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504A -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504A
KR20010094504A KR1020000016838A KR20000016838A KR20010094504A KR 20010094504 A KR20010094504 A KR 20010094504A KR 1020000016838 A KR1020000016838 A KR 1020000016838A KR 20000016838 A KR20000016838 A KR 20000016838A KR 20010094504 A KR20010094504 A KR 20010094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ding
bid
price
amoun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제선
Original Assignee
이경우
삼성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우, 삼성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경우
Priority to KR102000001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4504A/ko
Priority to JP2000277637A priority patent/JP2001243356A/ja
Priority to SG200006085A priority patent/SG119135A1/en
Publication of KR2001009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50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판매자의 입찰정보를 접수하고, 최적의 판매조건을 제시한 판매자를 선정하여 인터넷 상에 입찰공고를 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응찰토록하며, 판매자 또는 유통업자가 되는 본 서비스 운영자가 선택하는 판매정책조건(가중치)에 부합되는 범위의 응찰가격 및 응찰 수량을 제시한 응찰자 만을 낙찰자로 정하여 공동 구매하도록 한다.
낙찰금액 및 낙찰수량이 적절하게 산출됨으로써, 소비자는 개별적으로 구매에 참여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공동구매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본 서비스 운영자인 판매자 또는 유통업자는 자신이 정한 판매정책에 맞게 수익을 최대로 하거나, 판매량을 최대로 하는 등의 판매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Bid type cooperative selling method using computer network}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판매자의 입찰정보를 접수하고, 최적의 판매조건을 제시한 판매자를 선정하여 인터넷 상에 입찰공고를 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응찰토록하며, 응찰자들 중에서 쇼핑몰의 판매 정책 결정 조건에 부합하는 응찰가격 및 응찰 수량을 제시한 응찰자들만을 낙찰자로 정하여 물품을 판매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마치 공동구매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상품 입찰식 공동 판매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 상에서 흔히 이루어지고 있는 경매는, 판매자가 상품(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경매에 부치고, 가장 높은 가격으로 응찰한 소비자에게 낙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다른 경매방식은 소위 "역경매"라 불리는 것으로, 소비자측에서 원하는 상품 및 수량을 공고하고, 가장 적은 금액(또는 소비자가 선택한 절정 금액)을 제시한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또한,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공동구매가 있다. 공동구매란 일정한 상품을 보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인터넷 쇼핑몰과는 달리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희망자를 모집,구매희망자가 많아지면 생산업체와 직접 연결해 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거래해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공동구매에서는 판매자가 공동판매수량 및 가격을 제시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를 모집하여 공동판매 수량 이상의 구매희망자가 모인 경우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구매에 의하면, 판매자는 대량으로 판매함으로써 판매단가를 낮추어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고, 소비자는 구매희망자 모집에 일정시간이 소모되므로 구입시점이 늦추어지기는 하지만,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이러한 공동구매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에서의 공동구매에서는 판매자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수량 및 가격에 소비자가 따라가는 방식이어서 소비자의 선택에 한계가 있고, 입찰기간동안 목표 주문량(공동판매수량)이 접수되지 않은 경우에 공동구매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초기 공급가격이 정해져 있고, 구매희망자가 늘어감에따라 판매가격이 낮아지도록 하여, 소비자에게는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더 많은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판매량을 증가시키는 공동판매방식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공동판매방식에 있어서도 소비자는 구매희망 수량만을 정할 수 있을 뿐 자신이 응찰가격을 직접 제시할 수는 없고 판매자가 일방적으로 정한 가격(초기가격 및 응찰수량에 따른 할인금액)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판매자의 판매정책에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기준에 따라 응찰 소비자 전체와의 거래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수익을 최대화할 수 없다.(예를 들어, 응찰수량이 많아지면 가격이 하락하고 결과적으로 거의 제조원가에 가깝게 거래하게 되므로 응찰수량 증대와 수익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공동구매 및 수량증가에 따른 할인 공동구매 방식은 판매자 주도방식으로서, 소비자가 응찰가격을 선택할 수 없다는 점에서 엄밀하게 말할때 입찰(또는 경매)이라고 할 수 없으며, 단지 구매희망자를 모집하여 대량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소비자는 자신이 선택한 금액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다만 구매희망자의 수에 따라 판매자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금액에 따라가야 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가격 선택권한이나 가격예측가능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인터넷 경매는 시간기반(time value)의 판매전략으로서, 정해진 수량의 상품을 경매에 부치고, 현재까지의 최고 경매가 이상의 가격을 제시할 소비자만이 경매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경매는 소비자의 가격선택 가능성만 존재하고 수량은 판매자가 제시한 값의 범위내에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인터넷상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여러 구매희망자로 하여금 