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636A -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636A
KR20010076636A KR1020000003895A KR20000003895A KR20010076636A KR 20010076636 A KR20010076636 A KR 20010076636A KR 1020000003895 A KR1020000003895 A KR 1020000003895A KR 20000003895 A KR20000003895 A KR 20000003895A KR 20010076636 A KR20010076636 A KR 2001007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wer supply
supply voltage
control signal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석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0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6636A/en
Publication of KR2001007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63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Abstract

PURPOSE: A data bus driving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provided to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s which improves driving speed an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easily embody and minimize additional control signals since elements of a bus system are not complicated. CONSTITUTION: A couple of bus lines(L1 and L2) include a real line and a complementary line. The first and second driver(10 and 11) drive input signals from the couple of bus lines(L1 and L2) into a half swing pulse formation. A first and second receivers(30 and 31) receive the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driver(10 and 11) and output with a full half swing pulse formation. A first and second equalizers(20 and 21), connected to the each bus lines(L1 and L2), equalize the signal of an equalization period with the half power voltage level. A control signal generating section(40) generates control signals for equalization control signal(EQ)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r(10 and 11) after receiving a clock signal(CLK), a real data(DIN_T) and a complementary data(DIC_C).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Data bus drive circuit suitable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적합한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semiconductor memory, and in particular, to a data bus driver circuit suitable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날이 갈수록, 반도체 메이커들은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고속으로 동작하면서도 전력소모가 적은 반도체 칩을 만들어야 하는 부담을 가진다.Increasingly, semiconductor manufacturers are under pressure to produce low-power semiconductor chips that operate at high speeds in response to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그런데, 반도체 칩의 속도지연 및 전력소모의 상당부분이 칩 내부의 부하용량이 큰 버스를 구동시키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버스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고 버스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면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신호지연을 줄이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여태 까지 칩 내부 버스를 스몰 스윙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전력소모도 줄이고 속도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본 분야에서 개시되어 있다.By the way, it is known that a large part of the speed delay and power consumption of a semiconductor chip are generated in the part which drives the bus with large load capacity inside a chip. Therefore, there is absolutely a ne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drive the bus and to reduce the signal delay inevitably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of signals through the bus. Various methods for improving are disclosed in the art.

그러한 기술들중의 하나로서는 예컨대, 히엡 브이 . 트란(Hiep V. Tran)에게 특허허여된 미국특허번호 5,369,3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는 드라이버에서 하프 전원전압을 공급케 하여 신호라인의 전압스윙을 줄여 신호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내용이 나타나 있다. 그러한 기술들중의 또 다른 하나로서는 데이터 버스를 하프 전원전압으로 프리차아지 하여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인데, 이는 발명자 이 재진에게 허여된 미국특허번호 5,742,185호에 개시되어 있다.One such technique is, for example, Hiebbe. US Patent No. 5,369,315 to Hief V. Tran. The patent discloses that the driver supplies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thereby reducing the voltage swing of the signal line, thereby improving signal transmission speed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other such technique is to precharge the data bus to a half supply voltage to improve speed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which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5,742,185 to Jaejin.

그러나, 버스의 스윙폭만을 줄여 버스 라인을 구동시키는 경우에 전력소모는 줄어든다고 하더라도 리시버측에서는 센스앰프등을 이용하여 증폭을 행하므로 전력소모가 증가되어 전체적으로 전력소모의 절감의 효과는 감소된다. 설사 센스앰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리시버가 버스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를 필요로 하면 이또한 제어신호를 구동하는 것이므로 부가적인 전력소모가 추가되며,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버스신호와 제어신호간에 상호 타이밍마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신호전달속도 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버스를 스몰 스윙으로 구동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버스신호가 등화되는 구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버스신호의 파형이 너무 복잡하면 정확히 타이밍을 제어하기가 어려울 뿐 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제어신호가 많이 추가됨으로써 그 제어신호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력소모가 불가피한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f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when the bus line is driven by reducing only the swing width of the bus, the receiver side amplifies using a sense amplifier or the like, thus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Even if a sense amplifier is not used, if the receiver requires a control signal other than the bus signal, it also drives the control signal, which add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and provides a mutual timing margin between the bus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o prevent malfunction. Because it must be secured, it can be a factor of slowing down the signal transmission speed. In addition, when the bus is driven with a small swing, a section in which the bus signal is equalized is generally required. If the waveform of the bus signal is too complicated, not only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iming, but also many control signals are add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s inevitable in order to drive the control signal.

그러므로, 하프 스윙펄스로 구동하여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줄이는 원래의 고유기능을 달성하면서도, 버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간단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추가적인 제어신호가 최소화될 수 있다면 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정녕 판타스틱할 것임에 틀림없다.Therefore, while driving the half swing pulse to achieve the original inherent function of increasing speed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 components of the bus system are simple, easy to implement, and additional control signals can be minimized. It must be fantastic.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를 하프 스윙 펄스로 구동하여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줄이는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버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간단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부가적인 제어신호가 최소화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ive the bus with a half swing pulse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improving speed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ile simplifying the components of the bus system to facilitate implementation and minimizing additional control signals. In providing the furnace.

