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974A -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974A
KR20010088974A KR1020010052313A KR20010052313A KR20010088974A KR 20010088974 A KR20010088974 A KR 20010088974A KR 1020010052313 A KR1020010052313 A KR 1020010052313A KR 20010052313 A KR20010052313 A KR 20010052313A KR 20010088974 A KR20010088974 A KR 2001008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wireless terminal
tag
information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12342B1 (en
Inventor
장덕호
최정주
박경렬
이충환
김만수
오황석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장덕호
(주)디지탈아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호, (주)디지탈아리아 filed Critical 장덕호
Priority to KR10-2001-005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342B1/en
Publication of KR2001008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3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cessing a moving picture data based on a vector graphic through a wireless network are provided to transmit high-speed data and service the moving picture with excellent picture quality by converting and optimizing the moving picture based on the vector graphic to be suitable for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nd transmitting the moving picture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of a user. CONSTITUTION: If an inputted tag is not an end tag, it is confirmed whether the inputted tag is a showFrame tag used when converted into wireless data(s16). If the inputted tag is the showFrame tag, it is confirmed whether a corresponding frame is composed as only PlaceObject tags(s20). If the corresponding frame is composed as only the PlaceObject tags, a flash moving picture is registered in a "between frame list"(s22). If a frame is not deleted, a varying quantity to an active characteristic between successive frames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varying quantity is applied to a frame deletion rule(s36). When the varying quantity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rying quantity, a previous frame or a rear frame is deleted(s38). If the inputted tag is not showFrame tag,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ted tag is a definition tag(s18). If the inputted tag is not the definition tag, the inputted tag is stored(s42). If the inputted tag is the definition tag, it is discriminated whether a tag is a tag unnecessary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If a tag is the tag unnecessary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the tag is deleted(s26). If the tag is not deleted, it is discriminated whether the tag is a shape tag(s28). If the tag is the shape tag, curve data are converted into a linear data and a plurality of converted linear data are combined to optimize the shape data(s32), and a corresponding tag and tag data are stored(s42).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TECHNICAL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하여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 또는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or converting moving image data to facilitate processing of vector graphic based moving image data through a wireless terminal device.

1990년 초반까지, 일부의 사람들만이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알고 있었고,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들 중에서도, 일부만이 통신 수단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으나, 현재에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를 통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와 같이, 인터넷 사용이 대중화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의 실용화라고 할 수 있다.By the early 1990s, only a few people knew how to use a computer, and among those who knew how to use a computer, only a few could use the Internet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e time has come. As such, one of the biggest reasons why the use of the Internet can be popularized is the practical use of the World Wide Web (WWW).

최근 들어, 이러한 웹을 이용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전자 상거래(E-commerce), 사이버 주식 거래, 전자 메일(Electronic mail: e-mail),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제공 사업 등의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들이 예전에 물리적으로 하던 작업을 현재에는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는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Recently, services such as e-commerce, cyber stock trading, electronic mail (e-mail), various content providing businesses such as images or videos have been provided based on the Internet using the web. . As a result, Internet services are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business as users can now easily perform tasks that were previously physically performed through the Internet.

일반적으로 인터넷이라 함은,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단위 네트워크와 각 단위 네트워크에 구비된 개별적인 IP 어드레스를 갖는 복수의 호스트(Host)들 간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며, LAN(Local Area Network)이나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호스트들은 통신 모뎀을 구비한 컴퓨터 내지 컴퓨터와 전화가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각 호스트에 부여된 고유의 IP 어드레스만으로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위 '정보의 바다'라 일컬어지는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자신만의 정보로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In general, the Internet refers to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between a plurality of unit networks divided by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and a plurality of hosts having individual IP addresses provided in each unit network. Based on / Internet Protocol, it is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using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In this case, the hosts mean that a computer or a computer having a communication modem is connected to a telephone, and communication is possible only with a unique IP address assigned to each host. Through these networks, users search fo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called the "sea of information," and try to extract the desired information and make it their own information.

한편, 최근에는 포토샵(PhotoShop) 또는 패인트 샵(Paint shop)과 같이 사진 등의 정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뿐만 아니라 GIF 애니메이터(Animator) 또는 매크로미디어(Macromedia) 플래시(Flash)와 같은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as well as applications that process static image data such as photographs such as Photoshop or Paint Shop, GIF animator or Macromedia Flash and Applications that can produce the same video are in the limelight.

특히,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면서, 캐릭터의 동작을 표현하는 동영상 데이터는 많은 네티즌(Netizen)들 사이에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영화나 애니메이션 같은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In particular, wit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video data representing the character's movement has gained great response among many Netizens. In addition, as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a network and the data processing speed of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increase, the transmission of image data, such as a movie or an animation, is greatly increasing.

도 1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general network diagram for the Internet connection.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접속을 위한 종래의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 장치(10)와 웹 서버(18) 또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20) 상호간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인터넷(16)이 구비된다. 인터넷 단말 장치(10)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어를 제공받는다. 유선 네트워크(12)는 인터넷 단말 장치(10)로부터 명령어와 사용자의 IP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다른 단말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Gateway: 14)는 유선 네트워크(12)로부터 명령어와 IP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터넷(16)은 게이트웨이(14)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주선한다. 웹 서버(18)는 인터넷(16)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웹(Web) 정보를 제공하며, ISP(20)는 인터넷(16)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한다. 인트라넷(Intranet: 22)은 ISP(20)를 통하여 인터넷(16)과 연결되고,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24)를 보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network for accessing the Internet is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that a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between a user's Internet terminal device 10 and a web server 18 or an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20. 16) is provided. The internet terminal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command input by a user to obtain desired information. The wired network 12 receives a command and an IP address of a user from the Internet terminal device 10 and connects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The gateway 14 receives a command and an IP address from the wired network 12 and converts the data into data used in the Internet. The Internet 16 arranges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networks to carry out commands sent from the gateway 14. The web server 18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ternet 16 and provides Web information. The ISP 2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ternet 16 and connects with another network. Intranet 22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16 via ISP 20 and may itself have a database 24.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에서는 단말 장치의 이동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정보 통신 및 전자 산업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휴대용 컴퓨터와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다양한 이동 호스트가 기존의 IP 주소를 이용하면서도, 자신의 고정된 네트워크 위치를 벗어나서 이동 중에도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인터넷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또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과 같은 휴대용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cannot be secured in the network for the Internet conne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anks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industry, various mobile hosts combined with portable computers and mobile terminals use the existing IP address and provide Internet access service while moving away from their fixed network location. Mobile Internet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a wireless network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or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becomes possible, so that a user can use the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on the go. It became available.

도 2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종래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a wireless network.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의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통하여 명령어를 입력받아 데이터 서비스에 적합한 형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기지국 장치(32)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명령어를 입력받아 복조(Demodulation)한다. 무선 네트워크(34)는 명령어를 전송한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의 ID(IDentity) 번호와 함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게이트웨이(36)는 무선 네트워크(34)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넷 접속에 적합한 TCP/IP 등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인터넷(38)은 게이트웨이(36)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동작을 위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웹 서버(40)는 인터넷(38)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웹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42)는 인터넷(38)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mobile Internet service system receives a command through an external command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or a touch screen of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30, and form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suitable for data service. Convert to and send. The base station apparatus 32 receives a command and demodulates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pparatus 30. The wireless network 34 outputs using a protocol for Internet service together with an ID number of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which transmitted the command. The gateway 36 receives a protocol signal for Internet service from the wireless network 34, converts the protocol signal into a protocol such as TCP / IP suitable for Internet connection, and outputs the converted protocol signal. The Internet 38 enables 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for operations correspon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gateway 36. The web server 4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ternet 38 and provides web informatio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provider 42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ternet 38 and connects to another network.

이와 같은 구조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어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에서 무선 네트워크(34)와 게이트웨이(36) 사이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명령어로 변환된다. 변환된 명령어는 대역 확산이나 변조 등을 통하여 무선 채널에 전송할 수 있는 RF 신호로 변환되어 기지국 장치(32)로 전송된다. 기지국 장치(32)에서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무선 네트워크(34)로 전송한다. 이어서, 무선 네트워크(34)에서는 RF 신호를 무선망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언어, 예컨대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이나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또는 mHTML(mobility 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변환하여 게이트웨이(36)로 출력한다. 이를 입력받은 게이트웨이(36)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 형태로 변환하고,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의 ID 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발생시켜서 인터넷(38)에 접속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인터넷(38)에서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언어인 HTML을 이용하여 웹 서버(40)에 접속한다. 사용자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정보를 희망하여 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인터넷(38)에서 TCP/IP를 이용하여 이동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42)에 접속하여 이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The operation of the mobile Internet service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is as follows.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through an external command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or a touch screen, the input command is a command of a type suitable for a protocol between the wireless network 34 and the gateway 36 in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30. Is converted to. The converted command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to a wireless channel through spreading or modulation,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32. The base station apparatus 32 receives and demodulates an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pparatus 30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wireless network 34. Subsequently, the wireless network 34 converts the RF signal into a protocol language for Internet service in the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 (HDML), a wireless markup language (WML), or a mobility hyper text markup language (mHTML). Output to (36). The gateway 36 receiving the input converts the command input by the user into a TCP / IP form used in the Internet, and generates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used in the Internet using the ID number of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30. (38). Subsequently,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to obtain desired information, the web server 40 is accessed using HTML, which is a protocol language supporting web services on the Internet 38. When a user desires information on another network and inputs a command for it, the Internet 38 uses TCP / IP to connect to the mobile Internet service provider 42 to obtai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connected thereto.

반대로, 인터넷(38)에서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 이루어지는 정보 전송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인터넷(38)에서 웹 서버(40)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42)로부터 정보를 획득한 다음, 게이트웨이(36)로 정보를 전송한다. 인터넷(38)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은 게이트웨이(36)는 HDML, mHTML 또는 WML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34)로 해당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34)에서는 기지국 장치(32)를 통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에 해당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 정보를 전송한다.In contras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the Internet 38 to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30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method described above. First, the Internet 38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web server 40 or the mobile Internet service provider 42, and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gateway 36. The gateway 36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38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wireless network 34 using a protocol using HDML, mHTML, or WML. The wireless network 34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30 corresponding to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through the base station device 32.

최근에는 이러한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음향 데이터, 색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PDA 또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는 PC에 비하여 그 성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동영상 전송 및 처리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연속된 비트맵(Bitmap) 이미지를 이용한 제한된 동영상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Recently,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transmit various text data, image data, sound data, color data, or video data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However, si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DAs or mobile phones have much lower performance than PCs, video transmission and processing services are not well performed, and limited video services using continuous bitmap images are provided. I'm losing.

도 3은 비트맵 이미지를 이용한 종래의 무선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wireless video service system using a bitmap image.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70)와 웹 서버(50) 사이에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프록시(Proxy)라고 불리는 WAP 게이트웨이(Gateway: 60)를 두고 있다. WAP 게이트웨이(60)는 WAP을 이용하는 신호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는 신호를 중간에서 변환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무선 단말 장치(70)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서비스 요청 신호는 WAP 게이트웨이(60)를 거치도록 되어 있고, WAP 게이트웨이(60)는 WAP을 이용하여 제공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웹 서버(50)로 전달한다. 이어서, WAP 게이트웨이(60)는 웹 서버(5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WAP에 의한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7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3, a conventional wireless video service system includes a WAP gateway 60 called a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roxy between a wireless terminal device 70 corresponding to a client and a web server 50. I put it. The WAP gateway 60 plays a role of converting a signal using WAP and a signal using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in between. That is, the Internet servic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70 passes through the WAP gateway 60, and the WAP gateway 60 transmits the service request signal provided by using the WAP to the web server 50 through the Internet. To pass. Subsequently, the WAP gateway 60 converts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web server 50 into a signal by the WAP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device 70.