응찰가격과 응찰수량을 선택하여 응찰하도록 하고, 본 서비스 운영자가 제시한 판매정책결정조건에 맞는 응찰자만을 골라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소비자에게는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제공하고, 판매자 또는 유통업자의 판매정책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서의 입찰과 공동구매를 결합한 형태의 판매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수량이 많아지면 판매자 입장에서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판매상품을 입찰공고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응찰가격 및 수량을 지정하여 응찰하도록 하고, 특정 방식에 따라 판매자의 판매정책에 부합하는 응찰자만을 낙찰자로 선정하여 공동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동일한 상품의 판매자가 다수인 경우에 소비자에게 가장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판매자만을 선택하여 입찰하도록 하는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입찰/응찰을 통한 공동판매에 있어서, 낙찰금액에 가장 근접한 응찰자를 추출하여 보상하는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에서 각 구성요소 사이에 이루어지는 자원(Source)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일 례로서, 판매자가 입찰희망신청을 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4b는 동일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입찰희망업체가 2 이상인 경우의 최종 입찰자 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c에 최종 입찰자의 판매수량에 따른 공급단가 및 입찰가능금액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입찰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입찰에 응하도록 하는 웹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6은 낙찰자, 최종 낙찰가격, 낙찰수량 및/또는 당첨자 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자가 직접 제조·판매자인 경우에 해당되며, 도 6b는 서비스 운영자가 중개유통업자인 경우에 해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와, 입찰할 상품에 대한 각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판매가능금액; UPi)과 제조원가(c)를 포함하는 입찰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품/입찰/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웹서버,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둘을 연결하는 연결채널로 이루어진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으로서, 웹서버가 응찰가능 시기와, 입찰상품에 대한 정보와 입찰상품의 최대공급가격(소비자가격) 및 각 판매수량에 따른 입찰가능금액(UPi)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찰정보를 상기 연결채널을 통하여 1 이상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입찰공고단계와, 1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연결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 응찰가격 및 응찰수량으로 이루어지는 응찰정보를 웹서버가 접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하는 응찰 단계와, 웹서버는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판매 정책 결정 조건과, 상기 응찰가능 시기동안 접수되어 저장되어 있는 응찰정보를 기초로 최종낙찰금액 및 낙찰수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웹서버는 상기 최종낙찰금액보다 큰 응찰가격을 제시한 응찰자로 이루어지는 낙찰자에게 해당 상품을 공동판매하게 하는 소정의 행위를 수행하는 공동판매 단계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판매 정책 결정 조건은 수익우선 항목 및 판매량우선 항목 중 하나 이상에 0 내지 1 범위내의 가중치(두 항목에 부여되는 가중치의 합은 1)를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최종낙찰금액은 상기 판매 정책 결정 조건에 따라, 최대공급단가로부터 소정 응찰가격 아래로 가장 가까운 입찰가능금액(UPi) 사이 범위내의 금액을 응찰가격으로 제시한 응찰수량의 총 누적수량(qi)이 해당 입찰가능금액에 대응되는 계단판매수량(i) 이상인 입찰가능금액으로 이루어지는 낙찰가능금액 중 하나로 결정되며, 최종 낙찰수량은 최대공급단가로부터 상기 최종낙찰금액 까지의 총 응찰 누적수량으로 결정된다.
전술한 설명은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가 해당 상품을 직접 제조·판매하는 직접 제조·판매자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최종 낙찰가격 및낙찰수량은 전술한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를 a(0≤a≤1)이라 할 때, 아래의 식에서와 같이 각각의 낙찰가능금액에 해당되는 기회손실비용 OLi (= 최대수익(max(yi)) - 해당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yi))가 최대수익(max(yi))*(1-가중치(a))내에 포함되는 낙찰가능금액 중에서 누적 응찰수량(판매수량;qi)이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낙찰가능금액이 최종 낙찰가격으로 정해진다.
yi = (UPi - c) * qi
OLi = max(yi) - yi
위의 식에서 yi는 각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UPi는 입찰가능금액, c는 상품의 제조원가, qi는 해당 낙찰가능금액에서의 누적 응찰수량, max(yi)는 최대수익, OLi는 기회손실비용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가 해당 상품을 직접 제조·판매하는 직접 제조·판매자가 아니고 판매자와 소비자 사이의 거래를 중개해주는 중개유통업자인 경우에는 전술한 입찰공고 단계 이전에, 웹서버가 1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접수하여 상품/입찰/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입찰희망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품의 최대공급단가(소비자가격; maxP), 최소공급단가(minP), 최대공급단가로 제공할 수 있는 수량의 하한인 최소단가 공급 하한수량(n), 판매수량의 단위증가에 따른 할인금액인 계단금액(sp), 각 계단판매수량(i)에 따른 입찰가능금액(UPi) 및 최대공급가능수량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찰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가 중개 유통업자인 경우에 최종 낙찰가격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전술한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를 a(0≤a≤1)이라 할 때, 아래의 수학식 3 및 4에서와 같이 각각의 낙찰가능금액에 해당되는 기회손실비용 OLi (= 최대수익(max(yi)) - 해당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yi))가 최대수익(max(yi))*(1-가중치(a))내에 포함되는 낙찰가능금액 중에서 누적 응찰수량(판매수량;qi)이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낙찰가능금액이 최종 낙찰가격으로 정하여 진다.
