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723A - Filter element - Google Patents

Filter 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723A
KR20010074723A KR1020017000741A KR20017000741A KR20010074723A KR 20010074723 A KR20010074723 A KR 20010074723A KR 1020017000741 A KR1020017000741 A KR 1020017000741A KR 20017000741 A KR20017000741 A KR 20017000741A KR 20010074723 A KR20010074723 A KR 2001007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aterial
membrane
fixing element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게하르트 슈트롬
게오르그 슈나이더
틸로 레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메르크
사이츠-필테르-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메르크, 사이츠-필테르-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메르크
Publication of KR2001007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72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01D63/061Manufactu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01D63/067Tubular membrane modules with pleated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부 캡 및/또는 어댑터와 같은 고정 요소에 삽입되는 친수성 중합체의 필터 재료 특히 굴곡 및/또는 주름이 잡힌 필터 재료를 갖는 필터 요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aterial of a hydrophilic polymer inserted into a fixing element such as an end cap and / or an adapter, in particular a filter element having a bent and / or pleated filter material.

필터 요소가 공지되며, 이것에 의해 필터 재료의 성질은 고정 요소에 삽입함으로써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필터 재료(6)가 삽입되는 영역에서의 고정 요소(1)는 친수성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Filter elements are known, whereby the properties of the filter material do not have a negative effect by insertion into the stationary element. The fixing element 1 in the region where the filter material 6 is inserted consists of a hydrophilic thermoplastic elastomer.

Description

필터 요소{FILTER ELEMENT}Filter element {FILTER ELEMENT}

다공질 필터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가장 변하기 쉬운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다.Porous filter materials are made of the most variable thermoplastic materials such as polypropylene,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polyimides, polysulfones, polyether sulfones, cellulose derivatives, polyvinylidene fluorides, polytetrafluoroethylene.

이러한 필터 멤브레인은 고정 요소 대부분의 경우에 소위 단부 캡에 삽입되는 소위 멤브레인 필터 튜브내에서 주름이 잡힌 또는 굴곡의 형태로 또한 처리된다. US 3 457 339는 이러한 필터 재료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상기 또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멤브레인 필터 튜브는 적당한 매체로 웨팅(wetting) 후에 상기 튜브가 보전 특히 사용되는 멤브레인 재료가 0.04 내지 5 미크론 범위의 공극 크기를 가질 때 검사되는 특징이 있다.Such filter membranes are also treated in the form of pleated or curved in the so-called membrane filter tubes which in most cases are inserted into the so-called end caps in the fixing element. US 3 457 339 describes a method of making such a filter material. Membrane filter tubes made using this or similar methods are characterized by being inspected after wetting with a suitable medium when the tube material is preserved, especially when the membrane material used has a pore size in the range of 0.04 to 5 microns.

대부분의 적용에 있어서, 멤브레인 필터 튜브의 웨팅을 위하여, 물 또는 수용액이 사용된다. 필터 요소의 웨팅이 더 용이하게 가능해지면 질수록, 친수성 성분이 더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소위 액체의 살균 여과를 위한 대부분의 경우에, 친수성 멤브레인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사용된다. 멤브레인 재료를 위한 적용 및 요구조건에 따라서, 화학적 저항, 감소된 단백질 흡수 또는 열 저항에 관하여 장점을 갖는 다른 멤브레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성질은 어느 정도까지 친수성 멤브레인 재료 사이에서 포함될 수 있는 멤브레인 재료로 만족된다. 이러한 친수성 멤브레인은 상술한 필터 튜브에서 용이하게 웨트되어(wetted) 사용되도록 이것은 특별한 공정에서 친수성이 되어야 한다. 이것의 실시예는 EP 0 571 871 B1, EP 0 082 433 B1, EP 0 228 072 B1, EP 245 000 A3, EP 0 186 758 B2에 공지되어 있다.In most applications, for wetting the membrane filter tubes, water or aqueous solutions are used. The more easily wetting of the filter elements becomes possible, the more hydrophilic components are used. For this reason, in most cases for the so-called sterile filtration of liquids, hydrophilic membrane materials are used, for example, polyamides or cellulose derivativ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requirements for the membrane material, it is necessary to use other membrane materials that have advantages in terms of chemical resistance, reduced protein absorption or thermal resistance. This property is satisfied to some extent with membrane materials that can be included between hydrophilic membrane materials. This hydrophilic membrane must be hydrophilic in a particular process so that it is easily wetted and used in the filter tubes described above. Examples of this are known from EP 0 571 871 B1, EP 0 082 433 B1, EP 0 228 072 B1, EP 245 000 A3, EP 0 186 758 B2.

멤브레인 재료의 간단한 웨팅을 보장하는 목적은 모든 노력에 일반적이므로, 보전을 위한 웨팅 후에 필터 요소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필터 요소 문제로 멤브레인의 현저한 친수성이 웨팅으로 발생할지라도, 모든 것 중 첫번째로 단부 캡 재료에서 야기된다.Since the purpose of ensuring simple wetting of the membrane material is common to all efforts, it becomes possible to inspect the filter elements after wetting for integrity. Finally, although the significant hydrophilicity of the membrane due to filter element problems occurs with wetting, it is the first of all that results in the end cap material.

