근거하여 신용카드 서버로부터 승인을 획득하고 그 결과를, 수신된 가맹점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번호의 가맹점 단말기에 호 연결하여 송신함으로써 가맹점에서 지불절차가 완료되도록 하고 그 거래에 대한 영수증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과 이 방법이 이루어지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에 의해 구매한 물품 또는 제공받은 용역에 대한 대금이 결제되는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왑(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과 같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10) (이하, '휴대폰'이라함)와, 휴대폰과의 무선신호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신호를 교환하는 기지국(100n, n=1,2,...)과,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송신할 신호를 휴대폰과의 링크(link) 프로토콜에 맞추어 통신하는 기지국 제어기(105)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105)로 부터의 통화 데이터를 교환하며, 요구된 호(call)의 목적지를 검색하여 적절한 곳으로 호를 착신시키는 교환기(110)와, 왑이 지원되는 휴대폰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왑서버(120)와, 신용카드에 의한 결제요청시에 그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통보하는 신용카드 서버(130)와, 개개인의 신용정보를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신용정보 서버(140)와, 대금의 결제요청에 따른 승인여부를 통보받는 가맹점 단말기(3001,3002)와, 휴대폰을 이용하여 대금 지불요청이 있는 경우 이의 요청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가맹점 단말기(3001또는 3002)에 통보하는 대금결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구성요소에 데이터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전화망, 금융망 또는 인터넷망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대금 결제서버(200)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통합하여 도식화한 것으로서, 왑서버(120), 신용카드 서버(130) 그리고 신용정보 서버(140)와 전용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링크 모듈(201)과, 상대측과의 패킷 데이터의 인캡슐과 디캡슐(encapsulizing & decapsulizing)을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모듈(202)과, 상기 송수신되는 패킷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파일, 하이퍼 텍스트 또는 메일형태의 데이터를 구성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는 응용 프로토콜 모듈(204)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204)을 통해, 문자, 그림 또는 파일 등을 하이퍼 텍스트 형태의 문서 (이하, "웹페이지(webpage) 문서"라 함 )로써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과, 가맹점의 등록정보, 거래내역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모듈(207)과, 대금 결제서버(200)에 가입된 가입자들의 신상 및 액세스 정보와 가맹점의 정보 등을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모듈(220)과, 외부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호처리 모듈(206)과, 수신된 대금 지불 요청을 외부 서버를 통한 조회에 의해 승인 메시지를 구성하여 송신하는 결제 처리모듈(209)과, 전화 교환기와의 트렁크(trunk) 접속을 위한 트렁크 접속모듈(211)과, 상기 트렁크 접속모듈(211)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복조하는 데이터 변복조부(212)와, 연결된 상대측 단말기와 일대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PPP(Point-to-Point Protocol) 모듈(213)과,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제공하는 시계부(20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대금 결제서버(200)로부터 승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3001)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소리를 출력하는 버저/구동부(310)와, 안내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액정화면(313)과, 입력 데이터에 따른 액정화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액정 구동기(314)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311)와, 상기 키패드(311)를 스캔(scan)하여 입력되는 키신호를 해당 데이터로 변환하는 키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의 데이터 변복조부(212)의 변복조 방식과 동일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복조하는 신호 변복조부(316)와, 전화망의 신호방식에 따른 신호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망 접속부(317)와, 데이터를 병렬로 송신하는 병렬포트(315)와,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출력하는 프린터(33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22)와, 장치의 운용 프로그램과통신 프로토콜 프로그램이 수록된 롬(321)과, 상기 롬(321)에 수록된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결제승인을 처리하는 프로세서(30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절차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1의 네트워크 구성 및 도 2와 3의 장치의 상세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에 대해, 해당되는 절차의 부분에는 참조번호를 부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상거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휴대폰(10)에 각종 신용카드 번호와 이의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켜 둔다. 그리고 이 정보를 송신 또는 표시하기 위한 비밀번호도 함께 기억시켜 둔다(E01).
필요하다면, 이용자는, 데이터 단말기( PC 또는 왑지원의 휴대폰 )를 통해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저장해 둘 수 있다(E02).
상기와 같은 사전 정보 저장을 위해서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진 접속요청 신호는, 상기 데이터 링크모듈(201)에서 데이터로 복원되어 호처리 모듈(206)로 전달된다. 상기 호처리 모듈(206)은 수신된 접속요청 정보로부터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시에 수행할 응용 프로토콜, 예를 들어 하이퍼 텍스트 변환 프로토콜(http)을 결정하여 응용 프로토콜 모듈(204)을 수행시키고, 그 하위 경로 상에서 패킷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패킷 데이터 모듈(203)을 또한 활성화 시키며, 단말기와의 접속사실을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에 통지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은, 가입을 위한 초기화면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204)을 통해 접속된 상대측 단말기로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브라우저(browser)상에 출력된다.
이 때 가입을 위해 이용자가 브라우저상에서 입력하는 데이터의 예로서는, 자신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사용할 로그인 명과 비밀번호, 주소 및, 휴대폰 상거래에 이용할 이동전화번호 등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필요한 데이터들을 단말기상에서 입력하여 등록요청하면, 입력된 내용을 가입자 관리모듈(220)에 전달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20)은 수신받은 정보로부터 기존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기존 가입자인 경우에는 신규 등록을 거절한다는 사실을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에 전달하고, 기존 가입자가 아닌 경우에는 이들 데이터들을 데이터 저장모듈(207)에 저장한다.
