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570A - 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 Google Patents

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570A
KR20010074570A KR1020010024956A KR20010024956A KR20010074570A KR 20010074570 A KR20010074570 A KR 20010074570A KR 1020010024956 A KR1020010024956 A KR 1020010024956A KR 20010024956 A KR20010024956 A KR 20010024956A KR 20010074570 A KR20010074570 A KR 20010074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oil
work
coupled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견신
Original Assignee
지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견신 filed Critical 지견신
Priority to KR102001002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4570A/en
Publication of KR2001007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57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6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bevel-wheel gearings

Abstract

PURPOSE: A worktable is provided to conveniently maintain a vehicle, to minimize an installing space and to reduce a cost by functioning variously. CONSTITUTION: A conduit(11) having an opening(12) is installed under a frame(105) of a worktable(100). A screw(10) having a stopper(13) is combined with the conduit(11). A combining hole(18)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crew(10). A lifting beveled gear(14) is installed in the frame(105) by a taper bearing(19). The screw(10) is not rotated inside the conduit(11) by the stopper(13). An operating beveled gear(15) is installed by a supporting bar(16). A handle(17) is installed to operate the operating beveled gear(15). The screw(10) is lifted by operating the handle(17).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본 발명은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의 작업대를 이용하여 엔진이나 부품 등을 분리하는 리프트 용도와 오일받이 및 공구대를 겸할 수 있게 하므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for automobile maintenance, and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use a single workbench to separate an engine or a component and the like, and to use the oil sump and the tool bar very reasonably. .

통상 자동차를 정비하기 위해서는 여건에 따라 엔진이나 무거운 부품을 분리한 상태에서 수리 및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Normally, in order to maintain a car, repair, maintenance, or replacement may occur in a state in which an engine or heavy parts are separated.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의 정비를 하기 위한 장비로서는 주로 엔진이나 무거운 부품을 분리해낼 경우 소형으로 된 리프트를 별도 구비하여 부품을 분리해내고 교환이나 수리 등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된다.In such a case, as the equipment for maintenance until now, when the engine or heavy parts are separated, a small lift is provided separately to separate parts and perform predetermined work such as replacement or repair.

상기와 같은 기존의 리프트는 단일의 물품으로서 개별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면 리프트의 구비에 따른 경비의 소요가 과도하고, 공간의 차지를 과도히 소요하게 되어 단일의 물품으로서 다양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existing lift as described above is used separately as a single item, the cost of the lift is excessive and the space is excessively consumed so that a plurality of functions cannot be performed as a single item. There was a problem.

그리고 자동차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엔진오일을 교환할 경우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오일받이를 별도로 마련하여 엔진오일을 교환하게 된다.When the engine oil is replaced during the maintenance of the automobile, the oil reservoir is separately provided while the vehicle is lifted using the lift to replace the engine oil.

이러한 경우 엔진오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들어올리거나 바닥을 파낸 작업장에서 엔진오일을 교환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차체와 오일받이의 거리가 멀어 엔진오일을 오일받이에 정확하게 받기가 어려워 자칫 주위를 오손하게 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replace the engine oil, the engine oil is replaced at the workshop where the vehicle is lifted or dug up, so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oil reservoir is difficult to receive the engine oil accurately in the oil reservoir, and thus the surrounding area is damaged.

즉, 엔진오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자동차의 차체 하부의 오일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내부의 엔진오일이 배출되는 바, 이러한 오일을 정확하게 받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오일받이를 들고 오일이 배출되는 지점에 대고 있어야만 받을 수 있게 되고, 상기와 같이 오일받이를 들고 있기가 어려워 주로 오일받이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오일을 배출하게 되므로 오일이 낙하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자칫 오일이 오일받이쪽에 낙하하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져 주위를 오손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That is, in order to replace the engine oil, if the oil valve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is opened while the vehicle is lifted using the lift, the engine oil is discharged. Only when the oil is discharged, it can only be received. As above, it is difficult to hold the oil pan, so the oil is discharged with the oil pan placed on the floor. It could not fall on the side of the drip tray and fell to the floor, causing the surroundings to be damaged.

근자에 들어서는 소형의 이동식 테이블이나 공구대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공구대의 상측에 오일받이를 안치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차체 하부측 오일이 배출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갖다놓고 오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경우가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공구대를 오손함은 물론이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오일받이의 오일을 배출할 경우는 가득찬 오일받이를 들고 별도로 배출해야 하므로 오일의 교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따랐다.In recent years, the engine oil is replaced by a small movable table or a tool bar, while the oil suppor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ol bar, accurately placed in the position where the oil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and the oil is discharged. There are cases, but in this case, the tool stand is not only dirty, but also can not be used as a combination, so when the oil discharged to drain the oil sump to hold a full oil sump, it was difficult to replace the oil.

