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728A - The amplifier for car audio - Google Patents

The amplifier for car audi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728A
KR20010081728A KR1020000007811A KR20000007811A KR20010081728A KR 20010081728 A KR20010081728 A KR 20010081728A KR 1020000007811 A KR1020000007811 A KR 1020000007811A KR 20000007811 A KR20000007811 A KR 20000007811A KR 20010081728 A KR20010081728 A KR 20010081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controller
main body
car audio
outpu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복
Original Assignee
김수일, 김수복
가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일, 김수복, 가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수일, 김수복
Priority to KR2020000004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264Y1/en
Priority to KR1020000007811A priority patent/KR20010081728A/en
Publication of KR2001008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728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amplifier for car audio is provided to control easily an amplifier for car audio in a driver sea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an amplifier for car audio. CONSTITUTION: A main body(6) has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8) and an operation portion(9).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8) is connected with external loud speakers. The operation portion(9) controls various functions of the main body(6). A controller(4) has an operation panel(10) to control the main body(6). The controller(4) is connected with the main body(6) by using a predetermined connection portion such as a cable(7) and a connecting terminal(15). The main body(6) has a remote terminal(12) to be connected with the controller(4).

Description

카오디오용 앰프{The amplifier for car audio}Amplifier for car audio {The amplifier for car audio}

본 발명은 앰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석에서 조절이 가능한 카오디오용 앰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l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 audio amplifier which can be adjusted in the driver's seat of a vehicle.

자동차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오디오시스템은 그의 출력이 적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만족스럽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사용자는 '파워앰프'라 일컬어지는 카오디오용 앰프를 장치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사운드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단지 음원을 제공하는 FM/AM 튜너, 카세트 데크 또는 CDP 등에 의한 프리앰프만이 운전석 전면에 장착되는 헤드유닛에 제공된다.A typical audio system installed in a car is often unsatisfactory for consumers because of its low output. The user can listen to music with satisfactory sound by installing a car audio amplifier called a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this, only preamplifiers such as FM / AM tuners, cassette decks or CDPs that provide sound sources are provided to the head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상기의 앰프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고 중량체이기 때문에 차량 운전석에 장착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앰프는 다수의 케이블로 연결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장치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또한, 앰프는 그 자체적으로 그의 각종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음향 제어부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가장 중요하며 기본적인 것으로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는 조정기능을 들 수 있다.The above amplifiers are generally bulky and heavy, making it difficult to mount them in the driver's seat. As a result, amplifiers were usually connected to the trunk of a vehicle by connecting multiple cables. In addition, the amplifier itself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output acoustic controls for adjusting it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one is an adjustment that includes an equalizer.

이퀄라이저는 각 주파수대별로 신호를 분류하여 개별적으로 증폭 또는 변조하는 기능으로서 수개의 조절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이퀄라이저등의 출력음향 제어부의 구비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음질은 상당히 다르게 표현되는 것은 익히 알고 있는 바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이 직접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요구하게 마련이다. 앰프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또는 연주되는 음악의 종류에 따라 그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근래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이퀄라이저 외에 밸런스(Balance), 트레블 & 베이스(Treble & Bass) 콘트롤, 또는뮤트(Mute) 기능들이 더욱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콘트롤하기 위해서는 많은 조절노브 또는 버튼이 제공되어야 한다.The equalizer classifies signals by frequency band and individually amplifies or modulates several control switches. It is well known that the output sound quality is expressed quit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 such as an equalizer is provided, and accordingly, the user needs to be able to directly adjust it. The amplifier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taste or the type of music to be played. Recently, balance, treble & bass control, or mute function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equalizer according to various needs of consumers. Many control knobs or buttons must be provided to control these various functions.

종래의 카오디오용 앰프는 그의 설치위치가 트렁크에 놓여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컨트롤러를 조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사용자는 특히, 여러 개의 아나로그식 조절노브 또는 버튼을 가지는 앰프를 조작하여 특정상태로 세팅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하였다.Conventional car audio amplifiers have often been fixedly installed with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placed in the trunk, making it difficult to adjust the controller. In particular, it was not easy for a user to operate an amplifier having several analog control knobs or buttons and set them to a specific state.