한편, 물품판매처에서는, 이용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대금을 이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지불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대금 결제서버(200)의 운영사에 가입신청을 하여 가맹점으로 등록된다. 이러한 등록절차를 통해 가맹점은 자신의 가맹점 단말기(3001,또는 3002)의 액세스 번호( 유선 또는 이동 전화번호 등 )를 제공하고, 가맹점 번호를 부여받는다(E02).
이와 같은 오프라인상에서의 가입절차에 의해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의 데이터 저장모듈(207)에는 도 5와 같은 형태의 가맹점 등록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고, 가맹점에서는 부여받은 가맹점 번호를 가맹점 단말기(3001,또는 3002)에 등록시킨다. 이 때의 등록은 가맹점 운용자가 키패드(311)상의 메뉴키를 선택함으로써 프로세서(301)가 액정화면(313)을 통해 제시하는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는 데, 코드 입력단계에서 키패드(311)를 통해 입력된 가맹점 번호는 키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프로세서(301)에 전달됨으로써 메모리(322)에 기록된다. 가맹점 번호가 기록되는 메모리는 상기 메모리(322) 대신에 전원오프상태에서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쓰기가능 메모리인 EEPROM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폰을 통한 대금 결제시에 신용카드 정보가 공중파로 전달되므로, 이에 의한 정보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과 대금 결제서버(200)간에 암호화된 데이터의 형태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휴대폰 이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등록과정을 통해 또는 오프라인 상의 등록절차를 통해,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로부터 휴대폰의 개인키(private key)를 부여받아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는 그 개인키에 대한 공개키(public key)를 그 가입자의 휴대폰 전화번호에 연계시켜 저장해 두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가입된 가맹점, 예를 들어 음식점 또는 상점을 방문하여 식사를 하거나 물품을 구입한 뒤, 식사비용 또는 물품대금을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간단히 지불할 수 있게 된다. 그 상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는 상기 휴대폰(10)을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를 위해, 상기 휴대폰(10)을 통해 왑서버(120)에 접속한다(S10). 왑서버(120)와의 접속은 휴대폰(10)상의 특수버튼 또는 지정된 특번을 누름으로써 휴대폰(10) 또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110)가 인식하여 요청된 호를 왑서버(120)에 라우팅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왑서버(120)와 호연결될 때는 상호 신호 교환에 의해 상기 휴대폰(10)에서도 왑 프로토콜이 기동되며, 이 과정에서 휴대폰(10)에도 상기 왑서버(120)가 부여한 임시 IP 주소가 할당된다.
상기 휴대폰(10)에서 왑 프로토콜이 기동되면 상기 왑서버(120)은 접속 단말기를 위한 초기메뉴를 제공하게 되는 데, 이는 다음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귀하가 원하는 서비스의 번호를 눌러 주십시오.
1번 : 왑서핑(WAP surfing)
2번 : 오락
3번 : 채팅
......................』
이용자는 상기의 초기메뉴 항목중 왑서핑을 선택하여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와 접속하게 되는 데, 이러한 접속과정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왑서버(120)가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를 초기 메뉴상에 하나의 링크로 바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휴대폰(10)에 특수 연결키를 지정하고 그 지정키에 대응하여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의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을기억시켜 둠으로써, 상기 특수 연결키를 누르게 되면 휴대폰(10)이 왑서버(120)와 접속되는 동시에 대응 기억된 URL을 송신함으로써 바로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와 연결된다(S11).
상기 왑서버(120)를 경유한 연결 요청은 데이터 링크모듈(201)을 통해 패킷 데이터 모듈(202)에 전달되는 데, 이 때, 연결요청한 휴대폰(10)의 임시 IP주소가 추출되어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에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은 수신받은 IP 주소로부터 그 주소가 이동통신망의 왑서버(120)가 부여한 것으로 인지하고, 전자 신용카드로 지불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라는 메시지를 휴대폰(10)으로 송신하게 된다. 이 때 송신되는 메시지는 응용 프로토콜 모듈(204)에서 하이퍼 텍스트 방식의 웹 페이지 형태로 송신되고, 이 웹페이지가 상기 왑서버(1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텍스트형태로만 재구성되어 휴대폰(10)으로 송신되거나, 아니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이 이미 연결요청과 함께 수신된 IP 주소로부터 휴대폰에 의한 접속임을 인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204)을 통해 직접 텍스트 형태의 안내 메시지만이 송신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자 신용카드에 의한 지불'을 처리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휴대폰(10)상의 액정화면상에 출력되면, 이용자는 휴대폰(10)의 키조작을 통해 대금 결제를 위한 메뉴를 선택한 다음 제시되는 절차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먼저, 휴대폰(10)은 이용자가 기 저장해 둔 각 종의 신용카드 정보( 번호와 유효기간 )를 항목 번호와 함께 차례대로 화면 출력하고, 숫자버튼으로 선택된 항목의 신용카드 정보를 잠시 저장해 둔다. 그리고는 가맹점의 번호와 지불 금액을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액정화면 상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구매자는 판매점의 특정위치에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가맹점 번호를 인식하여 그 가맹점 번호와 함께 자신이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을 입력하게 되고, 휴대폰(10)은 입력되는 가맹점 번호와 지불금액을 구분식별하여 저장한다. 이 때 입력되는 번호와 지불금액간에는 '#'과 같은 키로써 구분식별할 수 있도록 입력되거나, 아니면 각기 단계를 구분하여 입력요청함으로써 휴대폰(10)이 가맹점 번호와 지불금액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이 종료되면, 최종적으로 이용자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안내한 다음,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이러한 입력절차가 완료되면 휴대폰(10)은 입력된 내용을 액정화면상에 정리하여 표시하면서, 입력된 내용이 맞으면 송신용 비밀번호와 '송신키'를 입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음부터 재입력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최종 표시된 내용을 확인한 다음, 이용자가 비밀번호와 '송신키'를 입력하면 휴대폰(10)은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입력된 내용을 모두 상기 왑서버(120)를 통해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로 전송하면서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S12), 일치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재입력 절차를 밟도록 한다.