yi = UPi * qi * r + (UPi - oi)*qi
OLi = max(yi) - yi
위의 식에서 yi는 각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UPi는 입찰가능금액, qi는 해당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응찰개수 누계(판매수량), r는 판매총액(UPi*qi)에 대한 수익 수수료율, oi는 해당 판매수량만큼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을 때의 상품단가(수주단가), max(yi)는 최대수익, OLi는 기회손실비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자가 직접 제조·판매자 또는 중개유통업자인 경우 모두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단계 또는 방법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응찰정보 중 응찰가격은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웹서버가정해놓은 최소판매가능수량에 대한 입찰가능가격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응찰수량은 클라이언트 임의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찰공고에서 응찰가능한 가격 단계(UPi)를 제공하고 그 가격(UPi)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임의로 정하는 경우에 웹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응찰가격 아래(이하)로 가장 가까이 있는 입찰가능금액 단계(UPi)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응찰가격으로 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낙찰자 중 최종낙찰가격과 가장 가까운 응찰가격을 제시한 낙찰자에게 소정의 보상(compensation)을 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보상은 경품지급, 현금지급, 유가증권지급, 사이버머니지급, 구입상품가격의 할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응찰자 중 낙찰되지 않은 미낙찰자 및 다른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낙찰 사실을 공개하고, 소정 기간내에 해당 낙찰금액에 해당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의 추가 구매의사를 접수하기 위하여 낙찰사실을 상기 연결채널을 통하여 불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상기 공동판매단계에서는 낙찰자에 추가하여, 상기 추가 구매의사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사이의 공동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판매자 또는 유통업자는 소비자의 응찰결과에 따라 수익이 최대가 되는 입찰가능금액(UPi)을 선택하는 수익우선의 판매정책(sales policy)을 펼수도 있고, 비록 수익은 좀 떨어지더라도 판매량이 최대가 되는 판매량 우선의 판매정책을 펼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판매자 또는 유통업자는 각 단계판매수량(i) 및 그에 해당되는 입찰가능금액(UPi) 단계(level)에 대한 소비자의 응찰 현황에 따라 수익 우선 항목 또는 판매량 우선 항목에 0 내지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a라는 가중치를 부여하고(그러면 다른 항목에는 1-a라는 가중치가 부여된다), 그 가중치에 따라 판매자 또는 유통업자가 정한 판매정책에 부합하는 입찰가능 금액을 최종 낙찰가격으로 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상품"은 반드시 유체상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재화, 예를 들면, 유체상품, 무형의 정보, 여행 등과 같은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공급량의 증가에 따른 할인가능성이 큰 재화일수록 본 발명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입찰식 공동판매 웹서버(11), 소비자인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12), 및 둘을 연결하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연결채널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운영자가 중개 유통업자인 경우에는 판매자가 웹서버에 연동되어 있어야 하지만, 판매자(14)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서버에 입찰신청을 하여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웹서버에 입찰희망 상품정보를 접수하게 하여도 된다.
컴퓨터 네트워크 연결채널은 특정 클라이언트를 연결하기 위한 LAN(local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같은 폐쇄형 네크워크일 수도 있으나, 불특정된 일반인인 모든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인트라넷(intranet)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크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는 상품/입찰/낙찰정보 관리모듈과, 클라이언트 관리모듈, 송·수신모듈, 중앙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품/입찰/낙찰정보 관리모듈 및 클라이언트 관리모듈은 각각 상품/입찰/낙찰 정보 데이터베이스(15) 및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16)과 연동되어 있으며, 중앙처리모듈은 각각의 모듈들과 연동되어, 입찰할 상품과 입찰·낙찰 정보 및/또는 클라이언트의 응찰정보를 접수·저장 및 관리하고, 계단금액(sp),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등을 포함하는 입찰정보를 생성하여 입찰공고하며, 응찰결과와 전술한 수학식에 따라 조건에 부합하는 최종낙찰가격, 낙찰수량, 낙찰자, 당첨자 등을 결정하도록 각 모듈들을 제어한다. 중앙처리 모듈은 아래에서 설명될 방식으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기술인 수익우선항목 또는 판매량 우선항목에 주어지는 가중치(a)와 응찰상태에 따라 각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중 해당 입찰가능금액에서의 총 누적응찰수량(qi)가 그 때의 계단판매수량(i)을 초과하는 입찰가능금액(UPi)중 전술한 수학식에 의항 판매정책조건에 부합하는 금액을 최종 낙찰가격으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 낙찰자를 선택하는 등의 제반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자가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수주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중개유통업자인 경우에 웹서버는 전술한 최종낙찰가격 결정기능 이외에도 1 이상의 판매자로부터의 입찰희망정보를 접수하고, 입찰희망정보에 따라 최대공급가격(maxP), 최소공급가격(minP), 최소공급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급량의 하한인 최소단가 공급 하한수량(n), 최대공급가능수량, 계단금액(sp), 각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등을 산정하여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웹서버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TM), 리눅스(LynuxTM), 유닉스(Unix), 매킨토시(Makintosi)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TTPS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웹서버(web server)는, 통상적인 의미의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포함하고,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및 각 모듈 사이를 연결·중개해 주는 소정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품/입찰/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판매자 식별코드, 입찰희망 상품, 제조단가(c), 최대공급단가(소비자가격;maxP), 최소공급단가(minP), 최소공급단가로 판매가능한 최소단가 공급 하한수량(n), 