상이한 공정은 에지 존(edge zone)에서 소수성 또는 열 손실의 문제를 완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목적으로 모두 발전되었다.Different processes have all been developed with the aim of mitigating or eliminating the problem of hydrophobicity or heat loss in the edge zone.

EP 096 306 A2는 에지 실링(sealing)의 특별한 공정을 기재한다. 예를 들면 나일론 필터와 같은 친수성 멤브레인 필터는 열간 밀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밀봉되며, 이것은 가열 용융 시멘트로서 용매가 없는 폴리에틸렌 코팅을 갖는 일측에 제공된다.EP 096 306 A2 describes a special process of edge sealing. Hydrophilic membrane filters, such as, for example, nylon filters, are sealed with a hot sealing polyester film,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with a solvent-free polyethylene coating as hot melt cement.

EP 03 27 025 B1은 필름같은 상태에서 멤브레인 구조를 멤브레인 일측으로이동시키는 결과로 유동체에 대해 불투과성 위치를 갖는 다공질 멤브레인 필터를 기재한다.EP 03 27 025 B1 describes a porous membrane filter having an impermeable position relative to the fluid as a result of moving the membrane structure to one side of the membrane in a film like state.

EP 00 36 315 B1은 열간 실링 공정 및 기계적 공정이외에도 다공질 필터 멤브레인의 민감한 영역이 접착제를 갖는 파팅(potting)으로 처리되는 공정을 기재한다.EP 00 36 315 B1 describes a process in which in addition to the hot sealing process and the mechanical process, sensitive areas of the porous filter membrane are treated with potting with an adhesive.

WO 95/14525는 다공질 멤브레인의 민감한 영역의 부분 친수성 공정을 기재하고,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이, 삽입하고자 하는 주입된 영역에서 변형되는 친수성 멤브레인은 처리되지 않은 멤브레인 영역에서 처럼 친수성이 적어도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WO 95/14525 describes a partial hydrophilic process of a sensitive region of a porous membrane, and as claimed in the invention, a hydrophilic membrane that is modified in the implanted region to be inserted has at least twice as hydrophilic as in an untreated membrane region. It is preferable.

DE 296 20 189 U1은 복잡한 공정을 기재하며, 여기에서 에지 단면에서 적어도 친수성의 다공질 멤브레인은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다공질 평 구조에 결합된다(적층된다).DE 296 20 189 U1 describes a complex process wherein at least the hydrophilic porous membrane in the edge cross section is bonded (laminated) to the porous planar structure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fibers.

멤브레인을 단부 캡에 삽입하는 것이 발생하기 전에, 다공질 필터 재료의 민감한 영역을 처리해야 하는 1 또는 그 이상의 작업 단계에서의 필요성은 상술한 모든 공정에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것은 증가되는 노동력 및 결과적으로 매우 높은 비용과 관련된다.Prior to inserting the membrane into the end cap, the need in one or more work steps to deal with sensitive areas of porous filter material is common to all of the processes described above. However, thi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labor and consequently very high costs.

단부 캡을 위한 재료는 EP 0 096 306 A2, WO 95/14525, DE 296 20 189 U1 및 특히 US 3,457,339에 기재되어 있다.Materials for end caps are described in EP 0 096 306 A2, WO 95/14525, DE 296 20 189 U1 and in particular US 3,457,339.

EP 0 096 306 A2는 다음의 중합체를 열거한다: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플루오르화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 폴리아크릴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스아크릴레이트, 폴리알릴(polyalyl) 및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트리플루오르클로로에틸렌이 마찬가지로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은 생물학적 유동체의 여과에 사용된다.EP 0 096 306 A2 lists the following polymers: polyolefin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isobutylene), polyamide, polyvinyl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acrylonitrile, polyester, poly Carbonates, polymethacrylates, polyalyl and polyoxym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and polytrifluorochloroethylene are likewise used. Polypropylene is used for filtration of biological fluids.

WO 95/14525는 폴리술폰을 기재하고 DE 296 20 189 U1은 폴리에테르 술폰을 기재한다.WO 95/14525 describes polysulfones and DE 296 20 189 U1 describes polyether sulfones.

US 3,457,339는 폴리스틸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부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르화 비닐, 비닐 아세테이트 혼성 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페닐 플루오르화 혼성 중합체, 부틸 폴리비닐, 폴리트리플루오르클로로에틸렌 및 폴리메틸 메스아크릴레이트를 기재한다. 필터 재료는 이러한 단부 캡 재료와 결합될 수 있는 가장 변하기 쉬운 재료일 수 있다.US 3,457,339 describes polystyrene, cellulose acetate, ethyl cellulose, cellulose butyl acetate, vinyl fluoride, vinyl acetate interpolymers, vinylidene chloridephenyl fluorinated interpolymers, butyl polyvinyl, polytrifluorochloroethylen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do. The filter material may be the most variable material that can be combined with such end cap material.