이 때, 송신키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는, 휴대폰이 암호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 경우에는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키로써 송신 메시지를 암호화시켜 전송하는 데, 대금 결제서버(200)가 송신한 휴대폰에 대한 공개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휴대폰의 전화번호만은 메시지의 선두에 위치시켜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한다.
전술한 예에서, 이용자가 자신의 휴대폰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채택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휴대폰(10)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이용자의 휴대폰 전화번호(MIN) 및 휴대폰의 고유 전자 일련번호(ESN)가 기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휴대폰 전화번호는 십진수 10자리로 구성되며, MSIN(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이라고도 한다. 또한 휴대폰의 고유 식별코드인 상기 전자 일련번호(ESN)는 단말기(휴대폰)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자로서, 이러한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시에 이동통신 교환기에 제공되기 때문에, 만약 이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교환기(110)가 왑서버(120)에 제공하고, 상기 왑서버(120)가, 휴대폰(10)과 대금 결제서버(200)간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중계할 때에, 휴대폰(1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가하여 제공하게 되면, 휴대폰의 이용자가 단말기의 키패드상에서 직접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절차를 밟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 때는 암호화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송신하는 전 메시지에 대해 저장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다음 전송하게 된다.
출력표시된 내용이 확인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함으로써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로 송신되는 메시지의 포맷은 도 6a와 같이, 각 필드마다 정해진 크기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도 6b와 같이 각 필드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각필드를 구분하는 구분자가 필드마다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포맷의 메시지는, 상기 휴대폰(10)이 항목별로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포맷에 맞게 순차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얻어지고, 이와 같이 구성된 메시지는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송신하게 된다.
도 6a와 같은 형태의 송신 메시지 포맷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 필드에 기입될 데이터가 그 필드에 대해 할당된 최대 크기를 채우지 못하는 여분의 공간에 대해서 '0'또는 '*'과 같은 값을 채워서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6b의 송신 메시지의 구성포맷은 휴대폰(10)에서 구성하는 대신, 이용자가 각 입력 단계를 차례대로 거치지 않고, 입력정보외에 구분자까지 순차적으로 한번의 단계에서 입력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즉 이용자가 신용카드 정보, '#', 가맹점 번호, '#', 지불금액, '#' 과 같이 계속하여 입력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 열을 상기 휴대폰(10)이 각 구분자에 근거하여 분리하여,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 가맹점 번호 그리고 지불금액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표시함으로써 긴 데이터 입력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용지불을 위한 데이터가 휴대폰(10)에서 구성되어 왑서버(120)를 경유하여 대금 결제서버(200)에 전달되면, 이 정보는 데이터 링크 모듈(201)을 통해 패킷 데이터 모듈(202)에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신뢰성있는 전달을 위해 부가되었던 패킷 헤더들이 제거되고 각 패킷의 데이터 필드만이 추출되어 상기 휴대폰(10)에서 전송한 결제 요청 정보들만이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에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은 전달받은 도 6a 또는 6b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를 결제 처리모듈(209)에 제공하여 이용자가 지불요청한 금액에 대한 결제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만약, 수신된 메시지가 도 6a 또는 6b와 같은 형태의 포맷이 아닌 경우에는, 메시지 선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 또는 이동통신망에서 호 연결시에 제공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가입자의 공개키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발신 휴대폰에 대한 공개키가 검출되면, 이를 이용하여 앞서 수신된 메시지를 해독하여 도 6a 또는 6b와 같은 포맷으로 재구성한 다음, 이를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앞서 수신된 연결요청 메시지에서 추출한 휴대폰(10)의 임시 IP주소도 함께 결제 처리모듈(209)에 전달한다.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은 수신된 데이터를 정해진 포맷에 따라 분해한 다음, 각 내용을 상기 전달받은 휴대폰의 IP주소와 함께 하나의 결제 미처리 항목으로 데이터 저장모듈(206)에 임시 저장하고, 분해된 각 필드의 내용으로부터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파악한다. 파악된 전화번호를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220)에 전달하면서 그 가입자의 신원정보, 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와 성명 등을 요청하며,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220)은 전달받은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등록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전화번호를 갖는 가입자의 신원정보를 독출하여(E03) 이를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에 리턴한다.
