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456A -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456A
KR20010087456A KR1019990068389A KR19990068389A KR20010087456A KR 20010087456 A KR20010087456 A KR 20010087456A KR 1019990068389 A KR1019990068389 A KR 1019990068389A KR 19990068389 A KR19990068389 A KR 19990068389A KR 20010087456 A KR20010087456 A KR 20010087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upper case
case
crystal displa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주
권순영
김효진
Original Assignee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to KR101999006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7456A/ko
Publication of KR2001008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를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휴대용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휴대용 정보 처리장치는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상부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액정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탑 케이스를 구비한다. 탑 케이스는 표면이 상기 본체와 대면되게끔 노출되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를 모니터로 사용하는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과 이 액정표시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케이스로 구성된다. 액정표시모듈은 두장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로 구성되게 된다. 아울러 액정표시모듈에는 백 라이트 유니트로부터 액정패널 쪽으로 진행하는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세우기 위한 광 시이트들이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 백 라이트 유니트 및 광 시이트들은 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체결되어야 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게끔 보호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한 백 라이트 유니트 및 광 시이트들을 감싸게끔 형성되어진 액정표시장치용 케이스가 마련되게 되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Notebook Personal Computer)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정보처리장치에 마운팅(Mounting)되어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된다. 휴대용정보처리장치는 본체와 힌지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진 상부 케이스를 가진다. 이러한 휴대용정보처리장치는 슬림화를 위해, 액정표시장치를 상부 케이스에 다양한 형태로 고정하고 있다.
실제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가 베젤(2)에 의하여 바닥면에 고정되어진 상부 케이스(3)를 구비한다. 베젤(2)의보텀 날개부(2A)는 액정표시장치(1)의 측벽 하단부에 형성되어진 안내에 끼워지게 되어 액정표시장치가 전후좌우 및 상하로 유동하지 않게 한다. 베젤(2)의 벽부(2B)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고정편들(2C) 각각은 나사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3)의 바닥면에 형성된 인서트(3A)에 고정됨으로써 베젤(2)의 보텀 날개부(2A)가 끼워진 액정표시장치(1)가 유동하지 않게 한다.
이렇게 액정표시장치(1)가 고정되어진 상부 케이스(3)에는 액정표시장치(1)의 가장자리와 베젤(2)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어진 커버(4)가 설치되게 된다. 이 커버(4)에는 상부 케이스(3)의 측벽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진 요홈부(3B)에 체결되어질 후커들(4A)이 마련되게 된다. 이들 후커들(4A)은 요홈부(3B)와 교합됨으로써 커버(4)가 상부 케이스(3)로부터 벗겨지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베젤(2)이 액정표시장치(1)의 양측부가 상부 케이스(3)의 바닥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베젤을 가질 수 있는 커버(4)가 필요하게 된다. 이 커버(4)로 인하여,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커버의 두께에 만큼 두껍게 될 수밖에 없다. 또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베젤(2)의 벽부(2B)의 두께와 고정편들(2C)의 수평 길이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긴 수평측 길이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커버(4)가 상부 케이스(3)로부터 분리되지 않게끔 하는 훅커(4A) 및 요홈부(4B)와 같은 체결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하여,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훅커(4A)의 두께만큼 수평축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를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휴대용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케이스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케이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상부 케이스 10 : 완충부재
12 : 프레임 14 : 반사 시이트
16 : 백 라이트 유니트 18 : 광 시이트들
20 : 액정 패널 22 : 상부 편광판
24 : 탑 케이스 26 : 나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처리장치는: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상부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액정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탑 케이스를 구비한다. 탑 케이스는 표면이 상기 본체와 대면되게끔 노출되게 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2 내지 도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상부 케이스(8)를 도시한다. 이 상부 케이스(8)는 도시되지 않은 힌지에 의해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본체와 중첩되거나 또는 본체의 후단부를 기준을 90。이상의 각도로 열려지게 된다. 도2에 있어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상부 케이스(8)는 자신의 저면의 좌우측단 또는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완충부재(10)를 가진다. 상부 케이스(8)의 측벽들에는 관통 홀들(8A)이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10)는 자신의 상부에 탑재되는 액정표시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끔 탄성물질로 형성되게 된다.