상기한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운전석에서도 조절이 용이한 카오디오용 앰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양한 앰프의 조작기능을 디지탈 방식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 is to provide a car audio amplifie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various amplifiers are to be able to operate more quickly and easily by digital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용 앰프(2)의 사시도로서, 컨트롤러(4)가 앰프본체(6)의 외부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 audio amplifi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amplifier main body 6.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컨트롤러(4)가 앰프본체(6)에 내장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4 may be built in the amplifier main body 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앰프 콘트롤러의 조작패널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on panel of the amplifier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의 조작패널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on panel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앰프 4 ; 컨트롤러2 ; Amplifier 4; controller

6 ; 앰프본체 10,10' ; 조작패널6; Amplifier body 10,10 '; Control panel

26,34 ; 선택버튼 28,38 ; 레벨조정버튼26,34; Selection buttons 28,38; Level adjustment button

30,40 ; 표시부30,40; Display

상기의 목적은, FM/AM 튜너, 카세트 데크 또는 C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 또는 수신되는 음원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프리앰프가 헤드유닛에 제공되며, 스피커를 포함하는 카오디오에 연결되는 것으로서,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reamplifier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a sound source signal reproduced or received by an FM / AM tuner, a cassette deck, a CD player, or the like, which is connected to a car audio including a speaker.

이퀄라이저(EQ), 밸런스(Balance) 또는 톤(Tone)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앰프로부터 인가되는 음원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앰프본체와; 상기 앰프본체의 상기 출력음향 제어부를 콘트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수단을 가지며, 상기 앰프본체로부터 이격 설치가 가능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앰프본체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통신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에 의해 달성된다.An amplifier main body including at least one output sound control unit such as an equalizer (EQ), a balance or a tone, and amplifying a sound source signal applied from the preamplifier and outputting it to the speaker; A controller having at least one switch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 of the amplifier main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The controller and the amplifier main body is achieved by a car audio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means for communicating in a st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콘트롤러(4)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that the controller 4 can be adjusted by a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콘트롤러(4)는 상기 앰프에 연결되는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더욱 포함한다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that the controller 4 further comprises a power switch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amplifi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컨트롤러(4)의 조정버튼이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 장착되는 헤드유닛에 제공되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that the adjustment button of the controller 4 is provided in the head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용 앰프(2)의 사시도로서, 컨트롤러(4)가 앰프본체(6)와 분리됨에 의해 차량의 탑승공간 내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 audio amplifi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4 can be individually installed in the vehicle's boarding space by being separated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6.

앰프본체(6)는 외부의 라우드 스피커(도시생략)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단자부Amplifier main body 6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loudspeaker (not shown)

(8) 및 그 자체에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부(9)를 가진다. 본 발명의 취지에 따르면, 앰프본체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부(9)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8) and the operation part 9 for adjusting a function by itself. According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9 for adjusting the function of the amplifier main body may be provided selectively.

앰프본체(6)는 본 발명의 앰프가 일반적으로 차량의 탑승공간 외부, 특히 트렁크와 같이 소홀히 하기 쉬운 곳에 설치되는 이유로 견고하게 제작된다.The amplifier body 6 is firmly manufactured for the reason that the ampl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installed outside a vehicle's boarding space, particularly in a place where it is easy to neglect, such as a trunk.

단자부(8)는 배터리, 차량 내의 전후좌우측에 설치되는 스피커 및 운전석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위 헤드유닛(Head Unit)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헤드유닛은 카세트 데크, FM/AM 튜너, CDP 또는 VDP 등을 포함하는 음원발생수단이 설치된다.The terminal portion 8 is usually provided in different shapes so as to be connected to a battery, a speaker install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nd a so-called head unit detachably mount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The head unit is provided with a sound source generating means including a cassette deck, FM / AM tuner, CDP or VDP.