수신된 휴대폰의 가입자에 대한 신원정보를 리턴받은 상기 결제처리모듈(209)은 이를 패키지화하여 신용상태 확인요청 메시지로 구성하여 패킷 데이터 모듈(202)을 통해,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용정보 서버(140)에 전송한다(S20). 이에 따라 상기 신용정보 서버(140)는 수신받은 신원정보를, 금융거래 부적격자로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금융거래 가능자임을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220)을 통해 해당 전화번호의 가입자의 신원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신용정보 서버(140)에 송신하는 대신, 수신받은 휴대폰 전화번호 또는 신용카드 번호를 상기 신용정보 서버(140)에 송신함으로써 그 전화번호 또는 신용카드 번호의 소지자에 대한 금융거래에 있어서의 신용상태를 확인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는 경우에는 신용정보 서버(140)가 개개인의 휴대 전화번호 또는 신용카드 번호와 각 개인의 신원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 경우에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가 제공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 신용결제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가입절차를 통해 자신의 신상정보를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등록해 둘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신용정보 서버(140)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용상태 확인결과에 대한 메시지는 다시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에 전달되고, 이 결과 메시지가 금융거래 적격자임을 나타내면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은 이전 수신된 도 6a 또는 6b와 같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신용카드 번호로부터 해당 신용카드사를 파악하고, 그 신용카드사가 운용하는 서버의 IP주소를 확인한 다음, 그 IP 주소를 목적지로 하여, 신용카드 정보, 지불금액 그리고 휴대폰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지불승인 요청메시지를 도 7과 같이 구성하여 해당 신용카드 서버(130)로 송신한다(S21). 이 때 구성되는 도 7의 메시지는, 승인요청된 금액 필드를 제외한 필드는 정해진 크기를 가지며 전체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크기정보를 가지므로, 전체크기 값에서 정해진 각 필드의 크기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크기로부터, 값이 일정하지 않은 승인요청된 금액을 알 수가 있다.
도 7과 같은 승인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신용카드 서버(130)는 요청된 정보로부터 신용카드가 유효한 카드인지, 즉 도난 당하거나 분실신고된 번호가 아닌지 현재 승인요청된 금액이 해당 카드 소지자의 사용한도 금액을 초과한 액수가 아닌지를 자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승인 또는 승인거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S22).
상기 신용카드 서버(130)가 승인요청된 금액에 대해 승인 또는 승인거부를 메시지로 구성할 때는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유지한 채 승인 또는 승인거부만을 나타내는 코드만을 달리 구성하여 도 7과 같은 형태로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송신하거나, 아니면 데이터 송수신량을 줄이기 위해 도 8a와 같이 신용카드번호와 지불금액 또는 도 8b와 같이 휴대폰 번호와 지불금액의 형태로 구성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요청된 결제금액에 대한 승인시에는 신용카드사의 승인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가 승인 또는 승인거부의 결과를 수신할 때에 신용카드 번호 또는 송신한 휴대폰 전화번호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이유는,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이 동시 다발적으로 신용카드 서버(130)에 지불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기 때문에, 승인 또는 승인거부된 사실만으로는 그것이 어떤 승인요청에 대한 것인지 판별할 수 없기 때문이며, 승인 또는 거부된 금액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이유는, 한 사람이 동시에 여러개의 지불 비용에 대한 전자 결제를 요청하였을 경우에 이들을 각기 지불 요청된 금액으로 식별하기 때문이다.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의 결체 처리모듈(209)이, 도 7, 도 8a 또는 8b와 같은 형태의 승인 또는 승인거부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메시지의 코드로부터 승인 또는 승인거부인가를 판단하고, 신용카드번호와 승인요청한 금액, 또는 휴대폰 전화번호와 승인요청한 금액을,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07)에 미처리 항목으로 기록되어 있는 내용들에서 검색하여 일치되는 필드를 갖는 항목을 찾는다. 일치되는 항목이 찾아지면, 상기 결체 처리모듈(209)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승인인가 승인거부인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하게 된다.
먼저, 수신된 메시지가 승인거부인 경우에는, 상기 찾아진 항목에 기록되어 있는 IP 주소를 독출하고, 그 IP주소를 착신 주소로 하여 '신용카드의 사용승인이 거절되었으므로 다른 신용카드를 사용하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구성하여 패킷 데이터 모듈(202)과 데이터 링크모듈(201)을 통해 왑서버(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왑서버(120)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휴대폰들에 할당시킨 IP주소를 확인하여 대상 휴대폰을 파악함으로써 상기 메시지의 전달경로 상에 있는 이동전화 교환기(110)로, 이동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메시지의 포맷을 변환하여 전송하게 되고(S30), 이 내용은 지불요청한 휴대폰(10)에 전달되어 화면출력됨으로써 이용자는요청한 전자 지불이 거절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휴대폰(10)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비용지불 승인절차를 밟게 된다(E04). 그리고, 승인거절에 대한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왑서버(120)로 전송한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07)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미처리 항목을 삭제한다.