또한 오일을 받는 과정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자칫 오일받이가 흔들리거나 전복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주위를 오손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oil, a problem occurs such that the oil dish is shaken or overturned, and the surroundings are polluted.

한편 자동차의 정비용 공구대는 주로 입방체의 박스타입으로 구성하여 서랍을 결합한 것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존의 공구대는 공구들을 수납하거나 걸이형식으로 진열 보관하게 되는 바, 공구대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나, 단일의 공구대 기능 이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부가되지 못하여 공구대를 이용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여 용도에 비해 여러가지의 작업여건에 부합되는 작업대를 별도 구비해야 하므로 작업대의 구입에 따른 경비의 지출이 과도히 소요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tenance tool stand of the automobile is mainly composed of a box type of a cube, combined with a drawer, but such a conventional tool stand is used to store the tools or store them in the form of a hanger bar. However, it can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by using a tool bar because a separate function cannot be added except for a single tool bar function. Expenditure is excessive.

그리고 개별적으로 사용을 하기 때문에 정비작업 도중 다른 작업이 필요할 경우는 그 작업에 따른 작업대(예를 들면 공구대, 오일받이 등)를 따로 비치해야 하므로 공간의 차지를 과도하게 소요하는 폐단이 따랐다.And because it is used separately, if other work is needed during maintenance work, it is necessary to have a separate work platform (for example, tool stand, oil dish, etc.) according to the work, which leads to excessive waste of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상의 자동차의 정비용 작업대를 개량하여 단일의 물품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겸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즉 본 발명은 대략 박스형의 작업대를 구성하여 엔진이나 머플러 등의 차체 하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들어내릴 경우 사용하는 소형 리프트, 엔진오일을 받을 수 있는 오일받이,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공구류 등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공구대 등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자동차의 정비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단일의 작업대로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아울러 비치공간의 차지를 최소로 하며, 각각의 작업대를 개별구입하지 않고 단일의 장비로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구입에 따른 경비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uses as a single article by improving the maintenance work tabl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that is, the present The invention consists of a box-type workbench to store a small lift used when lifting heavy object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a vehicle such as an engine or a muffler, an oil reservoir to receive engine oil, and tools for various kinds of maintenance work. It can also serve as a tool stand that can be stored, making the maintenance work of the car very convenient, as well as providing a variety of functions as a single workbench, taking up convenience and convenience of beach space. Minimized and can be solved as a single piece of equipment without having to purchase each workbench individually. So as to view that allows to minimize the expenses spent in accordance with the purchase of equipment, at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figuration feature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위치에서 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another 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작업수단에 대한 확대 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0 : 작업대 101 : 공구안치부100: work table 101: tool set-up part

102 : 서랍 103 : 개폐문102: drawer 103: opening and closing door

104 : 캐스터 105 : 프레임104: caster 105: frame

106 : 공구걸이대 107 : 작업수단106: tool rack 107: working means

10 : 스크류 11 : 관체10 screw 11 tube

12 : 개구부 13 : 스토퍼12: opening 13: stopper

14 : 승강베벨기어 15 : 작동베벨기어14: lifting bevel gear 15: working bevel gear

16 : 지지대 17 : 핸들16: support 17: handle

18 : 결합공 19 : 테이퍼베어링18: coupling hole 19: tapered bearing

20 : 오일받이 21 : 결합봉20: oil receiving 21: binding rod

22 : 호스 23 : 오일통22: hose 23: oil container

30 : 안치대 31 : 걸림대30: rest rest 31: hanger

32 : 장공 33 : 축핀32: long hole 33: shaft pin

34 : 작동구 35 : 걸림부34: operating port 35: locking part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방에 개폐문(103)과 서랍(102)을 결합하고, 상부와 측방에는 공구안치부(101)와 공구걸이대(106)를 각각 구비한 작업대(100)에 있어서,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03 and the drawer 102 is coupled to the front, the top and side are provided with a tool set-up unit 101 and a tool holder 106, respectively In one workbench 100,

상기 작업대(1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프레임(105)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2)가 형성된 관체(11)를 설치하고, 상기 관체(11)의 내부에는 일단에 스토퍼(13)가 형성된 스크류(10)를 결합하되, 상기 스크류(10)의 상부에는 일정깊이를 갖는 결합공(18)을 형성하고, 외단의 프레임(105)에는 승강베벨기어(14)를 테이퍼베어링(19)에 의해 설치하여 스크류(10)는 관체(11)의 내부에서 스토퍼(13)에 의해 회전은 방지되고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lower end of the frame 105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table 100 is provided with a tubular body 11 having an opening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opper 13 at one end in the tubular body 11. Coupled to the formed screw 10, the coupling hole 18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10 is formed, the lifting bevel gear 14 in the frame 105 of the outer end to the tapered bearing (19) The screw 1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by the stopper 13 in the tube body 11 so as to prevent rotation and to move up and down.