열가소성 중합체는 단부 캡에 적당히 고려될 수 있는 모든 적용에 일반적이다.Thermoplastic polymers are common in all applications that can be appropriately considered for end caps.

종래에, 필터 요소를 제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멤브레인과 같은 필터 재료의 단부는 완전히 용융되거나 피상적으로 용융되는 단부 캡에서 수 밀리미터가 가라앉게 된다. 멤브레인 재료가 합성 열가소성 수지의 단부 캡 융해 금속에 삽입될 때 및 그 다음에 밀봉 재료가 응고될 때, 고정 영역의 내에서 및 외부에서 물리적 성질에 관하여 원하지 않는 변화는 멤브레인 상에서 발생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roduce a filter element, the ends of the filter material, such as membranes, for example, sink several millimeters in the end caps which are either fully melted or superficially melted. When the membrane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end cap fusion metal of the synthetic thermoplastic and then the sealing material solidifies, unwanted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within and outside the fixed area can occur on the membrane.

예를 들면 폴리비닐 디플루오르화, 폴리술폰, 폴리에스테르 술폰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되는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에 대해 질량 열 손실이발생하는 것없이 상술한 단부 캡 재료에 고정될 수 없다.For example, a membrane composed of polyvinyl difluorinated, polysulfone, polyester sulfone or polytetrafluoroethylene cannot be fixed to the end cap material described above without mass heat loss occurring on the membrane.

통합 테스트의 목적을 위하여 물 또는 수용액을 갖는 필터 요소의 용이한 습윤성이 필요하지 않을 때(알코올 용액으로 웨트(wet)될 때) 또는 유리 전이 온도 또는 멤브레인 재료의 용융점은 상술한 친수성 단부 캡 재료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때, 폴리프로필렌이 항상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멤브레인 형태에 있어서, 에지 존 소수성의 단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이 필요하다.For the purposes of integrated testing, when the easy wettability of the filter element with water or aqueous solution is not needed (wet with alcohol solution) o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the melting point of the membrane material is determined by the hydrophilic end cap material described above. When not allowed to use, polypropylene is always used. Thus, in this type of membrane, there is a need for polypropylene with the disadvantage of edge zone hydrophobicity.

본 발명은 단부 캡 및/또는 어댑터와 같은 고정 요소에 삽입되는 친수성 중합체의 필터 재료 특히 굴곡 및/또는 주름이 잡힌 필터 재료를 갖는 필터 요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aterial of a hydrophilic polymer inserted into a fixing element such as an end cap and / or an adapter, in particular a filter element having a bent and / or pleated filter material.

도 1 및 도 2는 단면도로 2개의 단부 캡을 도시한다.1 and 2 show two end caps in cross s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요소를 안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필터 재료의 성질은 고정 요소에 삽입함으로써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vise a filter element, wherein the properties of the filter material do not have a negative effect by inserting it into the stationary element.

이러한 목적은 필터 재료의 삽입 영역에서 적어도 친수성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갖는 고정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a fixing element having at least a hydrophilic thermoplastic elastomer in the insertion region of the filter material.

본 발명은 단부 캡에서와 같은 고정 요소에서의 필터 재료를 성공적으로 삽입하는데 있으며, 필터 재료의 용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 단부 캡 재료의 용융점 및 단부 캡 재료의 습윤성을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cessful in inserting filter material in a fixing element, such as in an end cap, and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melt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ter material, the melting point of the end cap material and the wettability of the end cap material.

필터 재료의 용융점을 높이면 높일수록 및 고정 요소의 외면에서 용융된 재료의 온도를 낮추면 낮출수록, 필터 재료상에서 용융 재료의 가능한 반대 온도 효과가 작아진다. 다른 한편으로, 온도는 필터 요소를 살균하는 증기 살균의 형태로 매우 빈번히 반복적으로 사용되므로, 고정 요소는 145℃까지의 온도에서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필터 재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이러한 공정으로 고정된 영역이 분열되지 않아야 하지만, 필터 재료의 냉각 및 웨팅(wetting) 후에 통합 테스트를 하기 위하여 및 문제가 없는 살균 여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The higher the melting point of the filter material and the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element, the smaller the possible counter temperature effect of the molten material on the filter material.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mperature is repeatedly used very frequently in the form of steam sterilization which sterilizes the filter element, the fixing element must have sufficient mechanical stability at temperatures up to 145 ° C. The filter material should in no case be disrupted in the areas fixed by this process, but must be firmly fixed for integrated testing after cooling and wetting of the filter material and to ensure trouble-free sterile filtration.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이 사용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는 낮은 온도에서 고무 탄성 상태를 갖는 중합체이며, 여기에서 이것은 변형되지 않고 높은 온도에서 점성 상태로 변하고 열가소성 수지처럼 상기 상태로 처리될 수 있다. 18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점의 추가적인 장점을 포함하여, 이러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처럼 고정 요소 내에서 처리될 수 있다. 화학적 구조에 따라서, 이러한 재료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현저한 친수성을 갖는다. 이것은 민감한 멤브레인 재료가 삽입될 때 특히 유리하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s used as clai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polymers having a rubbery elastic state at low temperatures, in which they change into a viscous state at high temperatures without being deformed and can be treated in such a state as thermoplastic resins. Including the additional advantage of a melting point relatively lower than 180 ° C., such thermoplastic elastomers can be treated in a stationary element like thermoplastics. Depending on the chemical structure, these materials have significant hydrophilicity with some degree of flexibility.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sensitive membrane material is inserted.

