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869A -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 Google Patents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869A
KR20010067869A KR1020010017730A KR20010017730A KR20010067869A KR 20010067869 A KR20010067869 A KR 20010067869A KR 1020010017730 A KR1020010017730 A KR 1020010017730A KR 20010017730 A KR20010017730 A KR 20010017730A KR 20010067869 A KR20010067869 A KR 2001006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low frequency
field generating
temperature
exposur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목
Original Assignee
안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목 filed Critical 안재목
Priority to KR102001001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7869A/ko
Publication of KR2001006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써, 주거 및 생활 환경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노출장치를 개발하여 저주파 자기장의 생체영향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파의 생체 영향실험을 행하기 위한 자기장 발생장치에 있어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수단과; 상기 자기장 발생장치에 구성된 자기장 발생수단의 내부에 구비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기 저항성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진 자기장검출수단과;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의 내부 소정부에 구비되어 코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 및 자기장 검출수단, 온도검출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과; 자기장 발생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자기장 발생구동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구동수단과; 원통 좌표계 및 맥스웰 방정식이 적용되어 전류밀도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에 관한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 및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매개로 인가된 자기장 설정 키신호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구동수단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특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그로인한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시키며, 노출시간을 그 내부 타이머를 통해 연산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세포수준에서의 저주파 자기장 노출하에 생물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현재 널리 쓰이는 자기카드나 IC카드 등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이 세포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예측할 수 있고, 국내의 연구자들에게 본 발명에서 개발한 노출장치와 프로그램을 활용하도록 하여 실험결과의 재현성을 높여주고 전자파 위해성 평가에 대해 세포수준에서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확보에 활용된다. 또한, 배양기의 전류 밀도 분포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서 국내외적으로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Low frequency magnetic field exposure device}
본 발명은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인위적으로 특정치의 저주파 자기장을 발생시켜 세포수준에서 각종 생물학적 영향평가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자기장 문제에 관한 다양한 논문이 발간되어 왔다. 전자기장(예컨대, 전자파)의 환경하에서 생존 또는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강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면, 전력선에 가까이 수년간 살아온 어린이들이 암에 걸릴 확률이 커진다[Wertheimer, N.과 Leeper, E.의 “Electrical WiringConfigurations and Childhood Cancer”, AM. J. EPIDEMIOLOGY, 109, 273-284(1979); 및 Savitz, D. A. 등의 “CaseControl Study of Childhood Cancer and Exposure to 60-Hertz Magnetic Fields”, AM. J. EPIPEMIOLOGY, 128, 10-20(1988); 및 Milham, S. Jr., “Increased Mortality in Amateur Radio Operators Due to Lymphatic and HematopoieticMalignancies”, AM. J. EPIDEMIOLOGY, 128, 1175-1176(1988)]. 이 연구는 가정에서 고전자기장에 노출된 어린이가 암,특히 백혈병, 임파성 종양 및 신경계 종양으로 발전될 위험이 50퍼센트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다른 데이타도 또한 전기공 및 전화가설공 같은 전기작업을 하는 사람은 뇌종양 및 다른 암에 걸릴 위험이 더 크다고 밝히고 있다. 로스엔젤레스에서 있었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의 S. Preston-martin 및 공동연구자들은 다양한 전기관련 업무에서 10년 이상 작업한 사람은 대조된 사람들의 그룹보다 뇌종양에 걸릴 위험이 10배 많다고 밝혔다[DOE ContractorsAnnual Review, Deuver,colorado, November 5-8, 1990에서 제시된 Preston-Martin, S.,과 Mack, W.와 Peters, Jr.의 “Astrocytoma Risk Related to Job Exposure to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존스 홉킨스 대학의 G. Matanoski에의한 연구는 1979년에서 1980년까지 뉴욕 전화국 남성 근로자의 암에 대한 약물량 반응 관계를 확인했다[Matanoski, G.,Elliot, E.와 Breysse, P. Portland, Oregon, November, 1989에 DOE/EPRI Contractors Review of Biological Effectsfrom Electric and Magnetic Field에서 제시된 Poster]. Matanoski는 여러 유형의 근로자와 설치 및 보수 작업 노동자 사이의 평균적인 자기장 노출을 측정했다.