컨트롤러(4)는 앰프본체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사양에 따라 그 형식이 다를 수 있으며, 수 개의 조정버튼이 제공되는 조작패널(10)을 가진다.The controller 4 is for adjusting the amplifier main body. The type of the controller 4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and has a control panel 10 provided with several adjustment buttons.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용 앰프에 의하면, 컨트롤러(4)와 앰프본체(6)는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앰프본체(6)은 리모트단자(12)를 가진다. 작은 케이스형태로 제공되는 컨트롤러(4)는 연결수단의 일종류인 케이블(7) 및 커넥팅단자(15)에 의해 앰프본체(6)와 접속된다.According to the car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4 and the amplifier main body 6 are connected so as to be communicable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connection means. For this purpose, the amplifier body 6 has a remote terminal 12. The controller 4, which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mall case,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6 by a cable 7 and a connecting terminal 15, which are one type of connecting means.

앰프본체(6)는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 등에 설치되며, 컨트롤러(4)는 차량의 대시보드, 운전석의 우측에 마련되는 변속기 하우징 또는 헤드유닛의 근방에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의 조작패널은 헤드유닛 자체에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mplifier main body 6 is install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4 is installed near the transmission housing or the head unit provided at the right sid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s se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head unit itself.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컨트롤러(4)가 앰프본체(6)에 내장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4 may be built in the amplifier main body 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컨트롤러(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프본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ler 4 has an amplifier body as shown.

(6) 내부로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앰프본체(6)는 그의 상면에 컨트롤러(4) 크기 이상의 넓이를 가지는 통로(18)가 형성되며, 컨트롤러(4)가안착되기 위한 안착부(20)를 가지며, 컨트롤러(4) 및 케이블(7)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진다.(6) It is provided to be fixed inwardly. To this end, the amplifier main body 6 has a passage 18 having a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controller 4 on its upper surface, and has a seating portion 20 on which the controller 4 is seated, the controller 4 and It has an internal space of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cable (7).

또한, 앰프본체(6)는 그의 내부에 컨트롤러(4)와 연결하기 내부접속단자(22)를 가진다. 즉, 컨트롤러(4)는 앰프본체(6)와 연결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안착되어 나사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컨트롤러(4)는 다시 나사 결합되는 커버부재The amplifier main body 6 also has an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22 for connecting with the controller 4 therein. That is, the controller 4 may be seated therein and connected and fixed by screws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4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6. The controller 4 is screwed back cover member

(24)에 의해 보호된다.Protected by 24.

이에 의해, 앰프(2)를 설치하는 방식의 선택폭이 확장된다. 즉, 사용자는 컨트롤러(4)를 내부접속단자(22)에 접속하여 앰프본체(6)에 내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리모트 단자(12)를 사용함으로써 운전석 등 이격된 장소에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Thereby, the selection range of the system in which the amplifier 2 is provided is expanded. That is, the user can connect the controller 4 to the internal connection terminal 22 to be incorporated in the amplifier main body 6, and also by using the remote terminal 12, the user can be installed in a place separated from the driver's seat or the like.

이는 컨트롤러를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거나, 앰프의 잦은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의 개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제공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의한 장점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앰프가 트렁크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커버부재(24)만을 분리함으로써 컨트롤러(1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커버부재(24)는 견고한 판재로서, 그 표면에 제품의 상표 내지 로고를 형성시킨다면 제품의 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중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is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personal situations where the controller is not easy to install in the driver's seat or when the amplifier needs to be adjusted frequently. The advantages of this method are as follows.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ler 10 by removing only the cover member 24 even when the amplifier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unk. The cover member 24 is a solid plate material, and if the trademark or logo of the product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such as to have multiple effects.