상기한 목적들 및 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아스팩트에 따라,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는,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other objects, the data bus drive circuit,

실라인과 상보라인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버스라인;A pair of bus lines comprising a seal line and a complementary line;

상기 버스라인에 연결되며, 인가되는 실데이터 및 상보데이터가 각기 클럭과 논리조합되어 얻어진 실라인 및 상보라인 풀업/풀다운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라인을 하프 전원전압의 레벨로부터 제1전원전압 또는 제2전원전압의 신호레벨로 구동하는 드라이버;The bus line is connected to the bus line, and the bus line is connected to the bus line from the level of the half power voltage in response to the seal line and complement line pull up / pull control signals obtained by logically combining the clock with the applied real data and the complementary data. Or a driver for driving at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상기 한쌍의 버스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클럭의 주기에 맞추어 인가되는 등화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등화구간에서는 상기 실라인과 상보라인의 전위를 동일하게 하프 전원전압으로 유지시키는 등화기; 그리고An equalizer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bus lines, the equalizer maintaining the potential of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t the half power voltage in an equalization section in response to an equalization control signal applied according to the clock cycle; And

상기 한쌍의 버스라인에 연결되며, 신호전송구간에서 하프 스윙으로 천이하는 상기 버스라인상의 신호레벨들에만 오직 응답하여 상기 제1전원전압 레벨에서 제2전원전압의 레벨로 또는 상기 제2전원전압 레벨에서 제1전원전압 레벨로 천이하는 풀 스윙펄스 형태의 출력을 생성하는 리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to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level or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level, in response to only the signal levels on the busline that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buslines and transition to a half swing in a signal transmission section; And a receiver for generating an output in the form of a full swing pulse transitioning to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bus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버스라인에 나타나는 하프스윙 펄스형태의 신호파형도FIG. 2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a half swing pulse type shown in the bus line of FIG.

도 3a,3b,3c는 도 1중 등화기의 구현 예들을 보인 상세회로도들3A, 3B, and 3C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showing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equalizer shown in FIG.

도 4a,4b는 도 1중 리시버의 구현 예들을 보인 상세회로도들 및 도 4c는 그에 관련된 신호들의 동작타이밍도4A and 4B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showing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receiver of FIG. 1, and FIG. 4C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signals related thereto.

도 5a,5b는 도 1중 드라이버의 구현 예 및 그에 관련된 신호들의 동작타이밍도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the driver of FIG. 1 and operation timings of signals related thereto;

도 6a,6b는 도 1중 제어신호 발생부의 구현 예 및 그에 관련된 신호들의 동작타이밍도6A and 6B illustrate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of FIG. 1 and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signals related thereto;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및 타의 목적들, 특징,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들 내에서 서로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부호들로 가급적 기재됨을 주목하여야 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each other in the drawings are described with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실 라인(real line)과 상보라인(complementary line)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버스라인(L1,L2), 상기 버스라인들(L1,L2)상의 신호를 하프스윙 펄스형태로 구동하는 제1,2 드라이버(10,11), 상기 드라이버에서 제공되는 버스신호만을 수신하여 풀스윙의 출력을 생성하는 제1,2 리시버(30,31), 그리고 상기 버스라인들(L1,L2)에 연결되어 등화구간에서 하프 전원전압의 레벨로 이퀄라이즈를 행하는 제1,2 등화기(20,21), 클럭신호(CLK)와 실데이터(DIN_T) 및 상보데이터(DIN_C)를 수신하여 등화제어신호(EQ) 및 상기 드라이버(10,11)를 제어하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어신호 발생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보(컴플리멘트리)라인이란 한 비트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실라인과 한쌍을 이루어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신호전송구간에서 상보라인의 논리레벨은 실라인의 반대가 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bus driving circu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bus lines L1 and L2 formed of real lines and complementary lines, and first and second drivers for driving signals on the bus lines L1 and L2 in the form of half swing pulses; 10,11)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30 and 31 and the bus lines L1 and L2 that receive only the bus signal provided by the driver and generate an output of a full swing, and a half in the equalization section. Receives equalization control signal EQ and the driver by receiving first and second equalizers 20 and 21 that equalize at a level of a power supply voltage, clock signal CLK, real data DIN_T, and complementary data DIN_C. It consists of a control signal generator 40 for generating signals for controlling (10, 11). Here, the complementary line is used in pairs with the real line to transmit a signal of one bit, and the logic level of the complementary line is opposite to the real line 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통상적으로, 어떤 노드를 구성할 경우에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는 그 노드가 로우에서 하이로 충전될 때이다. 이 경우에 필요한 전류량은 전압의 스윙폭과 부하용량인 캐패시턴스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압 스윙폭을 줄이거나 노드의 캐패시턴스를 줄여야 한다. 그런데 노드의 캐패시턴스를 줄이는 문제는 제조공정을 개선하거나 칩 아키텍츄어를 변형함으로써 가능한 일이고, 노드의 캐패시턴스가 정하여진 상태에서는 회로기술에 의해 전류소모를 줄여야 하므로, 버스의 스윙폭을 줄이고 이러한 버스신호를 구동하고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버스 스킴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쌍의 버스라인에 연결되며, 신호전송구간에서 하프 스윙으로 천이하는 상기 버스라인상의 신호레벨들에만 오직 응답하여 상기 제1전원전압 레벨에서 제2전원전압의 레벨로 또는 상기 제2전원전압 레벨에서 제1전원전압 레벨로 천이하는 풀 스윙펄스 형태의 출력을 생성하는 리시버를 특징적 구성중의 하나로서 개시하고 있다.Typically, when a node is configured, it is necessary to supply curren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the node is charged from low to high.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in this case is proportional to the swing width of the voltage and the capacitance, which is the load capacity. Therefore,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either the voltage swing width or the node capacitance should be reduced. However, the problem of reducing the capacitance of a node can be solved b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modifying the chip architecture.In the state where the capacitance of the node is determined, the current consumption must be reduced by circuit technology. An efficient bus scheme must be developed to drive, receive and process the signals. In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pair of bus lines,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to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level or the second power supply only in response to only the signal levels on the bus line transitioning to a half swing in a signal transmission section. A receiver that produces an output in the form of a full swing pulse that transitions from a voltage level to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is disclosed as one of it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s.