만약, 수신된 메시지가 승인인 경우에는, 승인거부 수신시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요청한 지불금액이 승인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왑서버(120)를 통해 휴대폰(10)으로 전송하고(S30), 이와는 별도로, 시계부(208)에 현재의 날짜와 시각을 요청하여 제공받아서 이를 해당 미처리 항목의 결제 승인일시로서 기록하고, 승인시마다 순차적으로 자체 생성하는 승인번호 또는 신용카드 서버(130)로부터의 승인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승인번호를 또한 해당 미처리 항목에 할당기록하며, 동시에 상기 찾아진 미처리 항목에 기록되어 있는 가맹점 번호를 독출하고 그 번호를 가입자 관리모듈(220)에 전달하면서 그 가맹점의 결제전용 단말기에 접근할 수 있는 전화번호와 그 외의 부수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 관리모듈(220)은 전달받은 가맹점 번호를, 데이터 저장모듈(207)에 도 5와 같이 구축되어 있는 가맹점 등록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일치하는 번호의 가맹점에 대한 단말기 번호와 필요한 경우에 그 사업자명, 사업자 등록번호 및 사업자 주소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에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리턴받은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은 그 중 전화번호를 호처리 모듈(206)에 전송하면서 해당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한다. 이 요청에 따라 상기 호처리 모듈(206)은 착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발신 메시지를 구성하여 트렁크 접속모듈(211)을 통해 전화망의 교환기로 송신한다(S40).
이 송신에 의해 전화망은 대상 단말기(3001또는 3002)에 호착신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호착신 대상 단말기가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300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호 착신 신호가 가맹점 단말기(3001)의 전화망 접속부(317)에 전달되면, 상기 전화망 접속부(317)는 착신호에 대해 응답을 함으로써(S41) 대금 결제서버(200)와 호가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호 연결상태를 신호 변복조부(316)에 알린다.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의 트렁크 접속모듈(211)도 호 연결상태를 호처리 모듈(206)과 데이터 변복조부(212)에 알리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변복조부(212)와 신호 변복조부(316)는 연결된 회선을 통해 상대측과 교신함으로써 상대측이 대응된 변조/복조 기능을 갖추었는지를 판별하여, 서로 교신이 가능한 상태이면 연결된 호 상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된 호를 끊는다.
연결된 호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변복조부(316)는 이를 프로세서(301)에 통지하게 되고, 상기 프로세서(301)는 롬(321)에 있는 'PPP 통신 프로토콜'과 '승인접수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이 기동에 따라 대금 결제서버(200)의 PPP 모듈(213)과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신하여 임시 IP 주소를 부여받고 가맹점 단말기(3001)는 네트워크에 로그인(log-in)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의 호처리 모듈(206)이 호가 연결된 사실을 결제 처리모듈(209)에 전달하면,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은 PPP 모듈(213)을 통해 접속확인 패킷을 보내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3001)의 기동된 승인접수 프로그램은 이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보내게 되는 데(S42), 이 때 응답하는 메시지는 메모리(322)에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 번호를 포함하게 되며, 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가맹점 번호는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은, 승인 결과를 통보하기 위해 호 연결시켰던 미처리 항목의 가맹점 번호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실려있던 가맹점 번호를 상호 비교하여(E05)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연결된 호를 단절시키도록 상기 호처리 모듈(206)에 요청하고(S43') 다시 승인 결과를 통보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대금 결제서버(200)와 가맹점 단말기(3001)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는 각각 데이터 변복조부(212)와 신호 변복조부(316)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되어 상대측으로 송신되고 상대측에는 정해진 방식에 따라 그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게 된다.
상기 결제 처리모듈(209)은 해당 미처리 항목에 대해 획득된 모든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3001)의 승인접수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PPP 모듈(213)을 통해 송신하게 되는 데(S43), 이 때 송신되는 승인정보에는 승인번호, 승인일시, 승인된 금액 그리고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가맹점의 이름 및 주소, 그리고 사업자 등록번호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도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는 신용카드사를 알 수 있는 번호의 일부만이 송신되는 정보에 포함되거나 아예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신용카드사를 알 수 있는 정보로서는, 바람직하게 결제 처리모듈(209)이 이미 인지한 신용카드사에 대한 약칭을 문자로서 구성하여 승인 메시지에 삽입하여 송신한다. 이 때 송신되는 승인 메시지는 도 9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포맷은 승인금액 필드의 크기를 4바이트로 고정하는 대신 금액을 이진숫자로 나타내는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서 최대 표현가능 금액은 224= 16,777,216원이며, 가맹점명과 주소 등을 구분하는 구분자는 문자열의 끝을 나타내는, 0(zero)의 값을 갖는 널(null)문자를 사용한 것이다.
도 9와 같은 메시지를, 신호 변복조부(316)를 통해 수신한 프로세서(301)는, 승인접수 프로그램에 의해 이를 먼저 메모리(322)상에 임시 저장한 다음, 각 필드의 내용을 구분하고 그 내용을 화면 출력형태로 배치 구성하여 액정 구동기(314)에 인가함으로써 액정화면(313) 상에 결제 승인된 내용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버저/구동부(310)에 구동 데이터를 인가시켜 소리를 출력케 함으로써 결제승인 항목이 도달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는 승인통보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확인용 메시지( 승인번호 또는 휴대폰 전화번호를 포함 )를 대금 결제 서버(200)로 송신하게 되고(S44), 확인용 메시지를 수신한 사실을 인지한 결제 처리모듈(209)은 호처리 모듈(206)에 요청하여 현재 연결된 호를 단절시키도록 하고(S45), 직전 처리완료된 항목에 대한인덱스(index) 번호를 가입자 관리모듈(220)에 전달하면서 거래내역의 정리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 관리모듈(220)은 전달받은 인덱스 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모듈(207)의 미처리 항목에서 직전 처리된 항목을 찾게 되고, 그 항목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찾아서 도 5에서와 같이 해당 가맹점에 대한 거래내역으로서, 승인번호, 거래일시 거래금액, 고객의 휴대폰 번호 등을 추가로 기재하게 되고, 거래자의 휴대폰 번호로부터, 또는 그 번호로부터 특정되는 등록 고객의 신원정보로부터 그 고객에 대한 거래일시, 거래금액, 거래 가맹점명을 거래정보로서 별도로 기록하게 된다. 거래내역에 대한 정보가 모두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면(E06) 인덱스 번호를 넘겨받은 미처리 항목을 데이터 저장모듈(207)에서 삭제하게 된다.
