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359A -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359A
KR20010079359A KR1020010040873A KR20010040873A KR20010079359A KR 20010079359 A KR20010079359 A KR 20010079359A KR 1020010040873 A KR1020010040873 A KR 1020010040873A KR 20010040873 A KR20010040873 A KR 20010040873A KR 20010079359 A KR20010079359 A KR 20010079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rd
byte
digits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194B1 (ko
Inventor
배상덕
소진수
Original Assignee
전영삼
씨엔씨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삼, 씨엔씨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영삼
Priority to KR10-2001-004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19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194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단말기에서 교통요금의 징수와 같은 카드이용대금의 즉시결제 승인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B/L카드번호 정보를 센터컴퓨터 또는 집계컴퓨터로부터 카드단말기 측으로 다운로드할 때, 그 전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 압축방법 및 그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카드를 이용한 교통요금의 자동징수나 구매대금의 징수시 즉시 거래 승인을 얻기 위한 B/L대조 방식의 카드결제시스템에서 최대의 문제는 센터 측으로부터 카드단말기 측으로 B/L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송할 B/L데이터를 압축하게 되는 데, 그 압축방법은 B/L DB에 수록된 일련의 B/L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소트시키는 단계와, 소트된 최 가장자리의 B/L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은행식별숫자를 1바이트 사이즈로 코드화 하고 그 카드번호의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를 32비트(4바이트)의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 표기하는 것으로 하나의 B/L카드번호당 데이터 크기를 5바이트의 크기로 압축 생성하는 단계와, 하나의 B/L카드번호에 대한 압축 데이터가 생성되면 다음 차례의 B/L카드번호에 대해서는 바로 앞의 B/L카드번호와의 차이값(오프셋 값)만 표기하여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번호 B/L데이터의 압축기술은 B/L데이터의 사이즈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집계컴퓨터 또는 센터컴퓨터에서 카드단말기 측으로 전송될 B/L데이터의 전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Method of B/L data compression of card and transmiss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대금 또는 교통요금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징수하기 위한 B/L(블랙 리스트)데이터 기반 카드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단말기에 보관 저장될 신용불량거래자의 카드번호인 B/L 데이터를 상위의 시스템에서 하위의 카드단말기에 다운로드할 때 그 전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교통이용요금 징수방식은 현금이나 토큰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부터 RF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선불제 카드나 후불제 신용카드 결제방식으로 그 추세가 이동해가고 있다.
RF카드를 이용한 교통요금의 징수방식은 일반인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현금을 소지해야 하는 부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교통 이용요금의 징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준다.
특히, 후불방식의 RF 신용카드시스템은 선불방식과는 달리 사전에 금액을 리필 시켜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카드만으로 신용카드와 교통카드의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어 많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후불제 카드방식은 요금징수나 대금 결제시 B/L 데이터의 체크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카드단말기마다 B/L데이터 저장모듈을 설치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B/L데이터의 업데이트는 그 업데이트 주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그 요금이나 대금의 징수가 정확해 진다.
그런데 카드단말기의 B/L데이터 저장모듈에 수록될 B/L데이터의 업데이트시 그 B/L 데이터의 전송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가령, 신용불량카드정보를 가지고 있는 B/L DB에 수록된 B/L카드의 수가 1,000,000건 일 경우, 하나의 B/L카드번호가 차지하는 데이터 크기는 16바이트(카드숫자 16개, 숫자 1개당 1Byte 소요)이므로, 전체 B/L DB의 사이즈는 16Mbyte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자동운임 징수시스템을 예를 들 경우, 여기에 적용되고 있는 집계컴퓨터와 카드단말기간 통신선로의 전송속도는 38400bps이므로 이 통신선로를 통하여 위의 B/L데이터를 집계시스템에서 카드단말기로 다운시키는데 대략 55분이 소요되게 된다.
