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466A -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466A
KR20010095466A KR1020000016518A KR20000016518A KR20010095466A KR 20010095466 A KR20010095466 A KR 20010095466A KR 1020000016518 A KR1020000016518 A KR 1020000016518A KR 20000016518 A KR20000016518 A KR 20000016518A KR 20010095466 A KR20010095466 A KR 20010095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der
auction
site
information
b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치연
Original Assignee
이진원
주식회사 싸이보컴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원, 주식회사 싸이보컴닷컴 filed Critical 이진원
Priority to KR102000001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5466A/ko
Publication of KR20010095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466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서 전자 메일 및 유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로 맞춤형 경매 관련 정보를 입찰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최적의 경락가로 신속한 경매/역경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찰자의 사이트 접속에 따라 피입찰자가 등록한 입찰 대상 물품정보를 제시하는 과정과, 입찰자의 관심종목을 입력받아 맞춤항목으로 구성하고, 맞춤항목에 대한 입찰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유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과정과, 입찰자의 맞춤항목에 대한 입찰관련정보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에 변경된 입찰관련정보를 통합 메세징 서비스로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실제 오프라인과 같이 신속한 경매/역경매를 구현하고, 입찰자에게 좀더 쉬운 경매/역경매 참여 방법을 제공하며, 입찰자가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이트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경매/역경매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이트의 접속시 로그인되는 해당 회원의 정보에 따라 자신이 구성한 맞춤항목의 정보와 입찰관련정보가 소팅되어 표시되어 입찰정보를 얻기 위한 여러번의 네비게이션 단계를 거치지 않아 사용에 편리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Method Of Operating An Internet Auction Site}
본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전자 메일 및 유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로 맞춤형 경매 관련 정보를 입찰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최적의 경락가로 신속한 경매/역경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국방성에서 군사 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아파넷에서 기인한 인터넷(Internet)은 현재 세계 각지의 수 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계되어 전자메일, 뉴스, 파일 전송, 정보 전달 및 검색 등을 수행하여주는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 축적 및 제공 매체가 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인터넷이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상업적 이용, 즉 전자상거래의 이용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의 활동과 유사하게 상거래의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게 되나, 상행위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는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중간 유통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상거래에 관련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원하는 상품 및 고객 정보를 편리하고 쉽게 지득할 수 있어 이를 활용한 효율적인 마케이팅 전력을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전자 상거래에 있어 일반적인 모델로는 첨부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품의 판매나 유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상점인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 사이트(이하 '쇼핑몰(11)' 이라 한다.)와, 쇼핑몰(11)에 입점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판매자(12), 쇼핑몰(1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나 각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다음 확인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13), 쇼핑몰(11)로부터의 배송의뢰에 따라 판매자(12)로부터 해당 상품을 출하 받아 해당 구매자(13)에게 배송하여 주는 배송업체(14) 및 구매자(13)가 쇼핑몰(11)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대금을 결제한 다음 해당 구매자(13)에게 결제 대금을 청구하는 신용카드사(15)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전자상거래 모델링에서 상거래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매자(13)가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으로 임의의 쇼핑몰(11)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품 정보를 쇼핑하는 도중에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발견하면 쇼핑몰(11)에 해당 상품의 구매 의사와 해당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정보, 즉 현금으로 결제 할 것인지 신용카드로 결제 할 것 인지에 또는 지로방식으로 결제할 지에 대한 결제 방식의 정보를 제공한다.
일 예를들어, 신용카드로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13)가 결제하고자 하는 신용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등 고객의 금융식별번호를 쇼핑몰(11))에 제공하면 쇼핑몰(11)은 구매자(13)가 제시한 금융식별번호를 해당 금융기관, 즉 신용카드사(15)에 조회하여 결제 가능여부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신용카드사(15)로부터 승인이 허가되면 쇼핑몰(11)은 쇼핑몰(11)에 입점하여 해당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판매자(12)에게 해당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배송업체(14)에 해당 상품이 구매자(13)에 배송될 수 있도록 배송을 의뢰한다.
이때, 배송업체(14)가 쇼핑몰(11)의 배송의뢰에 따라 판매자(12)로부터 의뢰된 상품을 출하받아 해당 상품의 구매자(13)에게 배송한 다음 배송 확인 정보를 쇼핑몰(11)에 통지하면 쇼핑몰(11)은 해당 신용카드사(15)에 판매대금의 지급을 요청하고, 신용카드사(11)로부터 요구된 판매 대금이 지급되면 쇼핑물(11)은 해당 상품의 판매 대금을 판매자(12)에게 입급하여 주며, 신용카드사(15)는 해당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13)에게 결제 대금 영수증의 발생과 동시에 구매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여 해당하는 상품의 구매에 따른 결제 대금을 결제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상의 전자상거래의 모델링의 경우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형태로 쇼핑몰에서 취급되는 상품의 판매 가격이 판매자에 의해 결정되는 일반적인 방식과 판매자는 최소 가격을 제시하고 구매자가 구입을 원하는 가격을 제시하여 최종가격을 결정하는 경매 방식및 구매자가 구매를 원하는 임의의 상품에 대하여 원하는 가격이나 최고의 가격을 먼저 제시하여 구매자가 필요로 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역경매의 방식으로 운용된다.