여기에서, 무선 단말 장치(70)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 WML 스크립트(Script) 또는 XML(extended Markup Language)과 같은 언어로 이루어진 WAP 브라우저(74)를 이용하여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단말 장치(70)로부터 WAP 게이트웨이(60)로 서비스 요청 신호 또는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는 WSP(Wireless Session Protocol)/WTP(Wireless Transaction Protocol)가 사용될 것이다. 그에 따라, WAP 게이트웨이(60)는 무선 단말 장치(70)로부터 전송된 WTP 신호를 HTTP 신호로 변환하고, 웹 서버(50)로부터 전송된 HTTP 신호를 WTP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HTTP/WTP 변환 장치(62)를 포함한다. 또한, TCP/IP 와 WAP 사이의 호환을 위한 프로토콜 어댑터(6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WAP 게이트웨이(60)는 웹 서버(50)로부터 HTTP에 의하여 제공되는 연속된 비트맵 이미지를 무선 인터넷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비트맵 이미지 변환 장치(64)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 이미지 변환 장치(64)를 통하여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는 WAP 게이트웨이(60)로부터 WTP를 통하여 무선 단말 장치(70)로 전송된다. 무선 단말 장치(70)는 WAP 게이트웨이(60)로부터 전송된 비트맵 이미지를 WAP 브라우저(74)에 연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무선 단말 장치(70)에 구비된 표시부(76)를 통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70 generates and transmits a service request signal by using a WAP browser 74 made of a language such as WML (Wireless Markup Language), WML Script, or XML. Receives a response signal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service request signal or respons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70 to the WAP gateway 60, WSP (Wireless Session Protocol) / WTP (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will be used. Accordingly, the WAP gateway 60 converts the WT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70 into an HTTP signal and converts the HTT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50 into a WTP signal ( 62). It may also include a protocol adapter 66 for compatibility between TCP / IP and WAP. In particular, the WAP gateway 60 may include a bitmap image conversion device 64 for converting a continuous bitmap image provided by HTTP from the web server 50 into a data format supported by the wireless Internet. The image data converted through the bitmap image conversion device 64 is transmitted from the WAP gateway 60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70 via WTP.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70 continuously transmits the bitmap image transmitted from the WAP gateway 60 to the WAP browser 74,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video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76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70. You can check it.

이를 위하여, 웹 서버(5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버(54)와 HTTP를 이용하여 연속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를 WAP 게이트웨이(60)로 전송하기 위한 HTTP 통신 장치(52)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web server 50 includes a content server 54 including various multimedia data and an HTTP communication device 52 for transmitting the continuous bitmap image data to the WAP gateway 60 using HTTP. .

그러나, 비트맵 이미지로 이루어진 동영상은 그 용량이 방대하며, 용량에 비하여 화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무선 단말 장치에 의한 무선 전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데이터 전송 속도에 비하여 전송하여야 할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비트맵 이미지의 동영상은 무선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video composed of bitmap images has a large capacity, and since the image quality is lower than the capacity, the wireless transmission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difficult to properly perform. That is, since the size of moving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is too large for the data transmission rate, effective data transmission cannot be achieved. In addition, the video of the bitmap image has a problem that does not support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using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벡터 그래픽 기반의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도록 변환 및 최적화하고, 이를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우수한 화질의 동영상을 서비스 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verting and optimizing the video data based on the vector graphics to suit the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nd transmit it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to enabl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excellent image qual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that can service a video.

도 1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도.1 is a general network diagram for Internet access.

도 2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종래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a wireless network.

도 3은 비트맵 이미지를 이용한 종래의 무선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wireless video service system using a bitmap image.

도 4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정의 태그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finition tag of a macromedia flash.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curved data included in a video into linear data in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6A and 6B illustrate a process of converting a mouse event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제어 태그를 나타낸 도면.7 illustrates a control tag of a macromedia flash.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8 is a flowchart of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flash video data into wireless data suitable for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맞도록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9 is a flowchart of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wireless data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웹 서버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web server i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WAP 게이트웨이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WAP gateway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of a user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Name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30: 무선 단말 장치 32: 기지국 장치30: wireless terminal device 32: base station device

34: 무선 네트워크 36: 게이트웨이34: wireless network 36: gateway

38: 인터넷 40: 웹 서버38: Internet 40: Web Server

42: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42: Internet service provider

110: 웹 서버 112: 유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110: web server 112: wired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114: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114: flash video offline converter

116: 컨텐츠 서버 120: WAP 게이트웨이116: content server 120: WAP gateway

122: 유무선 프로토콜 변환 장치122: wired / wireless protocol conversion device

124: 플래시 동영상 온/오프 라인 변환부124: flash video on / off line converter

126: 프로토콜 어댑터 130: 무선 단말 장치126: protocol adapter 130: wireless terminal device

132: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132: wireless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134: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134: flash video online conversion unit

136: WAP 브라우저 138: 표시부136: WAP Browser 138: Displa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으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 D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 D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extracting a Bezier curve from a vector graphics-based video, by 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defining the Bezier curve Generating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in contact with a Bezier curve; connecting a mid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o generate a third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a Bezier curve; Dividing a Bezier curve into two Bezier curves based on a contact point with a straight line,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contacts on the Bezier curve by a third straight line Recursively repeating the curve dividing process for the divided Bezier curves when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and when the distance D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for each divided Bezier curve. Even replacing the corresponding Bezier curve using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control points to the curve.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로 제작된 동영상일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may be a video produced by Macromedia Flash.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분할된 베지어 곡선을대체하는 두 직선을 변으로 하고, 상기 두 직선이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접점을 잇는 선분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밑변에 속하는 두 내각의 크기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두 직선을 밑변을 포함하는 직선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triangle with two straight lines replacing the divided Bezier curves, and forming a triangle with the two straight lines as the base line connecting the contact points in contact with the Bezier curves; When the size of the two inner angles belonging to the base side is less than the reference ang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placing the two straight lines with a straight line including the base side.

상기 기준 각도는 0 이상 π라디안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reference angle may have a size between 0 and π radians.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이벤트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based event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use and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mouse included in the video based on the vector graphics,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se and the input of the mouse button Extracting a plurality of state information of a video control button set to control a moving picture; and, among a plurality of states of the video control button, a predetermined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for controlling a video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Deleting the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ontrol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nfiguring a button network interconnected with the video control button, and directional button and input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Receiving input of at least one button operation among the buttons; And executing a video control button func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button network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플래시 버튼 상태는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고 놓여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UP 상태,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DOWN 상태,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에 놓였을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OVER 상태 및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UP 상태, DOWN 상태 및 OVER 상태의 동작을 하기 위한 플래시 버튼의 행동 반경을 정의하는 HIT AREA 상태 중에서 UP 상태 또는 HIT AREA 상태일 수 있다.The flash button stat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cludes an UP state that defines the operation of the flash button when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is released, and the flash button when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is pressed. The DOWN state defining the operation, the OVER state defin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button when the mouse pointer is over the flash button, and the flash button for the operation of the UP state, the DOWN state and the OVER st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use. Among the HIT AREA states defining the radius of action, it may be an UP state or a HIT AREA state.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와,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s-based fram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calculating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for each frame, and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for two consecutive frames The method may include sequentiall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and deleting one frame of two frames with respect to a frame in which the change amount of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change amount.

상기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를 구성 성분으로 하여 행렬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행렬의 행렬식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frame may include constructing a matrix using the screen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frame as a component, and calculating a determinant of the matrix.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는 회전 정보, 스케일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fram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otation information, scale information, and movem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and extracting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from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And deleting only the frame display component when only the space arrangement component for arranging a character in space is included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배경 음악을 정의하는 배경 음악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leting a background music component defining background music from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curved data constituting the video into linear data.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a mouse event included in the video into a button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leting one frame among adjacent frames that is similar to each other for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the video.

상기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와,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leting of one frame among the similar adjacent frames may include 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calculating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for each frame, and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for two consecutive frames. The method may include sequentiall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and deleting one frame of two frames with respect to a frame in which the change amount of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change amount.

상기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leting of the component or frame may include registering a component or frame to be deleted in a deletion list, and selecting and deleting the component and the frame registered in the deletion lis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rding a result of converting video data into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또한, 본 발명의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cessing macromedia flash video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and if only the PlaceObject tag is included in the ShowFrame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he ShowFrame tag In the step of deleting, In the shape tag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Converting the curve data contained in the shape tag to straight data, Button button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Mouse events in the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verting it into an event.

상기 모양 태그는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pe ta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and DefineMorphShape tag.

상기 버튼 태그는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ta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and DefineButtonSound tags.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extracting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video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case where at least one component of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and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corresponding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and image. Chang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illuminating.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표현 가능한 컬러 색상 및 출력되는 사운드 형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size of a display screen, a color color that can be expressed, and an output sound form.

또한, 본 발명의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cessing macromedia flash video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extracting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Receiving flash video data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when at least one tag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is included in the constituting tag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corresponding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terminal Value may include the step of conversion to the specifications on.

상기 폰트 태그는 DefineFont, DefineFont2 및 DefineFontInfo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nt ta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fineFont, DefineFont2, and DefineFontInfo tags.

상기 비트맵 태그는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및 JPEGTables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tmap ta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and JPEGTables tags.

상기 사운드 태그는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SoundStreamHead2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ta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and SoundStreamHead2 tags.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또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receiv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extracting conversion information of video data from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converting the video data based on the conversion information. The method may include performing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for wireless transmission on the video data or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변환 정보는 동영상 데이터의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 결과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The convers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n offline conversion or an online conversion result of the moving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의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또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cessing macromedia flash video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flash video data, extract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data from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according to the conversion information, flash The method may include performing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for wireless transmission or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with respect to video data.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유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gateway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verts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system comprising: a database stor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an offline converter extracting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from the database, and performing an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a wired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verted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to a gateway through a wired network, wherein the offline converting unit includes a frame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a screen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If it included and configured to extract the components during component extracting section, only the spacing elements to place in the space character in the frame displayed in the component, may include a control component to delete the frame display component.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곡선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ffline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 curve dat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curved data constituting the video into linear data.

상기 곡선 데이터 변환부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을 구성하는 베지어 곡선 데이터를 추출하는 곡선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과,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근사 직선 생성부와,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곡선 분할부와,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곡선 분할 제어부와, 상기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직선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ve data converter may include a curve data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Bezier curve data constituting a video based on a vector graphic, and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defining the Bezier curve to contact the Bezier curve. An approximate straight line generation unit connecting a second straight line with a mid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o generate a third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the Bezier curve, and a Bezier curve based on a contact point between the Bezier curve and the third straight line A divided Bezier 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between the curve dividing unit for dividing a into two Bezier curves,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and the contact point on the Bezier curve by the third straight lin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distance. A curve segmentation control unit that recursively repeats the curve segmentation process with respect to the curve, and for each divided Bezier curve 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It may include a straight line data processing unit for replacing the corresponding Bezier curve using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control point.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ffline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n event converter that converts a mouse event included in a video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이벤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 중에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을 선정하는 버튼 선택부와,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받아서 액션을 취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버튼의 복수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동영상 버튼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상태 정보 제어부와,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버튼 네트워크 구성부와,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또는 입력 버튼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버튼을 선택 또는 실행하는 동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ent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butt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among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 plurality of states of a video button configured to take action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use and input information of the mouse button. The network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ate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deleting video button state information no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network connected to the video button b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 video button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 video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select or execute a video button of a corresponding position on a network to which a video button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irection button or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vector graphic may further include a frame controller which deletes one frame among adjacent frames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상기 프레임 제어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와,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고,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산술 처리부와,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rame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calculating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of each frame, and sequentiall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s for two consecutive frames; The fram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lete one of two frames with respect to a frame in which the change amount of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change amount.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고,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삭제 리스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picture data process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eletion list control unit which registers a component or frame to be deleted to a deletion list and selects and deletes the component and frame registered at the deletion lis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헤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ideo graphic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vector graphic may further include a header controller configured to record a result of converting the video data into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gateway system is connected to a server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gateway system, an offline converter which extracts the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performs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wirelessly converts the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ffline converter. A wireless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o a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offline conversion unit extracts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a screen from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 remind If only the space that contains the batch ingredients for the placement of characters on the display space in the frame component may include a controller component to delete the frame display component.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장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gateway system is connected to a server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 gateway system, an on-line conversion is performed such that a database including information on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transmitted from a server can be process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 on-line converter and a wireless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n-line converter to a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online conversion unit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device. To send to A componen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constituent component to be composed, a color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color component representing color information from the constituent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into color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the video. A font converter which decomposes the font component and converts the font component into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when the font component representing the font information is not a font embedded in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An image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component representing the image information into pixel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 sound component representing sound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Convert to sound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It may include a sound conversion.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와,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 또는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장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gateway system is connected to a server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gateway system comprising: a database including information on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conversion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extract conversion information and determine a conversion result from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transmitted from a serv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offline conversion unit performing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that has not been offline-converted, and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that is offline-converted. Accor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 on-line converter for performing on-line conversion for processing, and a wireless protocol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ff-line converter or on-line converter to a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a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offline converting unit extracts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from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A component control unit for deleting the frame display component when only the spatial arrangement component is included, wherein the online conversion unit extracts a component constituting a moving picture to be transmitted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Display color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that make up a movie Is a colo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color component into color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 font component representing font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is not a font embedd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font converter which decomposes the font component into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n image component representing image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as pixel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 sound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sound component representing sound information from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sound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무선 단말 장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동영상 제어부와, 상기 동영상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or processing vector data based on the vector graph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converting the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 conversion determination unit for extract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conversion result with respect to the memory including the image, 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and the moving image data that has not been converted on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 on-line converter for performing on-line conversion to process thi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video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 user to recognize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n-line converter; And video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deo controll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wherein the on-line converter is configured to extract a component constituting a moving imag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irelessly stores color components representing color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f the font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olor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font component representing the font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is not a font inherent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font component is decomposed. A font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into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an im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image components representing image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pixel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sound from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Converting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sound information elements that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o represent the sound conversion may include a.