계단금액(sp), 각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 각 입찰가능금액에 대한 (누적) 응찰수량(qi), 총수익(yi), 기회손실비용(CLi), 판매총액(UPi*qi)에 대한 수익 수수료율(유통업자인 경우에 해당; r), 해당 판매수량만큼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을 때의 상품단가(수주단가; 유통업자인 경우에 한함; oi), 입찰기간 등의 필드(field)를 가지며,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는 소비자식별코드, 소비자의 신상정보(연락처, 전자메일 주소, 금융정보, ID, 비밀번호 등), 응찰정보(입찰에 참여한 판매상품 및 응찰가격, 수량 등), 낙찰정보, 포인트(사이버머니) 등의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두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연동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시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 하드웨어의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각각의 모듈들은 독립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듈(또는 프로시저;Procedure)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낙찰자와 판매자 사이의 전자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불(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17)가 인터넷에 연동되어 있을 수 있으며,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인증(Certificate)을 위하여 적당한 인증기관(Certificate Authority) 또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 밖에, 입찰정보 및/또는 응찰정보의 전송에 있어서의 보안을 위하여, 현행 웹브라우저가 지원하는 SSL(Secure Socket Layer)과 같은 레이어 레벨의 암호화방식이나, 기타 공개키기반(Public Key Infra; PKI)의 암호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운영자가 중개유통업자인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직접 제조·판매자인 경우에는 입찰희망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접수할 필요없이 해당 판매자가 직접 입력한 자료로부터 필요한 입찰정보를 간단하게 생성하여 공고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상에서의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에서 각 구성요소 사이에 이루어지는 자원(Source)의 흐름도이다. 우선 1) 웹서버는 1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입찰희망정보를 접수하고, 최종 판매자 선정 및 입찰정보 산정 후 입찰공고한다. 2) 클라이언트가 입찰공고에 따라 응찰을 하면, 3) 웹서버는 접수된 응찰정보로부터 낙찰자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는 4) 선택적으로 낙찰사실을 공고하거나, 미낙찰자에게 해당 낙찰금액에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를 묻는 전자메일을 전송하는 형식으로, 추가구매의사를 가진 추가구매희망자를 모집하여, 최종 공동 구매자(낙찰자 + 추가구매희망자)를 결정한다. 5) 웹서버는 최종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에게 전송하고, 6) 결제후 상품을 최종 구매자들에게 배송한다. 물론 이 때 결제행위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웹서버 또는 판매자가 자신이 보유한 지불시스템 또는 외부의 지불 대행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의 입찰식 공동판매방법의 흐름도로서, 웹서버가 1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접수된 입찰정보(입찰상품종류, 최대공급단가, 최소공급단가, 최소공급단가로 판매가능한 최소단가 공급 하한수량, 계단금액, 입찰기간 등)를 저장 관리(S31)한다. 소정 기간에 접수된 입찰희망업체가 둘 이상인지를 판단(S32)하고, 동일 상품에 대한 입찰희망 판매자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계단금액이 가장 높은 판매자를 최종 입찰자로 선정(S33)한다. 웹서버는 최종 입찰자의 입찰희망정보로부터 계단금액(sp),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 등을 산정하여 인터넷을 통해 입찰을 공고(S34)한다. 클라이언트는 입찰공고에 따라 응찰가격 및 응찰수량(구매희망 수량)을 지정하여 응찰하고,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응찰정보를 접수하여 상품/입찰/낙찰정보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35)한다. 응찰기간이 경과한 후, 웹서버는 응찰결과와 서비스 운영자가 입력한 판매정책(수익우선 또는 판매량 우선항목에 주어지는 가중치)에 따라 최종 낙찰가격과, 낙찰자, 낙찰 수량 등을 결정(S37)하고, 낙찰자가 없는 경우에는 유찰공고(S41)를 하고 종료한다. 낙찰자가 있는 경우에는 낙찰되지 않은 미낙찰자 및 기타 다른 회원에게 해당 상품의 낙찰사실을 알리고, 소정기간동안 추가 구매희망자를 모집(S39)한다. 최종 구매희망자(낙찰자 + 추가 구매희망자)가 결정되면 판매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고, 결제 및 배송함으로써 공동판매가 이루어지게 한다(S40).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낙찰자 중에서 낙찰금액에 가장 가까운 가격으로 응찰한 응찰자를 당첨자로 선정하고 소정의 보상을 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입찰가능가격, 낙찰자, 최종 낙찰가격, 낙찰수량, 당첨자 선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로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일 례로서, 특히 판매자가 입찰희망신청을 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도시한다. 판매자는업체명, 연락처, 주소 등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입찰을 희망하는 상품명, 최대공급단가(소비자 가격), 최소공급단가, 최소단가공급 하한수량, 입찰기간 까지의 최대공급수량, 입찰희망 기간등을 입력 또는 선택하게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판매수량 증가에 따른 할인 금액인 계단금액을 직접 입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렇게 입력된 입찰정보는 웹서버에 접수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다. 웹서버는 판매자가 계단금액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단금액을 산정하여 함께 저장한다. 2이상의 입찰희망업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선택된 최종 입찰자의 계단금액,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 등을 산출하여 저장한다.
도 4b는 동일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4업체(판매자 1 내지 4)인 경우의 비교를 도시하는 표로서, 320,000원의 최대공급단가, 290,000 내지 310,000원의 최소공급단가, 5 내지 10개의 최소단가공급 하한수량 및 50 내지 100개의 최대공급가능수량 등이 명시되어 있다. 판매수량에 따른 할인 금액(즉, 판매수량이 1개 늘때마다 할인되는 가격)인 계단금액(sp)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계단금액(sp) = (최대공급단가 maxP - 최소공급단가 minP) / (최소단가공급 하한수량 n - 1)
전술한 식에 의하면, 판매자 1 내지 4의 계단금액은 각각 4,000원, 3,333원, 3,333원, 5,000원이 되므로, 가장 큰 계단금액을 나타내는 판매자 4가 최종 입찰자로 선정된다.
일단 최종 입찰자가 선정되면, 해당 입찰자의 계단판매수량(i)에 따른 입찰가능금액(UPi)이 단계적으로 결정된다. 입찰가능금액(UPi)은 최대공급가격(maxP) - (계단판매수량(i)-1)*계단금액(sp)으로 정하여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판매수량에 따른 입찰가능금액이 표로 주어진다.