이러한 성질은 동시에 중합체에서 높은 팽창성 및 낮은 유리 전이 온도(여기에서 Tg라 함)를 갖는 유연한 탄성 세그먼트뿐만 아니라 낮은 팽창성 및 높은 Tg를 갖는 단단한 결정 세그먼트로 달성되고 교차 결합을 위한 경향이 나타난다.This property is at the same time achieved with flexible elastic segments having high expandability and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erein referred to as Tg) in the polymer as well as rigid crystal segments with low expandability and high Tg and show a tendency for crosslinking.

유연한 세그먼트 및 단단한 세그먼트는 서로 호환성이 없으며 개별적이고 스며들지 않는 상으로 나타내어야 한다.Flexible and rigid segments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should be represented by separate and non-permeable phases.

이러한 열가소성 요소의 주된 특징은 열불안정성이고 전도할 수 있게 분리된 교차 결합 배치이다.The main feature of these thermoplastic elements is their thermally labile and conductively separated crosslinked arrangements.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의 용융점은 필터 재료의 용융점보다 낮은 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단단하고 유연한 세그먼트의 비율을 대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e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preferably 5 ° C. to 50 °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lter material. This is made possible by correspondingly adjusting the ratio of hard and flexible segments.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럭 혼성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ermoplastic polymer is preferably a polyether-polyamide block interpolymer.

폴리아미드 부분 및 폴리에테르 부분 사이의 몰 질량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상이한 기계적 및 화학적 성질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가 생기게 된다.By varying the molar mass ratio between the polyamide moiety and the polyether moiety,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different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re produced.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럭 혼성 중합체는 다음의 장점을 갖는다.Polyether-polyamide block interpolymers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 높은 기계적 성질-High mechanical properties

- 저온에서의 좋은 성질-Good properties at low temperatures

- 좋은 동적 성질-Good dynamic properties

- 처리의 용이함-Ease of processing

- 폴리아미드 부분에 영향을 주는 좁게 제한되는 용융점Narrowly limited melting point affecting the polyamide moiety;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의 예를 사용하여, 이러한 재료와 함께 매우 좋은 웨팅 및 리웨팅(rewetting) 결과가 달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주된 장점은 2상 구조(단단한 폴리아미드 세그먼트 및 유연한 폴리에테르 세그먼트의 선형이고 규칙적인 체인)의 결과로서 상이한 용융점을 갖는 상이한 재료 형태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용융점은 고정 요소(ASTM 방법 D 2117)에서의 멤브레인 재료에 특히 적당한 148℃ 내지 174℃의 상기 온도 범위에 모두 있게 되어, 이것은 비교 친수성을 갖는 비교 폴리아미드 단일 중합체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의 용융점보다 훨씬 낮다.Using examples of polyether block amides, very good wetting and rewetting results are achieved with these materials. Another major advantage is that different material forms with different melting points can be produced as a result of the biphasic structure (linear and regular chains of solid polyamide segments and flexible polyether segments). These melting points are all within this temperature range of 148 ° C. to 174 ° C.,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membrane material in the stationary element (ASTM method D 2117), which is one of comparative polyamide homopolymers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having comparative hydrophilicity. Much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다른 바람직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약자 TPE)는 특징적인 성분을 갖는 스틸렌 형태, 탄성 중합체 혼합물,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이며, 이것은 다음의 표에 요약된다.Other preferred thermoplastic elastomers (abbreviated TPE) are styrene forms, elastomer mixtures, polyurethanes and polyether esters with characteristic components, which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TPE분류TPE Classification 예(상업적이름/제작자)Yes (Commercial Name / Producer) 유연 단단중합체 세그먼트Flexible Homopolymer Segments 스틸렌형태SBS SISSEBSStyrene type SBS SISSEBS 크래톤 D/셀카리플렉스 TR/셀솔프렌/필립스크래톤/셀Kraton D / SelCaliflex TR / Selsolprene / Philipscranton / Cell 부타디엔또는 이소프렌에틸렌부타디엔Butadiene or isopreneethylenebutadiene 스틸렌스틸렌Styrene Styrene 탄성 중합체혼합물EPDM/PPEVA/PVDCNBR/PPElastomer Blends EPDM / PPEVA / PVDCNBR / PP 레바플렉스/바이엘산토프렌/몬산토열가소성내츄럴러버/MRPRA알크린/드봉제오라스트/몬산토Reflexex / Bayer Santoprene / Monsanto Thermoplastic natural rubber / MRPRA al clean / de plush auras / Monsanto 교차 결합EPDM교차 결합NR에틸렌 비닐아세트산교차 결합NBRCrosslinked EPDM Crosslinked NR Ethylene Vinyl Acetate Crosslinked NBR 프로필렌프로필렌비닐리덴염화물프로필렌Propylene Propylene Vinylidene Chloride Prop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데스모판/바이엘에스탄/굿리치페레탄/유피존Des Mopan / Bayer Estan / Goodrich Peretane / Uffizi 에스테르 글리콜또는 에테르글리콜Ester glycol or ether glycol 이소시안산염체인렌스넌(lengtheners)H 본드Isocyanate Chain Lengtheners H Bond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아니트릴/azko하이트렐/드봉Anitrile / azko hytrel / Dupon 알킬렌글리콜Alkylene glycol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Alkylene terephthalate