한편 승강베벨기어(14)에 접동되는 작동베벨기어(15)를 지지대(16)에 의해 설치하여 이를 작동하기 위해 핸들(17)을 설치하므로서 핸들(17)을 작동함에 따라 스크류(10)가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한다.Meanwhile, the screw 10 moves up and down as the handle 17 is operated by installing the operating bevel gear 15 sliding to the lifting bevel gear 14 by the support 16 to install the handle 17 to operate the lifting bevel gear 14. Configure it to be possible.

그리고 작업대(100)의 상부측 프레임(105)에는 오일받이(20)의 오일을 배출할 수 있는 호스(22)를 연결하여 하부의 개폐문(103) 내부의 오일통(23)에 오일이 저장될 수 있게 구성한다.And the upper frame 105 of the worktable 100 is connected to the hose 22 for discharging the oil of the oil reservoir 20 to store the oil in the oil container 23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03 of the lower Configure it to be possible.

상기 스크류(1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18)에는 오일받이(20)와 안치대(30)로 구성된 작업수단(107)을 결합하므로서 자동차의 하부에서 승강가능하게 하여 오일을 교환하거나 엔진 또는 머플러 등의 부품을 분리하여 작업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coupling hole 18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crew 10 is coupled to the working means 107 composed of the oil receiver 20 and the support stand 30 so as to be lif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so as to replace oil or change the engine or It is configured to work by separating parts such as muffler.

상기 작업수단(107)의 하나인 오일받이(20)와 안치대(30)의 하부측 저면에는 스크류(10)의 결합공(18)에 결합가능한 결합봉(21)을 각각 형성한다.The bottom of the lower side of the oil support 20 and the support 30, which is one of the working means 107 forms a coupling rod 21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8 of the screw 10, respectively.

상기 안치대(30)의 표면에는 장공(32)을 수개 천설하고, 상기 장공(32)에는 역시 장공(32)이 형성된 걸림대(31)를 각각 결합하며, 하부에는 결합봉(21)을 축핀(33)에 의해 각운동가능하게 결합한다.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30 is laid a plurality of long holes 32, the long holes 32 are also coupled to the hanger 31 is also formed with a long hole 32, respectively, the lower coupling pin 21 to the shaft pin ( 33) to angularly engage.

상기 결합봉(21)의 일측에는 볼타입의 걸림부(35)에 의해 각운동가능하게 작동구(34)를 설치하여 결합봉(21)을 스크류(10)의 결합공(18)에 결합하므로서 안치대(30)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구성한다.On one side of the coupling rod 21 by installing the operating hole 34 to enable the angular movement by the locking portion 35 of the ball type by coupling the coupling rod 21 to the coupling hole 18 of the screw 10 The stand 30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t any angle.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스크류(10)를 승강하는 수단은 일측의 핸들(17)을 작동하므로서 승강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감속모터(도시생략)를 설치하므로서 별도의 스위치를 작동하여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동으로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ans for elevating the screw 10 can be elevated by operating the handle 17 on one side, but in some cases a separate switch by installing a reduction motor (not shown)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limb up and down without any effort.

또한 개폐문(103)의 내부에 내장되는 오일통(23)은 외부로부터의 흔들림 등이 발생할 경우 전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부가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oil container 23 embedded in the opening / closing door 103 adds a means for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overturning when shaking from the outside occurs.

