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311A -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311A
KR20010073311A KR1020000001577A KR20000001577A KR20010073311A KR 20010073311 A KR20010073311 A KR 20010073311A KR 1020000001577 A KR1020000001577 A KR 1020000001577A KR 20000001577 A KR20000001577 A KR 20000001577A KR 20010073311 A KR20010073311 A KR 2001007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airness
cell delay
connection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864B1 (ko
Inventor
박지수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2000000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8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1Real 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49Cell delay or j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 H04L2012/5679Arbitration or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ATM(Asynchonous Transfer Mode) 망은 각 가상연결(VC: Virtual Connection)에 대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에 따라 실시간 및 비실시간성의 다양한 품질을 갖는 통신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ATM 망에서의 교환기 시스템이나 다중송신장치의 버퍼관리는 시간과 버퍼공간의 두 차원에 대하여 셀 스케줄링과 셀 폐기방식으로 언급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ATM 망에서의 실시간 트래픽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상연결별 출력버퍼를 갖는 ATM망에서 서비스 등급의 CBR(Constant Bit Rate)이나 rt-VBR(Real Time-Variable Bit Rate)등의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개선된 셀지연변이(CDV: Cell Delay Variation)를 제공하고, 스케줄러에 의해 서비스된 셀에 대해 대역에 따라 공평성(Fairness)을 보장하여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TM망에서의 교환기나 다중전송장치내에서 가장 큰 대역폭으로 각각의 사용자 연결경로에 대한 대역폭을 정규화한 임계치를 기준으로 동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셀지연편이의 중심에 따라 각 가상연결의 형태인 가상연결별 셀지연편이를 향상시키고, 대역폭에 따른 각각의 가상연결별 서비스에 대한 셀 전송량의 공평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A scheduling method for guarantee of CDV and fairness of real- time traffic in ATM networks}
본 발명은 ATM(Asynchonous Transfer Mode)망에서의 실시간 트래픽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시간 서비스에 대해 향상된 셀지연편이(CDV: Cell Delay Variation)를 제공하고, 이 때 스케줄되어 서비스된 셀에 대해 각 가상연결(VC: Virtual Connection)의 대역에 따라 공평성(Fairness)이 보장된 셀지연편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TM 교환기나 다중전송장치등에서 사용되는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ATM망은 각 가상연결에 대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에 따라 실시간 및 비실시간성의 다양한 품질을 갖는 통신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ATM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적절히 관리하지 않을 경우 ATM의 사용자 요구조건을 만족 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ATM 서비스의 사용 가격도 급격히 증가할 우려가 있으므로 트래픽의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종래의 많은 스케줄링방식들이 연구 및 고안되었다.
스케줄링은 서비스순서를 결정하고 서비스요구에 맞는 큐를 관리하며, 가상연결(VC: Virtual Connection)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대역을 할당하고 지연시간, 손실 및 지연편차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망 내에서 각 가상연결 및 클래스별로 얼마나 공평한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케줄링의 목적은 각 가상연결별 혹은 비슷한 트래픽을 그룹화한 클래스별 대역을 공유하고, 대역의 공평성을 유지하며 다중레벨이 존재한다면 손실과 지연에 대한 보장을 하고, 또한 지연편차를 줄이는 등 다양하다.
스케줄링방식은 FCFS(First-Come-First-Service), Round Robin, Priority Queueing, Priority Queueing with Windows, GPS(Generalized Processor Sharing), Virtual Clock, WFQ(Weighted Fair Queueing), QLWFQ(Queue Length based Weighted Fair Queueing), SCFQ(Self-Clocked Fair Queueing) 등등 다양하다.
