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639A -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639A
KR20010096639A KR1020010023592A KR20010023592A KR20010096639A KR 20010096639 A KR20010096639 A KR 20010096639A KR 1020010023592 A KR1020010023592 A KR 1020010023592A KR 20010023592 A KR20010023592 A KR 20010023592A KR 20010096639 A KR20010096639 A KR 2001009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source dat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50706B1 (en
Inventor
강호일
이만규
전재정
Original Assignee
강호일
전재정
이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일, 전재정, 이만규 filed Critical 강호일
Priority to KR102001002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706B1/en
Publication of KR2001009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6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7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source data is provided to transmit sound source data in real time at needs, transmit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data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 and easily request for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dat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A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channel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listened by a user, a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20) is searched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stening time to extract information of a requested sound source.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designat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selection information and design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ich receives the sound data. The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Description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data and device therefor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라디오를 통하여 청취중인 곡과 관련된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source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source data, in which a user can easily provide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a song being listened to via radio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Related.

사람들은 음악을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접하게 된다. 다양한 쟝르와 수많은 음악가에 의해 창조되는 음악을 몇 번 접한다고 해서 그 음악을 파악할 수는 없으며, 자신이 알고 있는 음악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음악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가수나 노래제목 등은 잊혀지게 된다.People come across music through various channels. A few encounters with a variety of genres and music created by many musicians do not reveal the music, and even the music that you know over time, such as information about the music, such as a singer or song title, It is forgotten.

어떠한 음악을 들을때 그 노래가 마음에 드는 경우에 사람들은 그 노래가 삽입된 음반을 구하게 된다. 따라서, 좋아하는 노래를 얻기 위해 해당 노래가 삽입된 음반 전체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When you listen to a piece of music, if you like it, people ask for the record with the song.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favorite song, it is necessary to purchase the entire record in which the song is inserted.

또, 우연히 들은 음악이 마음에 들지만 그 노래를 부른 가수가 누구인지, 곡명은 무엇인지 전혀 알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사람들은 그 노래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해당 노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Also, I like the music I accidentally heard, but I don't know who is the singer who sang the song or what the name of the song is. People had to make a lot of effort to find information about the song, which was inconvenient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song.

근래 들어, 음악을 컴퓨터 파일의 형식으로 구성하여 재생하는 MP3 파일이 널리 알려져 있다. MP3 파일을 웹서버로부터 다운받으면 자신들이 원하는 곡만을 지정하여 자기만의 앨범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P3 files for organizing and playing music in the form of computer files are widely known. When MP3 files are downloaded from a web server, they can be reconfigured into their own albums by specifying only the songs they want and are being used a lot.

그러나, 이 경우에도 자신이 듣는 노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직접 많은 노래들을 다시 들어보고 자신이 들은 노래를 찾는 방법밖에 없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자신이 듣고 있는 음악에 대한 정보와 해당 음악을 저렴한 경비와 간단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 수단이 요청되어 왔다.However, even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ong he is listening to accurately and quickly. The only way to hear the song again was to find it. Therefore, information on the music he is listening to in real time and a means for obtaining the music in a low cost and simple method has been requested.

특히,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음악을 듣는 경우, 라디오 방송 진행자가 방송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를 언급하긴 하지만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힘들고 대부분 음악이 방송되기 전에 음악에 대한 정보를 멘트하므로 해당 음악의 정보를 얻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listening to music through a radio broadcast, although the radio host mentions information about the music being broadcast, it is difficult to grasp it properly, and in most cases, it is about the music before the music is broadcast. There was a hard problem.

또한, 해당 음악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해도 해당 음악을 얻기 위해서는 음악이 저장된 기록매체,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나 컴팩트 디스크 등을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원하는 음악을 얻기 위해 음반 전체를 구매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has information on the music, it is inconvenient to purchase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usic is stored, for example, a magnetic tape or a compact disc, in order to obtain the music. There was a downsid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현재 청취중인 음악에 관련된 음원정보와 해당 음악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music currently being listened to by a user in real tim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t is done.

