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411A -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411A
KR20010078411A KR1020000016837A KR20000016837A KR20010078411A KR 20010078411 A KR20010078411 A KR 20010078411A KR 1020000016837 A KR1020000016837 A KR 1020000016837A KR 20000016837 A KR20000016837 A KR 20000016837A KR 20010078411 A KR20010078411 A KR 20010078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naire
information
user
item
correct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식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신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식 filed Critical 신종식
Priority to KR102000001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8411A/ko
Publication of KR2001007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411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넷상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원하는 시험문제의 유형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유형에 따라 단문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여 사용자들이 정답을 표기하도록 사용자 정답란을 위한 별도의 입력 창을 만들지 않고, 문제지의 문항에 따른 보기 중에서 하나의 정답을 골라 체크할 수 있는 기능과 단답형 주관식에 대해 입력할 수 있는 입력기능을 지원하고, 또한 문제지의 문제번호 상에 ""와 "" 등 다양한 표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답안에 대한 채점 기능과 점수를 문제지 상단에 나타내는 기능을 제공하고 "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EVALUATING SELF LEARNING USED INTER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상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원하는 시험문제의 유형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유형에 따라 단문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여 하나의 시험문제지를 구성한 후 자동채점하고 오답에 대한 해설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학습 평가방법으로는 기출제된 기출문제지를 인쇄물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풀도록 하고 정답을 맞춰보거나 선생님 등이 학습평가를 위한 문제를 출제한 후 학습자에게 풀도록 하여 학습을 평가하고 문제풀이를 통해 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고 있다.
특히, 학습자 개인이 스스로 학습 평가를 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쇄물 등으로 발간된 기출문제 등을 모두 풀어보는 방법외에는 없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에게 취약한 문제나 유형을 선택하여 풀게 되는데 이는 많은 문제들 중에서 선택하는 번거로움과 능력의 차이에 의해 자신에게 맞는 문제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학습지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부분이 미약할 경우에는 학습지의 구입으로 인한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평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서 접속하여 문제유형 및 난이도 등을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선택하면 단문항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된 유형에 따라 문제를 추출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시험문제지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시험 문제지에 별도의 입력창 없이 정답을 체크하게 되면 자동으로 채점되고 오답 처리된 부분에 대해서는 해설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평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통한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정답과 문제지 정답을 비교하여 문제지 번호 상에 ""와 "" 등 다양한 표기로 나타내어 채점기능을 수행하고 채점 후에는 문제번호 상에 표기된 ""과 해설 정보테이블을 링크시켜 해설정보를 제공하도록 한 인터넷을 통한 학습 평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문항 병합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문제지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문제지에 채점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문제지에 채점을 완료하고 오답처리된 부분에 대해 해설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자 컴퓨터 20 : 단문항 병합부
30 : 단문항테이블 40 : 문항평가정보테이블
60 : 문제지테이블 70 : 채점 및 문제풀이부