여기에서,From here,

SBS, SIS, SBC 스틸렌-트리블럭(triblock) 혼성 중합체SBS, SIS, SBC Styrene-Triblock Interpolymers

TP-NR 열가소성 내츄럴 러버TP-NR Thermoplastic Natural Rubber

TP-NBR 열가소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러버TP-NBR thermoplastic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에 있어서, 반대 효과 또는 친수성의 손실 또는 과도하게 높은 싱킹 온도에 의한 멤브레인의 손해를 걱정할 필요없이 친수성 고정 요소내로 에지 단면에서 복잡한 추가 공정 및 처리없이 낮은 용융점을 갖는 특히 멤브레인 재료를 싱킹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ermoplastic elastomers, especially sinking membrane materials with low melting points without complex additional processes and treatments at the edge cross-section into the hydrophilic fixing element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adverse effects or loss of hydrophilicity or damage to the membrane due to excessively high sinking temperatures. It is possible.

멤브레인 이외에도, 또한 다른 필터 재료는 매우 유사한 용융점의 결과로 이것이 대체물로서 특히 이러한 적용에서 폴리프로필렌에 사용되므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최대 가능한 친수성은 에지 존 영역에서 또한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membrane, also other filter materials can be immobilized in thermoplastic elastomers as a result of very similar melting points, as they are used in polypropylene as a substitute, especially in such applications, where the maximum possible hydrophilicity is also desirable in the edge zone region.

다른 장점은 상이한 재료로부터 고정 요소의 성분을 제조하는 가능성이다.Another advantage is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the components of the fixing element from different materials.

고정 요소의 성분은 상이한 용융점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nents of the fixing element are preferably composed of thermoplastic elastomers of different melting points.

따라서, 필터 요소 팁은 높게 설정되는 용융점을 갖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높은 용융점의 결과로 기계적으로 가장 높게 압력이 가해진 부분은 높은 온도에서 현저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반사기에 의한 맞댄 용접에 의하여, 이러한 부분은 낮은 용융 혼성 중합체의 단부 캡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온도에 민감한 멤브레인 재료를 주의 깊게 친수성 고정 재료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동시에 필터 요소를 제조하는 높은 용융점을 갖는 동일한 재료의 특수 팁 부분을 사용하는 결과로 상기 필터 요소는 높은 온도(105℃ 내지 145℃)에서 반복되는 살균을 갖는 여과 작업에 또한 적당하다.Thus, the filter element tip can be made of polyether block amide material, for example, having a melting point set high. The mechanically highest pressured part resulting in the high melting point has significant mechanical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s. By means of butt welding by a heat reflector, this part can be connected with the end cap of the low melt interpolymer. Thu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refully insert a temperature sensitive membrane material into a hydrophilic fixation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use a special tip portion of the same material with a high melting point to manufacture the filter element, resulting in a high temperature ( It is also suitable for a filtration operation with a sterilization repeated at 105 ° C.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합체 예를 들면 PP로부터 고정 요소를 제조하는데 있으며, 이것은 필터 재료의 삽입 영역에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코팅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s for producing a fixing element from a polymer, for example PP, which is coated with a thermoplastic elastomer in the insertion region of the filter material.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를 위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페닐 술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필터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e filter element as claimed in the present invention,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 sulfon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 cellulose derivative, polyamide, aromatic polyamide, polyimide or polypropylene It is preferred that filter material be used.

필터 재료는 0.01 내지 1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미크론의 공극 크기를 갖는 필터 멤브레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ter material is preferably a filter membrane having a pore size of 0.01 to 10 microns, preferably 0.1 to 3 microns.

필터 멤브레인은 지지 재료로서 통합 다공질 구조를 갖는다.The filter membrane has an integrated porous structure as a support material.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illustrated using the following examples.