도 2는 도 1의 버스라인에 나타나는 하프스윙 펄스형태의 신호파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버스 신호의 각 구간은 등화구간(EQ)과 신호전송구간(SIG)으로 이루어진다. 구간(T1,T2,T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등화구간에는 실라인과 상보라인이 모두 하프 전원전압 (VDD/2) 정도의 동일한 전위를 가지며, 구간(T1,T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신호전송구간에는 실라인과 상보라인중 하나는 전원전압(VDD) 전위로 구동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전압(GND)전위로 구동된다. 상기 실라인이 전원전압, 상보라인이 접지전압의 레벨로 구동되는 경우 구간(T1)에서와 같이 로직"하이"상태가 된다. 로직 "로우" 상태에서는 구간(T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실라인이 접지전압, 상보라인이 전원전압의 레벨로 구동된다. 즉, 이와 같이, 상기 버스 신호는 하프 전원전압으로부터 전원전압 또는 접지전압으로 구동되고 전원전압 또는 접지전압으로부터 하프 전원전압으로 등화되는 것을 반복하는 신호로서 그 스윙폭이 하프 전원전압 펄스 형태이다. 구간(T3)에서 알 수 있듯이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버스신호는 등화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버스 파형의 장점은 버스의 스윙폭이 반으로 줄기 때문에 버스를 구동하는 전류가 풀스윙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또한, 실신호와 상보신호가 하프 전원전압으로 등화된 상태에서 전원전압이나 접지전압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신호 전송속도가 향상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스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류감소와 속도향상이라는 트레이드-오프적인 문제을 말끔이 해결할 수 있게 된다.FIG. 2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a half swing pulse type shown in the bus line of FIG. 1. Referring to the drawings, each section of the bus signal consists of an equalization section EQ and a signal transmission section SIG. As shown in the sections T1, T2, and T3, in the equalizing section, both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have the same potential as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VDD / 2), and the signal as shown in the sections T1 and T2. In the transmission section, one of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is driven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potential, and the other is driven to the ground voltage GND potential. When the seal line is driven at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t the level of the ground voltage, the seal line is in a logic "high" state as in the period T1. In the logic " low " state, as shown in the section T2, the seal line is driven to the ground voltage and the complementary line to the level of the power supply voltage.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bus signal is a signal that is driven from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to the power supply voltage or the ground voltage and repeats the equalization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or the ground voltage to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and its swing width is in the form of a half power supply voltage pulse. As can be seen in the section T3, in the standby mode, the bus signal maintains an equalization state. Thus, the advantage of this bus waveform is that the swing width of the bus is halved, so the current driving the bus is halved compared to the full swing. In addition, since the real signal and the complementary signal are divided into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in the state equalized by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the signal transmission speed is improv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sche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trade-off problem of current reduction and speed improvement.

도 3a,3b,3c에는 도 1중 등화기의 구현 예들을 보인 상세회로도들이 보여진다. 도 3a에서, 하프 전원전압 등화를 위한 등화기는 실라인(L1)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상보라인(L2)에 소오스가 연결되고 게이트단자로 등화수행을 위한 제어신호(EQ)를 수신하는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M1)가 된다. 등화구간에서는 상기 제어신호(EQ)가 하이레벨로 활성화되어 실라인과 상보라인이 단락된다. 한편, 신호전송구간에서는 상기 제어신호가 로우 레벨로 비활성화되어 실라인과 상보라인은 오픈된다. 즉, 이 경우에 스위칭 소자인 상기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M1)는 턴오프 상태이다. 도 3b에서, 등화기는 실라인(L1)에 소오스가 연결되고 상보라인(L2)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단자로 등화수행을 위한 반전제어신호(EQ#)를 수신하는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PM1)가 된다. 등화구간에서는 상기 반전제어신호(EQ#)가 로우레벨로 활성화되어 실라인과 상보라인이 단락된다. 한편, 신호전송구간에서는 상기 반전제어신호가 하이 레벨로 비활성화되어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PM1)가 턴오프 되므로 실라인과 상보라인은 오픈된다.3A, 3B, and 3C show detailed circuit diagrams showing implementations of the equalizer in FIG. 1. In FIG. 3A, the equalizer for half supply voltage equalization has a drain connected to the seal line L1, a source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L2, and a N-type MOS transist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EQ for performing equalization through a gate terminal. (NM1). In the equalization section, the control signal EQ is activated to a high level, and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re short-circui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the control signal is deactivated to a low level so that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re opened. That is, in this case, the N-type MOS transistor NM1, which is a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In FIG. 3B, an equalizer has a source MOS transistor PM1 that receives a source connected to the seal line L1, a drain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L2, and receives an inversion control signal EQ # for equalization. do. In the equalizing section, the inversion control signal EQ # is activated at a low level so that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re short-circui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the inversion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to a high level so that the shaped MOS transistor PM1 is turned off, so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re opened.