그러나 위의 55분은 이상적인 최대전송속도에 맞추어 계산된 것이며, 현실적인 전송속도는 100,000Byte당 평균적으로 15분이 소요되고 있으므로 1,000,000 Byte의 B/L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50분 정도에 이른다.
만일, 센터컴퓨터로부터 카드단말기로 직접 B/L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전송속도가 집계컴퓨터와 카드단말기 간의 전송속도 보다 훨씬 떨어지는 19,200bps 정도이므로, 이러한 통신속도로 카드단말기에 B/L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데는 대략 300분 정도가 소요될 것이다.
이와 같은 B/L데이터의 전송시간은 지하철 또는 전철운임 자동징수시스템에서는 매우 긴 시간이다. 통상, 지하철 또는 전철의 운행정지시간은 매일 2시간에서 2시간 30분 정도에 불과한데, 그 지하철 또는 전철의 운행정지 시간동안에 집계컴퓨터가 처리해야할 정보는 게이트 측 카드단말기로의 B/L 데이터 전송 외에, 운행시간에 관련된 역정보 처리, 할인율 적용테이블 처리, 요금테이블 처리, 역 코드테이블 처리 등 매우 많다.
그런데, 집계컴퓨터에서 카드단말기 측으로의 B/L데이터 다운로드 중에는 그 통신선로가 B/L전송에 의해 점유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업무의 수행이 불가능하므로 B/L다운로드를 제외한 집계컴퓨터와 카드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시간은 실질적으로 얼마 되지 않아 지하철이나 전철의 운행시스템의 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다.
더욱, B/L 데이터의 사이즈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그 크기가 점점 더 커지지는 속성을 가지므로 이를 센터컴퓨터 또는 집계컴퓨터에서 카드단말기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은 점점 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B/L데이터의 전송시간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망을 고속화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통신망을 철거하고 새로운 고속망을 설치한다고 할 때 그 비용이 어마 어마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통신망 교체작업에 따른 시스템다운 및 시스템 안정화에 걸리는 손실 분을 고려할 때, 통신망의 교체는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설계변경 없이 B/L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그 B/L데이터의 사이즈를 축약시키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데이터의 압축기술은 임의의 데이터 열 상에서 반복적으로 나오게 되는 일정한 패턴을 인식하여 이를 축약 기입하는 것으로 데이터 사이즈를 줄이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B/L데이터는 그들이 불특정한 숫자들의 조합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그 데이터 열 상에서 어떠한 특징적인 패턴의 반복성을 찾을 수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데이터 압축기술을 적용하여 압축시키는 것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대금 또는 교통요금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징수하기 위한 카드결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B/L데이터의 사이즈를 압축할 수 있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대금 또는 교통요금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징수하기 위한 B/L기반 카드결제 시스템의 카드단말기에 대해 센터컴퓨터 측으로부터 새롭게 갱신된 B/L정보를 전송할 때, 그 전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드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카드의 카드번호 구조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압축된 B/L카드번호 데이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L카드번호 데이터의 기본적인 오프셋 값 이용 압축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B/L카드번호 데이터의 2진 부호화 압축과 오프셋 이용 압축의 동시 적용 예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MS카드 20 : RF카드
30 : 카드단말기 31 : 주제어모듈
32 : 통신모듈 33 : 인터페이스모듈
34 : 디스플레이 35 : 키입력부
36 : 비프발생기 37 : 거래내역 저장모듈
38 : B/L데이터 저장모듈 39 : RF카드 엑세스모듈
40 : MS카드 엑세스모듈 50 : 집계컴퓨터
60 : 센터컴퓨터 70 : B/L DB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B/L데이터 압축방법은 B/L DB에 수록된 신용불량카드의 목록을 불러들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는 단계와,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는 단계와,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차례대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인 인접 B/L데이터 간 차이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상기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B/L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은 