다양한 형태의 근로자 사이에서의 암 비율 비교는, 케이블 접속공이 암에 걸릴확률이 전화선 작업을 하지 않는 근로자가 암에 걸릴 확률의 약 2배임을 보여준다. 전화 교환장비의 짧고 강한 자기장에노출되는 중앙전화국 근로자 사이에서는, 케이블 접속공의 경우만큼 높진 않지만 암 발생율이 이례적으로 높다. 중앙전화국 근로자는 덜 노출되는 작업자 보다 전립선암이 걸릴 가능성이 세배이상 높고 구강암에 걸릴 가능성이 2배 이상높다.
또한 남성유방암도 두 경우가 있었다(이 병은 너무나 드물기 때문에 전혀 예상치 않은 것이었다).
주거환경에서 발견되는 60㎐ 전자기장은 약 0.05μT 내지 1000μT 범위에 있다. 시험관내 실험은 생물학적 세포 기능의변화가 1μT 이하로 낮고 500μT 정도로 높은 전자기장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R. Goodman과 공동연구자[Goodman,R.과 Henderson, A.의 “Sine waves Enhance Cellular Transcription”,BIOELECTROMAGNETICS, 7, 23-29, 1986]는 RNA 레벨이 18 내지 1150μT 진폭으로 15 내지 4400㎐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RNA 레벨이 열 개 이상의 인자로 인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Jutilainen과 공동연구자들[jutilainen, J.,Laara, E.과 Saali, K., INT. J. RADIAT. BIOL., 52, 787-793(1987)]은 1μT 50Hertz 전자기장이 태아에 이상을 초래할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그래서 전자기장은 발암성일 뿐만아니라, 선천성 기형을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전자파 노출로 인한 인체영향 평가는 그 동안 수행되어 왔던 역학조사의 결과를 기본적으로 활용하여 왔으나 역학조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전자파 노출평가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일관된 결론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통제된 환경설정이 가능한 세포수준에서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저주파의 낮은 전력밀도가 매질을 이온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초창기의 주장에 반해 장기간 노출될 경우 매질에 축적되는 에너지의 유해성이 대두되면서 국외에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자파 환경에 대한 대부분의 실험자들은 전자파와 인체의 각종 질환과의 관련성에만 치중하여 왔었으나, 바센(1992) 등이 처음으로 세포배양기에서의 전류밀도의 크기를 해석한 이후로부터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국내 연구자들에게 세포수준에서의 전자파 생물학적 영향 평가를 시행하고 싶으나 노출장치의 제작이 쉽지 않으므로 국내의 생물학적 영향 평가의 연구업적이 지극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즉, 향후 전자파 및 전자기장과 인체에 관한 연구의 초점은 어느 정도의 전자파 또는 전력 밀도(자기장의 세기)에서 인체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유해성의 입증과 이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의 확보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전자파 세포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를 제작하여 노출장치의 전자기학적 해석을 통해 배양기내의 전도성 매질에서 유도되는 전계와 전류밀도 분포를 시뮬레이션하고, 전자파의 생물학적인 영향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의 자기장 발생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의 자기장 발생부와 차폐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헬름홀쯔 코일, 4:배양기,
6:차폐막, 10:저주파자기장노출장치,
12:키입력부, 14:자기장검출부,
16:온도검출부, 18:A/D컨버터,
20:자기장발생구동부, 22:자기장발생부,
24:디스플레이구동부, 26:디스플레이부,
28:데이터저장부, 30: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파의 생체 영향실험을 행하기 위한 자기장 발생장치에 있어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수단과; 상기 자기장 발생장치에 구성된 자기장 발생수단의 내부에 구비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기 저항성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진 자기장검출수단과;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의 내부 소정부에 구비되어 코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 및 자기장 검출수단, 온도검출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과; 자기장 발생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자기장 발생구동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구동수단과; 원통 좌표계 및 맥스웰 방정식이 적용되어 전류밀도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에 관한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 및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매개로 인가된 자기장 설정 키신호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구동수단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특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그로인한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시키며, 노출시간을 그 내부 타이머를 통해 