상기 도 3a,3b에서 각 트랜지스터를 쇼트시켜 하프 전원전압으로 등화를 하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두 버스라인의 캐패시턴스가 약간 다를 수 있고 또한 등화구간이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전류누설에 의해 버스라인의 전위가 하프 전원전압 이하의 레벨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을 가지고 있는 등화기가 도 3c이다. 도 3C에서, 등화기는 제어신호(EQ)가 인가되는 노드(N3)에 각각의 게이트들이 연결된 3개의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1,N2,N3)로구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은 하프 전원전압에 연결되고, 소오스는 노드 (N1)과 접속되는 실라인(L1)에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은 하프 전원전압에 연결되고, 소오스는 노드 (N2)와 접속되는 상보라인(L2)에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과 소오스는 상기 트랜지스터들(N1,N2)의 소오스간에 연결된다. 등화구간에서 상기 트랜지스터들(N1,N2)의 턴온에 따라 각기 하프 전원전압을 유지하고 있던 실라인(L1)과 상보라인(L2)은 상기 트랜지스터(N3)의 턴온동작에 의해 보다 정확한 레벨의 하프 전원전압을 확실히 유지하게 된다. 도 3c에서 등화구간에서는 3개의 단자 즉, 하프 전원전압단자와 노드들(N1,N2)이 모드 쇼트되고, 신호전송구간에서는 상기 3개의 단자가 서로 오픈된다.3A and 3B, it has been described that each transistor is shorted and equalized to a half power supply voltage. However, substantially the capacitance of the two bus lines may be slightly different, and if the equalization section lasts for a long time, the potential of the bus lines may drop to a level below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due to current leakage. Therefore, the equalizer which h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is FIG. 3C. In Fig. 3C, the equalizer is composed of three N-type MOS transistors N1, N2 and N3, each gat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node N3 to which the control signal EQ is applied. The drain of the transistor N1 is connected to a half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source is connected to a seal line L1 connected to the node N1. The drain of the transistor N2 is connected to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source is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L2 connected to the node N2. A drain and a source of the transistor N3 are connected between the sources of the transistors N1 and N2. In the equalization section, the seal line L1 and the complementary line L2, which maintain their respective half power supply voltages according to the turn-on of the transistors N1 and N2, have a more accurate level by the turn-on operation of the transistor N3. Maintain power supply voltage surely. In FIG. 3C, three terminals, that is, the half power voltage terminal and the nodes N1 and N2, are mode- shorted in the equalization section, and the three terminals are opened to each other 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도 4a,4b는 도 1중 리시버의 구현 예들을 보인 상세회로도들이고, 도 4c는 그에 관련된 신호들의 동작타이밍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리시버는 실라인(L1)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보라인에 연결된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1)와, 상기 상보라인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소오스가 전원전압을 수신하며 드레인에 상기 트랜지스터(N1)의 소오스가 연결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P1)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도 4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간(T2)에서 상기 리시버의 출력노드 (X)의 레벨은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를 풀 스윙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리시버(30,31)는 별도의 제어신호 없이 하프 스윙펄스인 버스신호만을 입력받아 이를 풀 스윙펄스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회로이다. 그러므로, 부가적인 제어신호가 없기 때문에 그 제어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소모도 없어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4A and 4B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showing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receiver of FIG. 1, and FIG. 4C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signals related thereto. Referring to FIG. 4A, a receiver includes an N-type transistor N1 having a drain connected to a seal line L1 and a gate connected to a complementary line, a gate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and a source receiving a power supply voltage.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N1 is composed of a connected morph transistor P1. As shown in FIG. 4C,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the output node X of the receiver is full swing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The receivers 30 and 31 receive a bus signal which is a half swing pulse without a separate control signal and change the full signal to a full swing pulse. Therefore, since there is no additional control signal, there is no power consumption for driving the control signal, thereby saving power.