0.2 미크론의 공극 직경 및 0.7 ㎡ 의 멤브레인 면적의 멤브레인을 갖는 주름이 잡힌 필터 튜브가 제조되며, 폴리에테르 술폰뿐만 아니라 폴리술폰의 2개의 멤브레인은 싱킹(sinking)에 사용되고 다른 공정으로 검사된다. 상기 멤브레인은 비교를 위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단부 캡에 고정된다. 이러한 필터 튜브의 웨팅(wetting)은 다음의 조건으로 웨팅 후에 각각 2.7 바의 압력에서 공기 확산 측정(압력 유지 테스트 또는 통합 테스트)으로 검사된다.A pleated filter tube with a pore diameter of 0.2 micron and a membrane area of 0.7 m 2 is produced, and the two membranes of polysulfone as well as polyether sulfone are used for sinking and inspected by different processes. The membrane is secured to polypropylene and polyether block amide end caps for comparison. Wetting of these filter tubes is checked by air diffusion measurement (pressure retention test or integrated test) at a pressure of 2.7 bar respectively after wetting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 1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0.3 바의 압력차로 물을 넘치게 함a overflow of water with a pressure difference of 0.3 bar over a 10 minute time interval

b 1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1.0 바의 압력차로 물을 넘치게 함b Overflow water with a pressure difference of 1.0 bar over a 10 minute time interval

c 1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4.0 바의 압력차로 물을 넘치게 함c Overflow water with a pressure differential of 4.0 bars over a 10 minute time interval

d 1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0.3 바의 압력차로 물을 넘치게 한 다음, 1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0.3 바의 압력차로 물을 넘치게 함으로써 2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0.5 바의 과압으로 수증기 처리d Water vapor treatment at an overpressure of 0.5 bar over a 20 minute time interval by overflowing the water with a pressure difference of 0.3 bar over a 10 minute time interval and then overflowing the water with a pressure difference of 0.3 bar over a 10 minute time interval.

실시예 1Example 1

주름이 잡힌 폴리술폰 멤브레인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단부 캡에 고정되고 필터 요소의 웨팅 용량이 검사된다.The pleated polysulfone membrane is fixed to the polypropylene and polyether block amide end caps and the wetting capacity of the filter elements is checked.

8 필터 튜브의 측정된 공기 확산(mL/min)의 평균 값8 Average value of measured air diffusion (mL / min) in the filter tube

웨팅 조건Wetting conditions aa bb cc dd 폴리프로필렌 단부 캡Polypropylene end caps > 200> 200 > 200> 200 5050 1212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단부 캡Polyether Block Amide End Caps 1313 1111 1010 1010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로부터의 필터 요소는 0.2 바의 압력차로 2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물을 넘치게 한 다음, 12 시간 동안 80℃로 건조되고 리웨팅(rewetting) 용량이 검사된다.The filter element from Example 1 was flooded with water over a 20 minute time interval with a pressure difference of 0.2 bar, then dried at 80 ° C. for 12 hours and tested for rewetting capacity.

8 필터 튜브의 측정된 공기 확산(mL/min)의 평균 값8 Average value of measured air diffusion (mL / min) in the filter tube

웨팅 조건Wetting conditions aa bb cc dd 폴리프로필렌 단부 캡Polypropylene end caps > 200> 200 > 200> 200 5757 1616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단부 캡Polyether Block Amide End Caps 1414 1212 1111 1010

주름이 잡힌 폴리에테르 술폰 멤브레인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단부 캡에 고정된다. 따라서, 프리플러시(preflushed)되고 건조된 필터 요소는 10시간까지 건조 상태로 자동부착된다. 필터 요소의 웨팅 용량은 2.7 바의 공기 확산 측정을 사용하여 10분의 시간 간격에 걸쳐 0.3 바의 최대 압력으로 요소를 물로 넘치게 함으로써 각각 자동 부착한 후에 검사된다.The pleated polyether sulfone membrane is secured to the polypropylene and polyether block amide end caps. Thus, the preflushed and dried filter element is automatically attached in a dry state up to 10 hours. The wetting capacity of the filter elements is inspected after each automatic attachment by flooding the elements with water at a maximum pressure of 0.3 bar over a 10 minute time interval using an air diffusion measurement of 2.7 bar.

8 필터 튜브의 측정된 공기 확산(mL/min)의 평균 값8 Average value of measured air diffusion (mL / min) in the filter tube

오토클레이브의 번호Number of autoclaves 폴리프로필렌 단부 캡Polypropylene end caps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단부 캡Polyether Block Amide End Caps 1x1x 1414 1111 2x2x 1616 1111 3x3x 1919 1010 4x4x 2424 99 5x5x 3535 1111 6x6x 4848 1111 7x7x 6060 1111 8x8x > 200> 200 1010 9x9x > 200> 200 1010 10x10x > 200> 200 99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단부 캡이 설치된 필터 튜브는 분명한 웨팅 및 리웨팅 장점을 나타낸다. 건식 필터 요소의 오토클레이빙과 같은 조건 하에, 필터 요소의 웨팅 용량은 양호하고 일정하다. 매우 낮은 웨팅 압력은 요소를 완전히 적시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반면, 폴리프로필렌 단부 캡이 설치된 요소는 싸이클 수의 증가로 더이상 적셔 지지 않는다.Filter tubes equipped with polyether block amide end caps exhibit distinct wetting and rewetting advantages. Under conditions such as autoclaving of dry filter elements, the wetting capacity of the filter elements is good and constant. Very low wetting pressures can be chosen to fully wet the elements, while elements with polypropylene end caps are no longer wett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ycles.