상기한 경매 및 역경매 방식의 전자 상거래는 게임적인 성격이 있어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구매자가 직접 구매를 원하는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하나의 상품에 대하여 경매 물품으로의 등록과정과 판매자가 제시한 가격의 응찰이 있기까지 여러날을 걸쳐 경매가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경매방식에 비해 단점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경매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의 경매에 참여하여 입찰 가격을 지정하거나 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수시로 해당경매 사이트를 방문하여야 하고 반복되는 여러번의 마우스 클릭을 통해서만 경매 상품에 대한 최고 입찰가 등의 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정신적 스트레스와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구매자가 반드시 필요한 상품이라 하여도 다른 구매자에 비하여 입찰 가격을 낮게 제시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구매자가 필요한 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상품을 즉시 구입할 수 없으며 대개 수량이 한정되어 있어 가격 결정에서 투명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우편과 유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온라인 경매 서비스에 접목하여 경매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입찰자에게 제공하고, 경매 사이트 외부에서도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찰 가격 등의 경매 관련 정보의 수신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대응을 요구하는 인터넷 온라인 경매에서 구매자에게 능동적인 대처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구매자가 입찰을 원하는 경매 물품 종목들에 대하여 범주를 정하고 수시로 관심 종목에 대한 현재의 최고 입찰가 등의 경매 관련 정보를 전자메일이나 팩시밀리,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 제공받아 볼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경매 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터넷 기반의 전자 상거래에 대한 모델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을 도시한 모델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에서 통합 메세징 서비스와 개인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매/역경매 사이트 110 : 데이터 베이스
200 : 피입찰자 300 : 입찰자
400 : 금융기관 500 : 배송업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찰자의 사이트 접속에 따라 피입찰자가 등록한 입찰 대상 물품정보를 제시하는 과정과, 입찰자의 관심종목을 입력받아 맞춤항목으로 구성하고, 맞춤항목에 대한 입찰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유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과정과, 입찰자의 맞춤항목에 대한 입찰관련정보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에 변경된 입찰관련정보를 통합 메세징 서비스로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 경매 사이트 모델링은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 사이트인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와,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입고와 판매 원하는 최소 가격을 제시하는 피입찰자(200)와,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로부터 자신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원하는 가격에 구매하기 위하여 입찰하는 입찰자(300)와, 피입찰자(200)가 입고한 상품이 입찰자(300)에게 낙찰되는 경우 해당 입찰자(300)의 대금 결제를 대행한 다음 해당 입찰자(300)에게 청구하는 금융기관(400)과,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로부터의 배송 의뢰에 따라 피입찰자(200)로부터 상품을 출하받아 낙찰된 입찰자(300)에 배송한 다음 그에 대한 정보를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 통보하는 배송업체(500) 및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 포함되어 입찰자(300)가 응찰하고자 포트폴리오 구성하는 상품의 목록과 해당 입찰자(300)에게 통합 메세징 서비스를 통해 경매/역경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데이터 베이스(11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입찰자(200)는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 회원으로 등록된 가입자로 자신이 구매를 원하는 물품의 항목과 각 물품별로 구매를 원하는 가격 등을 데이터 베이스(110)에 등록하며, 실제 경매에는 참가하지 않고 있으나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서 제공되는 입찰 대상의 상품을 사용자 맞춤 항목으로 구성한 회원도 입찰자(300)의 범위에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의 인터넷 사이트 운영 모델링에서 경매/역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회원으로 등록한 피 입찰자(200)들이 제공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과 희망하는 최소 가격이 제시되어 있는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가 인터넷 컴퓨터 단말기 또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나 이동 통신 단말기(PCS,셀룰라 폰) 등의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게 되면(A)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는 피입찰자(200)들이 등록한 경매 물품들의 목록 또는 등록카테고리들과 제시된 가격 정보를 해당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에게 제시하여 준다(B).
이때,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가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로부터 제공되는 경매등록물품들의 목록 또는 등록카테고리들과 제시된 가격 정보들을 분석한 다음 관심있는 항목들에 대하여 원하는 입찰 가격과 입찰 과정에서 변화되는 각종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의 번호 및 변화되는 입찰 관련정보를 통합 메시징 서비스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 간격 등을 설정하여 맞춤항목으로 등록하면(C)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의 프로세서는 각각의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로부터 등록되는 맞춤항목을 바탕으로 각각의 맞춤항목에 대하여 현재 입찰 최고가, 입찰 마감시한, 입찰 상하한가 등으로 구성된 맞춤경매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가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 맞춤항목을 이미 구성시켜 놓은 상태에서 인터넷 컴퓨터 단말기 또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나 이동 통신 단말기(PCS,셀룰라 폰) 등의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를 접속하게 되면(D)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의 프로세서는 로그인되는 회원의 정보에 따라 해당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가 데이터베이스(110)에 구성한 입찰관련 맞춤 경매정보를 해당 회원에게 제공하여 주며(E) 해당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가 기 설정하여둔 맞춤항목이나 입찰관련정보의 변경 및 편집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의 맞춤경매정보 및 입찰관련정보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설정한다(F).