유사하게, 도 4b를 참조하면, 리시버(30,31)는 상보라인(L2)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가 실라인(L1)에 연결된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1)와, 상기 실라인(L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소오스가 전원전압을 수신하며 드레인에 상기 트랜지스터(N1)의 소오스가 연결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P1)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도 4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간(T1)에서 상기 리시버의 출력노드(Y)의 레벨은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GND) 사이를 풀 스윙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4b의 회로도 별도의 제어신호를 필요로 함이 없이 하프 스윙펄스인 버스 신호만을 입력으로 취하여 이를 풀 스윙으로 변환하므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Similarly, referring to FIG. 4B, the receivers 30 and 31 are connected to the N-type MOS transistor N1 having a drain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L2 and a gate connected to the seal line L1, and to the seal line L1. A gate is connected, a source receives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drained Morse transistor P1 is connected to a source of the transistor N1 at a drai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C,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the output node Y of the receiver is full swing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ground voltage GND in the section T1. The circuit of FIG. 4B also takes only a half swing pulse bus signal as an input and converts it to full swing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도 4c를 참조하여 도 4a,4b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간(T1,T2)내의 각 등화구간(EQ)에서는 실라인과 상보라인의 전위가 모두 같이 하프 전원전압(VDD/2)을 유지하기 때문에 도 4a 및 도 4b의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1)가 오프상태로 되고, 피형 모오스트랜지스터(P1)만 온되어 각각의 출력노드(X,Y)가 전원전압(VDD)으로 프리차아지된다. 신호전송구간(SIG)중 엔모오스(N1)의 소오스에 연결된 버스신호가 로우이고 엔모오스와 피모오스(P1)의 게이트에 연결된 버스 신호가 하이인 경우는 피모오스(P1)가 오프되고 엔모오스(N1)가 온되어 출력노드(X,Y)는 접지전위(GND)로 구동된다. 신호전송구간(SIG)중 엔모오스(N1)의 소오스에 연결된 버스신호가 하이이고 엔모오스(N1)와 피모오스(P1)의 게이트에 연결된 버스 신호가 로우인 경우는 피모오스(P1)가 온되고 엔모오스(N1)가 오프되어 출력노드가 전원전압으로 프리차아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 4a,4b의 리시버 회로에 따르면 별도의 제어신호 없이 하프스윙의 펄스신호를 풀스윙으로 변환시킨다.4A and 4B, the electric potentials of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maintain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VDD / 2 in the equalization period EQ in the sections T1 and T2. Therefore, the N-type MOS transistor N1 of FIGS. 4A and 4B is turned off, only the type MOS transistor P1 is turned on, and each output node X and Y is precharg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f the bus signal connected to the source of NMOS is low and the bus signal connected to the gates of NMOS and PMOS is high during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SIG, PMOS is off and NMOS (N1) is turned on so that the output nodes (X, Y) are driven to the ground potential (GND). If the bus signal connected to the source of NMOS (N1) is high and the bus signal connected to the gates of NMOS and PMO (P1) is low 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SIG), PMOS is on. The NMOS is turned off to maintain the output node precharged with the power supply voltage. That is, according to the receiver circuits of FIGS. 4A and 4B, the pulse signal of the half swing is converted into the full swing without a separate control signal.

도 5a,5b는 도 1중 드라이버의 구현 예 및 그에 관련된 신호들의 동작타이밍도를 보여준다. 실라인 풀업제어신호(TUP#) 및 실라인 풀다운 제어신호(TDN)는 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1,MN1)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상보라인 풀업제어신호(CUP#) 및 상보라인 풀다운 제어신호(CDN)는 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2,MN2)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1,MP2)의 소오스는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N1,MN2)의 소오스는 접지전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1,MN1)의 공통 드레인노드는 실라인(BUS_T)에 연결되고, 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2,MN2)의 공통 드레인노드는 상보라인(BUS_C)에 연결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등화구간(EQ)에서는 실라인 풀업제어신호(TUP#) 및 실라인 풀다운 제어신호(TDN)가 각기 하이 및 로우상태로 인가되고, 상보라인 풀업제어신호(CUP#) 및 상보라인 풀다운 제어신호(CDN)가 각기 하이 및 로우상태로 인가되어, 드라이버 버스 구동스위치로서의 상기 트랜지스터들(MP1,MN1,MP2,MN2)은 턴오프 상태이다. 스탠바이 모드에서도 상기 트랜지스터들(MP1,MN1,MP2,MN2)의 상태는 상기 등화구간에서와 동일하다. 신호전송구간중 신호를 전송하지 아니하는 드라이버의 상기 트랜지스터들(MP1,MN1,MP2,MP2)의 상태도 상기와 동일하다. 신호전송구간중 신호를 전송하는 드라이버의 상기 트랜지스터들(MP1,MN1,MP2,MN2)의 상태는 전송되는 데이터의상태 즉 하이 또는 로우레벨에 의존한다. 즉, 데이터 하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들(MP1,MN2)은 온상태로, 상기 트랜지스터들(MN1,MP2)은 오프상태이다. 데이터 로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들(MP1,MN2)은 오프상태로, 상기 트랜지스터들(MN1,MP2)은 온상태이다. 따라서, 버스 구동제어 스위치의 상태는 데이터 하이를 전송하는 경우 TUP#=GND ,TDN=GND, CUP#=VDD, CDN=VDD 이고, 데이터 로우를 전송하는 경우 TUP#=VDD ,TDN=VDD, CUP#=GND, CDN=GND 이다.5A and 5B show an implementation timing of the driver of FIG. 1 and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signals related thereto. The seal line pull-up control signal TUP # and the seal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TDN are applied to the gates of the PMOS transistors and the NMOS transistors MP1 and MN1, respectively. The complementary line pull-up control signal CUP # and the complementary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CDN are applied to the gates of the PMOS transistors and the NMOS transistors MP2 and MN2, respectively. Sources of the type MOS transistors MP1 and MP2 ar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voltage, and sources of the N-type transistors MN1 and MN2 are connected to a ground voltage. The common drain node of the type MOS transistor and the en-type MOS transistor MP1 and MN1 is connected to the seal line BUS_T, and the common drain node of the type MOS transistor and the en-type MOS transistor MP2 and MN2 is the complementary line BUS_C. Is connected to. Referring to FIG. 5B, in the equalizing period EQ, the seal line pull-up control signal TUP # and the seal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TDN are applied to the high and low states, respectively, and the complementary line pull-up control signal CUP # and The complementary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CDN is applied to the high and low states, respectively, so that the transistors MP1, MN1, MP2, and MN2 as driver bus driving switches are turned off. In the standby mode, the states of the transistors MP1, MN1, MP2, and MN2 are the same as in the equalization section. The states of the transistors MP1, MN1, MP2, and MP2 of the driver that do not transmit a signal during the signal transmission period are also the same as above. The states of the transistors MP1, MN1, MP2, and MN2 of the driver transmitting the signal during the signal transmission period depend on the state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at is, high or low level. In other words, when data high is transmitted, the transistors MP1 and MN2 are in an on state and the transistors MN1 and MP2 are in an off state. When the data row is transferred, the transistors MP1 and MN2 are in an off state, and the transistors MN1 and MP2 are in an on state. Therefore, the state of the bus drive control switch is TUP # = GND, TDN = GND, CUP # = VDD, CDN = VDD when transmitting data high, and TUP # = VDD, TDN = VDD, CUP when transmitting data low. # = GND, CDN = GND.