또한, 컨트롤러(4)가 앰프본체(6)에 내재되는 방식의 변경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앰프본체(6)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4)는 그 자체가 앰프본체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보다 용이하게 컨트롤러(10)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부재(24)는 일단이 앰프본체의 통로 내의 양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용이하게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change in the manner in which the controller 4 is inherent in the amplifier main body 6. The cover member 24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mplifier main body 6 may allow itself to be coupled or separated by the screw body and the amplifier main body. This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access the controller 10. Furthermore, the cover member 24 may be provided so that one end is easily opened or closed by being hinged to both sides in the passage of the amplifier main body.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앰프 콘트롤러의 조작패널(10)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peration panel 10 of the amplifier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앰프는 그 내부에 프리앰프로부터 인가되는 음원신호를 증폭, 분류 또는 변조 처리하기 위한 출력음향신호 제어회로(이하, 출력음향 제어부라 한다)를 가진다. 기존의 일반적인 앰프의 상기 음향신호 제어부는 아나로그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하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탈 방식이 채용된다.The amplifier has an output sound signal control circ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put sound control section) for amplifying, classifying, or modulating a sound source signal applied from the preamplifier therein. The sound signal controller of the conventional general amplifier is generally controlled in an analog manner,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below, a digital method is employed.

이를 위해, 콘트롤러에 의해 발생되는 디지탈신호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For this purpose, the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is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에 의해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앰프본체에 인가된다.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AC and appli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노브 대신 디지탈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앰프의 각종 출력음향 제어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26)을 누름으로써, 특정 출력음향 제어부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출력음향제어부는 기본적으로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제어부, 출력음향을 각 주파수별로 분류하여 증폭하는 이퀄라이저(EQ)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되는 전후좌우의 밸런스(Balance)를 조정하기 위한 밸런스 제어부, 음악의 종류(Pop, Rock 또는 Classic 등)별로 그 특성에 맞게 음질을 조정하기 위한 톤(Tone) 제어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퀄라이저의 다른 형태인 고음역대와 저음역대를 콘트롤하기 위한 Treble, Bass 제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button for adjusting in a digital manner is provided instead of a conventional knob. The user can adjust the specific output sound control unit by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26 for selecting various output sound control units of the amplifier.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 basically includes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and an equalizer control unit for classifying and amplifying the output sound for each frequency.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lance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balance of the output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a tone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sound qu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music (Pop, Rock, Classic, etc.). Of course. In addition, treble and bass controllers for controlling high and low frequencies, which are other types of equalizers, may be provided.

또한, 콘트롤러는 보조앰프에 연결되는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시동정지시에 있어서, 앰프에 의해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auxiliary amplifier. This is caused by the amplifier when the vehicle is stopped.

소모되는 배터리 전력을 세이브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It can be a useful means to save battery power consumed.

레벨조정버튼(28)이 콘트롤러의 전면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정(+) 또는 부(-)버튼으로 구성되는 레벨조정버튼(28)을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선택된 앰프의 제어부 레벨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30)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가A level adjustment button 28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ler. By selectively pressing the level adjustment button 28 constituted by the positive (+) or negative (-) button, the user can gradually adjust the control level of the selected amplifier. The display unit 3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시형광표시장치(VFD) 등의 표시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현상태의 메뉴 및/또는 레벨을 디스플레이한다.Display means, such as a visual fluorescent display device (VFD), may be used to display menus and / or levels in the current state.

일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벨조정버튼은 특정 출력음향 제어부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닌, 단지 ON/OFF를 위한 절환 스위치의 개념을 포함한다.In certain cases, the level adjustment button includes the concept of a switching switch for ON / OFF only, not step-by-step adjustment of a particular output sound control.

위와 같은 동작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용 앰프는 콘트롤러와 연계되어 출력음향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을 가진다. 마이콤은 콘트롤러 또는 앰프본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Car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ler. The microcomputer can optionally be installed in the controller or amplifier bod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앰프의 콘트롤러는 리모트 콘트롤러(도시생략)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컨트롤러(4)는 보다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앰프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트 콘트롤러와,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발생되는 원격제어신호를 검출하여 앰프를 조정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32)를 포함하는 원격신호 수신수단을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of the amplifier is provided to be adjustable by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According to this, the controller 4 may be installed at more various positions, and the user may operate the amplifier more conveniently. To this end, there is provided a remote signal receiving means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operated by a user and an infrared sensor 32 for detecting a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and adjusting the amplifi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콘트롤러의 조작패널(10')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 하여금 앰프의 여러 출력음향 제어부 가운데 자주 사용하거나 필요한 몇가지를 선택적으로 콘트롤러에 연결하여 앰프를 조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방식은 코드에 의한 직접적인 연결방식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전부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몇가지만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앰프의 모든 출력음향 제어부 가운데 몇 가지를 조합하여 몇 개의 메모리룸에 저장시킨후, 그 중 1개를 선택하여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다수의 제어부를 가지는 고급사양의 앰프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 방식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on panel 10 'of a controlle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amplifier by connecting several of the amplifier's various output acoustic controls that are frequently used or necessary to the controller. Such a connection method may be a direct connection method by a code, and further, may be a method of selectively connecting a few by a predetermined software in a fully connected state. That is, the user combines some of all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s of the amplifier, stores them in several memory rooms, and selects one of them to adjust. This is particularly useful for high end amplifiers with multiple controls.

