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275A -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275A
KR20010099275A KR1020010057519A KR20010057519A KR20010099275A KR 20010099275 A KR20010099275 A KR 20010099275A KR 1020010057519 A KR1020010057519 A KR 1020010057519A KR 20010057519 A KR20010057519 A KR 20010057519A KR 20010099275 A KR20010099275 A KR 2001009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material
water
soybean
bean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주
Original Assignee
서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주 filed Critical 서동주
Priority to KR102001005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275A/ko
Publication of KR2001009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두채류 재배장치는, 통수성이 있으며 재배하고자 하는 두채류의 콩이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콩 위치부와 통수성이 있으며 콩 위치부 상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와 콩 위치부 하부에 배수구가 있는 재배실과, 재배실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재활용수 저장통과, 재배실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폐수통과, 재활용수 저장통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급수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기능성 물질 위치부를 거쳐 콩 위치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기능성 물질 위치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채류 재배장치를 이용하여 재배된 두채류에는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 위치된 기능성 물질의 유효한 약효 성분이 포함되어 품질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고, 국민 보건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으며, 두채류 재배에 사용된 물을 두채류 재배에 다시 활용하거나 액비 퇴비로 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고, 경제적인 이득을 배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Growing apparatus of bean sprouts and method for growing functional bean sprou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을 절약할 수 있고,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채류(豆菜類)는 크게 콩나물, 숙주나물, 무우순, 보리순, 메밀순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두채류는 종자를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과정과 불린 종자를시루 형태의 용기에 깔고 20℃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빛이 차단된 암소에서 하루 4∼6회 물을 살수 공급하여 발아시킨 후 약 6∼7일 정도 물을 살수하는 과정을 거쳐서 재배된다.
그런데, 두채류를 재배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물을 살수 공급함에도 불구하고 재배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된 재배수가 그대로 버려지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콩나물 재배콩 100Kg을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매일 약 20∼40톤 가량의 물이 사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많은 양의 물의 사용은 개선이 시급한 사항이다.
한편, 최근에는 지하수의 오염으로 인하여 두채류를 재배함에 있어서 주로 상수도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재배되는 두채류에 미네랄을 비롯한 각종 영양성분의 결핍을 보충하고 시장성이 우수한 발육상태와 신선도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농약 또는 성장촉진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종종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상수도를 사용함으로써 두채류를 재배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하고 있으며, 상수도에 함유된 염소 성분으로 인한 폐해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재배수를 재활용 할 수 있으며, 두채류의 재배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재배된 두채류에 영양성분을 보충하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두채류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양성분이 보충되고 가능성이 부여된 기능성 두채류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두채류 재배장치의 재배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재배실과 재활용수 저장통, 폐수통, 물공급부 등이 연결된 개략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채류 재배장치는: 통수성이 있으며 재배하고자 하는 두채류의 콩(10)이 위치되는 콩 위치부(110)와, 통수성이 있으며 상기 콩 위치부(110) 상부에 위치되는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와, 상기 콩 위치부(110) 하부에 배수구(130)가 있는 재배실(100)과; 상기 재배실(100)의 배수구(130)와 연결되는 재활용수 저장통(200)과; 상기 재배실(100)의 배수구(130)와 연결되는 폐수통(300)과; 상기 재활용수 저장통(200)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급수장치(5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를 거쳐 상기 콩 위치부(110)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물공급부(4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콩 위치부(110)는 지름이 3∼8mm인 구멍들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 타공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는 지름이 1∼3mm인 구멍들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 타공판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나아가, 상기 콩 위치부(110)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는 각각 복수 개가 위치되되, 상기 콩 위치부(110)들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 각각은 상하로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121, 122, 123)에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0) 또는 숯이 위치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로부터 선택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124)에는 녹차 티백(520), 