상기 동영상 제어부는 온 라인 변환된 동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의 구문을 분석하는 파싱 처리부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렌더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deo controller may include a parsing processor that analyzes the syntax of the video data to display the converted video on the screen, and a rendering processor that visualizes the video data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video.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구성 요소를 선별하여 이를 변환 또는 삭제한다. 그리고,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곡선 데이터 부분을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유선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함으로써, 무선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동영상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환 과정을 오프 라인 변환으로 지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d converts or deletes components that are not suitable for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from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urther, by converting a portion of the curved data requiring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into linear data and converting a mouse event on the wired Internet into a keypad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efficient video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environment is possible. Hereinafter, this conversion process is referred to as offline conversion.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기종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ore efficient wireless service to various users through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flash video data converted into a form suitable for a wireless environment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일반적으로 동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비트맵 이미지와,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를그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다.In general, video data may be divided into a bitmap image including all information about each pixel of an image constituting one frame and a vector graphic image including information for drawing an image constituting one frame.

이미지, 즉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캐너를 통하여 입력된 이미지들은 하나같이 모두 픽셀로 구성된 이미지이다. 이러한 픽셀은 어떤 위치 정보, 예컨대 x축과 y축으로부터의 거리, 픽셀의 존재 여부, 또는 컬러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픽셀이라 불리는 매우 작은 정사각형의 격자를 이용하는 경우를 비트맵 이미지 또는 래스터(Raster)그래픽 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격자(grid)는 가로 또는 세로로 일정하게 배열된 선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컴퓨터 그래픽에서 화면의 좌표를 표시하거나 표시된 이미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Images, that is, images input through a digital camera or scanner, are images that are all composed of pixels. These pixels have some positional information, such as distance from the x- and y-ax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ixels, or color information. As such, the use of a very small square grid called pixels to represent an image is called a bitmap image or raster graphic. Here, the grid is made up of lines arr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is used to display the coordinates of the screen in computer graphics or to identif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displayed image.

반면에,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또는 어도브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와 같이 컴퓨터 상에서 그림을 그리는 드로잉 프로그램들에서는 벡터 그래픽을 만들 수 있다. 소위 벡터(Vector)라고 불려지는 수학적인 계산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상체로 정의되는 선분과 곡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벡터 그래픽이다. 즉 어떤 픽셀에 의해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위치와 위치사이를 직선과 곡선으로 연결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벡터 그래픽 이미지는 각 위치와 위치사이(출발점과 도착점)의 연결 선분을 컴퓨터의 수학적인 계산 정보로 가진 이미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픽셀과 같은 실체를 가진 이미지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선택영역으로 바꾸어 준 다음, 그 영역이나 선택 영역의 경계선에 어떤 색상을 채워서 비트맵 이미지로 만들어 줄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drawing programs that draw on a computer, such as Macromedia Flash or Adobe Illustrator, can produce vector graphics. Vector graphics are images created by line segments and curves defined by objects created by mathematical calculations called Vectors. In other words, the image is not represented by a certain pixel, but is represented by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between the positions. Therefore, the vector graphic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n image having mathematical calculation information of a computer as a line segment between each position (starting point and arrival point). Therefore, since it is not an image having the same substance as a pixel, the image is changed to a selection area, and then a certain color is filled in the boundary of the area or the selection area so that the bitmap image can be made.

한편, 벡터 그래픽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number of applications based on vector graphics, bu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Macromedia Flash.

동영상 제작에 이용되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WF 파일은 크게 헤더(header)와 태그(tag)로 나눌 수 있다. 헤더는 SWF 파일에 대한 파일 헤더(file header)와 지정된 데이터 블록에 대한 레코드 헤더(record header)로 구분할 수 있다. 태그는 SWF 파일 내의 데이터 블록으로서 태그 형태(tag type)와 길이(length)를 가진다. 이 밖에, 캐릭터(character), 캐릭터 ID, 오브젝트(Object), 뎁스 번호(Depth number), 캐릭터 목록(Dictionary) 및 디스플레이 리스트(Display list)가 포함될 수 있다. 태그와 태그의 데이터들로 정의된 개체(Object)를 캐릭터(Character)라 하고, 디스플레이 리스트에 실현되는 캐릭터의 단위를 오브젝트(Object)라고 한다. 각 캐릭터는 SWF 파일 내에서 정의되는 캐릭터를 구분하기 위하여 16 비트의 숫자로 구성된 캐릭터 ID를 가진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리스트 상의 구성 요소에 대한 누적 차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16 비트 정수로 이루어진 뎁스 번호(Depth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목록(Dictionary)은 SWF 파일 내에서 정의 또는 플래시 동영상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의 현재 리스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리스트는 정해진 시간 내에서 일정 위치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리스트를 나타낸다.The SWF files that make up the Macromedia Flash movie used to produce the movie can be divided into headers and tags. The header may be divided into a file header for a SWF file and a record header for a designated data block. A tag is a block of data in a SWF file that has a tag type and a length. In addition, a character, a character ID, an object, a depth number, a character list, and a display list may be included. An object defined by a tag and its data is called a character, and a unit of a character realized in a display list is called an object. Each character has a character ID consisting of 16 bits of numbers to distinguish the characters defined in the SWF file. In addition, a depth number consisting of a 16-bit integer may be included to indicate a cumulative order of components on the display list. A dictionary of characters represents the current list of all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definition or Flash movie within the SWF file. The display list represents a list of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at a certain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헤더(header)는 변환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Version field)와, 파일의 크기를 나타내는 필드(Size field) 및 플래시 동영상의 컨텐츠 저작권 보호 관련 필드(Protection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버전 필드(Version field)는 헤더의 변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NONE, OFF_CNVT, ON-CNVT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있다.The header may include a version field indicating whether to convert, a size field indicating a file size, and a content copyright protection field of the flash video. In particular, the version field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NONE, OFF_CNVT, and ON-CNVT in order to indicate whether a header is converted.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변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헤더의 버전 필드(Version field)를 이용한다. 이 때,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이 이루어지면 데이터의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사이즈 필드(Size field)의 내용이 변경될 것이다.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a version field of a header to indicate whether to convert a flash video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t this time, since the size of the data changes when the video data is converted, the content of the size field will change.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는 정의 태그(Definition tag)와 제어 태그(Control tag)로 구분할 수 있다. 정의 태그(Definition tag)는 애니메이션(animation)의 특정 위치에 사용될 수 있는 모양(shape), 텍스트(text), 비트맵(bitmap) 및 버튼(button)과 같은 리소스(resource)의 목록(dictionary)을 관리한다. 제어 태그(Control tag)는 디스플레이 리스트를 제어하고, 애니메이션의 시작과 종료와 같은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Tags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can be divided into a definition tag and a control tag. Definition tags define a list of resources such as shapes, text, bitmaps, and buttons that can be used at specific locations in the animation. Manage. Control tags control the display list and allow actions such as start and end of animation.

도 4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정의 태그를 나타낸 것이다.4 illustrates a definition tag of a macromedia flash.

도 4를 참조하면, 정의 태그는 다수의 태그, 즉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DefineMorphShape,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Bits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JPEGTables,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DefineButtonSound, DefineFont, DefineFont2, DefineFontInfo, DefineText, DefineText2,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SoundStreamHead2 및 DefineSprite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efinition tag includes a plurality of tags, that is,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DefineMorphShape,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Bits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JPEGTables,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DefineButtonSound, DefineFont, DefineFont, Text It may include DefineText2,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SoundStreamHead2, and DefineSprite tags.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태그이고,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및 JPEGTables 태그는 비트맵 이미지를 나타내는 태그이다. 또한,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는 마우스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나타내는 버튼 태그에 해당한다. DefineFont, DefineFont2, DefineFontInfo, DefineText 및 DefineText2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에 포함된 텍스트 및 폰트 정보를 표시한다.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 SoundStreamHead2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의 음향을 나타내며, DefineSprite 태그는 SWF 동영상 내에 포함된 SWF 동영상을 나타낸다.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and DefineMorphShape tags are tags that represent the appearance of a Flash movie, and the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and JPEGTables tags are tags that represent bitmap images. In addition, the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and DefineButtonSound tags correspond to button tags indicating the movement or operation of the mouse. DefineFont, DefineFont2, DefineFontInfo, DefineText, and DefineText2 tags indicate text and font information included in a flash video. The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and SoundStreamHead2 tags represent the sound of the Flash movie, and the DefineSprite tag represents the SWF movie contained within the SWF movie.

이들 정의 태그 중에서 효율적인 무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모양 태그, 비트맵 태그, 폰트 태그 및 사운드 태그에 대한 삭제 또는 변환이 필요하다.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wireless data among these defined tags, it is necessary to delete or convert shape tags, bitmap tags, font tags, and sound tags.

비트맵 태그에 해당하는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BitsJPEG3, DefineBitsLossless 및 DefineBitsLossless2 태그, 폰트 태그에 해당하는 DefineFont, DefineFont2 및 DefineFontInfo 태그 및 사운드 태그에 해당하는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 SoundStreamHead2 태그 데이터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지원 가능한 형태로 변경하여야 한다. 이러한, 변환 과정을 통하여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DefineBits, DefineStreamsJPEG2, DefineBitsJPEG3, DefineBitsLossless and DefineBitsLossless2 tags, DefineFont, DefineFont2, and DefineFontInfo tags and sound tags corresponding to bitmap tags define the Sound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and SoundStreamHead2 tag data corresponding to It should be changed to a form that can be supported. In this way, the size of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conversion process can be reduced.

즉, 플래시 동영상은 벡터 그래픽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트맵 태그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지원하는 컬러 수에 따라 변환하고, 폰트 태그와 사운드 태그 또한무선 단말 장치에서 지원되는 폰트와 사운드에 맞게 변환될 것이다.That is, since the flash video uses vector graphics, the bitmap tag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lors support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the font tag and sound tag are also converted according to the font and sound support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그리고, 현재의 무선 단말 장치는 사운드의 믹싱(mixing)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배경 음악(background music)을 정의하는 태그는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wireless terminal device does not support mixing of sounds, the tag defining the background music may be deleted.

한편,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를 포함하는 모양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으로 포함되는 캐릭터의 모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플래시 동영상과 같이 벡터 그래픽 이미지는 곡선 형태를 2차 베지어(Bezier) 곡선으로 표현한다. 베지어(Bezier) 곡선은 생성하고자 하는 곡선을 정의하는 다각형의 꼭지점(제어 포인트: control point)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서, 곡선의 형상을 결정짓는 블렌딩 함수(Blending function)는 Bernstein 다항식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shape tags that include the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and DefineMorphShape tags contain data that represents the shape of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Flash movie, and the vector graphic image, like the Flash movie, has a curved second-order Bezier. Expressed in a curve. Bezier curves are represented using the vertices (control points) of the polygons that define the curves to be created. The blending function tha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curves is Bernstein polynomial.