연산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입력수단은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설정, 자기장에 대한 노출시간 설정, 각종 신호특성(주파수, 전류, 전압, 노이즈) 설정, 디스플레이 구동여부에 대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헬름홀쯔 코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의 중앙 소정부에는 특정 식물 및 세포의 배양상태를 균일한 자기장 분포환경하에서 관찰하기 위한 다수의 배양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을 매개하여 발생되는 자기장 세기의 제어는 그 자기장 발생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입력신호를 펄스와 진폭 제어로 전류밀도 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그 주변에 전자파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원통형의 차폐막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화분의 포트에 직접 장착되어 식물을 배양할 수 있게 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의 자기장 발생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10)를 제작하기 위하여 설정치에 따라 특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헬름홀쯔 코일(2)을 제작한다. 그리고, 그 헬름홀쯔 코일(2)의 내부 중앙부에는 배양기(4)를 위치시킨다.
이때, 그 헬름홀쯔 코일(2)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의 방향은 배양기(4)의 저면과 수직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조건일 때 원통 좌표계를 적용할 수 있으며, 맥스웰 방정식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헬름홀쯔 코일(2)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그 세기가 균일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바, 균일한 자기장의 조건은 상기 헬름홀쯔 코일(2) 원통의 직경, 코일의 권선수와 그 헬름홀쯔 코일(2)로 인가되는 전류량에 관련된다. 따라서, 균일한 자기장을 얻기 위해서는 헬름홀쯔 코일(2)의 크기가 배양기(4)의 크기보다 충분히 크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헬름홀쯔 코일(2)의 내부 환경 예컨대, 자기장세기 및 온도설정치은 생체 영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헬름홀쯔 코일(2) 내부의 환경변수는 상시 일정한 값을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헬름홀쯔 코일(2)의 내부에는 자기장 검출부(도 3 참조)와 온도 검출부(도 3 참조)가 각각 구비되어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를 검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자기장 검출부 및 온도 검출부는 배양기(4)의 저면 중앙 소정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의 자기장 발생부와 차폐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10)는 외관으로 나타나는 구성으로 상기 헬름홀쯔 코일(2)과, 그 헬름홀쯔 코일(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외부에 저주파 자기장을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막(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헬름홀쯔 코일(2)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 자기장에 대한 배양기(4)의 배양상태를 관찰할 때, 상기 헬름홀쯔 코일(2)은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헬름홀쯔 코일(2)로 인가되는 전류값이 각기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헬름홀쯔 코일(2)에는 서로 다른 밀도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헬름홀쯔 코일(2)이 다수개 구성될 경우에는 각각의 헬름홀쯔 코일(2)간의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외부에 각각 차폐막(6)을 구성하는 바, 그 차폐막(6)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자파의 투과가 불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막(6)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헬름홀쯔 코일(2)은 정확한 목표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배양상태를 확인하여 세포수준의 생체 영향평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10)는 키입력부, 자기장검출부, 온도검출부, A/D컨버터, 자기장발생구동부, 자기장발생부, 디스플레이구동부, 디스플레이부, 데이터저장부, 제어부로 구성된다.
먼저, 참조부호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10)의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를 나타내는 바, 상기 키입력부(12)는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설정, 자기장에 대한 노출시간 설정, 각종 신호특성(주파수, 전류, 전압, 노이즈) 설정, 디스플레이 구동여부에 대한 키신호를 발생시킨다.
14는 상기 헬름홀쯔 코일(2)의 내부에 구성되어 그 코일(2)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기 저항성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진 자기장검출부를 나타내며, 16은 상기 헬름홀쯔 코일(2)의 내부 소정부에 구비되어 코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부를 나타낸다.