금융전산망을 통해 신용불량자의 카드번호 목록을 제공하는 B/L DB와, 상기 B/L DB에 수록된 신용불량카드의 목록을 불러들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고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고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집계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센터컴퓨터와, 상기 센터컴퓨터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다운로드 되는 압축된 갱신 B/L데이터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수신하는 집계컴퓨터와, 상기 집계컴퓨터로부터 B/L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그 압축을 해제한 후 B/L데이터 저장모듈에 보관하고 카드 엑세스모듈을 통하여 이용자 카드의 카드번호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번호를 B/L데이터에 조회한 후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카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의 B/L데이터 압축 전송시스템은 금융전산망을 통해 신용불량자의 카드번호 목록을 제공하는 B/L DB와, 상기 B/L DB에 수록된 신용불량카드의 목록을 불러들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고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고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집계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센터컴퓨터와, 상기 센터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 입력되는 압축된 B/L데이터를 수신하여 압축을 해제한 후 B/L데이터 저장모듈에 보관하고 카드 엑세스모듈을 통하여 이용자 카드의 카드번호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번호를 B/L데이터에 조회하여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카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B/L데이터 압축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의 카드번호 체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모두 16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 카드번호 중에서 앞의 6자리는 은행식별번호이다. 이 은행식별번호는 카드발행 은행별로 수 개에서 수십 개 보유할 수 있다. 다음, 은행식별번호 이후의 7번째 숫자부터 15번째 숫자까지는 해당 카드에 부여된 고유의 숫자이다. 마지막으로 16번째 숫자는 체크 디지트로서 앞의 15자리의 숫자를 조합하여 생성되는 숫자이며, 이 16번째 숫자의 값을 이용하여 카드사 측에서는 결제를 위해 사용되는 카드의 진위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B/L DB에 수록된 B/L 카드번호는 16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이들 16개의 숫자를 표시하는데 숫자 하나 하나마다 1바이트가 소요되므로 하나의B/L카드번호는 16바이트의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다.
이러한 16바이트의 B/L데이터 사이즈는 매우 커서, 전송시간이 길어지므로 그 데이터 사이즈를 줄일 필요가 있다.
먼저,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자리까지의 숫자는 카드발행사의 은행식별번호로서 이를 1바이트로 코드화 시킬 수 있다. 1바이트(8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가지 수는 256(28)이므로 이 1바이트에 들어가는 BIN의 수는 256이다. 즉, 1바이트의 BIN코드는 256개의 은행식별번호를 구분할 수 있다.
이 정도이면 현재 우리 나라에서 발행된 카드종류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그래도 부족하다면 기존의 은행식별코드(1바이트)에 다시 1바이트를 추가하여 은행식별코드를 2바이트 체계로 생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용할 수 있는 은행식별번호는 최대 216개가 될 것이다.
한편, 16개의 카드번호 중에서 마지막 숫자인 16번째 숫자는 카드사용자가 카드결제 요청이 있을 경우 카드사는 해당 카드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16번째의 카드번호, 즉, 체크디지트로 사용한다.
이 체크디지트는 앞의 15개의 카드번호의 조합을 통하여 생성되는 숫자로서, 이 숫자를 조회하는 것을 통하여 결제요청카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이것은 카드의 고유번호와 전혀 상관없는 데이터이므로 삭제시킨다.
따라서, B/L체크 정보는 은행식별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1바이트(필요한 경우에는 2바이트)와 상기 9개의 카드고유번호를 표현하기 위한 9바이트를 포함하여 총10바이트로서 하나의 신용불량카드번호를 압축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시,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는 32비트의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카드고유번호를 나타내는 9개의 숫자는 4바이트로 표시(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
총 16자리의 카드번호중에서 7번째 자리의 숫자부터 15번째 자리의 숫자에 의한 9자리 수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최대 값은 "999999999"이다. 이것은 아래와 같이 16진수(헥사데시멀)와 2진수(바이너리)로 변환 표기될 수 있다.