그리고 오일받이(20)의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레임(105)의 하부측 호스(22)의 내부에는 오일받이(20)의 저면과 관통되는 호스(22)를 이중으로 결합하여 오일받이(20)가 승강하더라도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함은 당연하다.As a means for discharging the oil of the oil sump 20, the bottom of the oil sump 20 and the hose 22 penet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se 22 of the frame 105 are coupled to the oil sump ( Even if 20) is elevated, it is natural to prevent the internal oil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통상의 자동차의 정비용 작업대(100)를 개량하여 단일의 물품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겸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즉 본 발명은 대략 박스형의 작업대(100)를 구성하여 엔진이나 머플러 등의 차체 하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들어내릴 경우 사용하는 소형 리프트, 엔진오일을 받을 수 있는 오일받이(20),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공구류 등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공구대 등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자동차의 정비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단일의 작업대(100)로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아울러 비치공간의 차지를 최소로 하며, 각각의 작업대(100)를 개별구입하지 않고 단일의 장비로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구입에 따른 경비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게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s a single article by improving the work bench for maintenance of a typical automobil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type work bench. It comprises a (100) to store a small lift used when lifting the heavy materials installed in the lower body of the engine or muffler, the oil receiving 20 to receive the engine oil, and tools for various kinds of maintenance work, etc. As it can serve as a tool stand that can be store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vehicle can be made very convenient, and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as a single work bench 100, thereby enabling various functions to be used and a beach space. Minimize the charge of the machine, and can be solved as a single equipment without purchasing each workbench 100 separately, so purchase of equipment And the use and operation of the of the bar, than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one be able to minimize the cost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ffect of a look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100)로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의 작업대(100)를 이용하여 엔진이나 부품 등을 분리하는 리프트 용도와 오일받이(20) 및 공구대를 겸할 수 있게 하므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workbench 100 for automobile maintenanc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 lift application for separating the engine or parts using a single workbench 100 and the oil receiving unit 20 and the tool bar. It makes it very reasonable to use it.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정비작업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That is, look at the process of the maintenance work of the vehicl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작업대(100)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정비하기 위해서는 일단 별도로 마련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적정의 높이만큼 들어올린 상태에서 하부에 본 발명의 작업대(100)를 밀어넣게 되면 상기 작업대(100)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한 캐스터(104)가 취부되어 있으므로 상기 캐스터(104)에 의해 용이하게 자동차의 하부로 이동된다.In order to maintain the car using the workbenc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nce the workbenc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into the lower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car is lifted by an appropriate height using a lift provided separately, the workbench 100 is used. Since the caster 104 which is easy to move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ter 104, the caster 104 is easily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이동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오일을 교환할 경우는 먼저 오일받이(20)를 작업대(100)의 상부선단에 노출상태로 결합된 스크류(10)의 상단에 결합한다.When replacing the oil of the vehicle in the state moved in this way, first combines the oil sump 20 to the upper end of the screw 1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ork table 100 in an exposed state.

이때 스크류(10)의 상부선단에는 적정깊이의 결합공(18)이 형성되어 있고, 오일받이(20)의 하부에는 결합봉(2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호 끼움으로 결합하게 되면 오일을 교환할 수 있는 작업이 완료된다.In this case, a coupling hole 18 having an appropriate dept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crew 10, and the coupling rod 2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oil receiver 20, so that when the oil is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exchangeable work is completed.

즉, 본 발명의 작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업대(100) 내부의 스크류(10)가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단 외부의 핸들(17)을 돌리면 상기 핸들(17)의 선단에결합된 작동베벨기어(15)는 지지대(1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crew 10 inside the work table 100 is operated as a means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once the external handle 17 is turned, the operating bevel gear 15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17 ) Is rotat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 (16).

상기 작동베벨기어(15)에 전달된 회전력은 이와 맛물려 있는 승강베벨기어(14)를 구동하게 되고, 상기 승강베벨기어(14)의 회전은 테이퍼베어링(19)에 의해 내부의 스크류(10)를 승강시키게 된다.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actuating bevel gear 15 drives the elevating bevel gear 14, which is tasted therein, and the rotation of the elevating bevel gear 14 is performed by the tapered bearing 19. Will be raised.

다시 말해서 작동베벨기어(15)와 승강베벨기어(14)가 회전을 함에 따라 테이퍼베어링(19)에 의해 결합된 승강베벨기어(14)는 스크류(10)의 나선과 대응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크류(10) 자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부의 관체(11)에 형성된 개구부(12)를 따라 승강기능만을 수행하는 스토퍼(13)에 의해 상기 스크류(10)는 회전은 제어되고 승강만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부의 결합공(18)에 결합된 오일받이(20)는 회전이 제어된 상태에서 승강만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as the actuating bevel gear 15 and the lifting bevel gear 14 rotate, the lifting bevel gear 14 coupled by the tapered bearing 19 is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spiral of the screw 10 so that the screw ( 10) As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screw 10 by the stopper 13 which performs only the lifting function along the opening 12 formed in the lower tube 11, the rotation is controlled and the function of lifting only Since the oil reservoir 20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hole 18 is to be elevat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is controlled.