메모리룸을 이용한 상기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여러 모드(MODE 1, MODE 2, MODE 3...) 가운데 하나(예를 들면, MODE 1)는 이퀄라이저 제어부 가운데 몇 개의 주파수 대역과 볼륨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예를 들면, MODE 2)는 톤 제어부, 볼륨제어부 및 Treble & Bass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BASS, ECHO, 또는 볼륨 제어부가 1개의 모드 내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의 선택버튼(34)은 모드선택버튼(35)과 제어부선택버튼(36)으로 제공된다. 모드선택버튼 (35)은 ON/OFF 스위치를 병용할 수 있으며, 몇가지의 제어부로 조합 구성된 여러 모드중 한가지(예를 들면, MODE 1)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One of several modes (eg, MODE 1)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using a memory room (for example, MODE 1) may be composed of several frequency bands and a volume control unit among the equalizer controllers. The other one (eg, MODE 2) may be composed of a tone control unit, a volume control unit, and treble & bass. Or the BASS, ECHO, or volume control may be stored in one mode. To this end, the selection button 34 of the controller is provided as a mode selection button 35 and a controller selection button 36. The mode selection button 35 may use an ON / OFF switch in combination and allow one of several modes (for example, MODE 1) to be combined with several control units.

사용자는 제어부선택버튼(36)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특정 모드에 속하는 앰프의 제어부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레벨조정버튼(38)을 사용하여 제어부선택버튼(36)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제어부를 정(+) 또는 부(-)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선택 조정된 앰프의 특정 상태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마이콤의 저장부에 저장된다.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controllers of the amplifier belonging to the selected specific mode by using the controller selection button 36. The user can adjust the specific control unit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selection button 36 using the level adjustment button 38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in the positive (+) direction or the negative (-) direction. The specific state of this selective tuned amplifier is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microcomputer using nonvolatile memory.

이는 콘트롤러(10')의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앰프의 조정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This makes the adjustment of the amplifier faster and easier with the size of the controller 10 'minimized.

여기서,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마이콤은 다음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더욱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어 저장해 놓은 특정한 앰프의 조정상태를 특정모드(MODE X)에 기억시킨후, 다시 상기의 특정모드(MODE X)가 선택되면 현재의 앰프상태가 해당하는 상기의 조정상태로 자동 복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Here, the microcomputer operating the system may further have a program having the following functions. That is, the above program stores the adjustment state of the specific amplifier stored and adjusted by the user in the specific mode MODE X, and when the specific mode MODE X is selected again, the current amplifier state corresponds to the above-mentioned. I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adjustment state of.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앰프의 조작방식은 개시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다.As such, the manner of operating the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based on the disclosed embodiments.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종래의 카오디오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카오디오 및 앰프를 일시에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면, 사용자는 카오디오 시스템을 보다 용이하게 조정하며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앰프를 조정하기 위한 콘트롤러의 조작패널이 헤드유닛 자체에 제공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car audio provided to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if the car audio and the amplifier can be temporarily adjusted by the remote controller, the user can more easily adjust the car audio system and listen to music. It becomes possible. For this purpose, an operation panel of the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amplifier may be provided in the head unit itself.