80 : 정답정보테이블 90 : 해설정보테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은 단문항 문제가 보관되는 단문항테이블과, 단문항테이블에 저장된 단문항문제들에 대한 파일정보 및 문항평가정보가 저장되는 문항평가정보테이블과,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문제지 구성을 위한 선택사항을 입력하면 문항평가정보테이블로부터 문제들을 추출하고 단문항테이블에서 단문항들을 읽어와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에 문제지를 제공하는 단문항 병합부와, 단문항 병합부에서 구성된 문제지의 정보와 사용자가 풀이한 정답 및 평가 결과를 보관하는 문제지테이블과, 단문항테이블의 단문항에 대한 문항해설정보가 저장된 해설정보테이블과, 단문항테이블에 저장된 단문항에 대한 정답 및 배점정보가 저장된 정답정보테이블과, 문제지테이블의 문제지 정보와 사용자의 정답에 대해 정답정보테이블의 정답정보를 통해 채점하고 해설정보테이블의 해설정보를 통해 해설정보를 제공하는 채점 및 문제풀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방법은 사용자 인증 및 문항평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단문항 병합부에서 선택된 문항평가정보에 따라 문항평가정보테이블에서 문제를 추출한 후 단문항테이블에서 단문항들을 읽어와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구성된 문제지의 단문항들에 대한 정답정보 및 해설정보를 정답정보테이블과 해설정보테이블에서 읽어와 문제지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구성된 문제지를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풀어진 문제지의 정답을 문제지테이블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문제지테이블에 저장된 문제지 정보와 정답에 대해 채점 및 문제풀이부에서 정답정보테이블의 정답정보를 통해 채점하는 단계와, 채점 결과에 따라 해설정보테이블의 해설정보를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문제지의 유형 및 평가결과를 문제지테이블에 저장하여 평가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복수개의 단문항 파일을 하나의 바탕 파일에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하는 단계는 단문항에 사용된 폰트나, 태그 등의 오브젝트들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각 단문항 파일에서 사용된 다양한 폰트들을 하나의 폰트로 통일하는 단계와, 문제지의 단문항들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해 바탕 파일의 좌표값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좌표값에 따라 바탕 파일에 단문항을 배치하여 내용을 병합하는 단계와, 태그들을 바탕 파일에 배치된 단문항에 위치시켜 태그를 병합하는 단계와, 문제지에 채점, 다시풀기, 해설보기 등의 버튼을 추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인터넷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학습능력에 따라 스스로 문제 출제의 기준을 선택하면 선택된 문제유형에 따라 단문항으로 저장된 단문항테이블에서 문제를 추출하여 병합하여 시험문제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문제를 풀은 정답을 전송하면 자동으로 채점하고 오답처리된 부분에 대해서 해설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취약한 부분에 대해 저렴하고 용이하게 집중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항 문제가 보관되는 단문항테이블(30)과, 단문항테이블(30)에 저장된 단문항 문제들에 대한 파일정보 및 문항평가정보가 저장되는 문항평가정보테이블(40)와, 사용자의 컴퓨터(10)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문제지 구성을 위한 선택사항을 입력하면 단문항테이블(30)로부터 문제들을 추출하고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하는 단문항 병합부(20)와, 단문항 병합부(20)에서 구성된 문제지의 정보와 사용자가 풀이한 정답 및 평가 결과를 보관하는 문제지테이블(60)과, 단문항테이블(30)의 단문항에 대한 문항해설정보가 저장된 해설정보테이블(90)와, 단문항테이블(30)에 저장된 단문항에 대한 정답 및 배점정보가 저장된 정답정보테이블(80)과, 문제지테이블(60)의 문제지 정보와 사용자의 정답에 대해 정답정보테이블(80)의 정답정보를 통해 채점하고 해설정보테이블(90)의 해설정보를 통해 해설정보를 제공하는 채점 및 문제풀이부(70)로 이루어진다.
위에서 문항평가정보테이블(40)에는 단문항의 파일명, 문제번호, 문제보기 번호, 기출년도, 과목, 단원, 난이도, 문제출처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단문항테이블(30)의 단문항은 워드프로세서를 통해 문제를 작성하고 PDF파일로 변환 출력한 후 자동태깅이 이루어지도록 재정렬시켜 PDF파일에 태그를 첨부하고 필요한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링크시켜 저장된다.
또한, 단문항테이블(30), 문항평가정보테이블(40), 문제지테이블(60), 해설정보테이블(90) 그리고 정답정보테이블(80)들은 서로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방법을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에 접속하는 절차를 인증하고(S10) 인증된 사용자에게 문항평가정보를 선택하도록 한다(S20). 즉, 과목, 단원, 난이도, 또는 기출년도, 기출문제의 출처 등을 입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문항평가정보를 바탕으로 단문항 병합부에서 문항평가정보테이블(40)에서 문제를 추출한 후 단문항테이블(30)에서 PDF 파일의 단문항들을 읽어와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한다(S30).
이때, PDF 파일의 단문항들을 읽어와 병합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문항에 사용된 폰트나, 태그 등의 오브젝트들의 정보를 분석한다(S310). 그런다음 각 단문항 PDF 파일에서 사용된 다양한 폰트들을 하나의 폰트로 통일한다(S320). 그리고, 문제지의 놓이는 문항들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해 바탕 PDF의 좌표값을 분석한다(S330). 그런다음 분석된 좌표값에 따라 바탕 PDF 파일에 단문항을 배치하여 내용을 병합한 후(S340) 태그들을 바탕 PDF 파일에 배치된 단문항에 위치시켜 태그를 병합한다(S350). 이후 문제지에 채점, 다시풀기, 해설보기 등의 버튼을 추가하여 문제지를 완성하게 된다(S360).
이렇게 구성된 문제지는 사용자가 화면에 나타난 문제지를 풀이할 때 별도의 입력창 없이 사지선다형의 사용자 정답 입력과 주관식 단답형 입력이 가능하도록 PDF 파일에 태그 정보 첨부와 멀티미디어 파일 링크를 자동화시켰으며, 또한, 채점시 문제지의 문제번호 상에 ""와 "" 등 다양한 표기를 이용한 채점기능을 수행하고, 문제번호 상에 표기된""와 해설정보테이블을 링크하여 오답에 대한 해설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파일은 문제와 관련된 동화상이나 음성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문항들을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한 후 구성된 문제지의 단문항들에 대한 정답정보 및 해설정보를 정답정보테이블(80)과 해설정보테이블(90)에서 읽어와 문제지테이블(60)에 저장하여 이후 채점 및 문제풀이를 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S40).