이와 같이 원하는 높이만큼 오일받이(20)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오일받이(20)의 결합공(18) 하부에는 호스(22)가 배관되어 하측의 프레임(105) 저면에 결합된 호스(22)의 내부에 이중으로 끼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일받이(20)와 프레임(105) 저면의 호스(22)를 연결하는 수단은 이중의 호스(22)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결합되어 스크류(10)의 승강작동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어 하부의 개폐문(103) 내부의 오일통(23)으로 연결된 호스(22)를 따라 오일통(23)으로 수거가 가능하다.When the oil reservoir 20 is raised and lowered to a desired height as described above, the hose 22 is pi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18 of the oil reservoir 20 so that the bottom of the hose 22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105 is lowered. Since the double fitting is fitted therein, the means for connecting the oil reservoir 20 and the hose 22 on the bottom of the frame 105 is a double hose 22 slide-fitted to move the screw 10 up and down. It is easy to move according to the oil reservoir 23 along the hose 22 connected to the oil barrel 23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03 of the lower can be collected.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일받이(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일반적인 자동차의 오일교환 방법과 동일하게 오일탱크의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오일이 낙하하게 되어 낙하된 오일은 근접한 위치의 오일받이(20)에 정확하게 떨어져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전량 오일받이(20)로 낙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oil sump 20 is completed, when the valve of the oil tank is ope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il change method of a general automobile, the oil drops and the dropped oil is placed in the oil sump 20 of the adjacent position. The total amount falls to the oil sump 20 without being scatter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오일받이(20)에 낙하된 폐오일은 곧바로 오일받이(20)의 하부측 호스(22)를 따라 하부의 프레임(105) 저면에 결합된 호스(22)를 통해 하부로 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호스(22)를 통해 개폐문(103) 내부의 오일통(23)에 폐오일이 수거되면 별도로 작업종료후 폐기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ste oil dropped into the oil sump 20 immediately falls down through the hose 22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105 along the lower side hose 22 of the oil sump 20. As such, when waste oil is collected in the oil container 23 inside the opening / closing door 103 through the hose 22, the waste oil may be disposed of separately after the end of the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오일을 수거한 상태에서 오일받이(20)를 분리하는 경우는 핸들(17)을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작동하게 되면 작동베벨기어(15)가 지지대(16)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의 회전력은 승강베벨기어(14)를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il receiver 20 is removed in the state of collecting oil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operating bevel gear 1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16 when the handle 17 is operated in the opposit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rotated state, its rotational force is to rotate the lifting bevel gear (14).

상기 승강베벨기어(14)가 작동을 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테이퍼베어링(19)에 의해 스크류(10)는 회전이 제어된 상태에서 스토퍼(13)에 의해 관체(11)의 개구부(12)를 따라 승강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은 전술한 상승의 반대로 핸들(17)을 작동하게 되므로 하강하게 된다.When the elevating bevel gear 14 is operated, the screw 10 is coupled to the taper bearing 19 coupled thereto so that the screw 10 is rotated along the opening 12 of the tubular body 11 by the stopper 13. As the bar is raised and lowered,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because it operates the handle 17 as opposed to the above-mentioned lift.

적정의 높이만큼 하강하게 되면 작업대(100)를 자동차의 하부로부터 이동하여 개폐문(103)을 개방하여 오일통(23)을 비우면 된다.When lowered by a suitable height, the worktable 100 may be mov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103 to empty the oil container 23.

상기 작업대(100)의 하부에는 캐스터(10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이나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해지는 이점이 따른다.Since the casters 104 ar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table 100, the movement, transportation and handling are very easy.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하부측 엔진을 들어내거나 머플러 등 중량물을 들어내릴 경우는 별도의 리프트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린 다음 전술한 엔진오일의 교환방법과 동일하게 스크류(10) 상단의 결합공(18)에작업수단(107)인 안치대(30)의 하부측 결합봉(21)을 이용하여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캐스터(104)에 의해 용이하게 자동차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와 같이 핸들(17)을 작동하면 된다.When lifting the lower engine of the vehicle or lifting a heavy object such as a muffl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by lifting the vehicle using a means such as a separate lift and then the top of the screw 10 in the same manner as the engine oil replacement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fitted state using the coupling rod 21 of the lower side coupling rod 21 of the work stand 107 to the coupling hole 18 of the caster 104 is easily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17 can be operated.