도 5에 예시적으로 제시된 거래내역의 DB는, 가맹점 번호가 01237770인 '진사댁'이라는 가맹점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비용결제가 3회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 3회의 거래내역은, 1회의 거래내역 저장시에 할당되는 크기가 일정한 것을 가정하였을 때 N1번째의 거래항목부터 체인형태로 3회가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할당크기가 S이면 거래내역 DB의 N1 x S의 주소에 위치한 N1의 항목과 이 항목에서 다음 거래로 지정된 N1+5, 그리고 N1+5에서 다음 거래로 지정하고 있는 N1+12 항목에 기록된 내용의 거래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N1+12의 항목은 다음 거래가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음거래 인덱스에 0이 기록된다.
만약,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폰을 이용한 거래가 다시 있게 되면, 가입자 관리모듈(220)은 거래내역을 위한 공간을 할당받아 그 공간의 인덱스 번호를 N1+12항목의 다음거래 인덱스 필드에 기재하고 거래횟수는 1증가시킨 다음, 할당된 공간에 도 5에서 제시된 필드의 내용을 차례대로 기재하여 거래내역을 추가 등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록된 거래내역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이나 고객이 단말기를 통해서 접속하여 조회를 요청하는 경우에 데이터 서비스 모듈(205)이 해당 고객 또는 가맹점에 대한 거래정보를 검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가맹점의 운용자 또는 판매원은 결제승인된 내용을 눈으로 확인하고 표시된 휴대폰의 전화번호로부터 결제요청한 고객을 파악한 다음, 그 고객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구매한 물품을 인도하게 됨으로써 고객은 휴대폰을 이용한 비용의 지불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제의 절차가 완료되면 가맹점의 판매원 또는 운용자는 단말기(3001)의 키패드(311)를 통해, 현재 액정화면(313)에 출력되어 있는 내용에 대한 영수증 출력을 요청하게 되고, 이 요청에 따라 프로세서(301)는 상기 메모리(322)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기 정해진 영수증 포맷에 맞도록 각 필드의 데이터를 구성한 다음 이를 병렬포트(315)를 통해 프린터(330)에 제공하고 프린터(330)는 이를 영수증 양식의 인쇄지에 출력함으로써 영수증을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E07).
상기의 실시예에서 대금 결제서버(200)가 가맹점의 이름, 주소 그리고 사업자 등록번호를, 승인통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내용을단말기(3001)의 키패드(311)를 통해 직접 메모리에 사전 저장시켜 두며, 상기 프로세서(301)는, 영수증 출력을 위한 데이터의 구성시에, 승인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이외에 메모리에 저장된 가맹점의 이름과 주소, 그리고 사업자 등록번호를 함께 구성하여 프린터(330)로 출력함으로써 고객에게 영수증을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가맹점의 단말기가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었으나, 가맹점의 단말기는 유선망대신 이동통신망의 통신 단말기의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이 때의 구성은 도 10과 같다.