한편, 기존의 헤드유닛에 제공되는 수개의 조정버튼에 의해 앰프까지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각종의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마이콤은 콘트롤러 또는 앰프본체에 선택적으로 설치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edetermined program can be provided that can be adjusted even by the amplifier by the several adjustment buttons provided on the existing head unit. The microcomputer incorporating the various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and provided in the controller or the amplifier main body.

이러한 디지탈 방식이 채용에 따라 상기의 표시부를 통해 앰프의 물리적 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앰프가 과열되거나 하면, 이를 알람(Alarm)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열폭주에 의한 앰프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igital method employed, the physical state of the amplifie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n other words, if the amplifier is overheated, the alarm is notified to the us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mplifier due to thermal runaway.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카오디오용 메인앰프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요구하는 음질의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operate the car audio main amplifier,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music of the required sound qua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하다거나 자주 사용되는 몇가지의 제어부만을 콘트롤러에 연결해 놓은 상태에서 요구하는 바에 따라 앰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개인이 선호하는 앰프의 특정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매번 콘트롤러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없게 하는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amplifier as required in the state in which only a few control units which are necessary or frequently used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is creates a useful effect that eliminates the hassle of having to adjust the controller each time to adjust a particular amplifier's specific condition.

리모트 콘트롤러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앰프를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콘트롤러를 설치할 수 있는 범위가 확장되어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remote controller, the user can operate the amplifier more easily, and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by extending the range in which the controller can be installed.

Claims (9)

FM/AM 튜너, 카세트 데크 또는 C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 또는 수신되는 음원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프리앰프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카오디오에 연결되는 것으로서,It is connected to a car audio including a preamplifier and a speaker which processes and outputs a sound source signal reproduced or received by an FM / AM tuner, a cassette deck, or a CD player. 이퀄라이저(EQ) 제어부, 밸런스(Balance) 제어부 또는 톤(Tone) 제어부와 같은 출력음향제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프리앰프로부터 인가되는 음원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앰프본체와; 상기 앰프본체의 상기 출력음향 제어부를 콘트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수단을 가지며, 상기 앰프본체로부터 이격 설치가 가능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앰프본체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통신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An amplifier main body having at least one output sound control unit such as an equalizer (EQ) control unit, a balance control unit or a tone control unit, amplifying a sound source signal applied from the preamplifier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sound source signal to the speaker; A controller having at least one switch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 of the amplifier main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Car audio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means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amplifier main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케이블에 의한 유선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The amplifier for car audio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means is wired by a c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콘트롤러에 제공되는 원격신호 송신부와;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앰프본체에 제공되는 원격신호 수신부에 의한 무선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means comprises: a remote signal transmitter provided to the controller; Car audio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remo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by a remote signal receiving unit provided to the amplifier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본체는 상기 컨트롤러의 몸체 일부 또는 전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로(18)와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접속단자(22)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mplifier body is formed in the passage 18 and the internal space so that a part or all of the body of the controller can be retracted, the internal connection so that the communicat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controller is retracted into the internal space Car audio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rminal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본체의 조정방식은 디지탈 방식으로서, 상기 앰프본체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DAC)를 구비하며, 상기 콘트롤러의 스위치수단은 사용자 임의로 상기 앰프본체의 출력음향 제어부 가운데 하나를 지정하여 정(+) 또는 부(-)방향으로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1쌍 이상의 레벨조정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mplifier main body is a digital method, wherein the amplifi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the switching means of the controller is one of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 of the amplifier main body. Car audio amplifier comprising at least one level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level in the positive (+) or negative (-) direction by specify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본체의 조정방식은 디지탈 방식으로서, 상기 앰프본체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DAC)를 구비하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mplifier body adjustment method is a digital method, the amplifier body having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상기 콘트롤러의 스위치수단은, 사용자 임의로 상기 앰프본체의 출력음향 제어부 가운데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선택버튼과; 상기 선택버튼을 통해 선택된 특정한 출력음향 제어부의 레벨을 정(+) 또는 부(-)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1쌍의 레벨조정버튼을 가지며;The switch means of the controller includes: a selection button for arbitrarily designating one of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s of the amplifier main body; A pair of level adjustment buttons for adjusting a level of a specific output sound control unit selected through the selection button in a positive (+) direction or a negative (-) direction; 상기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출력음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And a microcomput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of the output sound controllers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of a user's manipulation. 제 5항 및 제 6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선택버튼 또는 상기 레벨조정버튼에 의해 선택되거나 조정된 상기 앰프본체의 특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탈표시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digital display for displaying a specific state of the amplifier main body selected or adjusted by the selection button or the level adjustment button. Car audio ampl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본체의 조정방식은 디지탈 방식으로서, 상기 앰프본체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DAC)를 구비하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mplifier body adjustment method is a digital method, the amplifier body having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상기 콘트롤러의 스위치수단은, 사용자 임의로 상기 앰프본체의 출력음향 제어부 가운데 2개 이상을 할당된 2개 이상의 메모리룸에 개별적으로 저장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2개 상의 모드(MODE)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버튼과; 상기 모드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상기 출력음향 제어부 가운데 1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과; 상기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상기 출력음향 제어부의 레벨을 정(+) 또는 부(-)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레벨조정버튼을 가지며;The switch means of the controller is a mode for selecting one of two phase modes (MODE) formed by allowing the user to individually store two or more of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s of the amplifier main body separately in two or more allocated memory rooms. A selection button;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one of the output sound controller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button; A level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output sound control unit selected by the selection button in the positive (+) or negative (-) direction; 상기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출력음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콤과;A microcomput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respective output sound control units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of a user's operation; 상기 모드선택버튼, 상기 선택버튼 또는 상기 레벨조정버튼에 의해 선택되거나 조정된 상기 앰프본체의 특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탈표시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And a digita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pecific state of the amplifier main body selected or adjusted by the mode selection button, the selection button or the level adjustment button. 제 5항, 제 6항 및 제 8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원격조정수단인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도록 원격신호수신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용 앰프.9. A car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6 and 8,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remote signal receiving means to be adjusted by a remote controller which is a remote control means. .
KR1020000007811A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KR2001008172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63U KR200189264Y1 (en)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KR1020000007811A KR20010081728A (en)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11A KR20010081728A (en)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463U Division KR200189264Y1 (en)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728A true KR20010081728A (en) 2001-08-29