상기와 같이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의 맞춤경매정보 및 입찰관련정보가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되면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되어 있는 맞춤항목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입찰관련정보에 대한 정보의 변화가 발생함이 검출되면 해당하는 정보를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가 맞춤항목 및 입찰관련정보의 등록시 지정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통합메세징 서비스를 통해 SMS 메시지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해당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에게 통지하여 준다(G).
상기에서 경매/역경매 사이트(100)에서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에게 전송하는 SMS 메시지의 전송시간 주기는 맞춤정보 및 입찰관련정보의 등록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300)의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경매/역경매 사이트(100)를 인터넷 접속할 수 있는 경우 설정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맞춤정보 및 입찰관련정보의 내용을 확인한 다음 기 설정시킨 입찰관련정보에 대하여 변경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 메세징 서비스와 맞춤정보를 이용한 경매/역경매 사이트의 운용으로 실제 오프라인과 같이 신속한 경매/역경매를 구현하며,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에게 좀더 쉬운 경매/역경매 참여 방법을 제공하며,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가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이트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경매/역경매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경매/역경매의 참가에 있어 편리성이 제공된다.
또한,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가 인터넷을 통해 경매/역경매 사이트를 접속하는 경우 로그인되는 해당 회원의 정보에 따라 자신이 구성한 맞춤항목의 정보와 입찰관련정보가 소팅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의 맞춤 사이트의 구현 효과가 제공되고, 입찰자 또는 입찰 희망자가 원하는 물품에 대한 입찰정보를 얻기 위한 여러번의 네비게이션 단계를 거치지 않아 사용에 편리성이 제공된다.

Claims (5)

  1. 입찰자의 사이트 접속에 따라 피입찰자가 등록한 입찰 대상 물품정보를 제시하는 과정과;
    입찰자의 관심종목을 입력받아 맞춤항목으로 구성하고, 맞춤항목에 대한 입찰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유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과정과;
    입찰자의 맞춤항목에 대한 입찰관련정보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에 변경된 입찰관련정보를 통합 메세징 서비스로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입찰자가 사이트를 접속하는 경우 입찰자의 로그인 정보에 따라 해당 입찰자가 구성한 맞춤항목의 물품정보만을 소팅시켜 해당 입찰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며, 입찰자의 맞춤항목 및 입찰관련정보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입찰자가 사이트를 접속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등록된 맞춤항목에 대한 입찰관련정보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입찰관련정보를 설정된 시간에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입찰자가 설정한 맞춤항목 및 입찰관련정보는 입찰자가 지정한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갱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이트에서 유무선 단말기에 통지하는 입찰관련정보는 입찰자의 설정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KR1020000016518A 2000-03-30 2000-03-30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KR20010095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18A KR20010095466A (ko) 2000-03-30 2000-03-30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18A KR20010095466A (ko) 2000-03-30 2000-03-30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466A true KR20010095466A (ko) 2001-11-07

Family

ID=1966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518A KR20010095466A (ko) 2000-03-30 2000-03-30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54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07A (ko) * 2000-09-23 2002-03-29 김지한, 김재형 인터넷망을 이용한 시리즈상품 경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07A (ko) * 2000-09-23 2002-03-29 김지한, 김재형 인터넷망을 이용한 시리즈상품 경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20470A (ja) 電子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127915A (ko) 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EP1313047A1 (en) Commodity selling or buying method using network
KR100321488B1 (ko)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0354237B1 (ko) 전자 상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4138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채팅을 통한 실시간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2083A (ko) 공동구매와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101304506B1 (ko) 아이템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505033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JP3923951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
US20020120556A1 (en) Auction system using network and auction program as well as storage medium on which program is stored
US7664675B2 (en) Distribution aiding method, distribution aiding server, recording medium, distribution aiding program, and dealer terminal
KR20000063805A (ko) 네트워크상의 전자 쇼핑몰을 통한 직결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5466A (ko) 인터넷 경매 사이트 운영방법
KR100907220B1 (ko) 개인별 맞춤 상품 및 서비스 입찰 방법
KR20010087572A (ko) 물품 구매와 제공을 위한 방법
KR20000058841A (ko) 인터넷을 이용한 화장품 쇼핑몰 운영 방법
KR200300431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머천다이징 시스템
KR100415120B1 (ko)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10000277A (ko) 인터넷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물품구매 및 판매 방법과 그 장치
KR100387329B1 (ko) 중개시스템을 구비한 멀티경매시스템의 멀티경매방법
KR10043193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영업인간의 조건부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07892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90022870A (ko) 화장품 인터넷 쇼핑몰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