상기 핸들(17)을 스크류(1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지지대(16)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된 작동베벨기어(15)가 회전하게 되고, 이의 회전력은 승강베벨기어(14)를 구동하게 된다.When the handle 17 is tur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w 10 moves upward, the operating bevel gear 15 securely supported by the support 16 rotates, and the rotational force drives the lifting bevel gear 14. .

이와 같이 승강베벨기어(14)의 회전에 따라 내부의 테이퍼베어링(19)에 의해 스크류(10)가 승강하게 된다.As the lifting bevel gear 14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screw 10 moves up and down by the tapered bearing 19 therein.

상기 스크류(10)를 감싸고 있는 하부의 관체(11)의 일측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스크류(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토퍼(13)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결국 스크류(10) 상부의 결합공(18)에 결합된 안치대(30)가 상승하게 된다.An opening 1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tube body 11 surrounding the screw 10 to be vertically raised by the stopper 13 formed integrally with the screw 10, so that the top of the screw 10 is eventually formed. The resttable 3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8 is raised.

적정의 높이만큼 안치대(30)가 상승한 상태에서 엔진이나 기타 중량물인 머플러 등을 분리하게 되면 그 상태에서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용이하게 안치대(30)에 안치된다.If the muffler 30, which is the engine or other heavy material, is remo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tand 30 is raised by the appropriate height, the stand is easily placed in the stand 30 while being separated in the state.

이때 엔진이나 머플러 등 분해품의 형상에 따라 안치대(30)의 표면에 형성된 장공(32)에 의해 걸림대(31)의 고정각도를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분리되는 물품의 형상에 부합되게 지지가 가능하므로 분리되는 물품의 형상이나 중량에 관계없이 혼자서도 용이하게 분리작업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the long hole 3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st table 3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assembly, such as the engine or muffler, it is possible to freely deform the fixed angle of the hanger 31 to support the shape of the article to be separated. Regardless of the shape or weight of the article to be separated,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itself.

특히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치대(30)의 걸림대(31)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대상 물품의 형상이나 무게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changed, regardless of the shape and weight of the object because the angle of the latch 31 of the resttable 30 can be changed freely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안치대(30)의 하부측 결합봉(21)은 축핀(33)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타측의 작동구(34)에 의해 볼타입으로 걸림결합된 걸림부(35)에 의해 상기 안치대(30)의 수평각도를 자유자재로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안치대(30)의 표면 각도가 분리되는 부품의 형상에 따라 경사질 경우는 작동구(34)를 작동하게 되면 걸림부(35)의 볼타입 결합수단이 어떠한 각도로도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각운동이 가능하고, 결합봉(21)과 결합공(18)에 의해 안치대(30)를 임의의 각도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형상의 부품이라도 안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방의 걸림대(31)에 의해 부품을 지지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도중 부품이 안치대(30)로부터 이탈되거나 추락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coupling rod 21 of the resttab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the angular movement by the shaft pin 33, the locking portion 35 is engaged in the ball type by the other operation port 34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horizontal angle of the rest table 30 by this, in this case, when the surface angle of the rest table 30 is in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eparated component operating tool 34 When the ball type engaging means of the engaging portion 35 is not limited to any angle can be easily angular movement, randomly settle 30 by the coupling rod 21 and the coupling hole 18 Since it can be changed at any angle, it is possible not only to settle any part but also to support the part by the hanger 31 on all sides, which prevents the part from falling or falling from the stand 30 during use. It is effective.