그런 다음 구성된 문제지를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한다(S50). 그러면, 사용자는 전송받은 문제지의 보기에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거나 주관식 단답형 정답을 입력하면 태그정보가 자동으로 첨부되어 답안이 작성된다(S60).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풀어진 문제지의 정답은 문제지테이블(60)로 전송하여 저장된다. 이후 채점을 하게 되면 문제지테이블(60)에 저장된 문제지 정보와 정답에 대해 채점 및 문제풀이부(70)에서 정답정보테이블(80)의 정답정보를 통해 정답과 오답을 가려 문제지의 문제번호 상에 ""와 "" 등 다양한 표기를 이용하여 채점하고 오답 처리된 부분에 대해서는 ""의 표기와 해설정보테이블을 링크시켜 해설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를 오답 처리된 부분으로 이동할 경우 해설정보테이블(90)의 해설정보가 제공되어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S70).
한편, 이와 같은 평가 결과는 문제지의 유형 및 평가결과를문제지테이블(60)에 저장하여 평가정보가 관리되어 사용자가 원할 때면 언제든지 성적분석표 및 시용자의 문제지 평가 결과에 관련된 통계자료가 제공된다(S80).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문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지의 문항 보기에 별도의 정답을 체크하기 위한 입력창없이 보기 번호에 정답을 체크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문제지에 채점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점결과 정답인 경우에는 문제지의 문제번호 상에 "" 표기를 하고, 오답인 경우에는 문제지의 문제번호 상에 "" 표기를 하여 채점하고 점수를 상단에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문제지에 채점을 완료하고 오답처리된 부분에 대해 해설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점결과 "" 표기가 된 문항에 마우스를 옮겨놓을 경우 해설정보가 돌출됨으로써 틀린문제를 집중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출제 기준들을 선택하면, 그 기준에 따라 복수의 단문항 파일들을 하나의 바탕 파일로 병합시켜 사용자의 문제출제 기준에 맞는 문제지를 구성하거나 하나의 완전한 문제지를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문제지를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공급자 측면에서의 문제제작의 편의성과 문제제작의 저비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정답 입력창이 필요없이 문제에 따른 보기 상에 정답을 체크하거나 문제의 정답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제풀이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 "" 등 다양한 표기를 사용한 채점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평가자료를 보관하여 학습의 능률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오답에 대해 즉시 해설정보가 제공되어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단문항 문제가 보관되는 단문항테이블과,
    상기 단문항테이블에 저장된 단문항 문제들에 대한 파일정보 및 문항평가정보가 저장되는 문항평가정보테이블과,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문제지 구성을 위한 선택사항을 입력하면 상기 문항평가정보테이블의 정보를 바탕으로 단문항테이블에서 단문항들을 읽어와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에 문제지를 제공하는 단문항 병합부와,
    상기 단문항 병합부에서 구성된 문제지의 정보와 사용자가 풀이한 정답 및 평가 결과를 보관하는 문제지테이블과,
    상기 단문항테이블의 단문항에 대한 문항해설정보가 저장된 해설정보테이블과,
    상기 단문항테이블에 저장된 단문항에 대한 정답 및 배점정보가 저장된 정답정보테이블과,
    상기 문제지테이블의 문제지의 정보와 사용자의 정답에 대해 상기 정답정보테이블의 정답정보를 통해 채점하고 상기 해설정보테이블의 해설정보를 통해 해설정보를 제공하는 채점 및 문제풀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항테이블의 단문항은 워드프로세서를 통해 문제를 작성하고 PDF파일로 변환 출력한 후 자동태깅이 이루어지도록 재정렬시켜 PDF파일에 태그를 첨부하고 필요한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링크시켜 저장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3. 사용자 인증 및 문항평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단문항 병합부에서 선택된 문항평가정보에 따라 문항평가정보테이블의 정보를 바탕으로 단문항테이블에서 단문항들을 읽어와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구성된 문제지의 단문항들에 대한 정답정보 및 해설정보를 정답정보테이블과 해설정보테이블에서 읽어와 문제지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구성된 문제지를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풀어진 문제지의 정답을 문제지테이블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문제지테이블에 저장된 사용자 정답을 문제풀이부에서 정답정보테이블의 정답정보를 통해 채점하는 단계와,
    채점 결과에 따라 해설정보테이블의 해설정보를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문제지의 유형 및 평가결과를 문제지테이블에 저장하여 평가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학습 평가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항들을 병합하여 문제지를 구성하는 단계
    단문항에 사용된 폰트나, 태그 등의 오브젝트들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각 단문항 파일에서 사용된 다양한 폰트들을 하나의 폰트로 통일하는 단계와,
    문제지의 단문항들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해 바탕 파일의 좌표값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좌표값에 따라 바탕 파일에 단문항을 배치하여 내용을 병합하는 단계와,
    태그들을 바탕 파일에 배치된 단문항에 위치시켜 태그를 병합하는 단계와,
    문제지에 채점, 다시풀기, 해설보기 등의 버튼을 추가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문제지는 사용자가 화면에 나타난 문제지를 풀이할 때 별도의 입력창 없이 사지선다형의 사용자 정답 입력과 주관식 단답형 입력이 가능하도록 PDF 파일에 태그 정보의 첨부를 자동화시켰으며, 채점시 문제지의 문제번호 상에 ""와 ""의 표기를 이용한 채점기능과 문제지 상단에 점수를 나타내도록 구성한 부분과 "" 표기와 해설정보테이블을 링크시켜 해설정보가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방법.