도 6a,6b에는 도 1중 제어신호 발생부의 구현 예 및 그에 관련된 신호들의 동작타이밍도가 나타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클럭신호(CLK)를 인버팅하여 등화제어신호(EQ)를 생성하는 인버터(IN1), 상기 클럭신호(CLK)와 실데이터를 낸드 게이팅하여 실라인 풀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낸드 게이트(NAN1), 상기 낸드 게이트(NAN1)의 출력을 반전하여 상보라인 풀다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IN3), 상기 클럭신호(CLK)와 상보데이터를 낸드 게이팅하여 상보라인 풀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낸드 게이트(NAN2), 상기 낸드 게이트(NAN2)의 출력을 반전하여 실라인 풀다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IN2)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단 한 개의 글로벌 제어신호만이 사용되므로 회로가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등화기의 제어는 클럭을 인버팅함으로써 간단히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등화기를 도 3b에서와 같이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구성한 경우에는 클럭을 인버팅하지 않고 직접 등화제어신호인 EQ#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의 제어신호는 로컬 데이터인 DIN_T,DIN_C,와 CLK을 이용하여 간단히 구성된다.6A and 6B show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of FIG. 1 and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signals related thereto. Referring to FIG. 6A, an inverter IN1 that inverts the clock signal CLK to generate an equalization control signal EQ, and a NAND gating of the clock signal CLK and real data to generate a seal line pull-up control signal. Inverter IN3 generating a complementary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by inverting a NAND gate NAN1 and the output of the NAND gate NAN1, and generating a complementary line pull-up control signal by NAND gating complementary data with the clock signal CLK. NAND gate NAN2 and an inverter IN2 for inverting the output of the NAND gate NAN2 to generate a seal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only one global control signal is used, which makes the circuit very simpl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control of the equalizer can be made simply by inverting the clock. If the equalizer is composed of a type MOS transistor as shown in FIG. 3B, the equalizer control signal may be used as EQ #, which is a direct equalization control signal, without inverting a clock.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er is simply configured using the local data DIN_T, DIN_C, and CLK.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개시된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는 버스신호의 스윙폭을 절반으로 줄임으로써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고, 버스신호가 하프 전원전압으로부터 전원전압 또는 접지전압으로 천이되므로 신호전송속도가 향상되면서도 실시예에서 나타나듯이 리시버에 별도의 제어신호가 필요없고, 드라이버와 등화기의 제어가 매우 간단하게 구현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bus driving circuit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current consumption by reducing the swing width of the bus signal by half, and the signal transmission speed since the bus signal transitions from the half supply voltage to the supply voltage or the ground voltage. While improved, as shown in the embodiment, the receiver does not need a separate control signal,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rol of the driver and the equalizer is very simple.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칩 내부의 버스를 저전력 고속으로 구현하는데 있어서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ibution of implementing a bus in the semiconductor memory chip at low power and high speed will be great.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위주로 한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버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이루는 트랜지스터들의 개수 및 구동타입이나 연결구성을 사안의 변경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based on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bvious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s well as equivalent embodiments. For example, the number of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components of the bus system, the driving type and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the matter chang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줄이면서도, 버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간단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부가적인 제어신호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improving the speed and power consumption, the components of the bus system is simple, so that the implementation is easy and the additional control signal is minimized.