선행연구된 종래의 스케줄링 방법은 비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스케줄링과 관련된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0150077호[명칭 : "비동기 전송모드망에서 씨비알 트래픽의 셀지연변이 제한을 위한 다중화장치 및 다중화 방법"]가 있다. 이 특허는 ATM망에서 CBR(Constant Bit Rate) 트래픽 다중화될 때 셀지연변이를 그 연결의 주기로 한정시켜 셀지연변이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VBR(Variable Bit Rate)과 같은 비주기 트래픽에 대해서는 셀지연변이가 고려되지 않았고, 또한 각 연결별 트래픽의 공평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다른 관련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070577호[명칭 : "비동기전달모드 스위치에서 트래픽 스케줄링 방법"]이 있다. 이 특허출원의 발명은 다중 토큰을 갖는 라운드-로빈 방식을 근간으로 다양한 트래픽을 갖는 가변의 데이터 서비스를 통계적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기 적합한 동적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발명은 연결 요청에 따라 할당 및 유휴 윈도우 수를 비교하여 유휴 수가 할당된 수보다 적거나 종료 패킷이면 연결 해지하여 큐 및 윈도우 수를 제거하고, 많으면 유휴 윈도우 공간에 윈도우를 할당하며, 대기 상태에서 발생된 패킷을 큐에 저장하고 할당된 윈도우에 표시하여 패킷을 스케줄링한 후, 다시 대기한다. 따라서 가변비트율 트래픽들에 대해 예약된 대역을 보장해 주며 패킷의 긴급도에 따라 처리 순서를 결정하여 실시간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 이 발명은 대역별 공평성은 제공될 수 있으나 셀지연편이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시간 트래픽의 서비스에 대한 종래 스케줄링 방법들은 셀지연시간, 혹은 셀지연편이만 고려하거나 트래픽의 공평성만 고려하였다.
따라서, 영상 등 실시간 트래픽의 품질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민감한 셀지연편이와, 셀지연편이에 있어서 모든 가상연결에 대해 공평하게 보장하여 각 가상연결별 서비스된 양에 대한 공평성을 모두 만족시키고 보장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ATM교환기나 다중전송장치등의 출력버퍼 형태를 갖는 CBR 혹은 rt-VBR(Real Time-Variable Bit Rate)등의 가상연결별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대역별로 정규화하여 셀지연편이 값들에 대한 차를 바탕으로 스케줄링된 가상연결별 모든 가상연결 대역에 대해 셀의 지연편이를 공평성을 갖추어 향상시키고, 각 가상연결별로 정규화된 임계치를 사용하여 셀지연편이를 한정하며, 각 사용자 연결경로에대해서 스케줄링되어 출력링크로 전송되는 셀의 양에 대한 공평성을 높일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시간차원 버퍼관리 스케줄링 블럭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지연편이를 시간에 따라 도식화한 분포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케줄링방법을 정리한 가상코드(Pseudo Code)
도 4는 도 1에서 ATM 교환기(Switch)나 다중전송장치(Multiplexer)에서 사용되는 출력 버퍼형 스케줄링 블록에서 출력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임의의 정규화된 셀지연편이 구간이 증가함에 따른 CDV의 누적분포에 대한 CDV 공평성 지수(CDV Fairness Index)를 본 발명의 실시예 결과에 따라 나타낸 지수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에 대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비스된 양에 대하여 공평을 구한 서비스 공평 지수(Service Fairness Index)분포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V의 분포를 FCFS와 비교하여 향상된 결과를 각 실시간 서비스(CBR, rt-VBR)의 대역에 따라 나타낸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TM망은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이므로, 각 셀 스트림은 먼저 ATM교환기를 통해 트래픽 파라미터들과 서비스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들을 구체화한 후, 연결을 설정한다. 이 때 교환기는 각 사용자별 연결경로상에서의 셀 스트림에 대한 대역을 예약 및 한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케줄러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N개의 가상연결큐(10)는 각 사용자별 연결경로에 대해 입력된 셀을 저장하기위해 제공되는데, 셀들은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는 형태, 즉 FIFO(First In First Out)로 저장된다. 그러므로 셀을 서비스하기 위한 스케줄링은 출력버퍼형태를 갖고 입력된 셀의 기대되는 성질이나 트래픽 특징에 따라 여러 가상연결큐(10)별로 나눔으로써 간단히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연결큐(10)와 동수의 타임스탬퍼(Time Stamper : 11)를 구비하여 각 입력셀의 도착시간을 기록하고, 가상연결큐(10)에서 출력되는 셀의 출력시간을 기록하고 각 가상연결큐(10)에서 전송할 셀지연편이를 계산하며, 이를 각 가상연결큐별로 중재하는 아비터(Arbiter : 12)를 사용하여 스케줄러(13)를 통해 셀을 전송하는 구조를갖는다.