KR1020000016837A 2000-03-31 2000-03-31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8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837A KR20010078411A (ko) 2000-03-31 2000-03-31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837A KR20010078411A (ko) 2000-03-31 2000-03-31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411A true KR20010078411A (ko) 2001-08-21

Family

ID=1966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837A KR20010078411A (ko) 2000-03-31 2000-03-31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841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42A (ko) * 2000-07-06 2002-01-17 최환원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368882B1 (ko) * 2000-05-16 2003-01-24 김효선 학습내역에 기초한 맞춤학습 및 관리방법
WO2007018344A1 (en) * 2005-08-10 2007-02-15 Uwayedu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questions of test to prevent cheating using random arrangement of answers
KR100738026B1 (ko) * 2005-07-14 2007-07-16 (주)우린하나 통계 처리 및 채점에 관한 판독 장치 및 방법
CN113537717A (zh) * 2021-06-18 2021-10-22 华南师范大学 一种试卷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882B1 (ko) * 2000-05-16 2003-01-24 김효선 학습내역에 기초한 맞춤학습 및 관리방법
KR20020005242A (ko) * 2000-07-06 2002-01-17 최환원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38026B1 (ko) * 2005-07-14 2007-07-16 (주)우린하나 통계 처리 및 채점에 관한 판독 장치 및 방법
WO2007018344A1 (en) * 2005-08-10 2007-02-15 Uwayedu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questions of test to prevent cheating using random arrangement of answers
CN113537717A (zh) * 2021-06-18 2021-10-22 华南师范大学 一种试卷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l et al. A qualitative analysis of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TPACK development over the four years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me
Robutti et al. ICME international survey on teachers working and learning through collaboration: June 2016
Vogt et al. Linking learners’ perspectives on language assessment practices to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enhancement (TALE): Insights from four European countries
US96850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ment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Crossman et al. Facilitating improved writing among students through directed peer review
Mertler Designing scoring rubrics for your classroom
Chng et al. Using Plickers as an assessment tool in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settings
Frostenson et al. Teachers, performative techniques and professional values: How performativity becomes humanistic through interplay mechanisms
Lam Enacting feedback utilization from a task-specific perspective
Farrell et al.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and student achievement utilizing the Florida value-added model
JP6668821B2 (ja) 教育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教育支援システム
Luo et al. Qualitative methods to assess intercultural competence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with practical implications
Hao et al. Inquiry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 about integrating Web 2.0 into instruction
JP20191527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Galán-Mañas Learning portfolio in translator training: the tool of choice for competence development and assessment
Cogdell et al. Technological and traditional drawing approaches encourage active engagement in histology classes for science undergraduates
Croucher et al. A multi-national validity analysis of the self-perceived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Molina et al. Design and Validation of a Rubric to Assess the Use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tyle in scientific articles
Ritzhaupt et al. Validation of the survey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and technology: A multi-institutional sample
KR20010078411A (ko) 인터넷을 통한 자가 학습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Mashhadi et al. Explor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Iraqi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A comparative stud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N113706025A (zh) 一种学习报告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Gatti et al. Are heritage speakers of Spanish significantly better at speaking than at writing? Results of an experiment on writing and speaking proficiencies—Actual and perceived
KR20200117955A (ko) 영어 학습 관리 방법
Low Interdisciplinary professional partner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