느릅 티백, 및 인삼 티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은: 통수성이 있으며 재배하고자 하는 두채류의 콩이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콩 위치부와 통수성이 있으며 상기 콩 위치부 상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와 상기 콩 위치부 하부에 배수구가 있는 재배실과, 상기 재배실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재활용수 저장통과, 상기 재배실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폐수통과, 상기 재활용수 저장통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급수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를 거쳐 상기 콩 위치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두채류 재배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콩 위치부들에 콩을 위치시키고,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 또는 숯을 위치시키며,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들로부터 선택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는 녹차 티백, 느릅 티백, 및 인삼 티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두채류 재배장치의 재배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따른 재배실과 재활용수 저장통, 폐수통, 물공급부 등이 연결된 개략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재배실(100)의 몸체(14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배수구(130)가 마련된 통 형상이다. 그 통의 내부에는 상하로 소정거리가 이격된 복수 개의 스테인레스 타공판(111, 112, 121, 122, 123, 124)들이 설치되어 각각의 판(111, 112, 121, 122, 123, 124)들은 통수성(通水性)이 유지된다. 이 때, 스테인레스 타공판(111, 112, 121, 122, 123, 124)들 중에서 배수구(130)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된 두 개의 판(111, 112)은 재배하고자 하는 두채류의 콩(10)이 위치되는 콩 위치부(110)로서, 지름이 3∼8mm인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콩 위치부(110) 상부에 위치된 복수 개의 판(121, 122, 123, 124)들은 후술하는 기능성 물질들이 위치되는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로서, 지름이 1∼3mm인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을 콩 위치부(110)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제2, 제3, 제4 기능성 물질 위치부(121, 122, 123, 124)라 한다.
제1 , 제2, 및 제3 기능성 물질 위치부(121, 122, 123)에는 물을 정수시키기 위한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0) 또는 숯이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0)는 물의 정수력이 뛰어나 물속의 유해한 성분을 분해하여 주며,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0)에 의하여 정수된 물에는 각종 세균발생 및 번식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고, 야채, 과일 등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켜 주며, 미네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숯은 방부 효과가 뛰어나 오랜 세월이 흘러도 미생물이나 곰팡이 등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숯 내부가 다공질로 되어 있어 강력한 정수력으로 오염된 물을 정수시키며,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해서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그 악취를 흡착한다. 그리고, 수목은 오랜 세월에 걸처서 대지로부터 흡수해 올린 미네랄을 잔뜩 품고 있는 미네랄의 보물 창고인데, 그러한 나무를 숯으로 구우면 미네랄 성분이 약 4~5배로 농축되어 회분으로서 숯 속에 남게 된다. 이 때, 숯에 함유된 미네랄은 칼슘(Ca), 나트륨(Na). 철(Fe), 마그네슘(Mg), 칼륨(K). 인(P) 등 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이, 물의 정수 능력이 뛰어나고 미네랄이 풍부한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0) 또는 숯을 두채류의 콩(10)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콩(10)에는 정수되고 미네랄이 풍부한 물이 공급되게 된다.
이 때, 제1 , 제2, 및 제3 기능성 물질 위치부(121, 122, 123)에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0)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제1 기능성 물질 위치부(121)에는 2∼3mm의 직경을 가지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1)를, 제2 기능성 물질 위치부(122)에는 4∼6mm의 직경을 가지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2)를, 제3 기능성 물질 위치부(123)에는 10∼30mm의 직경을 가지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3)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기능성 물질 위치부(124)에는 녹차 티백(520), 느릅 티백, 및 인삼 티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된다. 이것은, 녹차, 느릅, 또는 인삼의 약효 성분을 재배하고자 하는 두채류에 함유시키기 위함이다.
녹차에는, 카레킨, β-카로틴,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섬유소, 토코페롤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임상실험 결과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항종양작용, 혈압상승억제, 입냄새제거, 환경호르몬 제거의 효능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인삼에는, 스트레스, 피로, 우울증, 심부전, 고혈압, 동맥경화증, 빈혈, 당뇨병 등에 유효한 약효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느릅나무의 껍질에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 다량의 점액질이 포함되어 있고, 기침멎이작용, 수렴작용, 항염 및 항균작용, 구충, 이뇨작용, 및 위궤양등의 소화기 질환의 완화 등의 약효가 있으며, 또한 피부 습진등의 피부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물질로서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 숯, 녹차, 느릅, 인삼 등을 사용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콩 위치부 및 기능성 물질 위치부의 개수 역시 본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b를 참조하면, 재배실의 배수구에는 별도의 배관(20)이 연결되고, 배관(20)에는 재활용수 저장통(200)과 폐수통(300)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구에 설치된 배관(20)에는 삼방밸브(30)가 설치되어 두채류를 재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물 중에서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필요에 따라 재활용수 저장통(200) 또는 폐수통(300)으로 흘려보낼 수 있다.