본 발명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모양 태그에 포함된 베지어(Bezier) 곡선 데이터를 연속된 복수의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선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플래시 동영상의 데이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ata size of a flash video by converting Bezier curve data included in a shape tag into a plurality of continuous straight data and merging the converted straight data. hav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5A and 5B illustrate a process of converting curved data included in a video into linear data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2차 베지어(Bezier) 곡선 C1은 곡선 외부의 한 점(P2)과 곡선의 두 끝점(P1, P3)을 잇는 두 선분 P1P2 및 P2P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베지어(Bezier) 곡선은 세 점(P1, P2, P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선분 P1P2의 중점(P12)과 선분 P2P3의 중점(P23)을 연결하면 항상 베지어(Bezier) 곡선 C1에 접하게 된다. 접점을 M이라고 하면, 원래의 베지어(Bezier) 곡선 C1은 점 P1과 점 M 사이의 곡선과 점 M과 점 P3 사이의 곡선으로 분할된다. 그에 따라, 곡선 C1을 선분 P1P12, 선분 P12P23 및 선분 P23P3의 3 선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곡선 데이터를 3개의 직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곡선을 3 개의 직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상황에서 곡선 C1 외부의 점 P2와 접점 M 사이의 거리 D를 측정한다. 이러한, 곡선 변환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면 곡선 외부의 점과 접점 사이의 거리 D는 계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여기에서 거리 D는 화면이 구성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값으로 픽셀 또는 수학적인 길이가 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A, the second Bezier curve C1 may be expressed as two line segments P1P2 and P2P3 connecting one point P2 outside the curve and two end points P1 and P3 of the curve. That is, one Bezier curve may be defined as three points P1, P2, and P3. In this case, when the midpoint P12 of the line segment P1P2 and the midpoint P23 of the line segment P2P3 are connected, the Bezier curve C1 is always in contact. If the contact point is M, the original Bezier curve C1 is divided into a curve between points P1 and M and a curve between points M and P3. Therefore, the curve C1 can be expressed by three line segments of the line segment P1P12, the line segment P12P23, and the line segment P23P3. That is, one curve data can be converted into three straight data. In this way,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int P2 outside the curve C1 and the contact point M is measured in a situation where one curve can be represented by three straight lines. Recursively repeating this curve conversion process cause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int outside the curve and the contact point to continuously decrease. The distance D is a valu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object of which the screen is configured, and may be a pixel or a mathematical length.

이 때, 거리 D의 값을 일정한 값으로 지정하면, 곡선 C1을 분할하는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거리 D의 기준 값을 크게 하면 곡선 C1의 분할 횟수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곡선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직선 데이터의 크기를 간략하게 할 수 있지만 정확성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에, 거리 D의 기준 값을 작게 하면, 곡선 C1을 많은 수의 작은 직선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거리 D의 값을 단위 길이 1 이하의 값으로 지정하고, 작은 값을 선택할 수록 플래시 동영상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큰 값을 선택할 수록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거리 D의 기준 값을 크게 지정하든지 작게 지정하든지, 베지어(Bezier)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전송되는 곡선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무선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value of the distance D is designated as a constant value, the number of times to divide the curve C1 can be adjusted. In other words, when the reference value of the distance D is increased, 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curve C1 is reduced, so that the size of the linear data that can represent the curve data can be simplified, but the accuracy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if the reference value of the distance D is reduced, the curve C1 is represented by a large number of small straight lines, so that the accuracy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a value of the distance D may be set to a unit length of 1 or less, and the smaller the value, the higher the accuracy of the flash video, and the larger the value, the smaller the data siz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 However, whether the reference value of the distance D is made large or small, by converting Bezier curve data into linear dat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transmitted curve data and enable efficient wireless data transmission.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영상에 포함된 곡선을 직선으로 변환한 후에, 인접한 두 직선을 서로 연결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After converting a curve included in the video to a straight line in this manner, if two adjacent straight li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즉, 인접한 직선 P6P7과 직선 P7P8을 교차시키면, 교차점 P7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P6P7P8을 그릴 수 있다. 이 때, 삼각형 P6P7P8의 밑변을 구성하는 <P7P6P8(A1)과 <P7P8P6(A2)을 측정하여, 두 각(A1, A2)의 크기가 기준 각도 이하이면, 직선 P6P7 및 직선 P7P8을 평행한 직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각도는 0과 π라디안(radian) 사이에서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0.2 라디안 이하의 값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adjacent straight line P6P7 and the straight line P7P8 intersect, the triangle P6P7P8 which makes the intersection point P7 the vertex can be drawn. At this time, measure the <P7P6P8 (A1) and <P7P8P6 (A2) which constitute the base of the triangle P6P7P8, and if the magnitude | size of two angles (A1, A2) is below a reference angle, the straight line P6P7 and the straight line P7P8 will be in parallel straight lines. You can judge. The reference angle may have any value between 0 and π radians, but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of 0.2 radians or less.

이와 같이, 인접한 두 직선(직선 P6P7 및 직선 P7P8)이 일정한 기준 각도 이하로 만나면 두 직선을 평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하나의 직선 P6P8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각도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정된 범위 내에서 곡선을 몇 개의 직선으로 표현하고, 인접한 두 직선을 하나의 직선으로 병합함으로써 처리할 곡선 데이터의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wo adjacent straight lines (straight line P6P7 and straight line P7P8) meet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angle or less, the two straight lines may be determined to be parallel and may be expressed as one straight line P6P8. The reference ang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ze or a user's selection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reference angle into data suitable f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us, by expressing a curve in several straight lines within a specified range and merging two adjacent straight lines into one straight line, the size of the curve data to be processe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와 같이, 곡선을 직선으로 표현하고, 직선을 병합하는 과정을 더 이상 단순화할 수 없을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플래시 동영상의 외곽선을 표현할 때, 곡선으로부터 변환 및 병합된 직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곡선 내부에 대한 채색은 직선 내부의 범위로 한정함으로 원래의 동영상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곡선 외부의 접과 접점 사이의 거리 D 및 인접한 두 직선에 의한 밑각의 기준 값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곡선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며 보다 정밀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As such, the curve can be represented by a straight line, and the process of merging the straight lines can continue until it can no longer be simplified. When expressing the outline of the flash video, the original video image can be reproduced by displaying on the screen by using the straight line data converted and merged from the curve, and coloring the inside of the curve to the range inside the straight line. At this time, by setting the distance D between the contact and the contact outside the curve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base angle by two adjacent straight lines to be smaller, the size of the curve data can be reduced and a more accurate image can be expressed.

상기와 같이, 모양 태그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표현하고, 복수의 직선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expressing the curved data included in the shape tag as straight data and merging a plurality of straight data, the size of the flash video data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를 포함하는 버튼 태그는 마우스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tton tag including the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and DefineButtonSound tags is used to express the movement or operation of the mouse, the button tag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suitable for a wireless terminal device that does not use the mouse.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마우스의 동작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과 일정한 위치에서 마우스 버튼의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의 조합으로 표현된다.The operation of the mouse provided in the user's computer system on the wired network is expressed by a combination of a pointing function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sed state of the mouse button at a certain position.

플래시 동영상에 등장하는 버튼은 마우스 이벤트(event) 정보, 예컨대 마우스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받아서 액션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플래시 이벤트는 버튼을 정의하는 태그에서 처리한다. 플래시 버튼은 UP, DOWN, OVER, HIT AREA의 4가지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UP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가 놓여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한다. DOWN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한다. OVER은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에 놓였을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고, HIT AREA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UP/DOWN/OVER의 동작을 하기 위한 플래시 버튼의 행동 영역을 정의한다.The button appearing in the flash video takes action by receiving mouse event information such as mouse position information and input information of the mouse button. These flash events are handled by the tag that defines the button. The flash button consists of four states: UP, DOWN, OVER, and HIT AREA. UP defines the behavior of the flash button when the left mouse button is pressed and released. DOWN defines the behavior of the flash button when the left mouse button is pressed. OVER defines the action of the flash button when the mouse pointer is over the flash button, and HIT AREA defines the action area of the flash button for UP / DOWN / OVER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use.

예를 들어,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로 옮겨지면, 마우스 포인터의 x, y 좌표값에 의하여 플래시 버튼의 HIT AREA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마우스 포인터의 x, y 좌표가 HIT AREA 영역에 포함되면, 해당하는 플래시 버튼의 현재 상태를 OVER 상태로 전이시킨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가 특정 플래시 버튼 위에 놓인 상태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이 눌려지면, 플래시 버튼의 현재 상태는 OVER 상태에서 DOWN 상태로 전이된다. 마찬가지로, 플래시 버튼 위에서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가 떨어지면 플래시 버튼의 상태가 UP 상태로 전이된다.For example, when the mouse pointer is moved over the flash butt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use pointer corresponds to the HIT AREA area of the flash button based on the x and y coordinate values of the mouse pointer. If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mouse pointer are included in the HIT AREA area, the current state of the corresponding flash button is transferred to the OVER state. Also, if the left mouse button is pressed while the mouse pointer is over a specific flash button, the current state of the flash button is transitioned from the OVER state to the DOWN state. Similarly, when the left mouse button is pressed and released over the flash button, the state of the flash button is transitioned to the UP state.

따라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에 해당하는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것은 마우스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무선 단말기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과 마우스 버튼의 상태를 플래시 버튼이 인식하도록 플래시 버튼의 상태를 전이시키는 방법에 해당한다.Therefore, converting a mouse event into a keypad event corresponding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is a method of transitioning the state of a flash button so that the flash button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tate of the mouse butt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out a mouse. Corresponding.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verting a mouse event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A and 6B, a method of converting a mouse event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마우스 포인터는 움직일 때마다 연속된 x, y 좌표 값이 계속 입력되는데, 무선 단말 장치에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있을 수 없다.따라서,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중에서 상하좌우의 이동 및 명령어 입력을 나타내는 임의의 5개 버튼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는 4개의 방향 버튼과 중앙의 센터(center) 버튼을 사용할 것이다. 무선 단말 장치에서 5개의 버튼이 선택되면, 각 버튼에 대하여 좌(left), 우(right), 상(up), 하(down) 및 입력(enter)의 명칭을 부여한다. 유선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마우스의 포인터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현재의 위치 좌표 (x, y)를 각각 (x, y+1), (x, y-1), (x-1, y), (x+1, y) 좌표로 변경하지만, 무선 단말 장치에서는 (x, y) 좌표를 (x1, y1), (x2, y2), (x3, y3), (x4, y4) 좌표로 변경한다. 이 때, x1, x2, x3, x4는 화면의 좌우 최대 값 이하의 값으로 0 또는 양의 정수에 해당하고, y1, y2, y3, y4는 화면의 상하 최대 값 이하의 값으로 0 또는 양의 정수에 해당한다. 이러한 값들은 OVER 상태에 있는 플래시 버튼과 상, 하, 좌, 우로 인접한 플래시 버튼 사이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거리와 관련이 있다.When the mouse pointer moves, continuous x and y coordinate values are continuously input, and this situation cannot exist because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does not use a mouse. Therefore, the user can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enter commands among the butt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elect any five buttons that represent. Typically, you will use four directional buttons and a center center button. When five buttons are select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names of left, right, up, down, and enter are assigned to each button. In a wired computer system, when the mouse pointer moves up, down, left, or right,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x, y) are respectively (x, y + 1), (x, y-1), (x-1, y), (x +1, y) coordinates, but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hanges the (x, y) coordinates to (x1, y1), (x2, y2), (x3, y3), (x4, y4) coordinates. In this case, x1, x2, x3, and x4 are values equal to or less than the left and right maximum values of the screen and correspond to zero or positive integers, and y1, y2, y3, and y4 are values equal to or less than the maximum and horizontal maximum values of the screen. Corresponds to an integer. These values are related to the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flash button in the OVER state and the adjacent flash button up, down, left, and right.

현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정방 형태의 플래시 버튼이 존재하고, 가운데 플래시 버튼이 OVER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자.Currently, as shown in FIG. 6A, assume that there are nine square flash buttons and the middle flash button is in an OVER state.