나아가 본 발명은 음원데이터의 제공에 있어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로 음원정보 및 음원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data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 in providing sound source data.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음원정보와 음원데이터를 간편하게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로 음원정보와 음원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request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dat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transmit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data to a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예시도.1 is a schematic system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예시도.2 is a schematic system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3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웹서버 20 :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0: Web server 20: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30 : 사용자 단말기 40 : 무선통신 서버30: user terminal 40: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50 : 무선통신 단말기 60 : 라디오 방송국50: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60: radio st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청취중인 곡과 관련된 채널정보, 청취시각,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요청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채널정보와 청취시각을 토대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정보 추출단계와; 상기 음원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source request for receiving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hannel information,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being listened to by a user connected via a network.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A sound sourc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on a requested sound source by searching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stening time; And a sound source data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s reques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상기 추출된 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 선택정보와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단말기의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sound source data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sign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described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is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broadcas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원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기가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receiving the aforementioned sound source data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가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receive radio broadcast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원데이터 전송단계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tep,

음원데이터를 전송받고자 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음원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to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is not received, the sound source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청취중인 곡과 관련된 채널정보, 청취시각,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요청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채널정보와 청취시각을 토대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정보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음원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서버로 전송하는 음원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무선통신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 선택정보와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단말기의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음원데이터 선택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 전송단계와; 상기 지정된 단말기로의 음원데이터 전송결과를 상기 무선통신 서버로 통지하는 전송결과 통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hannel information, a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being listened to by a user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 sound sourc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on a requested sound source by searching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stening time; A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Receiving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nd design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A sound source data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one or more sound source data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s request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selection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result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result to the designated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described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is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broadcas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원데이터가 제공되는 단말기가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sound source data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청취중인 곡과 관련된 채널정보, 청취시각,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어 저장되는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음원정보 추출수단과; 상기 음원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omprising: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hannel information, a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being listened to by a user from a networked user terminal;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for continuously updating and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radio broadcas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extracting means for searching for and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requested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And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s reques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가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receive radio broadcast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웹서버(10),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system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web server 10,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

웹서버(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음원 요청정보와 음원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요청된 정보를 지정된 단말기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수단이다.The web server 10 is a means for receiving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requested information to a designated terminal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웹서버(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음원정보를 송수신하는 음원정보 제공서버와 사용자에게 음원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원데이터 제공서버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방대한 양의 음원데이터 저장은별도의 서버를 통해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server 10 may be divided into a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 sourc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and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sound source data to the user. In other words, the storage of a large amount of sound source data can be managed through a separate server.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는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60)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으로 연계하여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is a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radio broadcasting.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radio stations 60 on-line or off-line, information related to radio broadcasting is preferably continuously upda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는 음원정보를 각 방송 채널정보 별로 방송 시각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음원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입력된 채널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채널에 대해 방송시각을 검색하여 해당 음원요청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manages sound source information by dividing the broadcast time for each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That is, when a request for sound sour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 the input channel information may be searched and the broadcast time may be searched for the corresponding channel to extract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는 다수의 음원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웹서버(10)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음원데이터 제공서버에 별도의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음원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source data. In addition, when the web server 10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sound source data in a separate sound source database in the sound source data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라디오 방송이 디지털 방송인 경우, 예를 들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시스템(Digital Radio Broadcasting System)을 사용한 방송과 같이 데이터의 전송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라디오 방송인 경우에는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는 생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dio broadcast is a digital broadcast, for example, a broadcast using a digital radio broadcasting system (Digital Radio Broadcasting System), such as a radio broadcast that can be transmitted along with the data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 May be omitted.

다시 말해, 라디오 방송국(60)으로부터 송출되는 라디오 방송에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면 곡명, 가수, 수록된 앨범명 등이 함께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악에 대한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음원정보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음원정보의 제공없이 음원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data related to music, for example, a song name, a singer, an album name, etc., are transmitted to a radio broadcast transmitted from the radio station 60, the user already knows information about the music. Sound source information is unnecessary. Therefore,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data may be possible without provid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또한,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트림 서비스되는 라디오 방송의경우에는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음원정보는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adio broadcast stream serviced using 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sinc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separate sound source information may be omitted.