도 10의 가맹점 단말기(3002)는 CDMA 이동통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송신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 다음 부호화 코드와 승산하여 확산시키고, 확신된 수신신호를 부호화 코드로 역확산시킨 다음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CDMA 모뎀(341)과, CDMA 신호대역의 신호로 고주파 변조하여 송신하고 그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는 RF 송수신부(342)로 구성되는 통신망 접속부를 구비하며, 다른 구성요소는 도 3의 유선 전화망용 단말기(3001)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0의 단말기(3002)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1001, 또는 1002)에서 다시 역확산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되어 이동통신 교환망을 통해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에 전달되므로 가맹점 단말기(3002)와 대금 결제서버(200)간에별도의 변복조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대금 결제서버(200)의 호처리 모듈(206)은 결제 처리모듈(209)로부터 전달받은 가맹점의 전화번호와 호를 연결할 때에, 연결할 전화번호가 이동전화망의 번호인지 유선전화망의 번호인지를 판별하여, 이동전화망인 경우에는 호 연결이 될 때에 데이터 변복조부(212)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신호와 송신할 신호에 복조와 변조는 물론 호 연결시에 상대측의 변복조 기능 존재의 확인 교신절차도 수행치 않도록 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는 이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휴대폰을 결제용 단말기로 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금 결제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휴대폰을 PDA와 같은 무선단말기로 대체하여도 동일한 과정에 의한 대금 결제가 가능하며, 전자 신용카드 기능을 내장한 휴대폰( 스마트 폰 )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시켜 필요시에 송신하는 것을, 스마트 카드로부터 인출하여 송신하는 것이 상이할 뿐 신용카드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대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전 과정은 완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단말기로써,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휴대폰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하나에 지나지 않을 뿐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은, 이용자가 분실의 위험이 많은 현금 또는 신용카드를 소지하거나 물품판매처에 신용카드번호와 같은 개인의 신용정보를 제공하지 않고서도 상거레에 수반되는 대금을 지불할 수 있으므로, 상거래에 있어서 구매자에게 거래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신용거래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5)

  1. 대금 결제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판매처와 구매자의 식별정보, 신용카드 정보 및 거래대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금 결제 요청메시지를 수신받는 제 1단계;
    상기 수신된 대금 결제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신용카드 정보와 거래대금을 신용카드 서버로 송신하여 승인 요청하는 제 2단계;
    상기 신용카드 서버로 부터 수신되는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판매처의 기 등록정보에 근거하여 그 판매처의 단말기 접근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처의 단말기와 호 연결하는 제 3단계;
    상기 호 연결된 단말기에, 승인된 대금과 상기 수신된 구매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송신된 결제 승인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출력포맷으로 구성하여 화면 또는 인쇄용지에 출력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식별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식별정보는, 단말기가 호연결시에 자동적으로 송신하는 단말기 고유의 전자 일련번호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교환망이 확인하여 송신하는 해당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신되는 신용카드 정보는 신용카드의 번호와 카드의 유효기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대금 결제 요청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개인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대금 결제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구매자의 식별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개인키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은 채로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구매자의 식별정보로부터, 기 등록된 공개키를 독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대금 결제 요청메시지를 해독함으로써, 신용카드 정보와 거래대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신용카드 서버로 상기 수신된 구매자의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신용카드 서버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에는 상기 송신된 구매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판매처의 단말기와 호 연결된 후 그 판매처의 가맹점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신한 판매처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결제 승인의 오류를 검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연결된 호를 유지 또는 단절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신용카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승인 여부에 따라 그 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대금 결제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결제승인에 따라 획득된 승인번호, 승인된 일시, 기 등록된 정보에 포함된 해당 판매처의 이름, 주소, 사업자 등록번호를, 상기 결제 승인 데이터에 더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방법.
  12. 등록 판매처에 대한 식별정보, 그 판매처 단말기의 접근번호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판매처와 구매자의 식별정보, 신용카드 정보 및 거래대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금 결제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대금 결제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신용카드 정보와 거래대금을, 외부의 신용카드 서버로 송신하여 승인 요청하는 승인 요청수단;
    상기 수신된 판매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판매처의 단말기의 접근번호를 독출하여 그 번호의 단말기와 호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호 연결수단;
    상기 신용카드 서버로 부터 수신되는 승인여부 메시지에 근거하여, 승인된 대금과 상기 수신된 구매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연결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승인 처리수단; 및
    상기 연결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 정해진 방식의 변조와 복조를 수행하는 변복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판매처의 식별정보를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판매처에 대해 기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결제 승인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처리수단은, 결제 승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승인내역에 대해서는, 이를 해당 판매처의 거래내역으로 기록하여 추후 거래내역 조회 요청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변복조 수단은 상기 호 연결수단이 연결 요청하는 단말기의 번호에 따라 변복조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 결제 장치.
KR1020000023338A 2000-05-01 2000-05-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결제장치 KR20010100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38A KR20010100380A (ko) 2000-05-01 2000-05-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결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38A KR20010100380A (ko) 2000-05-01 2000-05-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결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380A true KR20010100380A (ko) 2001-11-14

Family

ID=4578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338A KR20010100380A (ko) 2000-05-01 2000-05-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결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0380A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163A (ko) * 2000-08-25 2000-11-06 안영상 소매점을 위한 대금 지급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4524A (ko) * 2001-03-03 2001-06-05 윤경용 휴대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방법
KR20010114061A (ko) * 2000-06-20 2001-12-29 허장현 조건부예치에 의한 원격지상거래 대금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6750A (ko) * 2001-03-30 2002-10-11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이동통신단말기에 금융정보를 내장하여 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20096730A (ko) * 2001-06-21 2002-12-31 서재웅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2149A (ko) * 2001-07-30 2003-02-12 삼성카드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전자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3048882A2 (en) * 2001-12-01 2003-06-12 Digital Service Co.,Ltd. Pay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ransfer card