999999999 ⇒ 0x3b9ac9ff ⇒ 0011 1011 1001 1010 1100 1001 1111 1111
즉, 9자리의 숫자를 표기하는데는 최대 32비트(상위 2비트는 불변 값이므로 엄밀하게는 30비트)면 충분하므로 4바이트가 소요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B/L카드번호에 대한 전송할 데이터의 사이즈는 BIN코드용 1바이트를 포함하여 총 5바이트면 충분하다. 이것은 당초의 사이즈(16바이트)보다 1/3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므로, 센터컴퓨터나 집계컴퓨터로부터 카드단말기측으로 전송될 전체 B/L데이터의 사이즈 축약에 따른 획기적인 전송시간의 단축효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본 발명은 B/L카드데이터를 압축 생성하는데 있어 하나 하나의 B/L카드번호마다 무조건 5바이트씩 할당하지 않고, 앞의 B/L카드번호와의 차이(오프셋)값 만 추출하여 리스팅 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B/L데이터의 사이즈를 현저히 줄여 그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L카드번호 데이터의 기본적인 오프셋 값 이용 압축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B/L데이이터의 압축에 앞서 전체 B/L카드번호를 그 번호크기 순으로 소트시켜 놓고, 카드번호순으로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고,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차례대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인 인접 B/L데이터 간 차이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상기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B/L카드번호 데이터를 압축한다.
도 4는 앞의 과정을 통하여 압축된 B/L카드번호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이고 있다.
한편, BIN 코드는 그것이 바뀔 때 만 표기하도록 한다면 전체 B/L데이터 사이즈는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B/L데이터를 표기하면 4바이트보다 훨씬 적은 바이트를 가지고도 하나의 B/L카드번호를 표기할 수 있다.
B/L데이터 간 오프셋 값은 아래와 같이 1바이트에서 4바이트 중 어느 하나로 표현가능 하며, 그의 구분은 32비트(4바이트)중 상위 2비트를 이용하면 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16자리의 카드번호에 포함되어 있는 9개의 카드고유번호를 바이너리로 표기할 때 그 최대숫자(999999999)를 표기함에 있어 32비트 중 상위2비트는 항상 불변 값이므로 이것을 오프셋 값(차이 값)이 위치하는 바이트 수의 표시정보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접 B/L데이터 간 차이 값(오프셋 값)의 비트 수 표기는 아래와 같다.
0x00000001 ∼ 0x0000003f ⇒ (1B) 01xxxxxx
0x00000040 ∼ 0x00003fff ⇒ (2B) 10xxxxxx xxxxxxxx
0x00004000 ∼ 0x003fffff ⇒ (3B) 11xxxxxx xxxxxxxx xxxxxxxx
0x00400000 ∼ 0x3fffffff ⇒ (4B) 00xxxxxx xxxxxxxx xxxxxxxx xxxxxxxx
한편, B/L카드번호가 중복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도 인접 B/L카드번호 간 차이 값이 0으로 나타날 수 없다.
그러므로 차이 값 0의 정보를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이 값이 0을 BIN코드 바뀜 신호로 사용하고 있다.
즉, 하나의 은행식별코드를 A라고 하고 이 은행식별코드에 따르는 일련의 B/L오프셋 값이 연속해서 생성되다가 은행식별코드 A가 끝나고 다음의 은행식별코드 B가 시작하게 된다면, 이때 은행식별코드가 바뀐다는 식별로서 오프셋 값(차이값) 0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가령, BIN코드 A의 변경(오프셋이 0일 때)조건을 0x40 'A'의 2바이트로 정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BIN 코드 값이 바뀔 때에만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B/L카드번호 데이터의 압축은 B/L카드번호당 5바이트를 적용했을 때의 데이터 사이즈 보다 전체 B/L데이터 사이즈를 1/5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B/L카드번호 데이터의 2진 부호화 압축과 오프셋 이용 압축의 동시 적용 예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먼저 센터컴퓨터에서는 B/L DB로부터 B/L카드번호 데이터를 로드하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시켜 놓는다.