사용자 단말기(30)는 전술한 웹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음원정보와 음원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수단이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범용 컴퓨터일 수도 있으며, 라디오 리시버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30 is a means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data by being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0 described above through a network. The user terminal 30 may be a general purpose computer or a radio receiver.

사용자 단말기(30)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드시 웹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음원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만 웹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도 본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30 preferably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radio broadcast. It is not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network with the web server 10,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cable even if only the terminal to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is connected to the network with the web server 10.

사용자 단말기(30)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인 PC, PDA, 휴대폰, Auto PC 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술한 웹서버(10)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도 사용자 단말기(30)로 적용이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30 may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ny means may be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30 as long as it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web server 10 using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personal PC, PDA, mobile phone, or Auto PC.

도 1 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하여 라디오 방송국(60)에서 송출되는 라디오 방송을 청취한다. 청취 도중 원하는 노래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30)를 조작하여 웹서버(10)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현재 청취중인 음악에 관련된 음원정보를 요청한다.Referring to FIG. 1, the us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user listens to the radio broadcast transmitted from the radio station 60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If there is a desired song during listening, the user terminal 30 is operated to request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usic currently being listened to via the network to the web server 1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라디오 방송은 공중파 라디오 방송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인터넷 라디오 방송과 같이 스트림 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송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송을 포함하는 개념이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broadcast applicable to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 airwave radio broadcast, but includes a concept including various types of broadcasts such as broadcasts provided as a stream service, for example, an internet radio broadcast. to be.

사용자 단말기(30)는 사용자가 현재 청취중인 라디오 방송의 채널정보와 청취시각 그리고 사용자 정보를 웹서버(10)로 전송한다. 웹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을 토대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를 검색하여 특정 시각에 특정 채널에서 방송한 음원정보를 추출한다. 음원정보에는 음원데이터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30 transmits the channel information, the listening time,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radio broadcast which the user is currently listening to to the web server 10. The web server 10 search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 and extracts sound source information broadcast in a specific channel at a specific time.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ay include sound source data.

웹서버(10)는 추출된 음원정보를 요청신호를 보낸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된 음원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것인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해당 음원데이터의 전송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를 웹서버(10)로 전송한다.The web server 10 transmits 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that sent the request signal. The user check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and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When the user wishes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the user transmits the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10.

웹서버(10)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사용자는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하고 이를 재생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When the web server 10 receives the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the web server 10 transmits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user. The user may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store it in his terminal, and play the same to listen to music.

음원데이터의 전송은 사용자가 전술한 음원정보의 요청시에 전송받을 단말기를 지정한 경우에는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받을 단말기의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음원정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when the user designates a terminal to be transmitted when the user reques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f there is no designation of the terminal to be transmitte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requesting user terminal 3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웹서버(10)는 전술한 음원정보의 전송단계를 생략하고 요청된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바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전술한 청취중인 음악에 관련된 음원정보의 요청시 음원데이터의 요청정보를 포함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10)는사용자 단말기(30)로 음원데이터의 전송시 해당 음원데이터와 관련된 음원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server 10 may omit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requested sound source data directly to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reques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listening music, the user preferably transmits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web server 10. When the web server 10 transmits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user terminal 30, the web server 10 preferably transmits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data.

도 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웹서버(10),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 무선통신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schematic system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web server 10,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본 실시예는 음원정보 또는 음원데이터의 요청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로 수행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따라서, 구성수단의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도 1 의 설명부분과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is embodiment assumes that the sound communication information or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is per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nstituent means is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with respect to the parts that differ from the description of FIG.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하여 라디오 방송국(60)에서 송출되는 라디오 방송을 청취한다. 청취 도중 원하는 노래가 있으면 무선통신 단말기(50)를 통하여 무선통신 서버(40)로 현재 청취중인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채널정보, 시각정보, 사용자 정보, 음원데이터의 수신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The user listens to the radio broadcast transmitted from the radio station 60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If there is a desired song during listen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transmits channel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reception termi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broadcast currently being listened to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무선통신 서버(40)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 다시 말해 무선통신 사업자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만을 제공받을 경우에는 직접 웹서버(10)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t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that is, when only a wireless network is provid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er,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directly to the web server 10.

