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951A - 陽안경 - Google Patents

陽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951A
KR20010065951A KR1019990067522A KR19990067522A KR20010065951A KR 20010065951 A KR20010065951 A KR 20010065951A KR 1019990067522 A KR1019990067522 A KR 1019990067522A KR 19990067522 A KR19990067522 A KR 19990067522A KR 20010065951 A KR20010065951 A KR 2001006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s
shade
shine
ligh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1999006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951A/ko
Publication of KR2001006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951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0Apparel
    • Y10S2/905Electric
    • Y10S2/906Head covering or protector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 양안경(陽眼鏡 shine spectacles)은 기존 발명인 그늘안경(陰眼鏡 shade spectacles No.174366)의 그늘진 공간이 얼굴에 미치는 미관상, 어두웠던 점을 양면 절첩(兩面切疊 both side folder) 기능으로 해소할 수밖에 없었던 사용자 선택권에 램프(1)의 빛과 열로 얼굴(30)을 밝히거나 따뜻하게 혹은 어둡게 조절할 수 있는 선택 기능을 추가함을 제1차적 목적으로 한다.
제2차 목적은 색이 있는 빛과 열로 색이 있는 직물과 함께 직접조명, 간접투사나 반사광을 이용 색채요법과 미용효과, 광고효과 야간식별 효과 등을 도모하여, 얼굴(30) 중심의 심신관리씨스템인 얼굴산업으로 발전시키고자 발명되었다.