재활용수 저장통(200)은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함이고, 폐수통(300)은 수회에 걸쳐 재활용되어 더 이상 두채류의 재배에 사용하기 힘든 물을 저장하기 위함이다. 재활용수 저장통(200)에 유입된 물은 두채류의 재배에 다시 사용되고, 폐수통(300)에 유입된 물은 각각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에 위치된 기능성 물질(510, 520)들의 유효 성분들이 용해되어 있으므로 유기질 액비 퇴비로 사용되어 진다.
재배실의 최상부에는 분사식 물공급부(400)가 설치되어 있어, 물공급부(400)를 통하여 분사된 물은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을 거쳐 콩 위치부(110)로 공급되게 된다. 이 때, 물공급부(400)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은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급수장치(50)로부터 공급된 물 또는 재활용수 저장통(20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한 것이다.
한편, 미도시 되었지만 재배실 내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두채류 재배의 최적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재배실 외측을 감싸도록 파이프를 설치하고 그 파이프에 냉각수를 흘려보내도 좋다. 그리고, 재배실 하단에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두채류 재배장치를 이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한 결과, 콩나물 재배콩 100Kg을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일반적인 재배기간인 6∼7일 동안 약 1∼2톤 가량의 물이 사용되었다.
계속해서, 상술한 두채류 재배장치를 이용한 두채류 재배방법을 콩나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1b와 같은 두채류 재배장치를 마련한다.
다음에, 각각의 콩 위치부에는 발아된 콩나물 콩을, 제1 내지 제3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 또는 숯을, 제4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는 녹차 티백, 느릅 티백 및 인삼 티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에, 콩나물을 재배하는 공지의 물 공급주기인 6∼7일 동안 3∼5시간 간격으로 두채류 재배장치의 물 공급부를 통하여 상수도, 지하수, 또는 재활용수 저장통에 저장된 재활용수를 기능성 물질 위치부 상에 물을 공급하여 콩나물을 재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한 결과, 콩나물의 부패현상이 현저히 방지되었으며, 콩나물의 생육을 튼튼하게 하여 농약 또는 성장촉진제를 공급하지 않아도 우수한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재배된 콩나물은 악취가 나지 않고 밝은 색을 띠고 있었으며, 종래기술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의 신선도 유지기간보다 약 5일 이상 연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두채류인 숙주나물, 무우순, 보리순, 메밀순 등의 재배에도 적용되며 단지 물 공급주기가 다를 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두채류 재배장치는 물의 정수 기능이 있고 두채류에 유효한 약효 성분을 함유시킬 있는 기능성 물질 위치부를 구비함으로써, 그를 이용하여 재배된 두채류에는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 위치된 기능성 물질의 유효한 약효 성분이 포함되어 재배된 두채류의 품질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고, 국민 보건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나아가, 두채류 재배장치는 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두채류 재배에 사용된 물을 두채류 재배에 다시 활용하거나 액비 퇴비로 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고, 경제적인 이득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예방할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6)

  1. 통수성이 있으며 재배하고자 하는 두채류의 콩(10)이 위치되는 콩 위치부(110)와, 통수성이 있으며 상기 콩 위치부(110) 상부에 위치되는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와, 상기 콩 위치부(110) 하부에 배수구(130)가 있는 재배실(100)과;
    상기 재배실(100)의 배수구(130)와 연결되는 재활용수 저장통(200)과;
    상기 재배실(100)의 배수구(130)와 연결되는 폐수통(300)과;
    상기 재활용수 저장통(200)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급수장치(5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를 거쳐 상기 콩 위치부(110)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물공급부(400)를 구비하는 두채류 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 위치부(110)는 지름이 3∼8mm인 구멍들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 타공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채류 재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는 지름이 1∼3mm인 구멍들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 타공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채류 재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 위치부(110)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는 각각 복수 개가 위치되되, 상기 콩 위치부(110)들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 각각은 상하로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채류 재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121, 122, 123)에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510) 또는 숯이 위치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120)들로부터 선택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124)에는 녹차 티백(520), 느릅 티백, 및 인삼 티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채류 재배장치.