무선통신 서버(40)는 무선통신 단말기(50)로부터 수신된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정보를 웹서버(10)로 전송한다. 웹서버(10)는 무선통신 서버(40)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을 토대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를 검색하여 특정 시각에 특정 채널에서 방송한 음원정보를 추출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transmit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broadcast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to the web server 10. The web server 10 search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and extracts sound source information broadcasted in a specific channel at a specific time.

웹서버(10)는 추출된 음원정보를 무선통신 서버(40)로 전송하고, 무선통신 서버(40)는 이를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5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수신된 음원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것인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해당 음원데이터의 전송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를 무선통신 서버(40)로 전송하고, 이 정보는 무선통신 서버(40)에 의해 웹서버(10)로 전송된다.The web server 10 transmits 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transmits it to the use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The user checks the received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When the user wishes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the user transmits the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웹서버(10)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음원데이터를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음원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전술한 무선통신 단말기(50)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무선통신 서버(40)를 통하여 음원데이터가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50)로 전송된다.When the web server 10 receives the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the web server 10 transmits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designated terminal. The terminal for receiving sound source data may be the above-describe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웹서버(10)는 전술한 음원정보의 전송단계를 생략하고 요청된 음원데이터를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전술한 청취중인 음악에 관련된 음원정보의 요청시 음원데이터의 요청정보를 포함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server 10 may also transmit the requested sound source data to a designated terminal by omitting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the user reques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listening music, the user preferably transmits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web server 10.

음원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는 웹서버(10)는 전송결과를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50)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웹서버(10)는 전송결과를 무선통신 서버(40)로 전송하고 무선통신 서버(40)는 이를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50)로 통지한다.When the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data is comple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web server 10 notifi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of the user of the transmission result. That is, the web server 10 transmits the transmission resul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notifi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of the user.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설명에서는 웹서버(10)를 중심으로 정보의 전달과 신호 처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escription,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signal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eb server 10.

웹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한다(S1).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는 웹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서버(40)와 같은 정보교환의 매개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eb server 10 receives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 (S1).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30 may be applied to any means as long as it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0 through a network and exchanges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information exchange medium such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50)를 이용하여 음원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서버(40)로부터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원 요청정보에는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reques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may preferably include information on a terminal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음원 요청정보에는 사용자가 청취 중인 라디오 방송의 채널정보, 청취시각,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디오 방송이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청취 중인 곡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channel information, a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of a radio broadcast that the user is listening t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adio broadcast is a digital broadcast,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being listened to by the user may be included.

음원 요청정보에는 사용자가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음원 요청정보를 요청한 단말기 외의 단말기를 통하여 음원데이터를 전송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전송받을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를 웹서버(10)에 미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terminal through which the user will receive sound source data. When it is desired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through a terminal other than the terminal that has requested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in advance.

웹서버(10)는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요청된 음원에 관련된 음원정보를 추출한다(S2).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는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60)의 방송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방송에 관련된 정보는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b server 10 extracts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quested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S2).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ing of a plurality of radio stations 60, and the broadcasting related information is preferably continuously updated and input.

라디오 방송이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는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방송 중인 곡과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음원정보가 불필요하며 사용자가 청취 중인 음악에 대한 음원데이터의 전송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radio broadcast is a digital broadcast,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may be omitted.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ng being broadcast through the radio broadcast is provided to the user, no additional sound source information is required, and the sound source data for the music being listened to by the user may be immediately transmitted.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의 음원정보 추출은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입력된 음원 요청정보를 토대로 라디오 방송국(60)의 채널정보와 사용자의 청취시각으로 사용자가 청취한 음악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extraction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20 extracts channel information of the radio station 60 and information about music listened to by the user at a user's listening time based on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30. .

추출되는 음원정보에는 사용자가 청취한 음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음악의 가수, 수록된 앨범명, 노래 제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요청된 음원의 해당 음원데이터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music listened to by the user. For example, the music may include a singer, a recorded album name, a song title, and the like. In addition,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of the requested sound source may be included.