다음, 최 가장자리의 B/L카드번호 또는 임의의 B/L카드번호를 정하여 은행식별번호를 1바이트의 은행식별코드로 변환 생성하고, 16자리의 카드번호중 7번째부터 15번째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데이터를 30비트의 2진수로 변환 생성한다.
이후, 다음의 B/L카드번호는 바로 앞의 B/L카드번호와의 차이 값인 오프셋 값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오프셋 값은 그의 앞의 4종류의 바이트(1Byte/2Byte/3Byte/4Byte) 중 어느 하나의 바이트에 상당하게 될 것이며, 그 바이트의 지정은 상위 2비트에 바이너리(01,10,11,00)값으로 표기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앞에서 오프셋 값만을 가지고 있는 B/L카드번호는 그 다음에 오는 B/L카드번호에 대해 오프셋 값의 기준 값을 제공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하나의 신용불량 카드번호가 5바이트의 데이터 값으로 변환 생성되면 그 다음의 B/L카드번호는 앞의 인접한 B/L카드와의 차이 값만을 표기하는 식으로 B/L데이터를 현저히 압축되는 것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B/L데이터 압축 전송시스템은 크게 카드단말기(30)와 집계컴퓨터(50)와 센터컴퓨터(60)와 B/L DB(70)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B/L DB(70)는 일정액 이상의 금융사고를 일으킨 모든 신용불량자의 카드번호 목록을 수시로 갱신 보유하며, 이러한 B/L정보를 가지는 DB는 금융전산망을 통하여 센터컴퓨터(60)뿐만 아니라 모든 금융관련업무 처리시스템에 접속된다.
상기 센터컴퓨터(60)는 상기 B/L DB에 수록된 신용불량카드의 목록을 불러들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고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고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집계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압축 생성된 B/L데이터는 다수의 카드단말기 또는 집계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각각의 카드단말기(30)와 집계컴퓨터(50)와 접속된다.
상기 카드단말기(30)는 RF카드(20)를 무선으로 액세스하는 RF전용 카드단말기, MS카드(10)를 접촉식으로 엑세스하는 MS전용 카드단말기, 그리고 RF카드와 MS카드를 각각 엑세스할 수 있는 접촉식/비접촉식 겸용 카드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센터컴퓨터(60) 또는 집계컴퓨터(50)로부터의 갱신 B/L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상기 센터컴퓨터(60) 또는 집계컴퓨터(50)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집계컴퓨터(50)는 일 예로 지하철역의 게이트마다 설치된 카드단말기들, 버스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있는 요금징수용 카드단말기들, 백화점이나 대형매장의 각 계산대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카드단말기들에서 각각 처리된 거래정보를 집계 처리하여 그 집계정보를 센터컴퓨터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센터컴퓨터 측으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B/L데이터를 각각의 카드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센터컴퓨터(60)에 접속된다.
도 2는 상기 카드 단말기(30)의 구체적인 내부구성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카드단말기(30)는 주 제어모듈(31)과, 이 주 제어모듈에 연결되어 RF카드(20)를 액티브 시키기 위한 무선전파를 방사하고 데이터 교환을 실행하는 RF카드 엑세스모듈(39)과, 카드의 거래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거래내역 저장모듈(38)과, 집계컴퓨터(50) 또는 센터컴퓨터(60)와의 사이에서 갱신 B/L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거래 승인된 카드번호별 거래정보를 업로드하기 위한 통신모듈(32)과, 이용요금, 카드사용액, 거래승인여부 등의 금액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34) 및 관리자 조작을 지원하기 위한 키입력부(35)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과, 거래불가 경고음을 발생하는 비프발생기(36)와, 및 카드번호별 거래내역 정보를 저장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집계컴퓨터 측에 거래정보를 로드하기 위한 거래내역 저장모듈(37)로 구성된다.