  6. 통수성이 있으며 재배하고자 하는 두채류의 콩이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콩 위치부와 통수성이 있으며 상기 콩 위치부 상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와 상기 콩 위치부 하부에 배수구가 있는 재배실과, 상기 재배실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재활용수 저장통과, 상기 재배실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폐수통과, 상기 재활용수 저장통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급수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를 거쳐 상기 콩 위치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두채류 재배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콩 위치부들에 콩을 위치시키고,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는 성형소성 합성 제오라이트 또는 숯을 위치시키며,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들로부터 선택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는 녹차 티백, 느릅 티백, 및 인삼 티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기능성 물질 위치부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두채류의 제배방법.
KR1020010057519A 2001-09-18 2001-09-18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KR20010099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519A KR20010099275A (ko) 2001-09-18 2001-09-18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519A KR20010099275A (ko) 2001-09-18 2001-09-18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275A true KR20010099275A (ko) 2001-11-09

Family

ID=1971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519A KR20010099275A (ko) 2001-09-18 2001-09-18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225A (ko) * 2001-10-06 2001-12-12 서동주 느릅을 이용한 채소 또는 곡물의 재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020A (ko) * 1995-10-18 1997-05-28 홍용표 생활성 세라믹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179665Y1 (ko) * 1999-11-18 2000-04-15 안영규 숯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KR20010025290A (ko) * 2000-12-07 2001-04-06 최일부 청정콩나물 재배방법
KR20020091290A (ko) * 2001-05-30 2002-12-06 황영자 한약재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020A (ko) * 1995-10-18 1997-05-28 홍용표 생활성 세라믹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179665Y1 (ko) * 1999-11-18 2000-04-15 안영규 숯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KR20010025290A (ko) * 2000-12-07 2001-04-06 최일부 청정콩나물 재배방법
KR20020091290A (ko) * 2001-05-30 2002-12-06 황영자 한약재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225A (ko) * 2001-10-06 2001-12-12 서동주 느릅을 이용한 채소 또는 곡물의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Kazzaz et al. Soilless agriculture a new and advanced method for agricultur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Aulakh et al. Methane emissions from rice fields—quantification, mechanisms, role of management, and mitigation options
CN105945047A (zh) 一种重金属污染土壤的综合修复方法及应用
CN101773052A (zh) 冬虫夏草菌种制备与工厂化栽培
Jung et al. Complete reutilisation of mixed mackerel and brown seaweed wastewater as a high-quality biofertiliser in open-flow lettuce hydroponics
CN104289507A (zh) 利用动物处理重度重金属污染土壤的修复方法
CN112586127A (zh) 一种消除设施栽培农作物连作障碍的方法
CN109618847A (zh) 一种利用水稻-水蕹菜间作修复稻田镉污染的方法
CN104275345A (zh) 重金属污染土壤的生化修复方法
CN102812833A (zh) 沼液种植有机作物的工艺
CN101233848A (zh) 安全无公害沼液杀虫液及其制备方法
KR20010099275A (ko)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KR20050101273A (ko) 두채류 재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두채류 재배방법
CN102210228A (zh) 一种在河道、池塘种植空心菜的方法
KR19990084149A (ko) 알칼리성 정제수를 이용한 수경재배방법 및 수경재배장치
Agina Effat et al. Using Aquaponic, Hydroponic and Aeroponic systems for gladiolus production
CN106359070A (zh) 有机绿色茄子立体种植农场
CN110754155A (zh) 一种土壤连作障碍仪研制及应用
KR20100112397A (ko) 폐양액의 농업용수로의 재이용 방법
KR200179665Y1 (ko) 숯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CN215500793U (zh) 一种基于农业种植的西葫芦壮苗培育装置
CN105817473A (zh) 重金属污染土壤的修复方法
KR100363597B1 (ko) 수경재배용수 재활용방법
KR20010002047A (ko) 오존과 재배수 재순환을 이용한 지하수 절약형 무농약 콩나물 재
CN107494246A (zh) 有机绿色中药立体仿原生态种植立体农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