도 5는 입찰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입찰에 응하도록 하는 웹페이지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입찰하는 상품명, 판매업체, 최대공급단가(소비자가격), 입찰기간, 상품 상세정보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서는 소비자가 응찰가격 및 응찰 수량을 선택하여 응찰하도록 한다. 이 때, 이미 정해진 판매수량별 입찰가능금액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로 제공하고 그 중에서 하나의 가격을 정하도록 하여도 되며, 임의로 입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응찰 수량은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정하게 한다. 웹서버는 이렇게 입력된 응찰 정보를 접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며, 응찰기간이 경과한 후의 최종 낙찰가격, 낙찰수량 및 낙찰자 결정시의 기초 자료로 사용된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미리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웹서버는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의 "쿠키(cookie)"기능을 이용하여 웹서버 접속과 동시에 회원의 신원을 파악할 수도 있고, ID 및 비밀번호 입력후 로그인하게 함으로써 회원을 인식하게 할 수도 있으므로,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응찰시마다 인적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그러나, 반드시 미리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회원제로 운영될 필요는 없으며, 비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응찰시에 응찰자의 신상정보, 금융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낙찰자, 낙찰금액, 낙찰수량 및/또는 당첨자 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자가 직접 제조·판매자인 경우에 해당되며, 도 6b는 서비스 운영자가 중개유통업자인 경우에 해당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상품의 최대공급단가(maxP)가 1,000,000원, 최소공급단가(minP)가 600,000원, 제조원가(c)가 500,000원, 최소공급단가로 제공할 수 있는 하한 수량인 최소단가 공급 하한 수량(n)이 16으로 주어진다. 웹서버는 이러한 상품정보로부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식을 이용하여 26,666원의 계단금액(sp)을 계산하고, 각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을 계산하여 저장한다. 입찰가능금액(UPi)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입찰가능금액(UPi) = 최대공급단가 maxP - (계단판매수량 - 1)*계단금액 sp
응찰의 결과는 도 6a 표의 4행 및 5행에 표시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응찰현황(4행)과 각 단계까지의 누적 응찰 수량(5행, qi)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응찰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 총수익(yi)은 UPi*qi으로 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단판매수량(i)이 11개일때 최대수익(max(yi))이 22,000,200원으로 정해지며, 각 단계별로 기회손실비용(OPi)이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기회손실비용 OPi = 최대수익 max(yi) - 각 단계에서의 총수익 yi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계별로 누적 응찰수량(qi)가 그 때의 계단판매수량(i) 이상이 되는 입찰가능금액(UPi)이 낙찰가능금액이 되며 위의 실시예에서는 계단판매수량(i)이 7 이상인 모든 단계가 낙찰가능금액으로 결정된다.
만일 판매자가 수익우선항목에 주어지는 가중치(a)를 1로 함으로써 수익만을 고려하는 수익우선판매정책을 웹서버에 입력하여 둔 경우에는 위의 표에서와 같이 수익을 최대로 만드는 단계(i=11)의 입찰(낙찰)가능금액(UPi)인 733,340원을 최종 낙찰가격으로 선택하게 되고 응찰 수량은 총 30개가 된다. 반대로 판매자가 수익우선항목에 주어지는 가중치(a)를 0로 함으로써 판매량만을 고려하는 판매량우선판매정책을 웹서버에 입력하여 둔 경우에는 위의 표에서 낙찰가능금액(i>6)중 누적 응찰 수량이 가장 큰 마지막단계(i=16)의 금액인 600,000원이 최종 낙찰가격으로, 34개가 낙찰수량으로 결정된다.
만일, 판매자가 수익우선항목에 주어지는 가중치(a)를 0.93으로 한 혼합판매정책 조건을 입력하여 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회손실비용(OPi)이 최대수익(max(yi))*가중치(a)의 식에 의하여 22,000,200*(1-0.93)=1,540,014원 이내에 포함되는 단계중 가장 큰 누적 응찰수량을 가지는 단계인 i= 15단계가 낙찰되고, 따라서 최종 낙찰가격은 626,676원으로, 낙찰수량은 33개로 결정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자가 중개유통업자인 경우에 해당되는 표로서, 1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동일상품에 대한 입찰희망정보를 접수하여 그 중에 가장 큰 계단금액을 제시한 판매자를 입찰자로 결정한 후, 도 6a에서와 같은 단계를거쳐 각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UPi)을 산출하고 각 단계별 응찰 현황 및 누적 응찰수량(qi)을 저장한다. 수주단가(oi)는 각 단계에서의 누적 응찰수량(qi)만큼의 상품을 판매자로부터 수주할 때 지불하여야 하는 가격으로서, 예를 들면 i=6단계에서는 총 누적 응찰수량이 4이므로, 4개를 주문할 때 지불해야하는 단가가 i=4일 때의 금액인 920,020원이 된다. 따라서 누적 응찰수량이 16개를 넘어가는 i=9단계 이상에서는 동일한 수주단가인 600,000원으로 결정된다. 총 판매금액은 각 단계의 입찰가능금액(UPi)*누적응찰수량(qi)으로 계산되며, 판매자로부터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자인 중개유통업자가 받는 수수료수익은 총 판매금액*수수료율(r)로 결정된다. 물론 판매자로부터 받는 수수료 수익이 없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후술할 유통마진인 거래수익만이 수익이 된다.
