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561A -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561A
KR20010093561A KR1020000016224A KR20000016224A KR20010093561A KR 20010093561 A KR20010093561 A KR 20010093561A KR 1020000016224 A KR1020000016224 A KR 1020000016224A KR 20000016224 A KR20000016224 A KR 20000016224A KR 20010093561 A KR20010093561 A KR 2001009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agnet
magnetic
sound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근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2000001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3561A/ko
Publication of KR2001009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을 자기발생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하여 전기장의 세기를 증대시켜 자기발생부의 상하 진폭을 크게 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단자판이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내장되어 요크의 상하측에 각각 제1마그넷트와 제2마그넷트가 배치되는 자기발생부와, 상기 자기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자기발생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 상측에 배치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과, 상기 자기발생부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발생부의 상하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상,하측면에 장착되는 상,하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producing system of vibration and sound}
본 발명은 진동기능과 음향기능을 동시에 갖춘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회로부의 상하 진폭을 강화시켜 진동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는 진동기능과 음향기능을 동시에 갖추어 진동으로 신호를 전달하거나, 음향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기기로서, 이동통신 단면기나 무선 호출기 등의 통신기기 및 각종 음향 재생기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과 음향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로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단면도로서, 케이스(2)의 일측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단자판(14)이 부착되고, 케이스(2)의 상측에 진동판(4)이 내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고, 진동판(4)의 하측에 보이스 코일(6)이 부착되어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보이스 코일(6)의 하측에 자기발생부(5)가 장착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발생부(5)의 하측에 스프링(8)이 설치되어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고, 케이스(2)의 상,하측에 각각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12)가 장착되어 케이스(2)에 내장된 각 부품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보이스 코일(6)은 단자판(14)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고, 자기발생부(5)는 보이스 코일(6)의 하측에 설치되는 마그넷트(16)와, 이 마그넷트(16)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요크(18)와, 이 요크(18)의 상측에 안착되는 플레이트(20)로 이루어져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스프링(6)은 원판상의 판스프링으로 둘레방향의 끝부분이 하부커버(10)에 지지되고, 하부커버(10)와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상하 진동되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진동과 음향발생장치의 음향 발생기능은 보이스 코일(6)에 전류가 흐르면 전기장이 발생되고, 자기발생부(5)에서 자기장이 발생되는데, 이 전기장과 자기장의 작용으로 보이스 코일(6)과 일체로 결합되는 진동판(4)을 상하방향으로 구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때의 재생주파수대역은 가청음인 고주파수 대역에서 발생된다,
그리고, 진동 발생기능은 주파수 대역이 저주파수 대역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이스 코일(6)에 전류를 인가시키면 보이스 코일(6)에서 전기장이 발생되고, 자기발생부(5)에서 자기장이 발생되어 자기발생부(5)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자기발생부(5)의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6)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어 진동력이 외부로 전달된다. 즉, 보이스 코일(6)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자기발생부(5)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상하 운동하게 되고, 이 자기발생부(5)의 상하 운동으로 발생된 진동력이 스프링(6)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므로 보이스 코일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의 세기가 자기발생부의 상하 진폭을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는 보이스 코일의 직경이 일정치로 설정되기 때문에 동일 전원 입력시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진동을 느끼는 체감이 저하되어 사용자가 진동상태를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이스 코일을 자기발생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하여 전기장의 세기를증대시켜 자기발생부의 상하 진폭을 크게 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 케이스 54 : 자기발생부
56: 보이스 코일 58 : 진동 코일
60 : 스프링 66 : 진동판
70 : 제1마그넷트 72 : 요크
74 : 제1플레이트 76 : 제2마그넷트
78 : 제2플레이트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단자판이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내장되어 요크의 상하측에 각각 제1마그넷트와 제2마그넷트가 배치되는 자기발생부와, 상기 자기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자기발생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 상측에 배치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과, 상기 자기발생부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발생부의 상하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상,하측면에 장착되는 상,하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는 케이스(52)와, 이 케이스(52)의 하측에 내장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발생부(54)와, 이 자기발생부(54)의 상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56)과, 이 보이스 코일(56)의 상측에 위치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66)과, 자기발생부(54)의 하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 코일(58)과, 자기발생부(54)와 케이스(52)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발생부의 상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스프링(60)과, 케이스(5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커버(62)와 하부커버(64) 등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52)는 상, 하측이 개방된 원통상으로 일측에 보이스 코일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제1단자판(50)이 부착되고, 그 하측에 진동코일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제2단자판(53)이 부착되며, 상부커버(62)와 하부커버(64)에 의해 케이스(52)에 내장되는 각 부품을 보호한다.