또한, 18은 상기 키입력부(12) 및 자기장 검출부(14), 온도검출부(16)로부터 발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컨버터를 나타내고, 20은 자기장 발생부(22, 이상의 헬름홀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구동부를 나타낸다.
한편, 2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구동부를 나타내며, 28은 원통 좌표계 및 맥스웰 방정식이 적용되어 전류밀도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에 관한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 및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낸다.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10)의 신호흐름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제어부를 나타내는 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A/D 컨버터(18)를 매개로 인가된 자기장 설정 키신호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구동부(20)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특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그로인한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부(28)에 저장시킨다. 노출시간에 대한 연산은 상기 제어부(30)의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30a)를 통해 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입력부(12)의 키신호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설정은 전류 입력신호를 펄스 및 전폭 제어를 통해 전류밀도의 세기를 조절함에 의해 제어토록 하였으며, 이것이 가능하도록 사각파 신호를 발생 인가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시스템 전원과 코일 입력 전원간에 접지를 분리하여 전원의 스위치 주파수가 전도성 물질인 제어기와 자기장 발생부에 불필요한 신호입력을 제거토록 하고 자체 차폐와 접지를 시도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10)는 자기장의 세기 및 자기장의 노출시간, 설정 온도를 자유롭게 설정하면서 각각의 설정값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 평가를 실행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키입력부(12)를 매개로 각종 키설정을 행한다.
상기 키입력부(12)를 매개하여 자기장의 세기 및 자기장의 노출시간, 설정 온도에 대한 키신호가 발생되면 그 신호는 상기 A/D 컨버터(18)를 매개하여 제어부(30)로 인가되고, 제어부(30)는 그 내부의 타이머(30a)를 구동하여 시간연산을 행함과 동시에 해당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 구동부(20)에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자기장의 세기 및 특정 온도가 설정치와 동일한 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헬름홀쯔 코일(2) 또는 배양기(4)의 내부에는 자기장 검출부(14) 및 온도 검출부(16)가 각각 구비된다. 그 자기장 검출부(14) 및 온도 검출부(16)로부터 인가된 검출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30)는 루프 궤환으로 균일한 자기장과 온도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실험을 행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배양상태 데이터가 제작되는 바, 제작된 배양상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8)를 매개로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6)를 매개하여 화면 출력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현재 자기장의 세기 및 설정온도, 노출경과시간과 더불어 배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하여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10)를 화분 포트에 직접 장착하여 연구실에서나 가정에서 식물을 배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는 세포수준에서의 저주파 자기장 노출하에 생물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현재 널리 쓰이는 자기카드나 IC카드 등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이 세포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예측할 수 있고, 국내의 연구자들에게 본 발명에서 개발한 노출장치와 프로그램을 활용하도록 하여 실험결과의 재현성을 높여주고 전자파 위해성 평가에 대해 세포수준에서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확보에 활용된다. 또한, 배양기의 전류 밀도 분포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서 국내외적으로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전자파의 생체 영향실험을 행하기 위한 자기장 발생장치에 있어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수단과;
    상기 자기장 발생장치에 구성된 자기장 발생수단의 내부에 구비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기 저항성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진 자기장검출수단과;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의 내부 소정부에 구비되어 코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 및 자기장 검출수단, 온도검출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과;
    자기장 발생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자기장 발생구동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구동수단과;
    원통 좌표계 및 맥스웰 방정식이 적용되어 전류밀도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에 관한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 및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매개로 인가된 자기장 설정 키신호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구동수단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특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그로인한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조건, 노출시간에 대한 배양상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시키며, 노출시간을 그 내부 타이머를 통해 연산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수단은 자기장의 세기 및 온도설정, 자기장에 대한 노출시간 설정, 각종 신호특성(주파수, 전류, 전압, 노이즈) 설정, 디스플레이 구동여부에 대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헬름홀쯔 코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의 중앙 소정부에는 특정 식물 및 세포의 배양상태를 균일한 자기장 분포 환경하에서 관찰하기 위한 다수의 배양기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을 매개하여 발생되는 자기장 세기의 제어는 그 자기장 