여기서, 입력 셀의 도착시간을a, 출력 셀의 출발시간을d, 셀지연시간을CD, 및 셀지연변이를σ라 할 경우i번째 사용자 경로의 큐내의 셀에 대한x번째, 즉x i 셀에 있어서 셀지연시간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셀의 큐내 도착시간과 출발시간은i번째 사용자 경로의x번째 셀에 대한 각각의 표기이다. 그리고 셀지연편이는 다음과 같다.
이 때 셀지연편이는 두 가지 상태가 존재하며, 그 값이 0보다 작으면 선행된 상태, 0보다 크면 지연된 상태라고 정의한다. 만일 0값과 같으면 해당되는 셀은 셀지연편이에 대해 완전히 보장되어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해당 셀은 트래픽 폭주, 즉 트래픽 밀집상태(Congestion)에 있다고 말한다.
상기한 내용을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폭주상태를 겪은 임의의 셀은 스케줄링 시간이 연기되고, 서비스 시간이 지연되게 된다.
출력버퍼 형태를 갖는 ATM교환기나 다중전송장치등의 출력링크에 대한 전체 대역폭 용량을B라 하면, 다음을 얻는다.
여기서 최대 사용자 경로수가 N일 경우,β i i번째 사용자 경로의 요구된 대역을 나타낸다.β 는 모든 사용자 경로에 대한 대역에 있어서 가장 큰 대역, 즉 아래 식으로 놓을 수 있다.
또한 모든 사용자 경로에 대한 클리핑 임계치(Clipping Threshold)(20)τ i 를 출력링크의 전체대역B와 절대상수대역인β 로 가장 대역이 넓은 사용자 가상연결에 대해 1로 정규화(Normalization)하기 위해서 변이 경계치 상수α를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정의한다.
이 때 임의의 상수k는 설계자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값인 정수를 나타내며, 도 2에 표기한 클리핑 임계치(20)τ i 는 수학식 5로부터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내며,β i β 인 경우 클리핑 임계치(20)τ i 는 'k'로 정규화 되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클리핑 임계치(20)τ i 는 변이 경계치 상수α를 이용하여 대역별로 정규화된 임계치로써 선행된 셀지연편이의 낮은 경계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k가 음수인 경우 클리핑 임계치τ i 는 도 2에 나타내었듯이 선행편이영역(21)에 있음을 의미하고, 반대인 경우 지연편이영역(22)에 있음을 의미한다. 즉k는 설계자로 하여금 스케줄러에 의해 서비스된 셀의 평균지연시간이 길어도 0값에 밀집된 셀지연편이를 부여할 것인지 혹은 셀지연편이가 0인 값에 밀집되어 있지 않아도 셀지연시간에 민감한 트래픽에 대해 평균 셀지연시간을 줄일 것인지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클리핑 임계치(20)τ i 에 대한 효과는 보다 더 향상된 셀지연편이의 특성을 얻는 결과를 가져다주고, 한정된 셀지연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경계값으로 주어진다. 또한 정규화된 임계치들에 대한 효과는 각 사용자 연결경로의 대역폭에 따라 서비스되는 양의 공평성을 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주어진 시간에서 모든 사용자경로에 대해 수학식 7과 같이, 정규화된 셀지연편이를 계산하고, 결과값 중 가장 큰 값을 지닌 사용자 경로에 해당하는 셀을 스케줄러(13)가 사용자 가상연결큐(10)에서 선택하여 출력링크로 전송한다. 정규화된 셀지연편이를 얻는 이유는 전송된 셀에 있어서 모든 사용자 연결경로i= 1, 2, ...N에 대해 셀지연편이를 기준으로 스케줄러(13)에 의해 출력링크로 서비스되어 전송된 셀의 양에 대해 공평성을 향상시키고 셀지연편이 자체를 공평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각 사용자 경로에 대한 대역폭과 셀지연편이의 상태에 따라P(t)가 결정된 후, 셀지연편이가 클리핑 임계치(20)보다 크거나 같다면 스케줄러(13)는 해당 셀을 출력링크로 전송하며, 그렇지 않고 임계치(20)보다 작다면 현재 주어진 시간t에서 모든 연결에 대한 사용자 가상연결큐(10)내의 모든 셀은 출력링크로 서비스되지 않는다. 즉, 현재 주어진 시간t에서 각각의 사용자 연결에 해당하는 셀지연편이가 클리핑 임계치(20)보다 작은 조건을 만족하면, 셀지연편이가 임계치보다 큰 값을 만족하는 시간이 될 때까지 해당 셀을 홀딩(Holding)한다. 이 이유는 한정된 클리핑 임계치(20)를 기준으로 작은 셀지연시간을 갖더라도 정확하고, 셀지연편이가 거의 없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만일P(t)값이 두 개 이상의 경로에 대해 같은 값이 존재하면, 임의의 값을 선택한다.