이외에도 본 발명의 작업대(100) 일측에는 다수의 공구걸이대(10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스패너 등 손잡이가 있는 공구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고, 상부의 공구안치부(101)에는 걸이형식으로 보관하기 힘든 각종 부품이나 요소 등 공구를 보관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서랍(102)의 내부에는 각종 부속품 등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정비작업시 필요한 부속품 등을 즉각 조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tool holders 106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orktab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ol having a handle, such as a spanner, can be stored by walking, and the tool setter 101 of the upper part is difficult to be stored in a hook type. Tools such as parts and elements can be stored, and on the other hand, various kinds of accessories can be stored in the inside of the drawer 102, so that an effect of immediately procuring necessary accessories and the like for maintenance work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의 개폐문(103)의 내부에는 엔진오일을 교환할 시에 발생하는 폐오일을 수거할 수 있는 오일통(23)을 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공간부에 다양한 종류의 휴대품이나 공구 또는 기타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각종 부품 등을 수납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이나 허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도 부가되어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0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il container 23 for collecting the waste oil generated when the engine oil is exchanged, and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store and carry portable items, tools, and other parts required for maintenance work, so that a function to prevent loss or loss can be added to obtain a very reasonable effec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자동차의 정비용 작업대(100)를 개량하여 단일의 물품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겸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즉 본 발명은 대략 박스형의 작업대(100)를 구성하여 엔진이나 머플러 등의 차체 하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들어내릴 경우 사용하는 소형 리프트, 엔진오일을 받을 수 있는 오일받이(20),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공구류 등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공구대 등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자동차의 정비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단일의 작업대(100)로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아울러 비치공간의 차지를 최소로 하며, 각각의 작업대(100)를 개별구입하지 않고 단일의 장비로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구입에 따른 경비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여 단일의 작업대(100)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정비시에 필요한 공구대와 소형 리프트, 오일받이(20), 엔진 등을 분리할 수 있는 작업수단(107) 등을 겸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정비용 작업대(100)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s a single article by improving the work bench 100 for a conventional automobil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shaped work bench 100. The small lift used to lift heavy object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such as an engine or a muffler, the oil receiver 20 to receive the engine oil, and can store and store the tools required for various kinds of maintenance work. As it can serve as a tool stan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vehicle can be made very convenient, and in particular, the single work bench 100 can be used to exhibit various functions, taking up convenience and use of the beach space. Minimized and can be solved as a single piece of equipment without purchasing each workbench 100 separately according to the purchase of th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of the work using a single workbench (100) by using a tool stand and a small lift, oil receiving 20, work means for separating the engine, etc.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the car When it is possible to serve as a variety of maintenance workbench 100, the expected value is a very excellent invention.

Claims (5)

개폐문(103)과 서랍(102) 및 공구안치부(101), 공구걸이대(106)를 각각 구비한 작업대(100)에 있어서,In the worktable 100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03, the drawer 102, the tool set-up unit 101, the tool holder 106, respectively, 상기 작업대(1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프레임(105)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2)가 형성된 관체(11)를 설치하고, 상기 관체(11)의 내부에는 일단에 스토퍼(13)가 형성된 스크류(10)를 결합하되, 상기 스크류(10)의 상부에는 일정깊이를 갖는 결합공(18)을 형성하고, 외단의 프레임(105)에는 승강베벨기어(14)를 테이퍼베어링(19)에 의해 설치하여 스크류(10)는 관체(11)의 내부에서 스토퍼(13)에 의해 회전은 방지되고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하며, 승강베벨기어(14)에 접동되는 작동베벨기어(15)를 지지대(16)에 의해 설치하여 이를 작동하기 위해 핸들(17)을 설치하므로서 핸들(17)을 작동함에 따라 스크류(10)가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The lower end of the frame 105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table 100 is provided with a tubular body 11 having an opening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opper 13 at one end in the tubular body 11. Coupled to the formed screw 10, the coupling hole 18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10 is formed, the lifting bevel gear 14 in the frame 105 of the outer end to the tapered bearing (19) By installing the screw 1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rotation by the stopper 13 in the inside of the tubular body 11 to move up and down, and to support the operation bevel gear 15 sliding to the lifting bevel gear 14 ( 16) by installing the handle 17 to operate by installing the handle 17 to operate the car maintenance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10 is configured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18)에는 오일받이(20)와 안치대(30)로 구성된 작업수단(107)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서 자동차의 하부에서 승강가능하게 하여 오일을 교환하거나 엔진 또는 머플러 등의 부품을 분리하여 작업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hole (18)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crew 10 can be elev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y selectively coupling the work means 107 consisting of the oil receiving 20 and the support 30 (30) Car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ble to work by replacing the oil or parts such as engine or muffler. 제 1 항에 있어서, 안치대(30)의 표면에는 장공(32)을 수개 천설하고, 상기 장공(32)에는 역시 장공(32)이 형성된 걸림대(31)를 각각 결합하며, 하부에는 결합봉(21)을 축핀(33)에 의해 각운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of the rest 30 is laid a plurality of long holes 32, the long holes 32 are also coupled to the engaging stand 31 is also formed with a long hole 32, respectively, the lower coupling bar ( 21) an automobile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ular movement is coupled by the shaft pin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21)의 일측에는 볼타입의 걸림부(35)에 의해 각운동가능하게 작동구(34)를 설치하여 결합봉(21)을 스크류(10)의 결합공(18)에 결합하므로서 안치대(30)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coupling rod 21 is provided with the operating hole 34 to enable the angular movement by the ball-type engaging portion 35, the coupling rod 21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crew 10 Working platform for automobile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table 30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t any angle by being coupled to (18).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10)를 승강하는 수단은 핸들(17) 대신에 감속모터를 설치하여 스크류(10)를 자동으로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작업대.2. The work table for automobile mainten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elevating the screw (1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levate the screw (10) by installing a reduction motor instead of the handle (17).
KR1020010024956A 2001-05-08 2001-05-08 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KR200100745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956A KR20010074570A (en) 2001-05-08 2001-05-08 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956A KR20010074570A (en) 2001-05-08 2001-05-08 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570A true KR20010074570A (en) 2001-08-04

