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823A -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823A
KR20010067823A KR1020010017194A KR20010017194A KR20010067823A KR 20010067823 A KR20010067823 A KR 20010067823A KR 1020010017194 A KR1020010017194 A KR 1020010017194A KR 20010017194 A KR20010017194 A KR 20010017194A KR 20010067823 A KR20010067823 A KR 20010067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obile phone
wireless internet
folded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철
우성근
Original Assignee
고상철
우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철, 우성근 filed Critical 고상철
Priority to KR102001001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7823A/ko
Publication of KR2001006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8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4Key guid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에 관해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자판들이 일정규칙으로 배열되며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키보드와, 키보드의 어느 한 분할체에서 돌출 형성되며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에 결합되어 양자를 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커넥터와, 접속커넥터가 구비된 키보드의 분할체에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각 분할체가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로 절첩되며 휴대폰을 접속커넥터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하는 거치대로 구성된다. 거치대는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키보드에 피봇 결합되고, 피봇부 양측에 상호 동일방향으로 벤딩되어 펼침시 접속커넥터와 함께 회전하는 로드 서포트와, 로드 서포트의 중간부에 피봇 결합되어 로드 서포트의 펼침시 거치대를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유지시키는 받침부를 가지며 휴대폰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고 일측에 접었을 때 키보드 타측면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걸려 거치대를 위치 고정시키는 훅을 갖는 지지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휴대폰을 키보드에 안정되게 거치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문자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Wireless internet key board device}
본 발명은 키보드(key boar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data port) 등에 접속하여 일반적인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문자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정보통신의 발달에 기인하여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여러 가지 이동전화(이하 '휴대폰'이라 통칭함)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장소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에 따라 그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internet)의 등장으로 휴대폰을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실제로 간단한 문자메시지나 전자우편 등은 휴대폰을 통해서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휴대폰은 그 특성상 경박단소(輕薄短小)한 외관을 유지해야 하는 제약 때문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지만, 원하는 충분한 문자정보를 상대방에게 송신하기에는 상당히 곤란한 문제를 안고 있다. 즉, 휴대폰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소형으로 구성되는 바, 그에 구비되는 입력부 역시 자판의 크기나 수량이 최소한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본형태(숫자와 한글 자·모음 및 영문 알파벳 등)를 취하고 있으므로 지극히 간단한 문장과 문자의 입력만이 가능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내용의 범위가 아주 협소할 뿐만 아니라 입력방법 또한 하나의 자판을 반복해서 눌러야 하는 등 사용이 대단히 번잡하여 송신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검색과 정보의 공유 및 제공이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바,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서는 메시지를 신속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의 등장이 필연적 수순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휴대폰에 접속하여 원하는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용이하게 송신할 수 있게 해주는 여러 형태의 무선인터넷 키보드들이 제공되어 있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2214호에는 휴대폰의 크기에 근접하는 크기를 가지며 일반 키보드와 같은 자판배열을 갖는 소형의 키보드에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에 접속되는 접속커넥터를 구비하고, 접속커넥터에 휴대폰과의 연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갖는 무선인터넷 키보드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키보드가 단일몸체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자판이나 자판들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작아 문자입력이 용이하지 못한 결점이 있으며, 특히 휴대폰을 거치시킬 어떠한 수단도 없기 때문에 사용환경에 많은 제약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2000-50191호에는 키보드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서로 접혀지도록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고, 키보드와 휴대폰을 별도의 연결코드에 의해 상호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이것은 휴대는 용이하지만 역시 휴대폰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없어 사용환경에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연결코드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11461호에는 키보드를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슬림형 자판대로 분할 구성하고, 키보드와 휴대폰을 별도의 연결코드에 의해 상호 접속시키고 있으나, 이 역시 휴대는 매우 용이한데 반해 휴대폰을 거치할 수단이 없어 사용환경에 제약을 받을 뿐 아니라 별도의 연결코드를 요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소형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별도의 거치대 없이 휴대폰을 키보드에 안정되게 거치시킨 상태에서 일반 키보드와 같이 소망하는 문자를 간편하게 입력시킬 수 있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보드와 휴대폰을 상호 접속시키는 연결코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 장치를 나타낸 접은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 장치의 펼친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에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휴대폰 접속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단면도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5의 키보드 장치에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보드 11, 12: (키보드의)분할체