유통업자의 거래수익은 각 단계별로 수주단가(oi)로 상품을 넘겨받아 입찰가능금액(UPi)으로 누적 응찰 수량(qi)만큼을 판매한 경우에 얻게 되는 수익으로서, (UPi-oi)*qi로 계산된다. 중개유통업자의 단계별 총 수익(yi)은 수수료수익과 거래수익을 더한 값으로 결정되며, 본 살시예에서는 단계 i=11의 총수익인 4,000,200원이 최대수익(max(yi))으로 선택된다. 또한, 도 6a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단계의 기회손실비용(OPi)이 계산된다.
도 6a와 유사하게 수익우선판매정책 조건(수익우선항목의 가중치(a)가 1) 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i=11인 733,400원이 최종낙찰단계로 결정되고, 판매량우선판매정책 조건(수익우선항목의 가중치(a)가 0) 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i=16인 600,000원이 최종낙찰단계로 결정되고, 수익우선항목에 주어지는 가중치가 0.4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기회손실비용이 4,220,020*(1-0.4)=2,532,121원 이내에 있는 단계중 가장 아래단계인 i=14단계가 최종 낙찰단계로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 낙찰조건이 결정되면, 낙찰금액에 가장 가까운 응찰가격을 제시한 소비자를 보상 당첨자로 선정하고, 소정의 보상을 한다. 보상방법으로는 현금 지급, 사이버 머니 제공, 상품가격 할인 등과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당첨에 의한 보상방법을 도입하면, 종래의 공동구매 또는 보상이 없는 본 발명 방식의 입찰식 공동구매에 비하여 소비자의 관심 또는 참여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 더 많은 소비자의 응찰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소비자는 더 낮은 금액으로 상품을 공동구매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는 경우 소비자의 참여를 더욱 더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의 지명도 확대→소비자참여증가→가격하락의 상승효과는 결과적으로 종래의 공동구매방식보다 훨씬 많은 수량으로 공동판매를 할 수 있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낙찰자 이외의 추가구매희망자를 모집하기 위하여, 웹서버는 낙찰사항을 웹사이트에 공고하거나, 미낙찰자 및 기타 불특정 다수인의 클라이언트에게 메일등을 보내는 방식으로 낙찰 사실을 알리고, 해당 낙찰금액에 상품을 구입할 추가구매자를 모집할 수 있다.
낙찰자와 추가구매자로 이루어지는 최종 구매자가 확정되면, 웹서버는 해당 최종구매자에 대한 정보, 낙찰정보(낙찰금액, 구매자별 낙찰수량 등)를 판매자에게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판매자는 상품에 대한 대금이 접수된 경우에 해당되는 구매자에게 상품을 일괄적으로 배송한다. 소비자의 거래 안전을 위하여, 웹서버는 소비자의 배송확인 정보를 접수하여 그를 다시 판매자에게 전송하고 판매자와 해당 소비자 사이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가 직접 지불(대행)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배송이 확인된 소비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신용카드결제, 전자자금이체, 온라인 입금 등의 방법으로) 판매자에게 지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낙찰자가 결정되고 난 이후의 판매자(중개유통업자)와 해당 소비자 사이의 거래는 종전의 어떠한 전자상거래 방식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상에서의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은, 종래의 상품 입찰방식이 판매자 주도였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소비자가 주도하는 인터넷 입찰식 판매방식이다. 또한, 인터넷 상의 전자상거래에서의 공동구매(판매)를 입찰방식과 결합함에 있어서, 낙찰자와 낙찰금액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소비자는 싼 가격으로 상품을 공동구매할 수 있게 되고, 판매자 또는 유통업자는 자신이 정한 판매정책에 부합하도록 판매량(낙찰수량) 및 판매가격(낙찰가격)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낙찰금액에 가장 근접한 응찰자를 선정하여 소정의 보상을 함으로써, 응찰 참여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더 싼 가격에 상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지명도 확대→소비자 참여 증가→가격하락의 상승효과를 수반함으로써 종래의 공동구매방식보다 훨씬 많은 수량으로 공동판매를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와, 입찰할 상품에 대한 각 계단판매수량(i)별 입찰가능금액(판매가능금액; UPi)과 제조원가(c)를 포함하는 입찰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품/입찰/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웹서버,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둘을 연결하는 연결채널로 이루어진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 판매방법으로서,
    상기 웹서버가 응찰가능 시기와, 입찰상품에 대한 정보와 입찰상품의 최대공급가격(소비자가격) 및 각 판매수량에 따른 입찰가능금액(UPi)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찰정보를 상기 연결채널을 통하여 1 이상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입찰공고단계;
    1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연결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 응찰가격 및 응찰수량으로 이루어지는 응찰정보를 웹서버가 접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하는 응찰 단계;
    웹서버는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판매 정책 결정 조건과, 상기 응찰가능 시기동안 접수되어 저장되어 있는 응찰정보를 기초로 최종낙찰금액 및 낙찰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웹서버는 상기 최종낙찰금액보다 큰 응찰가격을 제시한 응찰자로 이루어지는 낙찰자에게 해당 상품을 공동판매하게 하는 수정의 행위를 수행하는 공동판매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매 정책 결정 조건은 수익우선 항목 및 판매량우선 항목 중 하나 이상에 0 내지 1 범위내의 가중치(두 항목에 부여되는 가중치의 합은 1)를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최종낙찰금액은 상기 판매 정책 결정 조건에 따라, 최대공급단가로부터 소정 응찰가격 아래로 가장 가까운 입찰가능금액(UPi) 사이 범위내의 금액을 응찰가격으로 제시한 응찰수량의 총 누적 응찰수량(qi)이 해당 입찰가능금액에 대응되는 계단판매수량(i) 이상인 입찰가능금액으로 이루어지는 낙찰가능금액 중 하나로 결정되며, 최종 낙찰수량은 최대공급단가로부터 상기 최종낙찰금액 까지의 총 응찰 누적수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는 해당 상품을 직접 제작하여 판매하는 직접 제조·판매자이고, 상기 판매량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1,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0인 경우에는 상기 낙찰가능금액 중 가장 낮은 금액이 최종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는 해당 상품을 직접 제작하여 판매하는 직접 제조·판매자이고, 상기 판매량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0,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1인 경우에는 각각의 낙찰가능금액 중 아래와 같은 식에서 yi값(총수익)을 최대로 만드는 낙찰가능금액이 최종낙찰가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yi = (UPi - c) * qi