사용자가 별도의 음원정보의 제공을 원하지 않고 바로 음원데이터의 전송을 원하는 경우, 또는 라디오 방송이 디지털 방송이어서 별도의 음원정보의 제공이 불필요한 경우 웹서버(10)는 음원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로 전송한다(S5).If the user does not want to provide separat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wants to transmit sound source data immediately, or if the radio broadcast is digital broadcast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separate sound source information, the web server 10 transfers the sound source data to a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Transmit (S5).

사용자가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단말기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음원 요청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30)로 음원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원데이터는 하나 이상 전송될 수 있다.If the user does not specify a terminal to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user terminal 30 that transmitted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One or more sound source data may be transmitted.

사용자가 음원정보를 요청한 경우에는 음원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S3). 음원정보의 전송은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가 아닌 음원정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reques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S3).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preferab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reques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rather than the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사용자는 음원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이 라디오 방송으로 청취한 음악에 대한정보를 얻은 후에 음원데이터의 제공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원정보를 요청한 경우에는 무선통신 서버(40)로 음원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may select the provision of the sound source data after receiv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music he has listened to through the radio broadcas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requests sound source informatio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사용자가 음원정보와 관련된 음원데이터의 전송의 희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하여 음원데이터를 웹서버(10)로 요청한다. 웹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음원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한다(S4). 음원데이터 요청정보에는 전술한 음원정보에 관련되는 음원데이터의 정보와 음원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user wishes to transmit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he user requests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web server 10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The web server 10 receives the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 (S4). The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f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 terminal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웹서버(10)는 수신된 음원데이터 요청정보에 따라 지정된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를 전송한다(S5). 음원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30)와 같이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The web server 10 transmits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to a design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S5). As the terminal for receiving the sound source data, various means as in the aforementioned user terminal 30 may be applied.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음원데이터의 전송시 무단복제 방지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서버(10)에 등록한 단말기에 한하여 음원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an unauthorized copy protection technique when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enable playback of sound source data only for a terminal registered by the user in the web server 10.

웹서버(10)는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50)로 음원데이터의 수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서버(40)로, 이메일을 통하여 수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메일 서버로 음원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web server 10 may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40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0 and to the corresponding e-mail server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e-mail.

음원데이터의 전송이 사용자 단말기(30)가 아닌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음원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30)로 음원데이터의 전송결과를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data is performed by a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instead of the user terminal 30, it is preferable to notify the user terminal 30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transmission result of the sound source data.

본 실시예에서 음원정보의 제공과 음원데이터의 제공시 사용자로부터 결제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원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결제는 선불 또는 후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결제에 관해서는 이 건 출원 전 다양한 공지기술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request a payment from the user when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providing sound source data. Paymen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sound source data may be made prepaid or postpaid. Regarding such settlement, since there are various known technologies before filing this applica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청취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으며, 해당 음악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nformation on music being listened to by a user through radio broadcasting in real time, and the user can easily receive sound source data of the corresponding music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송받을 단말기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음원데이터를 제3자에게 보낼 수도 있으며 자신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freely select the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and can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various terminals. That is, the sound source data may be sent to a third party and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of the user.