KR20030055055A (ko) * 2001-12-26 2003-07-02 이민수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30068762A (ko) * 2002-02-18 2003-08-25 (주)애트리움씨앤아이 휴대전화와 가맹점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
KR20030081870A (ko) * 2002-04-15 2003-10-22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상점 결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43533A (ko) * 2002-11-19 2004-05-24 장영준 결제대행 방법 및 이에 적합한 대금결제 단말기
WO2005109998A2 (en) * 2004-05-04 2005-11-24 Bea Su Jo Billing system according to ordering by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641824B1 (ko) * 2001-04-25 2006-11-06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대칭키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한 금융정보 입력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상거래 시스템
KR100671800B1 (ko) * 2000-09-20 2007-01-19 퍼스트데이타인터내셔널코리아 주식회사 전자 신용 카드 운용장치
KR100744922B1 (ko) * 2003-10-29 2007-08-0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결제 지원 시스템 및 전자 결제 지원 장치
KR100757377B1 (ko) * 2006-05-15 2007-09-11 이상헌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대금결제 속성처리 시스템
KR100813520B1 (ko) * 2005-03-04 2008-03-13 한종우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출력 단말기
KR100872698B1 (ko) * 2006-09-28 2008-12-10 (주) 엘지텔레콤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디엠비 방송 홈쇼핑 구매상품의지불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80277B1 (ko) * 2008-07-29 2009-01-23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WO2010081164A2 (en) * 2009-01-12 2010-07-15 Visa U.S.A. Inc. Non-financial transactions in a financial transaction network
WO2012030162A2 (ko) * 2010-08-31 2012-03-08 비씨카드 주식회사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148038B1 (ko) * 2009-12-17 2012-05-24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금융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9783A (ko) * 2016-02-29 2016-03-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맹점의 고유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061A (ko) * 2000-06-20 2001-12-29 허장현 조건부예치에 의한 원격지상거래 대금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000064163A (ko) * 2000-08-25 2000-11-06 안영상 소매점을 위한 대금 지급 시스템 및 방법
KR100671800B1 (ko) * 2000-09-20 2007-01-19 퍼스트데이타인터내셔널코리아 주식회사 전자 신용 카드 운용장치
KR20010044524A (ko) * 2001-03-03 2001-06-05 윤경용 휴대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방법
KR20020076750A (ko) * 2001-03-30 2002-10-11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이동통신단말기에 금융정보를 내장하여 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641824B1 (ko) * 2001-04-25 2006-11-06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대칭키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한 금융정보 입력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상거래 시스템
KR20020096730A (ko) * 2001-06-21 2002-12-31 서재웅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2149A (ko) * 2001-07-30 2003-02-12 삼성카드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전자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3048882A2 (en) * 2001-12-01 2003-06-12 Digital Service Co.,Ltd. Pay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ransfer card
WO2003048882A3 (en) * 2001-12-01 2003-10-09 Digital Service Co Ltd Pay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ransfer card
KR20030055055A (ko) * 2001-12-26 2003-07-02 이민수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30068762A (ko) * 2002-02-18 2003-08-25 (주)애트리움씨앤아이 휴대전화와 가맹점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
KR20030081870A (ko) * 2002-04-15 2003-10-22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상점 결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43533A (ko) * 2002-11-19 2004-05-24 장영준 결제대행 방법 및 이에 적합한 대금결제 단말기
KR100744922B1 (ko) * 2003-10-29 2007-08-0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결제 지원 시스템 및 전자 결제 지원 장치
WO2005109998A2 (en) * 2004-05-04 2005-11-24 Bea Su Jo Billing system according to ordering by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WO2005109998A3 (en) * 2004-05-04 2006-02-02 Bea Su Jo Billing system according to ordering by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813520B1 (ko) * 2005-03-04 2008-03-13 한종우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출력 단말기
KR100757377B1 (ko) * 2006-05-15 2007-09-11 이상헌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대금결제 속성처리 시스템
KR100872698B1 (ko) * 2006-09-28 2008-12-10 (주) 엘지텔레콤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디엠비 방송 홈쇼핑 구매상품의지불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80277B1 (ko) * 2008-07-29 2009-01-23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WO2010081164A2 (en) * 2009-01-12 2010-07-15 Visa U.S.A. Inc. Non-financial transactions in a financial transaction network
WO2010081164A3 (en) * 2009-01-12 2010-11-04 Visa U.S.A. Inc. Non-financial transactions in a financial transaction network
US8762239B2 (en) 2009-01-12 2014-06-24 Visa U.S.A. Inc. Non-financial transactions in a financial transaction network
KR101148038B1 (ko) * 2009-12-17 2012-05-24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금융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2030162A2 (ko) * 2010-08-31 2012-03-08 비씨카드 주식회사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WO2012030162A3 (ko) * 2010-08-31 2012-04-19 비씨카드 주식회사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160029783A (ko) * 2016-02-29 2016-03-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맹점의 고유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038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대금의 결제방법 및결제장치
US10026076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ayment and non-payment virtual card transfer between mobile devices
US7275685B2 (en)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US763480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70178116A1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KR100368600B1 (ko) 무선망 기반 결제승인장치 및 결제승인방법
EP1400906A1 (en)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support method
US200302368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electronic transactions via a personal device
US20150046330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030120592A1 (en) Method of performing a transaction
US8751349B1 (en) Audio-equipped transaction card systems and approaches
JP2004500607A (ja) スマートカード財布
WO2001043404A1 (fr)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et lecteur d'informations de carte
KR20000048116A (ko) 프로그램 다운로딩 가능한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전자쇼핑 시스템
JP2016510468A (ja) トランザクショントークン発行権限者
RU2263347C2 (ru) Способ совершения платежных операций пользователями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электронной связи и компьютерная система безналичного расчет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574524B1 (ko) 원격 거래 시스템, 방법 및 포스단말기
KR20120097157A (ko)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JPWO2002027588A1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WO200104109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financial transaction
GB2362489A (en) Secure communication
KR100668389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대금 결제방법
EP1410295A1 (en) System and procedure for mobile electronic commerce
WO2002011477A1 (en) System and method of accessing and storing data on a chip card of a mobile phone
WO2005066907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