    yi:각 낙찰가능금액에 대한 총수익, UPi: 입찰가능금액, qi : 각 입찰가능금액에서의 판매수량(누적 응찰수량), c:상품원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는 해당 상품을 직접 제작하여 판매하는 직접 제조·판매자이고, 상기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를 a(0<a<1)이라 할 때, 아래의 식에서와 같이 각각의 낙찰가능금액에 해당되는 기회손실비용 OLi (= 최대수익(max(yi)) - 해당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yi))가 최대수익(max(yi))*(1 - 가중치(a))내에 포함되는 낙찰가능금액 중에서 누적 응찰수량(판매수량;qi)이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낙찰가능금액이 최종 낙찰가격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yi = (UPi - c) * qi
    OLi = max(yi) - yi
    yi:각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UPi:입찰가능금액, c: 상품의 제조원가, qi:해당 입찰가능금액에서의 누적 응찰수량, max(yi): 최대수익, OLi:기회손실비용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의 응찰정보 중 응찰가격은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웹서버가 정해놓은 계단판매수량(i)에 대한 입찰가능가격(UPi)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응찰수량은 클라이언트 임의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자 중 최종낙찰가격과 가장 가까운 응찰가격을 제시한 낙찰자에게 소정의 보상(compensation)을 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은 경품지급, 현금지급, 유가증권지급, 사이버머니지급, 구입상품가격의 할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찰자 중 낙찰되지 않은 미낙찰자 및 다른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낙찰금액에 해당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의 추가 구매의사를 접수하기 위하여 낙찰사실을 상기연결채널을 통하여 불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상기 공동판매단계에서는 낙찰자에 추가하여, 상기 추가 구매의사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사이의 공동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 및 공동판매방법.
  9.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와 판매자/입찰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웹서버,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둘을 연결하는 연결채널로 이루어진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 판매방법으로서,
    상기 웹서버는 1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접수하여 상품/입찰/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입찰희망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품의 최대공급단가(소비자가격; maxP), 최소공급단가(minP), 최대공급단가로 제공할 수 있는 수량의 하한인 최소단가 공급 하한수량(n), 판매수량의 단위증가에 따른 할인금액인 계단금액(sp), 각 계단판매수량(i)에 따른 입찰가능금액(UPi) 및 최대공급가능수량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찰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응찰가능 시기와, 입찰상품에 대한 정보와 입찰상품의 최대공급가격(소비자가격) 및 각 계단판매수량(i)에 따른 입찰가능금액(UPi)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찰정보를 상기 연결채널을 통하여 1 이상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입찰공고단계;
    1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연결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 응찰가격 및 응찰수량으로 이루어지는 응찰정보를 웹서버가 접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하는 응찰 단계;
    웹서버는 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로부터 판매 정책 결정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입찰기간동안 접수되어 저장되어 있는 응찰정보 및 상기 판매 정책 결정 조건을 기초로 낙찰금액 및 낙찰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웹서버는 상기 낙찰금액보다 많은 응찰가격을 제시한 응찰자로 이루어지는 낙찰자와 해당 판매자 사이의 공동거래가 이루어지도록 낙찰자, 최종낙찰가격, 최종 낙찰수량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낙찰정보를 해당 판매자 및 낙찰자 중 하나 이상에게 제공하는 공동판매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매 정책 결정 조건은 수익우선 항목 및 판매량우선 항목 중 하나 이상에 0 내지 1 범위내의 가중치(두 항목에 부여되는 가중치의 합은 1)를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최종낙찰금액은 상기 판매 정책 결정 조건에 따라, 최대공급단가로부터 소정 응찰가격 아래로 가장 가까운 입찰가능금액(UPi) 사이 범위내의 금액을 응찰가격으로 제시한 응찰수량의 총 누적응찰수량(qi)이 해당 입찰가능금액에 대응되는 계단판매수량(i) 이상인 입찰가능금액으로 이루어지는 낙찰가능금액 중 하나로 결정되며, 최종 낙찰수량은 최대공급단가로부터 상기 최종낙찰금액 까지의 총 응찰 누적수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는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수주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중간유통업자이고, 상기 판매량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1,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0인 경우에는 상기 낙찰가능금액 중 가장 낮은 금액이 최종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는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수주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중간유통업자이고, 상기 판매량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0,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가 1인 경우에는 각각의 낙찰가능금액 중 아래와 같은 식에서 yi값(총수익)을 최대로 만드는 낙찰가능금액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yi = UPi * qi * r + (UPi - oi)*qi
    yi:총수익, UPi:입찰가능금액, qi:해당 입찰가능금액에서의 응찰개수 누계(판매수량), r : 판매총액(UPi*qi)에 대한 수익 수수료율, oi:해당 판매수량만큼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을 때의 상품단가(수주단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서비스 운영자는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수주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중간유통업자이고, 상기 수익우선 항목의 가중치를 a(0<a<1)이라 할 때, 아래의 식에서와 같이 각각의 낙찰가능금액에 해당되는 기회손실비용 OLi (= 최대수익(max(yi)) - 해당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yi))가 최대수익(max(yi))*(1-가중치(a))내에 포함되는 낙찰가능금액 중에서 누적 응찰수량(판매수량;qi)이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낙찰가능금액이 최종 낙찰가격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yi = UPi * qi * r + (UPi - oi)*qi
    OLi = max(yi) - yi