도 3에 상술한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을 정리하여 가상 코드로 작성하여 나타내었다. 이를 설명하면, 먼저 초기화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β i ,k, β ,α를 설정하고, 모든 연결에 대해 클리핑 임계치τ i 를 구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를 위하여 모든 연결에 대해 셀지연편이 σj xi와 P(t)를 구하고, P(t)에 대한 연결j에 대해 셀지연편이 σj xi가 클리핑 임계치τ j 보다 크거나 같으면 연결j의 해당 셀을 출력링크로 전송한다.
스케줄러에 의해 가상연결별로 서비스된 공평성에 대한 정의는 다음 수학식 8과같이 대역별로 서비스된 양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서비스 공평성 지수(Service Fairness Index)FI(X)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X i (t 1 , t 2 )는 시간 간격t 1 < t ≤ t 2 동안 연결된 각각의 가상연결i= 1, 2, ... ,N에 대한 서비스된 양을 나타내며,β i 는 가상연결i= 1, 2, ... ,N에 대한 각각의 대역(Bandwidth)이다. 또한STD[ X ]의 의미는 X의 표준편차함수, 즉 표준편차은의미한다. 이러한 정의는 잘 알려져 있는 표현이며 본 발명에서도 이 정의에 의한 표현을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간 간격t 1 < t ≤ t 2 동안 스케줄러에 의해 가상연결i= 1, 2, ... ,N에 대하여 서비스된 셀의 지연편차에 대한 누적확률의 표준편차로써 공평성에 대한 정의를 수학식 9와 같이 셀지연편이 공평성 지수(CDVFairness Index)FI(CDV)로 정의한다.
이때 φ(i)는 Pr{|θi|≤ξi|(t1, t2]}을 나타내며, 이것은 가상연결i= 1, 2, ... ,N에 대해 대역별로 정규화된 임의의 편이 구간 [ - ξi, ξi] 안에서 셀지연편이 θi에 대한 누적확률이다. 즉, 누적된 셀지연편이가 임의의 정규화된 편이구간안에 각 대역에 대해 VC별로 얼마나 공평화된 셀지연편이를 갖는가를 정의하는 것이다.
위의 수학식 8 및 수학식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공평성과 가상연결별 각 대역에 대해 정규화된 셀지연변이 공평성의 정도를 알 수 있으며, 셀지연변이의 개선정도는 셀지연편이의 분포로써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사용자i= 1, 2, 4 인 연결경로에 대해서τ 1 = -4,τ 2 = -2,τ 4 = -1 이고,β 1 = 1,β 2 = 2,β 4 = 4 인 경우에 있어서, ATM교환기나 다중전송장치에서 사용되는 출력 버퍼형 스케줄링 블록에서 출력결과를 나타낸 결과 트래픽을 실시간 트래픽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A는 각 사용자 연결경로에서 셀의 도착시간간격을 나타내며, D는 셀의 서비스 전송시 출발 시간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폭주상태동안 사용자 연결경로i= 1, 2, 4 에 대한 가상연결규(10)내 셀들이 출력링크로 전송되지 않고 모두 가상연결큐(10)내에 큐잉되어 비폭주상태에서 스케줄러에 의해 큐에 저장된 셀을 본 발명의 스케줄러로 서비스할 경우를 살펴 보았다. (가)는 입력된 셀 스트림을 나타낸 것이고, (나)는 본 발명에 대한 출력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와 도 6은 앞에서 정의한 공평성 지수를 바탕으로 표현한 공평성 정도를 서비스된 양과 셀지연편이에 대하여 상기한 예의 결과를 분포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한 예의 결과를 각 가상연결별 각 대역에 따른 셀지연편이에 대한 확률분포에 있어서 셀지연편이의 향상도를 FCFS와 비교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ATM망에서의 교환기나 다중전송장치내에서 가장 큰 대역폭으로 각각의 사용자 연결경로에 대한 대역폭을 정규화한 임계치를 기준으로 동적인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셀지연편이의 중심에 따라 각 가상연결의 형태인 가상연결별 셀지연편이를 향상시키고, 대역폭에 따른 각각의 가상연결별 서비스에 대한 셀 전송량의 공평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ATM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각 사용자 경로에 대한 요구 대역β i , 모든 사용자 경로에 대한 대역에 있어서 가장 큰 대역β 설정하고, 모든 연결에 대해 클리핑 임계치τ i 를 구하는 초기화 과정과;
    모든 연결에 대해 셀지연편이 σj xi를 구하여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셀지연편이 값 중에서 가장 큰 값 P(t)를 선택하는 과정과; 및
    선택된 P(t)에 대한 연결j의 해당 셀의 출력링크로의 전송여부를 셀지연편이 σj xi와 클리핑 임계치τ j 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가상연결별 셀지연편이를 향상시키고 각 사용자의 가상연결에 대해 출력링크로 전송되는 셀의 서비스된 양의 공평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각 연결에 대한 클리핑 임계치τ i 는,
    사용자 가상연결의 대역폭β i 와 사용자 가상연결의 대역폭 중 가장 큰 대역폭β 로 정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셀의 도착시간과 출력셀의 출발시간간의 계산된 각 연결에 대한 셀지연편이 σj xi는 해당 연결에 대한 대역폭으로 정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t)에 대한 연결j의 해당 셀의 출력링크로의 전송여부 결정은,