발생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입력신호를 펄스와 진폭 제어로 전류밀도 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그 주변에 전자파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원통형의 차폐막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화분의 포트에 직접 장착되어 식물을 배양할 수 있게 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KR1020010017730A 2001-04-03 2001-04-03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KR20010067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730A KR20010067869A (ko) 2001-04-03 2001-04-03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730A KR20010067869A (ko) 2001-04-03 2001-04-03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353U Division KR200243812Y1 (ko) 2001-04-28 2001-04-28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69A true KR20010067869A (ko) 2001-07-13

Family

ID=1970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730A KR20010067869A (ko) 2001-04-03 2001-04-03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78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135B1 (ko) * 2001-11-09 2004-02-11 주식회사 한백전자 전자기학 실험장비
KR200451879Y1 (ko) * 2010-11-08 2011-01-17 박일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54118B1 (ko) * 2012-11-22 2014-02-05 한국전기연구원 세포실험용 균등자계 발생 시스템
WO2019107761A1 (ko) * 2017-11-30 2019-06-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일 자기장 세포 자극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135B1 (ko) * 2001-11-09 2004-02-11 주식회사 한백전자 전자기학 실험장비
KR200451879Y1 (ko) * 2010-11-08 2011-01-17 박일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54118B1 (ko) * 2012-11-22 2014-02-05 한국전기연구원 세포실험용 균등자계 발생 시스템
WO2019107761A1 (ko) * 2017-11-30 2019-06-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일 자기장 세포 자극 시스템
KR20190063695A (ko) * 2017-11-30 2019-06-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일 자기장 세포 자극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akian et al. Biological, physical, and electrical parameters for in vitro studies with ELF magnetic and electric fields: a primer
Stuchly et al. Interaction of low-frequency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with the human body
Prato et al.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can either increase or decrease analgaesia in the land snail depending on field and light conditions
CN109596670B (zh) 一种电/磁场环境综合发生系统
KR200243812Y1 (ko)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CN103087911A (zh) 一种为工频弱磁场生物效应实验提供稳定均匀磁场环境的方法
RU2001102086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процессы выживания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клеток
Goodman et al. Some biological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Ristić-Djurović et al. Design and optimization of electromagnets for biomedical experiments with static magnetic and ELF electromagnetic fields
KR20010067869A (ko) 저주파 자기장 노출장치
Misakian et al. Optimal experimental design for in vitro studies with ELF magnetic fields
Kirkby et al. A scanning focussed vertical ion nanobeam: A new UK facility for cell irradiation and analysis
CN113101526A (zh) 一种基于磁声耦合效应的无创脑深部精准复合场刺激装置
Ji et al. FDTD analysis of a gigahertz TEM cell for ultra-wideband pulse exposure studies of biological specimens
Bajtos et al. Numerical adjustment of Ion Parametric Resonance conditions for biological experiments
Reuter et al. Unexpected physical phenomena indicated by FDTD modeling of the Sigma-60 deep hyperthermia applicator
Ahmed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xtremely low frequency (EL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system for wound healing promotion
EP34968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and the application of electromagnetic fields for influencing in vitro cell growth
US5002068A (en) Shielding and focusing of magnetic fields
Judáková et al. Simulations of electromagnetic exposure system for irradiation of biological cultures: comparison of CST Studio Suite and COMSOL Multiphysics
Monadizadeh et al. A review of protocols and guidelines addressing the exposure of occupants to electromagnetic field radiation (EMFr) in buildings
Zhang et al. Theoretical analysis and design of a variable frequency magnetic field stimulation system for tumor suppression
Zhang et al. Theoretical analysis and design of an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stimulation system for tumor suppression
Salceanu et al. Evaluating the cumulative exposure to low frequency electric fields
Kadlec et al. Thin-film screen time-domain shielding effectiveness: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the testing pul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