현재 OVER 상태의 플래시 버튼의 중심점 위치가 (x, y)일 때, 무선 단말 장치의 좌(left) 버튼이 눌려지면 현재 플래시 버튼의 왼쪽(-x 방향)으로 최단 거리에 있는 플래시 버튼을 찾게된다. 해당하는 방향에 플래시 버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a와 같이 왼쪽 방향에 다른 플래시 버튼이 발견되면 새로 발견된 플래시 버튼의 중심점 (x1, y1)을 계산한다.When the center point position of the flash button in the current OVER state is (x, y), if the lef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pressed, the flash button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left (-x direction) of the current flash button is found. . If no flash button exist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no action is taken. However, when another flash button is found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6A, the center point (x1, y1) of the newly found flash button is calculated.

그리고, 현재 OVER 상태인 플래시 버튼을 UP 상태로 만들고, 새로 발견된 플래시 버튼을 OVER 상태로 전이시킨다. 그런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를 새로 계산된 위치인 (x1, y1)으로 변경한다. 이 때, 인접한 플래시 버튼의 두 좌표 값(x, y), (x1, y1)의 차이(x1-x, y1-y)를 구해서, 이를 해당하는 플래시 버튼에 연결해 둔다. 이와 같이, 인접한 플래시 버튼의 상, 하, 좌, 우에 대하여 버튼 사이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두면,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하여 좌(left), 우(right), 상(up), 하(down)의 명령이 입력될 때, 마우스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하여 다른 버튼으로 찾아가는 이벤트를 하나의 키패드 이벤트로 변경할 수 있다. 마우스 왼쪽 버튼이 눌려지는 상태는 입력(enter) 버튼을 누른 것으로 대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DOWN과 OVER 상태만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밖의 마우스 이벤트 즉, UP과 HIT AREA 상태는 삭제할 수 있다. 결국,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플래시 동영상의 마우스 이벤트 상태 중에서 DOWN 및 OVER 상태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나머지 UP과 HIT AREA 상태는 삭제함으로써, 처리되는 데이터 용량을 감소시키고 무선 단말 장치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n, the flash button which is currently in the OVER state is made into the UP state, and the newly found flash button is transferred to the OVER state. Then, as shown in Fig. 6B, the current position is changed to the newly calculated position (x1, y1). At this time, the difference (x1-x, y1-y) between two coordinate values (x, y) and (x1, y1) of adjacent flash buttons is obtained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flash button. In this way, if a network between the buttons is formed for the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adjacent flash buttons, the left, right, up, and down command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When input, the event of going to another button can be changed to one keypad event by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mouse. The state where the left mouse button is pressed can be replaced by pressing the enter button. As such, the mouse event for the flash video may be implemented using only the DOWN and OVER states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refore, other mouse events, that is, UP and HIT AREA states can be deleted. As a result, the DOWN and OVER states are converted to be us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mong the mouse event states of the flash video implemented in the computer system, and the remaining UP and HIT AREA states are delet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data to be processed and Control can be enabled.

도 7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제어 태그를 나타낸 것이다.7 shows a control tag of a macromedia flash.

도 7을 참조하면,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제어 태그는 End, FrameLabel, PlaceObject, PlaceObject2, Protect, RemoveObject, RemoveObject2, SetBackgroundColor, ShowFrame, StartSound 및 DoAction 태그를 포함한다. 제어 태그 중에서 ShowFrame 태그는 디스플레이 리스트(Display list) 내에 있는 모든캐릭터(Character)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프레임을 화면에 표시하는 작업이 끝나면 End 태그에 의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화면 디스플레이가 종료된다. ShowFrame 태그는 대개 PlaceObject 태그로 구성된다. PlaceObject 태그는 정의 태그(Definition tag)에 의한 캐릭터(character)를 공간에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 외에 다른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정의를 포함하기 때문에 ShowFrame 태그의 생략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PlaceObject 태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ShowFrame 태그를 생략하더라도 플래시 동영상의 미적인 동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control tags of the macromedia flash include End, FrameLabel, PlaceObject, PlaceObject2, Protect, RemoveObject, RemoveObject2, SetBackgroundColor, ShowFrame, StartSound, and DoAction tags. Among the control tags, ShowFrame tag displays all characters in the display list on the screen. When the display of the frame is finished, the screen display of the flash video is terminated by the end tag. ShowFrame tags usually consist of PlaceObject tags. The PlaceObject tag serves to place a character in a space by a definition tag. At this time, if a tag other than the PlaceObject tag exists in the ShowFrame tag, the ShowFrame tag cannot be omitted because it includes other definitions. However, if only the PlaceObject tag exists, you can omit the ShowFrame tag because it does not affect the aesthetic identity of the Flash movie.

한편,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ShowFrame 태그에 포함된 데이터는 동영상의 회전(rotation), 스케일(scale) 또는 이동(transl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각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행렬로 구성하고,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행렬식(determinant)을 구할 수 있다. 인접한 프레임에 대하여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행렬식의 차이를 구하여, 그 차이가 기준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연속 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거의 변화가 없는 연속 프레임에 대해서는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change between adjacent frames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For example, the data included in the ShowFrame tag includes information about rotation, scale, or translation of a video. The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se frames is formed into a matrix, and a determinant represent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frame can be obtain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ants represent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adjacent frames is obtained and th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hange amount, it can be determined as a continuous frame with little change between adjacent frames. For continuous frames with little change, one frame can be delet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flash video data into wireless data suitable for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은 WAP 서버 또는 WAP 게이트웨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is as follows. This offline conver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t the WAP server or the WAP gateway.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와 같이 벡터 그래픽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작된 동영상의 변환은 태그 및 해당 태그의 데이터별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먼저 플래시 동영상에 존재하는 태그를 입력받는다(s10). 입력된 태그가 태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 태그(tagEnd)인지를 검사한다(s12). 종료 태그(tagEnd)인 경우에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감소된 동영상 파일의 크기, 이벤트의 변환 여부 및 모양의 최적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헤더에 기록하고, 헤더 내의 버전 정보(Version)를 OFF_CNVT로 변경하여 오프라인 변환이 완료되었음을 기록한 후 오프 라인 변환 작업을 종료한다(s14). 버전 정보는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내에 존재하는 필드로써, 오프 라인 변환 여부를 나타낸다.Conversion of a video produced using a vector graphics based application such as Macromedia Flash is performed for each tag and its data. To this end, first, the tag existing in the flash video is input (s10).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 tag is an end tag (tagEnd) indicating the end of the tag (s12). In the case of tagE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size of the reduced video file, whether to convert the event, and whether the shape is optimized is recorded in the header through 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and the version information in the header is changed to OFF_CNVT. By recording that the offline conversion is completed, the offline conversion is terminated (s14). The version information is a field present in the header of the flash video and indicates whether to convert offline.

종료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태그가 무선 데이터로의 변환에 이용되는 ShowFrame 태그인지 확인한다(s16). ShowFrame 태그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프레임이 PlaceObject 태그들로만 구성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0). 해당하는 프레임이 PlaceObject 태그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시각화하는 렌더링(Rendering) 과정에서 삭제해도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between 프레임 리스트에 등록한다(s22). Between 프레임 리스트는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에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삭제될 가능성이 있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기 전에 between 프레임 리스트에 등록된 프레임을 모두 삭제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선별하여 삭제할 수 있다. 또는, between 프레임 리스트에 등록되었지만 모두 삭제하지 않고, 무선 데이터 처리에 이용할 수도 있다.If it is not the end tag,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 tag is a ShowFrame tag used for conversion to wireless data (s16). In the case of the ShowFrame tag, it is checked whether the corresponding frame is composed of PlaceObject tags only (s20). If the corresponding frame consists only of the PlaceObject tag, it may be deleted during the rendering process of visualizing the flash video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o it is registered in the between frame list (s22). The Between frame list is a list representing frames that may be deleted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radio data into wireless data among the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Therefore, all frames registered in the between frame list may be deleted before being converted into wireless data or may be selectively deleted at regular intervals. Or, it is registered in the between frame list but can be used for wireless data processing without deleting all.

만약, 해당하는 프레임이 PlaceObject 태그 외에 다른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PlaceObject 태그 외의 다른 태그는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객체들을 정의하는 태그이거나, 화면에서 객체를 지우는 태그 등 시각화하는 렌더링 과정에서 무시할 수 없는 태그일 수 있기 때문에, 삭제해서는 안 되는 프레임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삭제할 수 없는 프레임이라고 판단되면, 연속된 프레임 사이의 동작 특성에 대한 변화량을 계산하여 프레임 삭제 규칙을 적용한다(s36). 프레임 삭제 규칙은 연속된 두 개의 전후 프레임 사이의 동작 특성에 대한 변화량을 특정하여,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이면 두 프레임 사이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 프레임 또는 후 프레임을 삭제한다(s38).If the corresponding frame may include other tags in addition to the PlaceObject tag. The tag other than the PlaceObject tag is a tag that defines object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or a tag that cannot be ignored during a visualization process such as a tag that erases an object on the screen. . As such,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ame cannot be deleted, the frame deletion rule is applied b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between successive frames (S36). The frame deletion rule specifi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between two consecutive front and rear frames, and if the amount of chang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mount of change, determines that there is little change between the two frames and deletes the previous frame or the next frame (s38). .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동영상의 회전, 스케일 또는 변형 정보를 행렬로 구성하고, 각 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하는 두 프레임의 행렬식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을 산출하여, 이를 기준 변화량과 비교한다. 기준 변화량은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기준 변화량이 클수록 삭제되는 프레임의 수가 증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가 간략화되고, 기준 변화량이 0에 가까울수록 삭제되는 프레임의 수가 감소할 것이다.The motion characteristics of each frame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matrix of rotation, scale, or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video constituting the frame, and calculating a determinant of each matrix. Therefore,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ants of two consecutive frames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riation. The reference change amount can be specified as a value between 0 and 1. As the reference change amount increases, the number of frames to be deleted increases to simplify the flash video data. As the reference change amount approaches 0, the number of frames to be deleted decreases.

한편, 연속된 프레임 사이의 동작 특성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의 비교에 따라 삭제되지 않은 프레임에 대해서는 between 프레임으로 등록하여, 일정 간격에 따라프레임을 선별하여 삭제할 수 있다(s40). 플래시 동영상의 무선 데이터 변환 과정에서, 초기에는 between 프레임을 삭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 간격, 예컨대 between 프레임 리스트 중에서 매 n 번째 프레임을 삭제함으로써 플래시 동영상의 크기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rame that has not been dele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change amount and the reference change amount between successive frames may be registered as between frames, and the frames may be selected and dele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40). In the wireless data conversion process of the flash video, it may be desirable not to delete the between frames initially. However, the size of the flash movie may be further reduced by deleting every n th frame from the list of frames, for exampl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Between 프레임 리스트 중에서 삭제되지 않고 남은 태그 및 태그 데이터는 이를 저장하여, 무선 데이터로 사용될 것이다(s42). 한편, 입력된 태그가 ShowFrame 태그가 아닌 경우에, 모양, 비트맵, 스프라이트, 사운드, 버튼, 폰트 등의 정의한 Definition 태그인지 검사한다(s18). 입력 태그가 Definition 태그도 아닌 경우에는 더 이상 변환 또는 삭제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입력된 태그를 저장한다(s42). 입력된 태그가 Definition 태그인 경우에, 배경 음악 태그와 같이 무선 데이터 전송에 불필요한 태그인지를 판별하여, 이에 해당하는 태그는 삭제한다(s26). 만약, 삭제할 수 없는 태그인 경우에는 모양 태그인지를 판별한다(s28). 모양을 정의하는 태그인 경우에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복수의 직선 데이터를 병합하여 모양 데이터를 최적화한 후에(s32), 해당하는 태그 및 태그 데이터를 저장한다(s42).The tag and tag data left undeleted in the between frame list will be stored and used as wireless data (s42). 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tag is not a ShowFrame tag, it is checked whether a defined tag such as shape, bitmap, sprite, sound, button, and font is defined (s18). If the input tag is not a definition tag, it is determined that it can no longer be converted or deleted (S42). If the input tag is a Definition ta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g is unnecessary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such as a background music tag, and the corresponding tag is deleted (s26). If the tag cannot be de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 shape tag (s28). In the case of a tag defining a shape, the curved data is converted into straight data, the plurality of converted straight data are merged to optimize the shape data (s32), and the corresponding tag and tag data are stored (s42).