또한 위와 같은 RF카드용 카드단말기에 MS카드의 엑세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주제어모듈(31)상에 MS카드액세스모듈(40)을 접속하여 놓음으로서, MS카드(10)의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카드정보를 읽어들여 요금징수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B/L DB(70)에는 카드사 및 은행 등에서 올라오는 신용불량자의 카드번호를 생성하는 B/L센터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금융전상망 상의 B/L목록을 보유한다.
센터컴퓨터(60)는 상기 B/L DB로부터 제공되는 B/L카드별로 그의 16자리의카드번호를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고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한다.
또한 상기 센터컴퓨터(60)는 위의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집계컴퓨터(50)측으로 전송한다.
집계컴퓨터(50)는 상기 센터컴퓨터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다운로드 되는 압축된 갱신 B/L데이터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수신하여 카드단말기(30)측으로 다운로드 한다.
상기 카드단말기(30)는 상기 집계컴퓨터로부터 B/L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그 압축을 해제한 후 B/L데이터 저장모듈에 보관하고 카드 엑세스모듈을 통하여 이용자 카드의 카드번호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번호를 B/L데이터에 조회한 후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숫자(9개)마다 각각 1바이트씩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10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4바이트를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5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일 수 있다.
특히, B/L데이터의 압축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4바이트(32비트)크기의 데이터 중에서 카드고유번호 숫자의 표기에 사용되지 않는 상위 2비트를 오프셋 값의 크기를 구분하는 4종류 바이트(1Byte/2Byte/3Byte/4Byte)의 식별자(00,01,11,00)로 활용할 수 있다.
인접 B/L카드번호와의 차이 값을 표기하는 오프셋 값의 바이트 수는 그 오프셋 값의 차이에 따라 그 소요 바이트 수가 1바이트가 될 수도 있고 많으면 4바이트가 될 수도 있어 그 데이터 량이 불특정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오프셋 값은 4바이트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B/L데이터는 높은 압축비율로 압축되게 된다. 실험에 있어 그 압축율은 1/5정도로 나타났다.
이렇게 만들어진 압축B/L카드번호 데이터는 다수의 카드단말기(30) 또는 집계컴퓨터(50)측으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카드단말기(30)는 센터컴퓨터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압축된 B/L카드번호를 집계컴퓨터(50)를 통해 중계 수신한 후, 그 압축된 B/L카드번호의 오프셋 기반 압축을 해제하여 그 신용불량 카드 데이터를 B/L데이터저장모듈에 보관한다.
이후, 카드단말기(30)에 카드 엑세스모듈을 통한 이용자 카드의 카드번호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번호를 B/L데이터에 조회하여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카드단말기(30)와 센터컴퓨터(60)는 위의 집계컴퓨터(5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압축된 B/L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B/L데이터를 센터컴퓨터에서 압축하고, 이렇게 압축된 B/L데이터를 카드단말기(30)에서 다운로드 하여 압축을 풀어 B/L모듈의 데이터를 갱신한 다음 카드 결제 승인에 사용하게 된다.
한편, 카드단말기(30)의 통신모듈(32)을 통해 접속된 집계컴퓨터(50) 또는 센터컴퓨터(60)측의 B/L 데이터는 주제어모듈(31)의 제어에 따라 B/L 데이터저장모듈(38)에 저장된다. 따라서, MS카드(10) 또는 RF카드(20)소지자가 자신의 카드를 사용함으로서 MS카드 또는 RF카드의 카드번호정보가 각각 MS카드엑세스모듈(40) 또는 RF카드엑세스모듈(39)에 의해 각각 읽혀지게 되면 이러한 결제요구 카드번호는 상기 B/L데이터저장모듈(38)의 B/L 값에 조회되어 그 결과로 거래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여기에서 거래 승인된 카드는 그 거래내역이 거래내역저장모듈(37)에 저장되며, 또한 이러한 거래정보는 집계컴퓨터 또는 센터컴퓨터로 업로드된다.