Claims (10)

실라인과 상보라인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버스라인;A pair of bus lines comprising a seal line and a complementary line; 상기 버스라인에 연결되며, 인가되는 실데이터 및 상보데이터가 각기 클럭과 논리조합되어 얻어진 실라인 및 상보라인 풀업/풀다운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라인을 하프 전원전압의 레벨로부터 제1전원전압 또는 제2전원전압의 신호레벨로 구동하는 드라이버;The bus line is connected to the bus line, and the bus line is connected to the bus line from the level of the half power voltage in response to the seal line and complement line pull up / pull control signals obtained by logically combining the clock with the applied real data and the complementary data. Or a driver for driving at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상기 한쌍의 버스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클럭의 주기에 맞추어 인가되는 등화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등화구간에서는 상기 실라인과 상보라인의 전위를 동일하게 하프 전원전압으로 유지시키는 등화기; 그리고An equalizer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bus lines, the equalizer maintaining the potential of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t the half power voltage in an equalization section in response to an equalization control signal applied according to the clock cycle; And 상기 한쌍의 버스라인에 연결되며, 신호전송구간에서 하프 스윙으로 천이하는 상기 버스라인상의 신호레벨들에만 오직 응답하여 상기 제1전원전압 레벨에서 제2전원전압의 레벨로 또는 상기 제2전원전압 레벨에서 제1전원전압 레벨로 천이하는 풀 스윙펄스 형태의 출력을 생성하는 리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A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to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level or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level, in response to only the signal levels on the busline that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buslines and transition to a half swing in a signal transmission section; And a receiver for generating an output in the form of a full swing pulse that transitions to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at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전압이 구동전원전압의 레벨인 경우에 상기 제2전원전압은 접지전압의 레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The data bus driving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is a level of a ground voltage when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is a level of a driving power supply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상기 실라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보라인에 연결된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상보라인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소오스가 전원전압을 수신하며 드레인에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오스가 연결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The NMOS transistor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comprises a N-type transistor having a drain connected to the seal line and a gate connected to a complementary line, a source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a source receiving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source of the transistor at a drain. The data bus driving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data bus driving circuit comprises a connected MOS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상기 상보라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가 실라인에 연결된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실라인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소오스가 전원전압을 수신하며 드레인에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오스가 연결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The NMOS transistor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comprises a N-type transistor having a drain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and a gate connected to a seal line, a source connected to the seal line, a source receiving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source of the transistor at a drain. The data bus driving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data bus driving circuit comprises a connected MOS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라인이 전원전압의 레벨로, 상기 상보라인이 접지전압의 레벨로 구동되는 경우에 신호전송구간은 로직하이를 전송하는 상태로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The data bus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is determined to transmit logic high when the seal line is driven at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and the complementary line is driven at the ground voltag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라인이 접지전압의 레벨로, 상기 상보라인이 전원전압의 레벨로 구동되는 경우에 신호전송구간은 로직로우를 전송하는 상태로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The data bus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is determined to transmit a logic low when the seal line is driven at the ground voltage level and the complementary line is driven at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제어신호(EQ)가 인가되는 노드(N3)에 각각의 게이트들이 연결된 3개의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1,N2,N3)로 구성되며, 상기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은 하프 전원전압에 연결되고, 소오스는 노드 (N1)과 접속되는 실라인(L1)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은 하프 전원전압에 연결되고, 소오스는 노드 (N2)와 접속되는 상보라인(L2)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과 소오스는 상기 트랜지스터들(N1,N2)의 소오스간에 연결되어, 등화구간에서는 3개의 단자 즉, 하프 전원전압단자와 노드들(N1,N2)이 모드 쇼트되고, 신호전송구간에서는 상기 3개의 단자가 서로 오픈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2. The equalizer of claim 1, wherein the equalizer is composed of three N-type MOS transistors N1, N2, N3 connected to gates of the node N3 to which the control signal EQ is applied. The drain is connected to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the source is connected to the seal line L1 connected to the node N1, the drain of the transistor N2 is connected to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source is connected to the node N2. The drain and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N3 are connected between the sources of the transistors N1 and N2. In the equalization section, three terminals, that is, the half power voltage terminal and the nodes ( N1, N2) is mode shorted, and the three terminals are open to each other in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실라인 풀업제어신호(TUP#) 및 실라인 풀다운 제어신호(TDN)를 게이트로 각기 수신하는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1,MN1)와, 상보라인 풀업제어신호(CUP#) 및 상보라인 풀다운 제어신호(CDN)를 게이트로 각기 수신하는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2,MN2)로 구성되며, 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1,MP2)의 소오스는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N1,MN2)의 소오스는접지전압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1,MN1)의 공통 드레인노드는 상기 실라인(BUS_T)에 연결되고, 상기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MP2,MN2)의 공통 드레인노드는 상기 상보라인(BUS_C)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2. The driver of claim 1, wherein the driver comprises a PMOS transistor and an NMOS transistor MP1 and MN1 for receiving a seal line pull-up control signal TUP # and a seal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TDN, respectively, as a gate. It is composed of the PMOS transistors and the NMOS transistors MP2 and MN2 respectively receiving the pull-up control signal CUP # and the complementary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CDN as gates, and the source of the PMOS transistors MP1 and MP2 is The source of the N-type transistors MN1 and MN2 is connected to a ground voltage, and the common drain node of the N-type transistor and the N-type transistors MP1 and MN1 are connected to the seal line BUS_T. The common drain node of the PMOS transistor and the NMOS transistor MP2 and MN2 is connected to the complementary line BUS_C. Data bus drive circuit. 인가되는 실데이터 및 상보데이터를 각기 클럭과 논리조합하여 실라인 및 상보라인 풀업/풀다운 제어신호들과 등화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발생부;A control signal generator which logically combines applied real data and complementary data with a clock to generate real line and complementary line pull-up / pull-down control signals and an equalization control signal; 실라인과 상보라인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버스라인;A pair of bus lines comprising a seal line and a complementary line;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버스라인간에 연결되며, 상기 실라인 및 상보라인 풀업/풀다운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라인을 하프 전원전압의 레벨로부터 제1전원전압 또는 제2전원전압의 신호레벨로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드라이버;A signal level of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or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is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the bus line, and the bus line is connected from the level of a half power supply voltage to a level of a half power supply voltage in response to the seal line and complementary line pull-up / pull down control signals. At least one driver for driving; 상기 한쌍의 버스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클럭에 동기하여 생성되는 상기 등화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등화구간에서는 상기 실라인과 상보라인의 전위를 동일하게 하프 전원전압으로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등화기; 그리고At least one equalizer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bus lines and configured to maintain the same potential of the seal line and the complementary line at a half power supply voltage in an equalization section in response to the equaliza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And 상기 한쌍의 버스라인에 연결되며, 신호전송구간에서 하프 스윙으로 천이하는 상기 버스라인상의 신호레벨들에만 오직 응답하여 상기 제1전원전압 레벨에서 제2전원전압의 레벨로 또는 상기 제2전원전압 레벨에서 제1전원전압 레벨로 천이하는 풀 스윙펄스 형태의 출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리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시스템.A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to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level or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level, in response to only the signal levels on the busline that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buslines and transition to a half swing in a signal transmission section; And at least one receiver for generating an output in the form of a full swing pulse that transitions to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level in th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클럭신호(CLK)를 인버팅하여 등화제어신호(EQ)를 생성하는 인버터(IN1), 상기 클럭신호(CLK)와 실데이터를 낸드 게이팅하여 실라인 풀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낸드 게이트(NAN1), 상기 낸드 게이트(NAN1)의 출력을 반전하여 상보라인 풀다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IN3), 상기 클럭신호(CLK)와 상보데이터를 낸드 게이팅하여 상보라인 풀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낸드 게이트(NAN2), 상기 낸드 게이트(NAN2)의 출력을 반전하여 실라인 풀다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IN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구동시스템.2. The seal lin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is configured to invert the clock signal CLK to generate an equalization control signal EQ, and to nand gate the clock data CLK to real data. NAND gate NAN1 generating a pull-up control signal, inverter IN3 generating a complementary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by inverting the output of the NAND gate NAN1, and NAND gating complementary data with the clock signal CLK. And a NAND gate (NAN2) for generating a line pull-up control signal, and an inverter (IN2) for inverting the output of the NAND gate (NAN2) to generate a seal line pull-down control signal.
KR1020000003895A 2000-01-27 2000-01-27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100766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895A KR20010076636A (en) 2000-01-27 2000-01-27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895A KR20010076636A (en) 2000-01-27 2000-01-27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636A true KR20010076636A (en) 2001-08-16