이 탄성부재(10)의 상부에는 프레임(12), 반사 시이트(14), 백 라이트 유니트(16), 광 시이트들(18), 액정 패널(20) 및 상부편광판(22)이 적층되게 된다. 프레임(12)은 자신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반사 시이트(14), 백 라이트 유니트(16), 광 시이트들(18), 액정 패널(20) 및 상부 편광판(22)을 그들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8)의 상부에는 탑 케이스(24)가 설치되게 된다. 탑 케이스(24)는 도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부 편광판(22)의 표면의 가장자리와 상부 케이스(8)의 측벽들을 상부 케이스(8)에 안착되게 된다. 이러한 탑 케이스(24)는 자신의 측벽 및 상부 케이스(8)의 측벽 상의 관통 홀(8A)을 관통하여 프레임(10)의 벽부까지 진행하는 나사(26)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프레임(10) 및 그 위에 탑재되어진 반사 시이트(14), 백 라이트 유니트(16), 광 시이트들(18), 액정 패널(20) 및 상부 편광판(22)을 보호하게 된다. 이 경우, 탑 케이스(24)는 프레임(10)에 안착되는 반사 시이트(14), 백 라이트 유니트(16), 광 시이트들(18), 액정 패널(20) 및 상부 편광판(22)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부 케이스(8)의 커버의 역할까지도 담당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탑 케이스(24)의 표면은 본체을 향하게끔 노출되게 상부 케이스(8)의 측벽을 관통하는 나사(26)에 의해 상부 케이스(8)에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케이스(8)는 종래의 상부 케이스에 사용되었던 커버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그 커버의 두께만큼 얇아진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두께도 종래의 상부 케이스에 사용되었던 커버의 두께만큼 얇아지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탑 케이스(24)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편광판(22)의 표면의 가장자리와 프레임(12)의 측면들을 감쌈과 아울러 상부 케이스(8)의 측벽들의 안쪽 면들과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탑 케이스(24)는 상부 케이스(8)의 측벽 상의 관통 홀(8A), 자신의 측벽을 관통하여 프레임(10)의 벽부까지 진행하는 나사(26)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프레임(10) 및 그 위에 탑재되어진 반사 시이트(14), 백 라이트 유니트(16), 광 시이트들(18), 액정 패널(20) 및 상부 편광판(22)을 보호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탑 케이스(24)는 액정 패널(20)을 프레임(10)을 고정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되게 된다. 이렇게 탑 케이스(24)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되어진 액정패널(20)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는 상부 케이스(8)의 측벽을 관통하는 나사(26)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8)에 고정되게 된다. 이 때, 탑 케이스(24)의 표면은 본체와 대향되게 노출되어 종래의 커버의 역할까지도 담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케이스(8)는 종래의 커버의 두께에 해당하는 얇아진 두께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도 종래의 커버에 상응하는 두께만큼 얇아진 두께를 가진다.
다른 방법으로, 탑 케이스(24)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되어진 액정패널(20)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는 상부 케이스(8)의 측벽을 관통하는 나사(26)가 아닌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서도 상부 케이스(8)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탑 케이스(24)의 표면은 본체와 대향되게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10) 및 그 위에 안착되어진 반사 시이트(14), 백 라이트 유니트(16), 광 시이트들(18), 액정 패널(20) 및 상부 편광판(22)을 감싸는 탑 케이스로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가 나사(26)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8)의 측벽과 인접한 상태에 고정됨으로써,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커버가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커버에 상응하는 두께만큼 얇아진 두께를 가지게 된다. 또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베젤 및 커버의 후크가 제거되게 한다. 이 결과,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는 베질 및 커버의 후크가 차지하는 측방향의 길이만큼 측방향 길이가 짧아지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는 탑 케이스가 본체와 대향하게 노출되는 상태로 상부 케이스에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상부 케이스에 사용되었던 커버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케이스는 물론 이거니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는 종래의 커버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얄아진 두께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는 액정표시장치가 나사에 의해 상부 케이스의 측벽과 인접한 상태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고정방법에 사용되었던 베젤이 제거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는 베젤이 차지하는 측방향의 길이만큼 상부 케이스의 측방향 길이가 짧아지게 하여 슬림화 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상부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액정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액정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탑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탑 케이스는 표면이 상기 본체와 대면되게끔 노출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KR1019990068389A 1999-12-31 1999-12-31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KR20010087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89A KR20010087456A (ko) 1999-12-31 1999-12-31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89A KR20010087456A (ko) 1999-12-31 1999-12-31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456A true KR20010087456A (ko) 2001-09-21

Family

ID=1963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389A KR20010087456A (ko) 1999-12-31 1999-12-31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74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3313B2 (en) 2004-04-29 2008-12-09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3313B2 (en) 2004-04-29 2008-12-09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01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6492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13643B1 (ko) 노트북 컴퓨터용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0580551B1 (ko) 액정표시모듈
JP2007115261A (ja) 平板表示装置を有するコンピュ―タ
KR20040058577A (ko) 액정표시장치
US7006167B2 (en) Fixing structure for an LCD panel
JP4034452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299533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2341318A (ja) 平面表示装置
KR10049361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10087456A (ko)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KR10087051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00050749A (ko) 정보처리장치용 화상표시모듈
KR20060062177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663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3147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41201B1 (ko) 액정표시모듈을 사용한 정보처리장치 및 액정표시모듈 실장방법
KR20040031514A (ko) 액정표시장치
KR10045923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505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505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7636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9515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4383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