또,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듈(33)에 접속된 디스플레이(34)에는 카드 이용요금, 카드사용액, 거래승인여부 등의 금액정보가 표시되며, 키 입력부(35)는 조건설정 등에 관련한 관리자 조작을 지원하고 비프발생기(38)는 거래승인 또는 거래불가 정보를 음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대금 또는 교통요금 등의 신속결제 처리를 위한 B/L기반 카드결제 시스템에서 그 B/L 데이터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그 전송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3)

  1.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 압축방법에 있어서, B/L DB에 수록된 신용불량카드의 목록을 불러들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는 단계;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차례대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인접 B/L데이터 간차이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상기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숫자(9개)마다 각각 1바이트씩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10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4바이트(32비트)를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5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4바이트(32비트)크기의 데이터 중에서 카드고유번호 숫자의 표기에 사용되지 않는 상위 2비트를 오프셋 값의 크기를 구분하는 4종류 바이트(1Byte/2Byte/3Byte/4Byte)의 식별자(00,01,11,00)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 0인 경우에는 이것을 특정 은행식별코드에 대한 일련의 오프셋 값 생성이 완료되고 다음의 은행식별코드의 시작을 식별시키기 위한 BIN코드 전환 식별용 코드 값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6. 금융전산망을 통해 신용불량자의 카드번호 목록을 제공하는 B/L DB(70)와, 상기 B/L DB에 수록된 신용불량카드의 목록을 불러들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고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고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집계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센터컴퓨터(60)와, 상기 센터컴퓨터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다운로드 되는 압축된 갱신 B/L데이터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수신하는 집계컴퓨터(50)와, 상기 집계컴퓨터로부터 B/L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그 압축을 해제한 후 B/L데이터 저장모듈에 보관하고 카드 엑세스모듈을 통하여 이용자 카드의 카드번호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번호를 B/L데이터에 조회한 후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카드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숫자(9개)마다 각각 1바이트씩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10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4바이트를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5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4바이트(32비트)크기의 데이터 중에서 카드고유번호 숫자의 표기에 사용되지 않는 상위 2비트를 오프셋 값의 크기를 구분하는 4종류 바이트(1Byte/2Byte/3Byte/4Byte)의 식별자(00,01,11,00)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10. 금융전산망을 통해 신용불량자의 카드번호 목록을 제공하는 B/L DB(70)와, 상기 B/L DB에 수록된 신용불량카드의 목록을 불러들여 카드번호순으로 소트하여 순차 배열시키고 순차 배열된 B/L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B/L데이터를 기준 값으로 정하고 이 기준 값 B/L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일련의 B/L데이터들의 오프셋 값을 연속적으로 산출 정렬시켜 기준 B/L데이터 값과 오프셋 값들만으로 데이터를 압축하여 카드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센터컴퓨터(60)와, 상기 센터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 입력되는 압축된 B/L데이터를 수신하여 압축을 해제한 후 B/L데이터 저장모듈에 보관하고 카드 엑세스모듈을 통하여 이용자 카드의 카드번호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번호를 B/L데이터에 조회하여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카드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숫자(9개)마다 각각 1바이트씩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10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B/L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체의 B/L카드번호 데이터는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처음 6번째 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는 은행식별숫자를 코드화하는데 1바이트를 할당하고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4바이트를 할당하여 압축 생성시킨 5바이트 크기의 압축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6자리의 카드번호 중에서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의 9개의 카드고유번호 숫자를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4바이트(32비트)크기의 데이터 중에서 카드고유번호 숫자의 표기에 사용되지 않는 상위 2비트를 오프셋 값의 크기를 구분하는 4종류 바이트(1Byte/2Byte/3Byte/4Byte)의 식별자(00,01,11,00)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 전송시스템.