14: (키보드의) 힌지 16: (키보드의) 솔라 배터리
20: 접속커넥터 21: (접속커넥터의) 훅
30: 거치대 31: (거치대의) 로드 서포트
33: (로드 서포트의) 받침부 34: (거치대의) 지지판
40: 키보드 41, 42: (키보드의) 분할체
44: (키보드의) 힌지 45: (키보드의) 휴대폰 거치부
46: (휴대폰거치부의) 코드 수납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의 한 형태는, 다수의 자판들이 일정규칙으로 배열되며,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키보드; 이 키보드의 어느 한 분할체에서 돌출 형성되며,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에 결합되어 휴대폰과 키보드를 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커넥터; 및 이 접속커넥터가 구비된 키보드의 분할체에 일단이피봇(pivot) 지지되어 각 분할체가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로 절첩되며, 휴대폰을 접속커넥터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하는 거치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거치대가,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키보드에 피봇 결합되고, 피봇부 양측에 상호 동일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펼침시 접속커넥터와 함께 회전하는 로드 서포트(rod support)와, 이 로드 서포트의 중간부에 피봇 결합되어 거치대를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유지시키는 받침부를 가지며 휴대폰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고, 일측에 접었을 때 키보드 타측면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걸려 거치대를 위치 고정시키는 훅(hook)을 갖는 지지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위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의 다른 형태는, 다수의 자판들이 일정규칙으로 배열되며,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어느 한 분할체가 코드 수납홈이 형성된 휴대폰 거치부를 갖는 키보드; 이 키보드의 휴대폰 거치부에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코드 수납홈에 수용되며, 타단에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에 결합되는 접속커넥터를 구비하여 키보드와 휴대폰을 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코드; 및 키보드의 휴대폰 거치부에 내장되어 휴대폰을 위치 고정시키는 자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가 매우 용이하고 사용환경에 관계없이 휴대폰을 키보드에 안정되게 거치시킨 상태에서 일반 키보드와 같이 다양한 문자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폰을 키보드에 직접 접속하여 양자를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코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의 편의성과 신뢰성 제고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인 본 발명의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는 다수의 자판(13)들이 일정 규칙에 따라 배열된 키보드(10)와, 키보드(10)를 휴대폰(P)과 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커넥터(20)와, 키보드(10)에 설치되어 휴대폰(P)을 지지하는 거치대(30)로 구성된다.
키보드(10)는 예를 들어 그 중간부가 분할된 두 분할체(11)(12)로 이루어지고, 두 분할체(11)(12)는 대향하는 단부가 힌지(hinge:14)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키보드(10)는 두 분할체(11)(12)를 서로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절첩식 구성을 가져 미사용시에는 조그맣게 접어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에만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키보드(10)의 자판(13)은 바람직하기로 일반적인 컴퓨터용 키보드와 동일한 기능과 배열을 가지며, 단지 각 분할체(11)(12)에 적절히 나뉘어서 배치된다.
그리고, 키보드(10)의 어느 한 분할체(11) 한쪽 측면, 바람직하기로 사용자측에서 볼 때 배면에는 거치대(30)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15)가 돌출 형성된다.이러한 연결부(15)는 거치대(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만 있으면 되는 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순한 러그(lug)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키보드(10)의 동작을 위해서는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본 키보드 장치는 휴대용이므로 일반적인 수은건전지를 사용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10)에 직접 솔라 배터리(solar battery:16)를 내장하여 솔라 배터리(16)에 의해 키보드(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폰(P)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커넥터(20)는 거치대(30)에 지지된 휴대폰(P)의 데이터 포트(S)와 용이하게 결합되어야 하므로 키보드(10)의 연결부(15)에 설치되는데, 이는 통상의 휴대폰(P)의 데이터 포트(S)가 휴대폰(P)의 하단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때, 접속커넥터(20)는 거치대(30)의 로드 서포트(31)를 펼칠 때 함께 회전한다. 본 발명의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로드 서포트(31)를 펼쳐 회전시켜 거치대(30)를 수평면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시킨 후 로드 서포트(31)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된 접속커넥터(20)에 휴대폰(P)을 삽입시킨다. 따라서 로드 서포트(31)와 접속커넥터(20)는 수평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접속커넥터(20)는 휴대폰(P)과의 이탈 우려 없는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P)의 데이터 포트(S)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훅(21)을 가지고 있으며, 훅(21)을 움직이는 부분과 연결부(15)에 삽입되는 로드 서포트(31)의 끝단을 맞닿게 하여 로드 서포트(31)의 양쪽을 손으로 눌러주면 훅(21)에 의해 접속커넥터(20)는 데이터 포트(S)로부터 이탈된다.