도 1 은 단부 캡(3) 및 팁(2)을 갖는 고정 요소(1)를 도시한다. 주름이 잡힌 필터 요소(6)는 단부 캡(3)에 삽입되고 통합된 다공질 직물(8)을 갖는 필터 멤브레인(7)으로서 도시된다. 고정 요소(1)는 상이한 재료를 갖는다. 단부 캡(3)은 낮은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완전히 제조되는 반면, 팁(2)은 높은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제조된다. 팁(2) 및 단부 캡(3)은 가열 반사기로 맞댄 용접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1 shows a fastening element 1 with an end cap 3 and a tip 2. The pleated filter element 6 is shown as a filter membrane 7 with a porous fabric 8 inserted and integrated in the end cap 3. The fixing element 1 has a different material. The end cap 3 is made entirely of thermoplastic elastomer with a low melting point, while the tip 2 is made of thermoplastic elastomer with a high melting point. The tip 2 and the end cap 3 are joined to each other by welding back to the heating reflector.

도 2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필터 재료(6)로 향하고 있는 영역(4)에서의 고정 요소(1)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고 이것은 필터 재료(6)의 삽입 영역에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5)로 코팅된다. 유사한 용융점을 기초로 하여 삽입 공정은 재료를 녹임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이 영역에서 필터 재료(6)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의 층(5)에 삽입되므로, 필터 재료(6)가 폴리프로필렌 재료(4)에 삽입된다는 사실은 필터 재료의 친수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층(5)의 두께는 예를 들면 3㎜이다. 일반적인 층의 두께는 0.5㎜ 내지 4㎜의 범위이다.2 shows another embodiment, wherein the fixing element 1 in the region 4 facing the filter material 6 consists of polypropylene, which is a thermoplastic elastomer in the insertion region of the filter material 6. Coated with (5). The insertion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by melting the material based on similar melting points. In addition, since the filter material 6 is inserted into the layer 5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n the transition region, the fact that the filter material 6 is inserted into the polypropylene material 4 does not affect the hydrophilicity of the filter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layer 5 is for example 3 mm. Typical layer thicknesses range from 0.5 mm to 4 mm.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요소는 필터 재료의 성질이 고정 요소에 삽입함으로써 그 역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필터 재료의 용융점을 높이면 높일수록 및 고정 요소의 외면에서 용융된 재료의 온도를 낮추면 낮출수록, 필터 재료상에서 용융 재료의 가능한 반대 온도 효과가 작아지며, 필터 요소를 살균하는 증기 살균의 형태로 반복적으로 사용되므로, 고정 요소는 145℃까지의 온도에서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The filter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roperties of the filter material by inserting it into the stationary element, the higher the melting point of the filter material and the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tionary element The lower, the less likely the effect of the opposite temperature of the molten material on the filter material is, and since it is repeatedly used in the form of steam sterilization to sterilize the filter element, the fixing element has the effect of having sufficient mechanical stability at temperatures up to 145 ° C.

Claims (9)

단부 캡 및/또는 어댑터와 같은 고정 요소에 삽입되는 친수성 중합체의 필터 재료 특히 굴곡 및/또는 주름이 잡힌 필터 재료를 갖는 필터 요소에 있어서,In a filter material of a hydrophilic polymer inserted into a fixing element such as an end cap and / or an adapter, in particular a filter element having a curved and / or pleated filter material 고정 요소(1)는 필터 재료(6)의 삽입 영역에서 적어도 친수성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Filter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element (1) has at least a hydrophilic thermoplastic elastomer in the insertion region of the filter material (6).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의 용융점은 필터 재료의 용융점보다 낮은 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The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used is between 5 ° C. and 50 °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lter materi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럭 혼성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Said thermoplastic polymer being a polyether-polyamide block interpolym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는 부타디엔-스틸렌 블럭 혼성 중합체, 스틸렌 형태, 탄성 중합체 혼합물,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a butadiene-styrene block interpolymer, a styrene form, an elastomer mixture, a polyurethane and a polyether este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고정 요소(1)의 성분(2, 3)은 상이한 용융점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The component (2, 3) of the fixing element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hermoplastic elastomers of different melting point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고정 요소(1)는 필터 재료(6)의 삽입 영역에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5)로 코팅되는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The fixing element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olymer coated with a thermoplastic elastomer (5) in the insertion region of the filter material (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필터 재료(6)는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페닐 술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The filter material 6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 sulfone, polytetrafluoroethylene, cellulose derivativ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amide, aromatic polyamide, polyimide or polypropylene Filter element.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필터 재료(6)는 0.01 내지 10 미크론의 공극 크기를 갖는 필터 멤브레인(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The filter element (6),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mbrane (7) having a pore size of 0.01 to 10 micron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필터 멤브레인(7)은 지지 재료로서 통합된 다공질 구조(8)를 갖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The filter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mbrane (7) has a porous structure (8) integrated as a support material.
KR1020017000741A 1998-07-21 1999-07-03 Filter element KR200100747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2658.0 1998-07-21
DE19832658A DE19832658C1 (en) 1998-07-21 1998-07-21 Filter for sterile applications
PCT/EP1999/004637 WO2000004984A1 (en) 1998-07-21 1999-07-03 Filter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723A true KR20010074723A (en) 2001-08-09