만약, 모양 태그가 아니고, 버튼 태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이벤트 처리 방식을 무선 단말 장치의 입력 버튼을 이용할 수 있는 이벤트로 변환한다(s34). 무선 단말 장치용 이벤트의 변환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다.If it is not a shape tag and corresponds to a button tag, the mouse or keyboard event processing method is converted into an event that can use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34). The conversion process of an event for a wireless terminal device has been described above.

한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무선 단말장치에 적합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맞도록 이를 변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reducing the size of the video data based on the vector graphics, and converting to the wireless data suitable f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t can be converted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the online conversion process.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맞도록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wireless data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플래시 동영상을 재생할 무선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60).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은 대체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표현 가능한 픽셀 정보와 사운드 정보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무선 단말 장치의 제조 회사로서는 대표적으로 Nokia, Motorola, SK telecom, 삼성, LG, 현대, NTT Docomo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조 회사로부터 생산되는 무선 단말 장치는 그 종류가 많으며,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성능에도 큰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9, first, information about a wireless terminal device for playing a flash video is collected (S60).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an be generally di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pixel information that can be expressed, and sound information. Typical manufacturers of wireless terminal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such video data include Nokia, Motorola, SK telecom, Samsung, LG, Hyundai, NTT Docomo and the like. There are many kinds of wireless terminal devices produced by such manufacturing companies,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data performance that can be processed.

예를 들어, LG 전자에서 생산하는 iBook 이라는 무선 단말 장치 모델의 화면 크기는 128 * 128 픽셀이고, 픽셀 하나에 4가지 컬러(흑색, 어두운 회색, 밝은 회색 및 백색)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운드는 신호음(buzz)과 QCELP라는 코덱(Codec)을 사용하는 스피커 출력이다.For example, LG's iBook wireless terminal model has a screen size of 128 * 128 pixels, and four colors (black, dark gray, light gray and white) can be implemented in each pixel. Sound is also a speaker output using a buzz and a codec called QCELP.

이러한 경우에, 플래시 동영상에 트루 컬러(True color)의 비트맵 정보가 있다면, 이러한 부분은 4가지 색으로만 구성된 비트맵으로 변환해야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즉, 모양 태그에 포함된 컬러의 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컬러 수에 맞추어 축약 변환한다. 일반적으로는 24 비트 트루 컬러에서 4 그레이(gray), 256 컬러 또는 4,096 컬러로 변환한다. 또한, 변환된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변환된 무선 데이터 이미지의 크기가 128 * 128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화면에 이미지를 모두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의 크기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변형되어야 한다. 또한, 플래시 동영상에 MP3로 정의된 사운드가 있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들을 수 없기 때문에, MP3 데이터를 QCELP 트랜스코덱(transcodec)을 사용하여 사운드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한다. 이러한, 사운드 정보는 무선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플래시 동영상에 정의된 폰트, 예컨대 Time new Roman 폰트가 무선 단말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폰트 정보를 모두 분해하여 모양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In this case, if there is a bitmap information of true color in the flash video, this par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only after converting the bitmap into a bitmap composed of only four colors. That is, the number of colors included in the shape tag is abbreviated to match the number of color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ypically, you convert from 24-bit true color to 4 gray, 256 or 4,096 colors.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converted wireless data image is larger than 128 * 128 through the converted offline conversion process, it may not be possible to express all the images on one screen. Therefore, the size of the image must also be modified to fit the screen size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ddition, if the flash video has sound defined as MP3, it cannot be hear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thus the MP3 data is converted using the QCELP transcodec to convert the format of the sound data. Such sound information may vary according to hardwar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ddition, when the font defined in the flash video, for example, Time new Roman font, is not support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ll font information is decomposed into shape information,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같이, 플래시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단말 장치의 정보에 대한 수집이 완료되면,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로 변환된 태그 및 태그 내부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62). 입력된 태그가 종료 태그(tagEnd)인지를 검사하여(s64), 종료 태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온 라인 변환에 따라 헤더 정보를 수정하고, 헤더 정보 내의 버전 필드에 온 라인 변환 결과(ON_CNVT)를 기록한다(s66). 종료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Definition 태그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s68). Definition 태그가 아니면, 온 라인 변환할 태그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태그 정보를 입력받는다(s62). Definition 태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모양을 정의하는 모양 태그인지(s70), 폰트를 정의하는 폰트 태그인지(s74), 비트맵을 정의하는 비트맵 태그인지(s78) 또는 사운드를 정의하는 사운트 태그인지(s82)를 검사한다. Definition 태그가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사운드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온 라인 변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태그 정보를 입력받는다(s62).As such, when the collection of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or processing the flash video is completed, the tag converted into the wireless data and the data inside the tag are received through 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S62).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 tag is the end tag (tagEnd) (s64), and if it corresponds to the end tag, the header information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online conversion of the flash video, and the online conversion result (ON_CNVT) is displayed in the version field of the header information. ) (S66). If it is not the end tag, it is checked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Definition tag (s68). If it is not a Definition tag, since it is not tag information to be converted online, new tag information is received (s62). If it corresponds to a Definition tag, is it a shape tag defining a shape (s70), a font tag defining a font (s74), a bitmap tag defining a bitmap (s78), or a sound tag defining sound Check (s82). If the Definition tag is not a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or sound tag, since online conversion is not necessary, new tag information is received (s62).

만약, 모양 태그인 경우에는 모양의 정의 중에서 컬러 정보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한다(s72). 폰트 태그인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인지를 판별한다.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인 경우에는 폰트 정보를 그대로 두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폰트 정보를 분해하여 모양 정보로 변환한다(s76). 입력된 태그가 비트맵 태그인 경우에는 비트맵 태그에 존재하는 모든 픽셀 정보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표현할 수 있는 픽셀 정보로 변환한다(s80). 사운드 태그가 입력된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표현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한다(s84). 이러한 변환 과정은 입력 태그가 종료 태그일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shape tag, color information of the shape definition is converted into color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72). In the case of a font ta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nt is inherent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f the font is inherent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font information is left as it is. Otherwise, the font information is decomposed and converted into shape information (s76). If the input tag is a bitmap tag, all pixel information existing in the bitmap tag is converted into pixel information that can be represent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80). When the sound tag is input, the sound tag is converted into sound information that can be express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84). This conversion process will be performed repeatedly until the input tag is an end tag.

상기에서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벡터 그래픽 방식으로 동영상을 처리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베지어(Bezier) 곡선으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벡터 그래픽 동영상에 대해서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이벤트를 사용하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방법은 모든 동영상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무선 데이터 전송 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는 구성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삭제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과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하도록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above, macromedia flash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but it is obvious that the same method can be applied to all applications that process video based on a vector graphic method. That is, the same method of converting the curved data into the straight data may be applied to the vector graphic video constituting the image by the Bezier curve. In addition, the method of converting video data using a mouse event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may be equally applied to all video. In additio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may be increased by extracting and deleting components not used 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rom the video data and convert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to be suitable for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

이러한 플래시 동영상의 변환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의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방법은 웹 서버 또는 WAP 게이트웨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방법은 WAP 게이트웨이 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the flash video conversion method, an offline conversion method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flash video may be performed by a web server or a WAP gateway, and the onlin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may be a WAP gateway or a wireless terminal device. It can be performed i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vector graphic-based moving picture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플래시 동영상과 같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을 생성 및 처리하는 웹 서버(110)와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130) 및 웹 서버(110)와 무선 단말 장치(130) 사이에서 데이터 변환을 담당하는 WAP 게이트웨이(120)로 구성된다. 웹 서버(110)는 각각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130)는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114)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양에 따라 지정된 구성 요소를 변환하는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WAP 게이트웨이(120)는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거친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을 모두 포함하는 온/오프 라인 변환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 server 110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a vector graphic-based video such as a flash video, a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corresponding to a client, and a web. It is composed of a WAP gateway 120 in charge of data conversion between the server 110 and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The web server 110 may include a flash video offline converter 114 for converting the vector graphic-based flash video to be suitabl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converts the data converted to be suitabl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flash video offline converting unit 114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to convert the flash video online. The conversion unit 134 may be included. The WAP gateway 120 includes an on-line conversion for converting a flash video that has undergone an offline conversion or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suitabl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 Off-line converter 124 may be included.

웹 서버(110)는 플래시 동영상 생성기를 통하여 생성된 플래시 동영상을 컨텐츠 서버(116)에 포함한다.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114)는 컨텐츠 서버(116)에 저장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무선 데이터 전송에 불필요한 태그 데이터를 삭제하고, 지정된 태그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은 헤더 정보에 변환 여부가 표시되고, 컨텐츠 서버(116)에 저장될 것이다. 웹 서버(110)는 HTTP 통신 장치와 같은 유선 통신 프로토콜 장치(112)를 이용하여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WAP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The web server 110 includes the flash video generated through the flash video generator in the content server 116. The flash video offline converter 114 converts the flash video data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116 to be suitabl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through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That is, tag data unnecessary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re deleted from the flash video data through the method shown in FIG. 8, and the specified tag data is converted to be suitabl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The flash video converted through 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may indicate whether to convert in the header information and be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116. The web server 110 transmits the flash video data, which has been offline, to the WAP gateway 120 using a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device 112 such as an HTTP communication device.

WAP 게이트웨이(120)는 웹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내에 있는 버전 정보로부터 오프 라인 변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WAP 게이트웨이(120) 내부의 플래시 동영상 온/오프 라인 변환부(124)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전송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온 라인 변환 과정도 함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WAP 게이트웨이(120)에서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이 이루어지면,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 변환 장치(122)를 통하여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130)로 전송한다.The WAP gateway 120 may check whether the offline conversion is made from version information in the header of the flash video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110. When the offline conversion is not performed, offline conversion suitabl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lash video on / offline converter 124 inside the WAP gateway 120. After the offline conversion is performed, the online conversion process may als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o be transmitted. When the WAP gateway 120 performs an offline conversion or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the WAP gateway 120 transmits the flash video data that has been subjected to offline conversion or online conversion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conversion device 122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

무선 단말 장치(13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 장치(132)를 통하여 WAP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수신된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내에 있는 버전 정보를 추출하여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 여부를 확인한다.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이 오프 라인 변환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134)를 통하여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한다.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134)를 통하여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거나,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이 전송된 경우에는 WAP 브라우저(136)를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이 표시부(138)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receives the flash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WAP gateway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device 132. Then, the version information in the header of the received flash video is extracted to check whether it is offline conversion or online conversion. When the transmitted flash video only performs offline conversion, the on-line conver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lash video on-line converter 134 to meet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When the on-line conver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lash video online conversion unit 134 or the flash video with the on-line conversion is transmitted, the flash video will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8 through the WAP browser 136.