거치대(30)는 키보드(10)의 연결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대략 ㄷ자형의 로드 서포트(31)와, 이 로드 서포트(31)의 일측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P)의 배면에 접촉되는 지지판(34)으로 구성된다. 로드 서포트(31)의 양 단부에는 연결부(15)에 끼워지는 피봇부(32)가 각각 안쪽으로 벤딩 형성되고, 각 피봇부(32)에 연이어서 거치대(30)의 펼침시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거치대(30)의 펼침정도를 제한하는 받침부(33)가 동일 방향으로 각각 벤딩 형성된다. 이 때, 받침부(33)의 길이는 키보드(10)를 접었을 때 거치대(30)가 키보드(10)에 접힐 수 있도록 적어도 다른쪽 분할체(1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지지판(34)은 그 중간부가 로드 서포트(31)에 피봇 지지되며, 거치대(30)를 키보드(10)에 대해 접은 상태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한쪽에 훅(35)을 갖는 L자형으로 구성된다. 훅(35)은 도 1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10)의 타측면, 즉 연결부(15)의 반대쪽 면에 걸림홈(17)을 형성하여 거치대(30)를 접을 때 지지판(34)과 키보드(10)를 탄성적으로 걸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34)의 한쪽면에는 바람직하기로 휴대폰(P)의 미끄럼 방지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고무제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돌기(36)나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폰(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10)의 두 분할체(11)(12)를 상호 접고, 그 위에 거치대(30)를 접은 상태로 보관 내지는 휴대하게 된다. 따라서, 키보드(10)의 크기가 대폭 축소되어 휴대가 매우 용이해진다. 이 때, 거치대(30)는 그 지지판(34)의 훅(35)이 자체 탄성에 의해 키보드(10)의 걸림홈(17)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접힌 상태로 안전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폰(P)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판(34)을 위로 밀어 그 훅(35)을 키보드(10)의 걸림홈(17)으로부터 이탈시킨 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30)를 피봇부(3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키보드(10)에 대해 펼친다. 이때 연결부(15)에 위치한 접속커넥터(20)도 같이 회전한다. 그러면, 거치대(30)의 받침부(33)가 지면에 닿아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거치대(30)가 지면에 대해 적정각도로 세워지게 된다. 다음, 지지판(34)을 180°회전시켜 미끄럼 방지돌기(36)를 정면으로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거치대(30)를 펼친 뒤, 키보드(10)의 한 분할체(12)를 다른 분할체(11)에 대해 펼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P)을 세워서 그 데이터 포트(S)와 키보드(10)의 접속커넥터(20)를 결합한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커넥터(20)의 훅(21)이 휴대폰(P)의 데이터 포트(S)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게 됨과 동시에 키보드(10)와 휴대폰(P)이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휴대폰(P)의 배면은 거치대(30)의 지지판(34)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휴대폰(P)이 거치대(30) 상에 유동없이 안정되게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P)을 정면에서 주시하면서 키보드(10)를 통해 필요한 문자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교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터넷을 사용하고 난 뒤에는 로드 서포트(31)의 양쪽을 눌러주어 휴대폰(P)과 접속커넥터(20)를 분리시키고 전술한 펼침동작의 역순에 의해 도 1과 같이 접어서 보관 내지는 휴대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인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는 다수의 자판(43)들을 갖는 키보드(40)와, 키보드(40)와 휴대폰(P)을 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코드(50) 및 휴대폰(P)을 키보드(40)상에 위치 고정시키는 자력수단(60)으로 구성된다.
키보드(40)는 분할된 두 분할체(41)(42)로 이루어지고, 두 분할체(41)(42)는 대향하는 단부가 힌지(44)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키보드(10)는 두 분할체(41)(42)를 서로에 대해 접고 펼 수 있어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휴대하고 필요시에만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두 분할체(41, 42)의 한쪽에는 각각 자판(43)이 없는 휴대폰 거치부(45)와 휴대폰(P)을 키보드(40)상에 위치 고정시키는 자력수단(60)이 마련된다. 휴대폰 거치부(45)에는 연결코드(50)를 수용할 수 있는 코드 수납홈(46)이 형성된다. 키보드(10)의 자판(13)은 바람직하기로 일반적인 컴퓨터용 키보드와 동일한 기능과 배열을 가지며, 단지 각 분할체(41)(42)에 적절히 나뉘어서 배치된다.
이러한 키보드(40)에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키보드(40)에 소요 전원을 자체 공급하거나 분할체(42)의 배면에 휴대폰(P)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솔라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코드(50)는 일단에 홀더(holder:53)를 구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40)의 휴대폰 거치부(45)에 피봇 지지되며, 키보드(40)와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코드(50)의 타단에는 휴대폰(P)의 데이터 포드(S)에 결합되는 접속커넥터(52)가 구비된다. 접속커넥터(52)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바람직하기로 제1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포트(S)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훅(51)이 구비될 수 있다.