자기발생부(54)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상으로 중앙측이 개방되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마그넷트(70)와, 이 제1마그넷트(70)가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중앙측이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요크(72)와, 제1마그넷트(70)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중앙이 개구되는 원판상의 제1플레이트(74)와, 상기 요크(72)의 중앙측 하단에 안착되는 원판형태의 제2마그넷트(76)와, 이 제2마그넷트(76)의 하면에 안착되는 원판형태의 제2플레이트(78)로 이루어진다.
보이스 코일(56)은 원통형태로 감긴 코일로서, 상단은 진동판(66)의 하측면에 부착되고 하단은 요크(72)의 상측 둘레면과 제1마그넷트(70)의 둘레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제1단자판(5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진동 코일(58)은 보이스 코일(56)에 비해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하단은 하부커버(64)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측면은 요크(72)의 하측 내면과 제2마그넷트(76)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판(66)은 음향을 발생시키기 용이한 일정 형태의 원판으로, 둘레방향의끝부분이 케이스(52)의 상측 내주면에 지지된다.
스프링(60)은 중앙이 개방된 일정 원판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개구되는 내주면은 요크(72)의 하측 둘레면에 지지되고, 외주면은 케이스(52)의 하측 내주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음향 발생작용을 살펴보면, 보이스 코일(56)로 전원이 공급되면 보이스 코일(56)에서 전기장이 발생되고, 자기발생부(54)에서 자기장이 발생되어 진동판(66)이 상하로 구동되면서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때, 재생 주파수 대역은 가청음인 고주파수 대역이다.
그리고, 진동 발생작용을 살펴보면, 자기발생부(54)의 제1마그넷트(7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보이스 코일(56)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자기발생부(54)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됨과 아울러 제2마그넷트(76)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진동 코일(58)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자기발생부(54)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며, 이 진동력은 스프링(60)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자기발생부의 제1마그넷트(70)와 제2마그넷트(76)에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보이스 코일(56)과 진동 코일(58)에서 전기장이 발생되기 때문에 자기발생부(54)의 상하 방향 진폭의 크기 및 세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는 자기발생부가 제1 및 제2 마그넷트로 이루어져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보이스 코일고 진동코일로 이루어져 전기장을 증대시킴으로서 자기발생부의 진폭의 세기 및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서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단자판이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내장되어 요크의 상하측에 각각 제1마그넷트와 제2마그넷트가 배치되는 자기발생부와; 상기 자기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자기발생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 상측에 배치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과; 상기 자기발생부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발생부의 상하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상,하측면에 장착되는 상,하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발생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상으로 중앙측이 개방되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마그넷트와, 상기 제1마그넷트가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중앙측이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요크와, 상기 제1마그넷트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중앙이 개구되는 원판상의 제1플레이트와, 상기 요크의 중앙측 하단에 안착되는 원판형태의 제2마그넷트와, 상기 제2마그넷트의 하면에 안착되는 원판형태의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및 진동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원통형태로 감긴 코일이고, 그 상단은 진동판의 하측면에 부착되고 하단은 요크의 상측 둘레면과 제1마그넷트의 둘레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진동 코일은 보이스 코일에 비해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하단은 하부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측면은 요크의 하측 내면과 제2마그넷트 사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1020000016224A 2000-03-29 2000-03-29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20010093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224A KR20010093561A (ko) 2000-03-29 2000-03-29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224A KR20010093561A (ko) 2000-03-29 2000-03-29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561A true KR20010093561A (ko) 2001-10-29

Family

ID=1965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224A KR20010093561A (ko) 2000-03-29 2000-03-29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35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583B1 (ko) * 2001-12-27 2004-07-12 에스텍 주식회사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583B1 (ko) * 2001-12-27 2004-07-12 에스텍 주식회사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376B1 (ko) 진동 발생과 음향 발생의 겸용 장치를 구비하는 스피커
US6404085B2 (en) Vibration generator for reporting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JP2004507951A (ja) 骨導振動子
KR20000072431A (ko) 신호 변환장치
CN218162809U (zh) 机芯模组和耳机
CN204316698U (zh) 振动产生装置及体感振动音响接收器
KR100346345B1 (ko) 기계식 음향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와 이를 위한 변환기
KR20060058078A (ko) 휴대단말기용 기능성스피커
KR200421900Y1 (ko) 휴대단말기용 기능성스피커
KR100439583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KR101667314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JP2003152606A (ja) 磁気通信装置
KR20090002530A (ko) 소형 음향 유니트의 판 스프링
KR100317743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20010055232A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20010093561A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20010008806A (ko) 접촉형 스피커
KR100243660B1 (ko) 골도 및 기도 청각 겸용의 골도 진동자
KR101506216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KR20010093560A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20170042525A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KR100347905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JP2002315098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373191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100347904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