한편,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용자는 무선 단말 장치(130)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화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사용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단말 장치(130)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무선 통신 프로토콜 장치(132)를 통하여 WAP 게이트웨이(120)로 전송되고, WAP 게이트웨이(120)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 변환 장치(122)를 통하여 웹 서버(110)에 전송된다. 웹 서버(110)는 사용자의 명령에 해당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컨텐츠 서버(116)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는 웹 서버(110), WAP 게이트웨이(120) 및 무선 단말 장치(130)를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용자는 원하는 플래시 동영상을 웹 서버(110)에 요청하여 이를 무선 단말 장치(13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lash video using an input / output device (not shown on the scree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it is transmitted to the WAP gateway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device 132 an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conversion device 122 of the WAP gateway 120. Is sent to the web server 110. The web server 110 extracts the flash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mmand from the content server 116, and the extracted flash video data is used to extract the web server 110, the WAP gateway 120, and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Throughout the process, offline conversion and online conversion will be performed sequentially. Accordingly,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may request a desired flash video from the web server 110 and receive i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30.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웹 서버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web server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웹 서버에 구비된 컨텐츠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추출하여(s100),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할 것인가를 결정한다(s102). 이미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별도의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고(s104), 도 8에 도시된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한다(s106).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에 대해서는 헤더 정보에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기록한다(s108). 이 때, 버전 정보와 함께 변경된 플래시 동영상의 데이터 크기 또는 프레임 수 등을 수정하고,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을 컨텐츠 서버에 저장한다(s110). 추가적으로 변환할 플래시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플래시 동영상에 대하여 도 11의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웹 서버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을 추출하여 이를 WAP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 때, 웹 서버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WAP 게이트웨이에서 플래시 동영상의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t is determined whether a flash video to be transmitted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is extracted from a content server included in a web server (S100) and converted into data suitable f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102). If the offline conversion has already been made, a separate offline conversion process will not be necessary. If offline conversion is not performed, header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is extracted (s104), and the flash video data is converted into wireless data through 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shown in FIG. 8 (s106). The vers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ffline conversion is performed is recor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for the flash video having the offline conversion (s108). At this time, the data size or the number of frames of the changed flash video is modified together with the version information, and the converted flash video is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S110). In addition, if there is a flash video to be converted, the process of FIG. 11 is repeated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flash video, and if it does not exist, all processes are terminate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specific flash video from the user, the web server extracts the flash video with offline conversion from the content server and sends it to the WAP gateway. In this case, when offline conversion is not performed in the web server, offline conversion of the flash video may be performed in the WAP gateway.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WAP 게이트웨이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WAP gateway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WAP 게이트웨이는 HTTP와 같은 유선 프로토콜을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을 수신한다(s130). 플래시 동영상이 수신되면,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s132), 버전 정보를 통하여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s134). 웹 서버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의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s136). 반면에, 이미 웹 서버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적합한 온 라인 변환을 위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을 선택한다(s138). 이 때,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은 출력 화면의 크기, 출력 장치의 컬러 표현 한계, 사운드 지원 장치의 한계 등 하드웨어 제한 사항이 될 것이다. 이러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을 바탕으로, 현재 접속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이 오프 라인 변환을 거친 플래시 동영상을 지원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한다(s140). 만약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이 오프 라인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 중에서 버전 정보를 온 라인 변환 완료 상태(ON_CNVT)로 변경한다(s144). 그런 다음, 해당하는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36).Referring to FIG. 12, the WAP gateway receives a flash video through a wired protocol such as HTTP (S130). When the flash video is received,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is extracted (s132),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ffline conver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version information (s134). If offline conversion is not performed in the web server, 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of FIG. 8 is performed (s136). On the other hand, if the offline conversion has already been made in the web server,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selected for the online conversion suitable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138). At this time,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will be hardware limitations such as the size of the output screen, the limit of the color representation of the output device, the limit of the sound support device. Based on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wireless terminal device is sufficient to support the flash video which has undergone offline conversion (S140). If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is sufficient to support the offline converted flash video, the version information is changed to the online conversion complete state (ON_CNVT)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S144). Then, the corresponding flash video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operation S136.

반면에,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가 오프 라인 변환을 거친 플래시 동영상을지원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 9의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고(s142), 변경된 플래시 동영상의 크기 등을 반영하여 헤더 정보를 수정한다(s144). 이 때, 온 라인 변환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함께 수정한다. WAP 게이트웨이는 이와 같이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46). 이 때, 플래시 동영상의 전송에 따른 비용을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is insufficient to support the flash video that has undergone offline conversion, perform the online conversion process of FIG. 9 (s142) and reflect the changed size of the flash video header. Modify the information (s144). At this time, the vers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online conversion is also modified. The WAP gateway transmits the flash video data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online conversion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in operation S146. At this time, the user may be charged for the cost of transmitting the flash video.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of a user in a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는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을 수신한다(s160). 수신된 플래시 동영상이 WAP 게이트웨이에서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를 추출한다(s162). 버전 정보가 ON_CNVT가 아닌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없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플래시 동영상에 대하여 도 9의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s166). 반면에, 버전 정보가 온 라인 변환을 나타내면,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플래시 동영상에 포함된 내용의 구문을 해석하는 파싱(Parsing) 작업을 수행한다(s168).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파싱 작업이 완료되면, 무선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맞는 렌더링 작업을 수행한다(s170). 그런 다음, 플래시 동영상이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172), 입력 처리 과정을 진행한다(s174). 이 때, 입력 처리 과정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래시 동영상에 존재하는 마우스 및 키보드 입력은 무선 단말 장치의 입력 버튼을 통한 입력으로 변환되어 처리된다.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었거나, 입력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에 대한 렌더링 과정을 종료한다(s176). 이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무선 단말 장치의 플래시 동영상 출력 과정을 종료하고, 사용자로부터 종료 버튼이 입력되기 전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다음 프레임에 대한 렌더링 작업을 반복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13, the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receives a flash video transmitted from a WAP gateway (S160).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is extracted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received flash video is online converted by the WAP gateway (S162). If the version information is not ON_CNV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that cannot be process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included, and the online conversion process of FIG. 9 is performed on the flash video (S166). On the other hand, if the version information indicates on-line conversion, since the content can be process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parsing operation for parsing the syntax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flash video is performed (S168). When parsing of the flash video is completed, a render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performed (S17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lash video is waiting for the user's input (s172), and the input 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s174). At this time, the mouse and keyboard input present in the flash video without the offline conversion in the input processing process is converted into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processed. If the user's input is completed or is not in the input standby state, the rendering process for the current frame of the flash movie is terminated (s176). In this case, when the end butt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flash video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terminated, and the rendering operation for the next frame of the flash video is repeated before the end button is input from the user.