    yi:각 낙찰가능금액에서의 총수익, UPi:입찰가능금액, qi:해당 입찰가능금액에서의 응찰개수 누계(판매수량), r : 판매총액(UPi*qi)에 대한 수익 수수료율, oi:해당 판매수량만큼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을 때의 상품단가(수주단가), max(yi): 최대수익, OLi:기회손실비용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동일상품에 대한 1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최대공급단가(maxP), 최소공급단가(minP)와 그 금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상품수량의 하한값인 최소단가 공급 하한수량(n), 최대공급가능수량, 판매수량에 따른 계단금액(sp) 중 하나 이상의 입찰희망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계단금액(sp)이 가장 높은 판매자를 최종 입찰자로 선정하는 최종 입찰자 선정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의 응찰정보 중 응찰가격은 상기 상품입찰식 공동판매 웹서버가 정해놓은 계단판매수량(i)에 대한 입찰가능가격(UPi)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응찰수량은 클라이언트 임의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자 중 최종낙찰가격과 가장 가까운 응찰가격을 제시한 낙찰자에게 소정의 보상(compensation)을 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은 경품지급, 현금지급, 유가증권지급, 사이버머니지급, 구입상품가격의 할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식 공동판매방법.
  17.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찰자 중 낙찰되지 않은 미낙찰자 및 다른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낙찰금액에 해당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의 추가 구매의사를 접수하기 위하여 낙찰사실을 상기연결채널을 통하여 불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상기 공동판매단계에서는 낙찰자에 추가하여, 상기 추가 구매의사를 제공한 클라이언트와 해당 판매자 사이의 공동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입찰 및 공동판매방법.
KR1020000016838A 2000-02-21 2000-03-31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KR20010094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838A KR20010094504A (ko) 2000-03-31 2000-03-31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JP2000277637A JP2001243356A (ja) 2000-02-21 2000-09-13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を用いる入札割引販売方法
SG200006085A SG119135A1 (en) 2000-02-21 2000-10-20 Bid type cooperative selling method using computer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838A KR20010094504A (ko) 2000-03-31 2000-03-31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504A true KR20010094504A (ko) 2001-11-01

Family

ID=1966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838A KR20010094504A (ko) 2000-02-21 2000-03-31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45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58A (ko) * 2000-11-27 2001-02-05 조용근 인트라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20010067532A (ko) * 2001-02-07 2001-07-13 이정훈 원가경매
KR100455666B1 (ko) * 2001-11-30 2004-11-06 주식회사 띠앗 포인트 입찰방식에 따른 선착순 최저가 공동구매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58A (ko) * 2000-11-27 2001-02-05 조용근 인트라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20010067532A (ko) * 2001-02-07 2001-07-13 이정훈 원가경매
KR100455666B1 (ko) * 2001-11-30 2004-11-06 주식회사 띠앗 포인트 입찰방식에 따른 선착순 최저가 공동구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1674B1 (en) Computer-based auction and sale system
US65641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fferential index bidding in online auctions
US7346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electronic auctions with aggregate lotting for transformation bidding
US6366891B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nducting a modified on-line auction
US20010047308A1 (en) Concurrent dynamic pricing marketing and selling system
US772074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nline auctions and market-places utilizing program terms
US7487123B1 (en) Computer-implemented securities trading system with virtual currency and virtual specialist
US7917404B2 (en) System for commodity sales
US82517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nline auctions and market-places utilizing program terms
US20010034663A1 (en) Electronic contract broker and contract market maker infrastructure
US20050187859A1 (en) Online auction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the sale of multiple product units at prices varying with volume
US20060173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offer-based negotiation
US7299200B2 (en) Currency-time line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US85452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nline auctions and market-places utilizing program terms
US20120296759A1 (en) Online market for retail goods
KR20010112007A (ko) 인터넷기반의 선구매 계약에 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방법
US20100217702A1 (en) Electronic System for Coordinating Contracts Relating to Property
US20040267624A1 (en) Novel auction method
KR100328142B1 (ko) 자율적인 제품광고 매장 형성을 이용한 역경매 전자상거래 방법
US200501142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ffiliate utilization of online trading platform
KR20010094504A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찰식 공동판매 방법
KR101666084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WO2001067308A1 (en) A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ller/buyer environment over a network
KR201401084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가격 할인 시스템
KR20050082392A (ko) 구매정보 매매를 통한 마케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