Family

ID=196477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811A KR20010081728A (en)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KR2020000004463U KR200189264Y1 (en)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463U KR200189264Y1 (en) 2000-02-18 2000-02-18 The amplifier for car audi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172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01B1 (en) * 2006-12-07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dio system of vehicle for connecting portable sound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776A (en)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Audio and visual system of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01B1 (en) * 2006-12-07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dio system of vehicle for connecting portable sound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264Y1 (en)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639B1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5745583A (en) Audio playback system
US5661811A (en) Rear seat audio control with multiple media
US20060052167A1 (en) Mobile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JPS589270A (en) Radio cassette apparatus for automobile
US20030123678A1 (en) Vehicle power amplifier and voltage supply thereof
JP2928693B2 (en) Karaoke equipment
JP200300575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0249681B1 (en) Musical sound reproduction controller with two-stage adjustment of tone
KR20010081728A (en) The amplifier for car audio
JPH0787631B2 (en) Vehicle audio equipment controller
US20150224942A1 (en) Integrated entertainment device for vehicles
KR100758133B1 (en) Device and Method of Multimedia Regeneration Considering Propertie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User
JP4613058B2 (en) AUDIO DEVICE, ITS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454910Y1 (en) Mixing console unit for car audio
JP2006262181A (en) Audio signal processor
JPH0321060Y2 (en)
JPH06245299A (en) Hearing aid
KR100843722B1 (en) Multifunctional microphone device for karaoke in car
JP2002101499A (en) Acoustic reproducing device
KR100533845B1 (en) Speaker having equalizer
JP3892101B2 (en) In-vehicle audio equipment
KR970000798B1 (en) Portable wireless player
KR200150901Y1 (en) Output unit for portable cd and cassette
JP4431033B2 (en) AUDIO DEVICE, ITS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