아울러, 본 발명은 다양한 수단을 통한 음원데이터 요청이 가능하며, 따라서 네트워킹 기능이 없는 단순한 라디오 리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questing sound source data through various means, and thus, users using a simple radio receiver without a networking function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 sound source data can be easily received.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원하는 음원데이터의 습득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be selectively provided to the desired song,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acquiring the desired sound source data.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11)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청취중인 곡과 관련된 채널정보, 청취시각,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요청정보 수신단계와;A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hannel information, a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being listened to by a user connected via a network; 상기 채널정보와 청취시각을 토대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정보 추출단계와;A sound sourc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on a requested sound source by searching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stening time; 상기 음원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 전송단계;A sound source data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 reques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상기 추출된 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정보 전송단계와;A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 선택정보와 음원데이터를 전송받을 단말기의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 수신단계;Receiving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sound source data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sign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is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broadcast is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기가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erminal receiving the sound source data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capable of receiving radio broadcasts.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 전송단계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tep, 음원데이터를 전송받고자 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음원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If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to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is not received, the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sour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무선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청취중인 곡과 관련된 채널정보, 청취시각,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요청정보 수신단계와;Receiving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he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hannel information,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tune being listened to; 상기 채널정보와 청취시각을 토대로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정보 추출단계와;A sound sourc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on a requested sound source by searching 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stening time; 상기 추출된 음원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서버로 전송하는 음원정보 전송단계와;A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상기 무선통신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 선택정보와 음원데이터를전송받을 단말기의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음원데이터 요청정보 수신단계와;Receiving sound source data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nd design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상기 음원데이터 선택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 전송단계와;A sound source data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one or more sound source data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s request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selection information; 상기 지정된 단말기로의 음원데이터 전송결과를 상기 무선통신 서버로 통지하는 전송결과 통지단계;A transmission result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result to the designated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7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is a sound source data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broadcast is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청구항 7 또는 8 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가 제공되는 단말기가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terminal to which the sound source data is provided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청취중인 곡과 관련된 채널정보, 청취시각,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sound sour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hannel information, a listen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being listened to by a user connected via a network;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 입력되어 저장되는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와;A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for continuously updating and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radio broadcasting; 상기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음원정보 추출수단과;Sound source information extracting means for searching for and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requested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상기 음원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 전송수단;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a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 reques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 장치.Sound source data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데이터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broadcast.
KR1020010023592A 2001-04-30 2001-04-30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0350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92A KR100350706B1 (en) 2001-04-30 2001-04-30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92A KR100350706B1 (en) 2001-04-30 2001-04-30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639A true KR20010096639A (en) 2001-11-08
KR100350706B1 KR100350706B1 (en) 2002-08-29

Family

ID=1970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592A KR100350706B1 (en) 2001-04-30 2001-04-30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70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02B1 (en) * 2001-11-14 2005-03-10 주식회사 에이디소프트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roadcasting through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733630B1 (en) * 2002-01-10 2007-06-29 (주)티아이스퀘어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88341B1 (en) * 2007-01-04 2009-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 Sound Source, Server for Searching a Sound Source Therefor
KR20150048987A (en) *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usic Source Searching System, Broadcasting Terminal and Music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Music Searching Server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345A (en) * 1999-03-25 2000-12-08 Sony Corp Retrieval system, retrieval device, retrieval method,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KR100704703B1 (en) * 2004-12-29 2007-04-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music using program list for broadcast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02B1 (en) * 2001-11-14 2005-03-10 주식회사 에이디소프트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roadcasting through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733630B1 (en) * 2002-01-10 2007-06-29 (주)티아이스퀘어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88341B1 (en) * 2007-01-04 2009-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 Sound Source, Server for Searching a Sound Source Therefor
KR20150048987A (en) *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usic Source Searching System, Broadcasting Terminal and Music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Music Searching Serv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706B1 (en)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174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and/or distribuition of music and other forms of useful information
JP56020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content ordering and delivery
US792589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semination of digital works
KR1008553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ipt of digital data in an analog signal
US20060218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on-line content vi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000933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sic Recognition
US200300147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rrelated audio-video segments with digital signatures within a broadcast system
JP20122563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and purchase of broadcast digital music and other types of information
WO2005006611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WO2009029889A1 (en) Radio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playing signals from multiple broadcast channels
WO20000544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udio files
TW2003078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udio
KR100350706B1 (en) Method for providing sound data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090024016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music broadcast using the music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US80063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2162973A (en) Retrieving method for broadcasted music
KR20070092989A (en) System comprising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JP2001298430A (en) Reception storage device utilizing teletext multiplex broadcast and music distribution system and transmitter conducting broadcasting
US20080126255A1 (en) Interactive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43708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06301808A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060247809A1 (en) Data display control device
KR20080019859A (en) Method for bookmarking inform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and downloading the bookmarked digital contents
JP2003084777A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JP2004077556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udio apparatus, server, and related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