자력수단(60)은 예를 들어 고무자석 등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키보드(40) 휴대폰 거치부(45)에 내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는,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5와 같이 연결코드(50)를 키보드(40)의 코드 수납홈(46)에 수용한 뒤 두 분할체(41)(42)를 접은 상태로 보관 및 휴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폰(P)을 통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40)의 한 분할체(42)를 나머지에 대해 회전시켜 키보드(40)를 펼친다. 다음, 휴대폰 거치부(45)의 코드 수납홈(46)에 수용되어 있는 연결코드(50)를 인출하여 그 접속커넥터(52)를 휴대폰(P)의 데이터 포트(S)에 끼운다. 휴대폰(P)과 키보드(40)의 접속이 완료되면, 휴대폰(P)을 키보드(40)의 휴대폰 거치부(45) 위에 얹어 놓는다. 그러면, 휴대폰 거치부(46)에 내장된 자력수단(60)에 의해 휴대폰(P)이 키보드(40)의 두 분할체(41,42)의 중앙에 안정되게 부착되어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키보드(40)의 중앙에 위치한 휴대폰(P)을 주시하면서 키보드(10)를 통해 필요한 문자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교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가 절첩식으로 구성되므로 크기가 반으로 줄어 보관이나 휴대가 매우 용이하고, 특히 키보드에 휴대폰 거치수단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환경에 관계없이 휴대폰을 키보드에 안정되게 거치시킨 상태에서 일반 키보드와 같이 다양한 문자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폰을 키보드에 직접 접속하여 사용하므로 양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코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의 편의성과 신뢰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자판들이 일정규칙으로 배열되며,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키보드;
    상기 키보드의 어느 한 분할체에서 돌출 형성되며,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에 결합되어 휴대폰과 상기 키보드를 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커넥터; 및
    상기 접속커넥터가 구비된 키보드의 분할체에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각 분할체가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로 절첩되며, 상기 휴대폰을 접속커넥터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하는 거치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키보드에 피봇 결합되고, 피봇부 양측에 상호 동일방향으로 벤딩되어 펼침시 상기 접속커넥터와 함께 회전하는 로드 서포트;
    상기 로드 서포트의 일측 끝단부에 피봇 결합되어 거치대를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유지시키는 받침부를 가지며, 상기 휴대폰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고, 일측에 접었을 때 키보드 타측면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걸려 거치대를 위치 고정시키는 훅을 갖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판의 한쪽면에 고무재 등으로 구성된 패드나 돌기 등의 미끄럼 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는 키보드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솔라 배터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5. 다수의 자판들이 일정규칙으로 배열되며,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어느 한 분할체가 코드 수납홈이 형성된 휴대폰 거치부를 갖는 키보드;
    상기 키보드의 휴대폰 거치부에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상기 코드 수납홈에 수용되며, 타단에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에 결합되는 접속커넥터를 구비하여 키보드와 휴대폰을 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코드;
    상기 키보드의 휴대폰 거치부에 내장되어 휴대폰을 위치 고정시키는 자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는 키보드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솔라 배터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KR1020010017194A 2001-03-31 2001-03-31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KR20010067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194A KR20010067823A (ko) 2001-03-31 2001-03-31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194A KR20010067823A (ko) 2001-03-31 2001-03-31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301U Division KR200238432Y1 (ko) 2001-04-03 2001-04-03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23A true KR20010067823A (ko) 2001-07-13

Family

ID=1970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194A KR20010067823A (ko) 2001-03-31 2001-03-31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78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01A (ko) * 2001-04-24 2001-11-09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0460956B1 (ko) * 2002-07-03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키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01A (ko) * 2001-04-24 2001-11-09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0460956B1 (ko) * 2002-07-03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863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2677391B1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US7477919B2 (en) Handheld input/output device providing enhanced user interface for a mobile telephone
US7266391B2 (en) Expanded display and input-output device for mobile wireless telephone
US699980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igital camera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199554B2 (en) Desktop charger for bar-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17737B1 (ko)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기
KR200397129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US7242588B2 (en) Multifunction modular electronic apparatus
CN114125112A (zh) 转轴机构以及电子设备
US20080125198A1 (en) Port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38432Y1 (ko)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KR20010067823A (ko) 무선인터넷 키보드 장치
US7197139B2 (en) Replace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cradle for a telephone
US6630811B1 (en) Flip cover with battery for portable computer system
US20040253132A1 (en) Crad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42627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5005671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KR20040005427A (ko) 무선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접속용 충전기
CN210225524U (zh) 双支架手机壳
KR100547819B1 (ko) 휴대폰용 폴더 타입 충전기
KR200292197Y1 (ko) 무선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접속용 충전기
KR100653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