KR10-2001-0040873A 2001-07-09 2001-07-09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KR100389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873A KR100389194B1 (ko) 2001-07-09 2001-07-09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873A KR100389194B1 (ko) 2001-07-09 2001-07-09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359A true KR20010079359A (ko) 2001-08-22
KR100389194B1 KR100389194B1 (ko) 2003-06-27

Family

ID=1971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873A KR100389194B1 (ko) 2001-07-09 2001-07-09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1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101A (ko) * 2001-12-12 2002-01-29 주식회사 애니콤소프트웨어 데이터의 비트 인덱스 압축방법
KR20030083431A (ko) * 2002-04-23 2003-10-30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카드번호리스트의 압축방법 및 그 장치
WO2003098514A1 (en) * 2002-05-21 2003-11-27 Smartro Co., Ltd Small sum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pre-approval using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980467B1 (ko) * 2008-05-28 2010-09-07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카드 거래 승인 방법
KR100987816B1 (ko) * 2008-05-28 2010-10-13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관리 시스템 및 서버와 카드 승인 단말 장치
WO2014181979A1 (ko) * 2013-05-06 2014-11-13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제어리스트의 생성 및 압축방법
KR20160038664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교통 요금 분산 처리 시스템 및 교통 요금 분산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17071058A1 (zh) * 2015-10-30 2017-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区域识别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984B1 (ko) 2013-03-19 2015-02-11 주식회사 에이텍 카드 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734B1 (ko) * 1996-08-13 2001-02-01 전영삼 Rf(무선인식) 직불카드 시스템
JP3822359B2 (ja) * 1998-06-26 2006-09-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認証用媒体のブラックリストデータの送信方法ならびに認証用媒体の照合方法、照合装置および認証管理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101A (ko) * 2001-12-12 2002-01-29 주식회사 애니콤소프트웨어 데이터의 비트 인덱스 압축방법
KR20030083431A (ko) * 2002-04-23 2003-10-30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카드번호리스트의 압축방법 및 그 장치
WO2003098514A1 (en) * 2002-05-21 2003-11-27 Smartro Co., Ltd Small sum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pre-approval using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454140B1 (ko) * 2002-05-21 2004-10-26 주식회사 스마트로 정보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시스템 및방법
KR100980467B1 (ko) * 2008-05-28 2010-09-07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카드 거래 승인 방법
KR100987816B1 (ko) * 2008-05-28 2010-10-13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관리 시스템 및 서버와 카드 승인 단말 장치
WO2014181979A1 (ko) * 2013-05-06 2014-11-13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제어리스트의 생성 및 압축방법
KR20160038664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교통 요금 분산 처리 시스템 및 교통 요금 분산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17071058A1 (zh) * 2015-10-30 2017-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区域识别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194B1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8487B2 (en) Public transit system fare processor for multi-balance funding
US7953634B2 (en) Direct currency conversion
CA24986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tored value card to a credit card
CN101853456A (zh) 用于卡付款系统的动态货币转换
CN104303197A (zh) 用于实时的账户访问的系统和方法
KR100389194B1 (ko)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CN102906775A (zh) 动态货币兑换系统和方法
JP5073886B2 (ja) オンライン金融取引をリアルタイムで処理する方法
KR20010079358A (ko)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KR20010079357A (ko) 카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방법 및 그의 전송시스템
CN114297703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交易数据管理系统
US20030023553A1 (en) Remote self-servicing management of invoicing for billing parties
JPH0311492A (ja) プリペイドカード決済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プリペイドカード
KR100610529B1 (ko) 카드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압축저장방법 및 그 검색방법
AU2013201182C1 (en) Dynamic currenc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KR20030083431A (ko) 카드번호리스트의 압축방법 및 그 장치
GB2362492A (en) Pay-as-you-go metering with supplier choice
SG188043A1 (ko)
AU2015201524A1 (en) Dynamic currenc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UA91833C2 (uk) Пряма конверсія валю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