상술한 같이,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처리에 불필요한 구성 요소를 삭제하고, 무선 데이터의 처리에 적합하도록 각 구성 요소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위한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pictur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picture data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removed by removing components unnecessary for wireless data processing and converting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suitable for processing the wireless data.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병합하여 처리함으로써, 무선 통신 과정에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curve data included i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into linear data and processes the merged data,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video data transmit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이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하여 용이하게 동영상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view the video data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by converting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according to the hardwar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에 대한 마우스 및 키보드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입력 버튼에 대한 이벤트로 변환함으로써, 무선 단말 장치에서 효율적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mouse and keyboard event for a video into an event for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reby efficiently processing the video data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s not limited to the field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n addition,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4)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Bezier curves from vector graphic based moving image data;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defining the Bezier curv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hat abut the Bezier curve;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 mid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o generate a third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a Bezier curve;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Dividing a Bezier curve into two Bezier curves based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Bezier curves and a third straight line;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and the contact point on the Bezier curve by the third straight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recursively performed on the divided Bezier curve. Repeating with; And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If the approximate distance for each Bezier curve divided through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rresponding Bezier curve using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for each divided Bezier curve Steps to replac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Curve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은Vector graphics based videos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로 제작된 동영상인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A method for processing curve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which is a movie produced by Macromedia Flas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분할된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두 직선을 변으로 하고, 상기 두 직선이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접점을 잇는 선분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triangle with two straight lines replacing the divided Bezier curve as a side and the two straight lines forming a triangle with a base line connecting the contact points in contact with the Bezier curve; And 상기 밑변에 속하는 두 내각의 크기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두 직선을 밑변을 포함하는 직선으로 대체하는 단계Replacing the two straight lines with a straight line including the bottom if the sizes of the two inner angles belonging to the bottom are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ngle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Curve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vector graphics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준 각도는The reference angle is 0 이상 π라디안 사이의 크기를 가지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Curved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vector graphics having a magnitude between 0 and π radians.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use and input information of a mouse button included in a vector graphic-based video;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state information for a video control button set to control a video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mouse and an input of a mouse button;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from among a plurality of states for the video control button, state information no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previously selected for video control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ontrol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figuring a button network to which the video control button is interconnected;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at least one button operation among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Executing a video control button function of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button network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이벤트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event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플래시 버튼 상태는The flash button stat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고 놓여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UP 상태,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DOWN 상태,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에 놓였을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OVER 상태 및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UP 상태, DOWN 상태 및 OVER 상태의 동작을 하기 위한 플래시 버튼의 행동 반경을 정의하는 HIT AREA 상태 중에서UP state that defines the behavior of the flash button when the left mouse button is released, DOWN state that defines the behavior of the flash button when the left mouse button is pressed, and when the mouse pointer is over the flash button. In the OVER state defin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button and the HIT AREA state defining the action radius of the flash button for the operation of the UP state, DOWN state and OVER st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use. UP 상태 또는 HIT AREA 상태인 벡터 그래픽 기반의 이벤트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event handling method in UP state or HIT AREA state.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each frame;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Sequentiall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two consecutive frames; And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e of two frames with respect to a frame hav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change amount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Frame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는Calcul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frame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를 구성 성분으로 하여 행렬을 구성하는 단계; 및Constructing a matrix using screen information constituting a frame as a component; And 상기 행렬의 행렬식을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 determinant of the matrix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Frame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는Screen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frame is 회전 정보, 스케일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The vector graphics-based frame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rotation information, scale information and movement information.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상기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from the components;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포함된 세부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And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의 세부 구성 성분이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the frame display component when the detail constituent component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includes only a space arrangement component for placing a character in spac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배경 음악을 정의하는 배경 음악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background music components that define background music from the components that make up a movie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teps to convert the curve data composing the video into straight data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Converting the curve data into straight data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Bezier curves from vector graphic based moving image data;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defining the Bezier curv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hat abut the Bezier curve;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 mid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o generate a third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a Bezier curve;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Dividing a Bezier curve into two Bezier curves based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Bezier curves and a third straight line;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and the contact point on the Bezier curve by the third straight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recursively performed on the divided Bezier curve. Repeating with; And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If the approximate distance for each Bezier curve divided through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rresponding Bezier curve using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for each divided Bezier curve Steps to replac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a mouse event included in the video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는The step of converting the mouse event included in the video into a button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use and input information of a mouse button included in a vector graphic-based video;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state information for a video control button set to control a video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mouse and an input of a mouse button;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from among a plurality of states for the video control button, state information no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previously selected for video control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ontrol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figuring a button network to which the video control button is interconnected;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at least one button operation among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Executing a video control button function of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button network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e frame among adjacent frames that is similar to each other for the plurality of frames configuring the video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Deleting one frame among the similar adjacent frames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each frame;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Sequentiall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two consecutive frames; And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e of two frames with respect to a frame hav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change amount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 제11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11 and 16, 상기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Deleting the component or frame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및Registering the component or frame to be deleted in the deletion list; And 상기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단계Selecting and deleting components and frames registered in the deletion list at regular intervals;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Recording the conversion result of the video data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macromedia flash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information about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ly the ShowFrame tag when only the PlaceObject tag is included in the ShowFrame tag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A shape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he shape tag comprising: converting curved data included in the shape tag into linear data; And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A button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he method comprising: converting a mouse event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모양 태그는The shape tag is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and DefineMorphShape tags 를 포함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버튼 태그는The button tag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the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and DefineButtonSound tags 를 포함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components constituting a moving pi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When at least one component of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mponent, wireless to receive video data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When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wireless. Converting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는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표현 가능한 컬러 색상 및 출력되는 사운드 형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the color color that can be expressed, and the type of sound that is output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Recording the conversion result of the video data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macromedia flash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When at least one tag of a shape tag, a font tag, a bitmap tag, and a sound tag is included in a tag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is flashed.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to receive video data; And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when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nverting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모양 태그는The shape tag is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and DefineMorphShape tags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폰트 태그는The font tag is DefineFont, DefineFont2 및 DefineFontInfo 태그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the DefineFont, DefineFont2, and DefineFontInfo tags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비트맵 태그는The bitmap tag is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및 JPEGTables 태그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and JPEGTables tags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사운드 태그는The sound tag is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 SoundStreamHead2 태그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the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and SoundStreamHead2 tags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상기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단계;Extract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from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상기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이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Us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the online conversio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performed on the moving picture data; An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t least one conversion process of offline conversion and online conversion on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via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변환 정보는The conversion information is 동영상 데이터의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결과를 표시하는 정보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A method of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over a wireless network, the information indicating a result of at least one of offline and online conversion of video data.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은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상기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from the components;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포함된 세부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And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의 세부 구성 성분이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the frame display component when the detail constituent component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includes only a space arrangement component for placing a character in space;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via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Bezier curves from vector graphic based moving image data;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defining the Bezier curv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hat abut the Bezier curve;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 mid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o generate a third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a Bezier curve;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Dividing a Bezier curve into two Bezier curves based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Bezier curves and a third straight line;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and the contact point on the Bezier curve by the third straight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recursively performed on the divided Bezier curve. Repeating with; And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If the approximate distance for each Bezier curve divided through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rresponding Bezier curve using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for each divided Bezier curve Steps to replace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via a wireless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use and input information of a mouse button included in a vector graphic-based video;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state information for a video control button set to control a video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mouse and an input of a mouse button;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from among a plurality of states for the video control button, state information no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previously selected for video control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ontrol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figuring a button network to which the video control button is interconnected;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at least one button operation among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Executing a video control button function of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button network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via a wireless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each frame;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Sequentiall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two consecutive frames; And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e of two frames with respect to a frame hav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change amount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via a wireless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온 라인 변환 과정은The online conversion process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components constituting a moving pi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When at least one component of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mponent, wireless to receive video data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When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wireless. Converting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Vector graphics-base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via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macromedia flash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flash video data; 상기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플래시 동영상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from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상기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이 플래시 동영상에 대하여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Us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an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an online conversion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is performed for a flash video; An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t least one conversion process of offline conversion and online conversion for the flash video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은The offline conversion process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information about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ly the ShowFrame tag when only the PlaceObject tag is included in the ShowFrame tag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A shape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he shape tag comprising: converting curved data included in the shape tag into linear data; And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A button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he method comprising: converting a mouse event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온 라인 변환 과정은The online conversion process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When at least one tag of a shape tag, a font tag, a bitmap tag, and a sound tag is included in a tag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is flashed.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to receive video data; And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when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nverting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being connected to the gateway for transmitting the 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nverting the 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for us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for stor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 및An offline converter configured to perform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by extrac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rom the database; And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유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A wired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ffline converter to a gateway through a wired network.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The offline converter is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및A component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And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A component control unit for deleting the frame display component when only the space arrangement component for arranging a character in space is included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The offline converter is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곡선 데이터 변환부Curve data converter to convert the curve data forming the video into straight data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4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상기 곡선 데이터 변환부는The curve data converter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곡선 데이터 추출부;A curve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Bezier curves from vector graphic based moving image data;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과,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근사 직선 생성부;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defining the Bezier curv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Bezier curves, and connecting mid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o generate a third straight lin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ezier curves. An approximate straight line generator;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곡선 분할부;A curve dividing unit dividing a Bezier curve into two Bezier curves based on a contact point of the Bezier curve and a third straight line;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곡선 분할 제어부; 및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and the contact point on the Bezier curve by the third straight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recursively performed on the divided Bezier curve. Curve division control to repeat with; And 상기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직선 데이터 처리부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a straight line data processing unit replacing two corresponding Bezier curves by using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control points with respect to each divided Bezier curv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The offline converter is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부Event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mouse event included in the video into a button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이벤트 변환부는The event conversion unit 무선 단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 중에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을 선정하는 버튼 선택부;A button selector for selecting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among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받아서 액션을 취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버튼의 복수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동영상 버튼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상태 정보 제어부;A state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deleting video button state information no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 plurality of states of a video button set to take an action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use and input information of a mouse button. ;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버튼 네트워크 구성부; 및A button network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a location of a video button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to configure a network to which the video button is connected; And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또는 입력 버튼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버튼을 선택 또는 실행하는 동영상 처리부A video processor for selecting or executing a video button of a corresponding position on a network to which a video button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irection button or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Frame control unit for deleting one frame among adjacent frames similar to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a video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46항에 있어서,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상기 프레임 제어부는The frame control unit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A frame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고,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산술 처리부; 및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of each frame and sequentially calculating an amount of change of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s for two consecutive frames; And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Frame control unit for deleting one frame of two frames for a frame in which the change amount of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change amount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고,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삭제 리스트 제어부Delete list control which registers the component or frame to be deleted in the delete list and selects and deletes the component and frame registered in the delete list at regular intervals.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헤더 제어부Header control unit for recording the conversion result of the video data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Vector graphics based video data process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A gateway system connected to a server for transmit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 및An offline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by extrac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transmitted from a server; And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A wireless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ffline conversion unit to a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The offline converter is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및A component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And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A component control unit for deleting the frame display component when only the space arrangement component for arranging a character in space is included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A gateway system connected to a server for transmit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containing information on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 및An on-line converter configured to perform on-line conversion to process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A wireless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nline conversion unit to a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The online conversion unit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A component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a component constituting a moving pi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A colo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color component representing color information among colo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color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A font converting unit for decomposing the font component and converting the font component into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when the font component representing the font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is not a font inherent in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An imag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component representing image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pixel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sound converting units for converting sound components representing sound information into sound information which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제5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1,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헤더 제어부Header control unit for recording the conversion result of the video data into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urther comprising a.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A gateway system connected to a server for transmit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containing information on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A conversion determination unit for extracting convers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conversion result of 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a server;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An offline converter configured to perform offline conver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n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which has not been subjected to offline convers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 및An on-line converter configured to perform on-line conversion so that the video data based on the off-line conversion is processed b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 또는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A wireless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ffline converter or the online converter to a user's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The offline converter is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및A component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And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A component control unit for deleting the frame display component when only the space arrangement component for arranging a character in space is included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The online conversion unit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A component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a component constituting a moving pi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A colo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color component representing color information among colo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color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A font converter which decomposes the font component and converts the font component into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when the font component representing font information is not a font inherent in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An imag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component representing image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pixel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sound converting units for converting sound components representing sound information into sound information which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A system for convert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transmitted from a gateway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A memory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A transformation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ransformation results by extracting transformation information on the vector graphic based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An on-line converter configured to perform on-line conversion to process video data for which the on-line conversion is not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동영상 제어부; 및A video controller which processes a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converted through the on-line converter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the video data; And 상기 동영상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deo data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deo controller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The online conversion unit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A component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a component constituting a moving pi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A colo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color component representing color information among colo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color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A font converter which decomposes the font component and converts the font component into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when the font component representing font information is not a font inherent in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An imag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component representing image information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into pixel information processable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sound converting units for converting sound components representing sound information into sound information which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무선 단말 장치.Wireless terminal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the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제54항에 있어서,55. The method of claim 54, 상기 동영상 제어부는The video controller 온 라인 변환된 동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의 구문을 분석하는 파싱 처리부; 및A parsing processor configured to parse video data to display the online converted video on a screen; And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렌더링 처리부Rendering processor that visualizes video data for user recognition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무선 단말 장치.Wireless terminal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the vector graphics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convert the curve data included in 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picture data into linear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implemented and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n the recording medium which can be, 상기 데이터 변환 방법이,The data conversion method,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Bezier curves from vector graphic based moving image data;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defining the Bezier curv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hat abut the Bezier curve;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Connecting a mid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o generate a third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a Bezier curve;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Dividing a Bezier curve into two Bezier curves based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Bezier curves and a third straight line;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When the approximat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and the contact point on the Bezier curve by the third straight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recursively performed on the divided Bezier curve. Repeating with; And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If the approximate distance for each Bezier curve divided through the curve division proces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rresponding Bezier curve using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at least three control points for each divided Bezier curve Steps to replace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convert the mouse event included in 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image data to the keypad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or us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embodied.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device, 상기 이벤트 변환 방법이,The event conversion method,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use and input information of a mouse button included in a vector graphic-based video;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state information for a video control button set to control a video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mouse and an input of a mouse button;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from among a plurality of states for the video control button, state information no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previously selected for video control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ontrol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figuring a button network to which the video control button is interconnected; 무선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at least one button operation among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Executing a video control button function of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button network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dire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reduce the frame data included in 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picture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implemented and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n the recording medium, 상기 프레임 데이터 감소 방법이,The frame data reduction method,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plurality of frame information constituting a video;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each frame;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Sequentially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ng characteristic value for two consecutive frames; And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e of two frames with respect to a frame having a change amount of an operation characteristic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change amount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reduce the vector graphic-based moving picture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implemented, and in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상기 동영상 데이터 감소 방법이,The video data reduction method,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information about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a frame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a screen from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And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ly the frame display component if only the space layout component for arranging a character in space is included in the frame display component.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reduce the Macromedia Flash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implemented, and in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상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감소 방법이,The flash video data reduction method,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information about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only the ShowFrame tag when only the PlaceObject tag is included in the ShowFrame tag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A shape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he shape tag comprising: converting curved data included in the shape tag into linear data; And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A button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he method comprising: converting a mouse event into a button event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convert the vector graphic-based video data for us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implemented and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n the recordable medium,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방법이,The conversion method of the video data,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components constituting a moving pi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When at least one component of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mponent, wireless to receive video data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When at least one of the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s wireless. Converting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process macromedia flash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embodied and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n a recording medium, 상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이,The 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 tag constituting a flash video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When at least one tag of a shape tag, a font tag, a bitmap tag, and a sound tag is included in a tag constituting the flash video,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is flashed.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device to receive video data; And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when at least one of the shape tag, font tag, bitmap tag and sound tag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nverting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process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a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implemented, an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igital processing device, 상기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이,The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deo data based on vector graphics; 상기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단계; 및Extract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from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t least one of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version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process macromedia flash video data for use in a wireless terminal de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a digital processing device is tangibly implemented, an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igital processing device, 상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이,The flash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flash video data; 상기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conversion information of flash video data from header information of the flash video; And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t least one of an offline conversion process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an online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with respect to the flash video data according to the conversion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Computer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KR10-2001-0052313A 2000-08-29 2001-08-29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KR100412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313A KR100412342B1 (en) 2000-08-29 2001-08-29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50315 2000-08-29
KR1020000050315 2000-08-29
KR10-2001-0052313A KR100412342B1 (en) 2000-08-29 2001-08-29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974A true KR20010088974A (en) 2001-09-29
KR100412342B1 KR100412342B1 (en) 2003-12-31

Family

ID=2663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313A KR100412342B1 (en) 2000-08-29 2001-08-29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34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01B1 (en) * 2006-06-30 2007-03-12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file service for transmitting files remotely
KR100766266B1 (en) * 2005-05-18 2007-10-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tructure having user interface based vector data and method for user interfacing in the mobile
KR101043772B1 (en) * 2008-07-25 2011-06-22 주식회사 코아로직 Method for open vector graphic contents creation and computer readble record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94B1 (en) * 2007-09-18 2009-06-18 (주)디지탈아리아 Processing Method for Character Animation in Mobile Terminal By Reducing Animation Dat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0892B2 (en) * 1995-11-06 2001-12-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GB9800900D0 (en) * 1998-01-17 1998-03-11 Philips Electronics Nv Graphic image generation and coding
JP3705923B2 (en) * 1998-04-09 2005-10-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providing medium, and data providing medium
KR100541192B1 (en) * 1998-07-20 2006-04-21 이지수 Wireless terminal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00009806A (en) * 1998-07-28 2000-02-15 이흥수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icture information expressed as vector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266B1 (en) * 2005-05-18 2007-10-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tructure having user interface based vector data and method for user interfacing in the mobile
KR100692101B1 (en) * 2006-06-30 2007-03-12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file service for transmitting files remotely
KR101043772B1 (en) * 2008-07-25 2011-06-22 주식회사 코아로직 Method for open vector graphic contents creation and computer readble record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2342B1 (en)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5890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verting frame-based animations into interpolator-based animations
US87495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based automatic zooming for document viewing on small displays
US6178426B1 (en) Apparatus with extended markup language data capture capability
CN102378958B (en) Message input device and data inputting method
US20040217980A1 (en) Image streaming
US20050116945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CN102077553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text triggered distribution of context models
WO2004056083A1 (en) Mobile graphics device and server
CN110609965A (en) P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7880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ortionally adjusting the size of images transmitte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CN112102437A (en) Canvas-based radar map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JP7261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racter color
KR1004123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JP2003316490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3313066A (en) Image recognition method, image recognition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08848404A (en) The two-dimensional barcode information shared system of mobile terminal
JP2011192008A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2084948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selection support program, and information selection support method
CN10051227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o media devices
Rischpater Wireless web development
CN108509509A (en) Webpage display process,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02202935A (en) Server device
EP1170675A1 (en) Presentation of customised data content
CN113888673A (en) Map editing method, system, device, comput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010082779A (en) Method for producing avatar using image data and agent system with the ava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