Family

ID=1964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895A KR20010076636A (en) 2000-01-27 2000-01-27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6636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315A (en) * 1990-07-13 1994-11-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speed signal driving scheme
JPH08320746A (en) * 1995-05-24 1996-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Bus driving circuit, receiver circuit and bus system
US5602795A (en) * 1994-01-12 1997-02-1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high-speed dynamic line driver
US5742185A (en) * 1995-06-30 1998-04-21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Data bus drive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315A (en) * 1990-07-13 1994-11-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speed signal driving scheme
US5602795A (en) * 1994-01-12 1997-02-1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high-speed dynamic line driver
JPH08320746A (en) * 1995-05-24 1996-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Bus driving circuit, receiver circuit and bus system
US5742185A (en) * 1995-06-30 1998-04-21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Data bus drive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0557B2 (en) Data output circuit and data output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evel shifter,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data output circuit
US6331791B1 (en) Charge-redistribution low-swing differential logic circuit
US5929687A (en) Signal transmitting circuit, signal receiving circuit,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signal transmitting method, signal receiving method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73560B2 (en) Level shifter
KR20000035732A (en) Latch circuit
US20030094985A1 (en) Data output method and data output circuit for applying reduced precharge level
US9270275B2 (en) Level shifter and serializer having the same
US5617043A (en) Output buffer with reference voltage circuit for increasing speed
US726264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ystems
US6621306B2 (en) Random logic circuit
KR100202645B1 (en) Cmos output circuit with precharging circuit
KR20040010206A (en) Bus interface circuit and receiver circuit
US6281714B1 (en) Differential receiver
KR100311973B1 (en) Logic interface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is circuit
KR100406565B1 (en) Data transmission device
KR100713907B1 (en) Circuit for driving lines of a semiconductor
KR20010076636A (en) data bus drive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00052B1 (en) Output buffer circuit
JP3627947B2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366523B1 (en) Sense amplifying circuit
KR100192929B1 (en) Data output buffer
KR20050077430A (en) Digital circuit tolerant of race condition problem
KR20000043230A (en) Data input buffer
KR100308130B1 (en) Data Transfer Circuit
KR20010073707A (en) Output driver connected to open drain outpu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