    셀지연편이 σj xi가 해당 가상연결 경로의 클리핑 임계치τ j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만 해당 셀을 출력링크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KR1020000001577A 2000-01-13 2000-01-13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KR100580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577A KR100580864B1 (ko) 2000-01-13 2000-01-13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577A KR100580864B1 (ko) 2000-01-13 2000-01-13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311A true KR20010073311A (ko) 2001-08-01
KR100580864B1 KR100580864B1 (ko) 2006-05-17

Family

ID=1963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577A KR100580864B1 (ko) 2000-01-13 2000-01-13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12B1 (ko) * 2001-12-24 2004-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트래픽의 효율적 전송을 위한 예측기반의 동적통신자원 예약량 결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12B1 (ko) * 2001-12-24 2004-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트래픽의 효율적 전송을 위한 예측기반의 동적통신자원 예약량 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864B1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1971A (en) Method for leaky bucket traffic shaping using fair queueing collision arbitration
US64596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EP0859492B1 (en) Fair queuing apparatus with adaptive bandwidth redistribution
US5864540A (en) Method for integrated traffic shaping in a packet-switched network
US5850399A (en) Hierarchical packe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US6222824B1 (en) Statistical call admission control
EP1482689A2 (en) Shaping method wherein the transmission rate is stepwise reduced according to the input buffer fill level
EP0748086A1 (en) Method for scheduling message cells leaving an ATM node
US20010024452A1 (en) Data rate limiting
US6246687B1 (en) Network switching system supporting guaranteed data rates
EP1528728B1 (en) Packet scheduling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nd index of dispersion for counts
US6990115B2 (en) Queue control method and system
EP1526686B1 (en) Switching unit with scalable and QoS aware flow control
EP16274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ime-based scheduling
US69175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Lund et al. Fair prioritized scheduling in an input-buffered switch
CA2371325A1 (en) Scheduler implementing weighted fair queuing by a weight limited first in-first out methodology
WO2001020876A1 (en) Allocating network bandwidth
US8467401B1 (en) Scheduling variable length packets
EP2063580B1 (en) Low complexity scheduler with generalized processor sharing GPS like scheduling performance
KR100580864B1 (ko) 에이티엠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셀지연편이와 공평성을보장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Wu Link-sharing method for ABR/UBR services in ATM networks
Katevenis et al. Multi-queue management and scheduling for improved QoS in communication networks
Jain A survey of scheduling methods
US67352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hierarchical traffic sh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