Family

ID=787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741A KR20010074723A (en) 1998-07-21 1999-07-03 Filter elemen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05206A1 (en)
JP (1) JP2002521174A (en)
KR (1) KR20010074723A (en)
AU (1) AU5156399A (en)
DE (1) DE19832658C1 (en)
WO (1) WO200000498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44B1 (en) * 2007-06-26 2008-04-16 에이네스트(주) Separation membrane module having an improved adhesive property between separation membrane and separation membrane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5701A1 (en) 2002-11-29 2004-06-17 Mann + Hummel Gmbh Liquid filter element
BR122017021963B1 (en) * 2004-03-04 2020-11-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MODE SWITCHING OF A MULTIBOD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TRAFFIC STATE
DE102012008471B4 (en) 2012-04-27 2018-05-24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Filter element with improved testability after dry steaming,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DE102016013019A1 (en) 2016-10-31 2018-05-03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Porous sheet, filter element,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its u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339A (en) * 1965-12-08 1969-07-22 Pall Corp Process for making end capped filter elements
AU1773483A (en) * 1982-05-28 1983-12-16 Amf Inc. Filter element having microporous filter membrane
DE3240143A1 (en) * 1982-10-29 1984-05-03 Akzo Gmbh, 5600 Wuppertal Process for embedding membranes in a thermoplastic material
US4890444A (en) * 1986-02-13 1990-01-02 H. B. Fuller Company Bonded fluted filter media to end cap
DE4339810C1 (en) * 1993-11-23 1994-12-08 Seitz Filter Werke Process for the partial modification of porous, hydrophilic filter membranes, post-treated filter membranes and filtration modules fitted therewith, in particular filter candles
US5556440A (en) * 1994-10-20 1996-09-17 Fleetguard, Inc. Pressure-actuated radial air filter seal
DE19543955C2 (en) * 1995-11-25 1998-12-24 Sartorius Gmbh Integrity testable filtration unit with hydrophilic, porous membranes
JP3077020B2 (en) * 1996-04-25 2000-08-14 株式会社キッツ Hollow fiber type separation membrane module
WO1999012629A1 (en) * 1997-09-08 1999-03-18 Cuno, Incorporated End-cap for pleated filter cart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44B1 (en) * 2007-06-26 2008-04-16 에이네스트(주) Separation membrane module having an improved adhesive property between separation membrane and separation membran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156399A (en) 2000-02-14
JP2002521174A (en) 2002-07-16
EP1105206A1 (en) 2001-06-13
DE19832658C1 (en) 1999-11-11
WO2000004984A1 (en) 200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4280A (en) Composite structure having a porous filter medium and a method for forming same
US5084173A (en) Hydrophilic composite porous membrane, a method of producing the plasma separator
US6770202B1 (en) Porous membrane
JP5063696B2 (en) Sintered polymer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EP0203459B1 (en) A hydrophilic composite porous membrane,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 plasma separator
US6224765B1 (en) Filter element
US20020056675A1 (en) Gas vent filter construction incorporating a hollow fiber membrane assembly
US6159369A (en) Process for the partial modification of porous, hydrophilitic filter membranes, of filter membranes treated in such manner and filter modules equipped with such filter membranes, especially filter cartridges
JP2004512155A (en) Filtration equipment including wells
KR20010074723A (en) Filter element
US5240615A (en) Composite membrane composed of microporous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 laminated to porous support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EP0178635A2 (en) A cartridge filter
US5879554A (en) Polysulfone membran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40134851A1 (en) Polymeric surface treatment of filter media
KR20180069721A (en) Filter medi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Filter unit comprising the same
AU601599B2 (en) Porous hollow-fiber
EP0522692A2 (en) Filter
WO1996014913A1 (en) Hydrophilized filter cartridg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A2367547A1 (en) Porous membrane
US4853128A (en) Non-distorting separator for autoclavable membrane stacks
JP4245597B2 (en) Blood purifier
JPH07515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gal dissolved in aqueous solution
JP6030751B2 (en) Filter element with improved testability after dry steam treatment
RU2257938C2 (en) Corrosion-resistant filtration element
JP2001038170A (en) Hollow fiber memb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