Family

ID=1970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956A KR20010074570A (en) 2001-05-08 2001-05-08 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4570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68B1 (en) * 2008-12-29 2011-09-14 왕종문 Worktable for automotive repair having lifter
CN110143123A (en) * 2019-06-06 2019-08-20 南京理工自动化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automobile power battery frame lifting device and elevating method
CN110260676A (en) * 2019-03-27 2019-09-20 巴尔的摩冷却系统(苏州)有限公司 Support rod and cooling tower installation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cooling tower drive module
KR102309797B1 (en) 2021-08-27 2021-10-06 임병철 Worktable For Car Maintenance
KR200494410Y1 (en) 2021-08-27 2021-10-06 손성배 Worktable For Car Maintenance
KR102618339B1 (en) * 2023-10-25 2023-12-27 주식회사 미래이앤엠 Wasted engine disassembly workben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4883U (en) * 1985-12-21 1987-07-04
JPH0290178U (en) * 1988-12-28 1990-07-17
JPH0346567A (en) * 1989-07-14 1991-02-27 Meidensha Corp Speed detecting device
JP2000186431A (en) * 1998-12-22 2000-07-04 Shinkoo Corporation:Kk Supporter for supporting be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4883U (en) * 1985-12-21 1987-07-04
JPH0290178U (en) * 1988-12-28 1990-07-17
JPH0346567A (en) * 1989-07-14 1991-02-27 Meidensha Corp Speed detecting device
JP2000186431A (en) * 1998-12-22 2000-07-04 Shinkoo Corporation:Kk Supporter for supporting bea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68B1 (en) * 2008-12-29 2011-09-14 왕종문 Worktable for automotive repair having lifter
CN110260676A (en) * 2019-03-27 2019-09-20 巴尔的摩冷却系统(苏州)有限公司 Support rod and cooling tower installation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cooling tower drive module
CN110260676B (en) * 2019-03-27 2020-08-07 Bac大连有限公司 Support rod for mounting cooling tower driving module and cooling tower mounting method
CN110143123A (en) * 2019-06-06 2019-08-20 南京理工自动化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automobile power battery frame lifting device and elevating method
KR102309797B1 (en) 2021-08-27 2021-10-06 임병철 Worktable For Car Maintenance
KR200494410Y1 (en) 2021-08-27 2021-10-06 손성배 Worktable For Car Maintenance
KR102618339B1 (en) * 2023-10-25 2023-12-27 주식회사 미래이앤엠 Wasted engine disassembly workben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865B2 (en) Securable and collapsible work station
US4408642A (en) Portable workbench
US4971234A (en) Pivotable storage unit for vehicles
KR101063868B1 (en) Worktable for automotive repair having lifter
US8360538B2 (en) Toolbox with elevating display backwall
US6149168A (en) Wheeled tool case
US7464978B1 (en) Pickup truck toolbox with an extensible platform
US20070187184A1 (en) Scissors lift utility tray assembly
US20080054582A1 (en) Wheeled mobile caddy
CN101209150A (en) Portable container assembly
US4466628A (en) Mobile container
KR20100048536A (en) High place working vehicle with a dump function for agriculture
KR20200094279A (en) Worktable for automotive repair having lifter
KR20010074570A (en) workbench for vehicle maintenance
CA2247708A1 (en) Rolling toolbox
CN112412323A (en) Ladder with adjustable tray height
US7878129B2 (en) Swing-out workbench extension apparatus
AU2009248445B2 (en) Riding Lift Table for Detection of Mineral Sample Box on Vertically Extending Rack
US20020185459A1 (en) Tool organizer for hand tools
CN212919299U (en) Toolbox for hydraulic mechanical engineering
CN211768716U (en) Foldable commodity circulation storage sorting device
JP2981426B2 (en) Waste oil recovery device
CN101588897A (en) Worktable clamping apparatus
DE3242165A1 (en) Container tipping and pivoting appliance
KR200494410Y1 (en) Worktable For Car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