Description

陽안경{shine spectacles}
정보시대 인체 송수신 안테나 소임(所任)은 머리 그중 눈, 귀, 코, 입이 분포된 안면 즉 얼굴전면이 담당한다. 얼굴(30)은 우리 인체가 오랜 세월 진화해 오며 생존을 위해 외부로 열어 놓은 감각기관 창구중 가장 중요한 기능들이 집합된 정보기기의 메카인 셈이다. 대부분의 정보가 보내고 받아 들여지는 곳이다.
기 등록된 특허 그늘안경 (陰안경 No.174366) 실용신안 (122930, 0155278, 0160788) 의장 16건과 美國 (5682219, DES 414315) 日本 (2801880) 中國 (ZL96 225225, 5) 및 다수의 출원중인 특허들은 그늘안경 씨스템에 내포된 얼굴(30) 제감각기관의 포괄적 수용쪽으로 발전해 왔다.
눈의 시각적 조건 개선에서 얼굴(30)가리개로 포괄하는 내용이 넓어지는 과정에서 정보시대 얼굴 제감각기관들의 총체적 활용을 염두에 둔 발상이 기출원 명세서에 기술되었다.
향기요법(aroma theraphy)은 그늘안경의 공간이 향기를 가두어 둘수 있고 코에 가까운 하부챙에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을 활용한다.
음성 부분은 입과 가까운 하부챙에 마이크를 장착할 수 있고 그 공간이 소리를 모을 수 있어 조용한 속삭임도 포착할 수 있는 이점을 활용한다. 가상현실이나 컴퓨터 환경과의 친화도 그늘안경의 최대 장점이다. 세계 각국 연구진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을 위해 대화형 컴퓨터를 개발하고 인간과 가깝도록 컴퓨터를 휴대하기 쉽게 안경형, 손목시계형, 모자형, 열쇠고리형, 심지어 입는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제품을 개발 속속 시장에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선 발명 그늘안경(陰眼鏡 shade spectacles)은 눈은 물론 얼굴(30) 전체를 카바할 수 있는 열린공간으로 가상현실 공간제공 외에 영상인식기술과 관련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같은 이유로 음성인식 시스템의 센서를 장착할 수 있다.
눈, 귀, 코, 입과 얼굴(30) 표면을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타원형 및 원형으로 둘러싸는 그늘안경은 작은 표정의 변화를 읽는데 최적의 위치에 있다.
렌즈나 빛의 투과물이 있어야 안경이라 인정했던 종전 개념을 혁파 둘레를 통(筒)으로 한정(限定)한 전후 텅빈 공간속 그늘효과만을 안경의 주기능으로 삼아온 점은 그늘안경의 공간중시 컨셉이라 할수 있다. 상하좌우 절첩 가능한 통(筒)이 하드웨어라면 전후로 열린 텅빈 공간은 그늘안경의 소프트웨어에 해당한다.
그 공안이 어둡고 차다. 밝고 따뜻하게 할수 없을까.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가 어둡고 차게 하거나 밝고 따뜻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그늘안경의 장점은 그 자체 단점을 내포하고 있으나 평면 1과 입체 0의 상호 변환을 가능케하는 兩面 절첩(folder) 기능으로 해소돼 문제될 바 없었다.
그러나 그늘안경 사용중에도 상호 얼굴(30)식별이 용이하면 일일이 열고 닫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나아가 빛과 열로 얼굴에 스폿라이트를 비추므로써 기분, 정서 함양과 색채요법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치료적 효과도모 및 미용효과, 야간식별기능, 광고효과, 표정관리등 얼굴산업의 미개척 분양에 새 장을 열수 있을 만큼 유익한 점이 많다.
본 발명 陽안경(shine spectacles)은 그늘안경의 그늘지고 어두웠던 공간을 양면 절첩(folder) 기능으로 해소하는 선택 외에 더욱 편리한 선택인 빛과 열로 얼굴(30)을 밝히거나 어둡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그늘을 더욱 짙게 하는 기능을 부가함을 제1차적 목적으로 하고 얼굴산업 전반으로 용도확장함을 제2차 목적으로 발명되었다.
얼굴은(30)은 그늘안경(陰안경)으로 은폐되고 은둔돼 눈과 얼굴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 양안경(陽안경)으로 적나라하게 그 어느때 보다 밝게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서로의 얼굴을 드러내야 하는 투명사회에선 요긴한 기능일 수 있다. 양안경이 표정관리에 도움을 줄수 있다는 의미다.
그늘안경(陰안경 No.174366)이란 개념(concept)은 세계 최초로 정립된 것으로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을 보면 잘 안보이나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을 보면 잘보인다는 자연법칙의 그늘효과(Shade Effect)를 이용, 보고자 하는 사물 즉 객체의 고선명화 추구가 아닌 보는 사람 주체의 시각적 조건을 문제 삼아 일목요연함을 추구함에 특징이 있다.
기술적 요소로는 전후를 열린공간이 되게 상하좌우 절첩(folder)기능을 가진 통(筒)으로 그늘형성이 된다. 접으면 평면인 -이 되고 열면(벌리면) 입체 공간인 0이 되어 1과 0으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兩面切疊(both side folder) 기능으로 디지털적 陰陽요소를 통일시킨 기술로 세기적 발명이라 할수 있다. 모든 생명은 이 기술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문(門)은 이 문으로 통한다.
그늘안경은 속성이 무한한 허공을 얼굴 앞에 전무후무(前無後無)하게 조건화(條件化)한 통(筒)으로 가둬 빛과 어둠의 자식인 그늘로 전환, 화가의 캔버스위 명암(明暗)이 아닌 생활용품으로 개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죠스, 쥬라기 등을 제작한 헐리우드 영화제작팀들은 3차원 입체영상 작업시 실내를 전부 소등하고 작업한다는 사실은 그늘효과와 컴퓨터 화면 환경의 친화를 보여주는 실례다.
이로 추론해 볼대 뉴톤이 만유인력을 발견한 순간은 그가 나무 그늘에 있고 사과가 나무가지에서 빛속으로 떨어짐을 보고 강한 인상을 받았으리라는 가정을 낳게 한다.
요약하면 삼라만상 중 인간의 얼굴주변에 원상(圓相)을 그리고 그 원상위에 울타리를 쌓다고 할 때 담이 높으면 높을수록 그 안은 동굴처럼 어둡고 차게 된다. 라즈니쉬라는 인도철인은 사람이 깊고 깊은 우물의 칠흑같은 어둠속에서 내다보면대낮에도 별을 볼수 있을 것이라 했다. 이는 그늘안경의 컨셉을 잘 설명하는 의미심장한 언급이라 본다.
종전의 그늘안경 기술은 바로 그 어둠과 양립할 수 없었던 문제점인 미관상 안좋다거나 실제사용시 시야가 좁은 불편 등을 양면 홀더기능으로 해소하도록 사용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었다. 그러나 陽안경(shine spectacles)은 열고 닫는 선택의 대안으로,열어 놓은채 어둠을 해소할 수 있는 빛과 열을 내장, 스위치(3)로 선택할 수 있는 씨스템이다. 스위치(3) 작동으로 얼굴안을 환하게 밝히거나 어둡게 할수 있는 기능이 있어 그늘안경의 지속적 사용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그밖에 색체요법의 의료적 기능, 미용효과, 야간식별 기능, 광고기능 등 얼굴조명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종전 기술을 한차원 혁신한 발명이라 할수 있다.
본 발명은 그늘안경 구비모자에 예컨대 LED 램프같은 소정의 꼬마전구(1)를 장착시켜 그 빛과 열로 그늘안경의 단점을 보완하고 적극적으로 양(陽)안경 고유의 기능들을 충족시키는 씨스템이다.
각각의 목적과 과제에 따라 램프(1)의 크기, 위치, 각도 등이 조절되겠으나 공통적인 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램프(1)의 크기와 밝기이다. L.E.D 램프는 3파이 크기를 기준으로 크고 작음이 결정된다. 숫자는 5에서 7사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돼 전체 숫자는 상,하 10개 내지 14개가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선 한 두 개로 축소하거나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램프(1)는 챙심에 테이프나 천공해 고정되며 모자겉감 소재인 직물위로 돌출시키느냐 안에 내장시키느냐 발열을 하게 하느냐 여부에 따라 광도도 달라진다.
둘째는 점멸 방법이다. 스위치로 키고 끄거나 자체 스스로 점멸하는 단순기능에서 복잡한 기능까지 칩의 프로그램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된다. 이 방법은 광고효과와 관련해 이목을 끄는데 중요하다.
셋째는 램프(1)를 챙(10, 20) 외측에 장착하느냐 내측에 장착하느냐 이다. 외측(제2도 1)에 장착시는 그늘안경 내부는 외부의 빛(제2도 1) 때문에 상대적으로 어두워져 야간에는 모자외측만 보이고 착용자의 얼굴은 잘 안보이나 밖은 잘 볼수 있다. 빛이 없는 곳에서 빛과 그늘을 모자 자체 만으로 조성하는 의미가 있다.
안에 빛을 낼 경우는 얼굴 전체를 조명하느냐 특정부위 예컨대 입술등만 국한하느냐에 따라 램프(1) 주위를 싸주어 빛을 한군데로 집중하는 반사면과 각도 조절등이 필요하다. 연극배우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얼굴의 모든 부분들에 집중 조명받는데 전체조명과 부분조명을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다.
넷째는 챙심에 고정된 램프(1)를 빛이 투과하거나 반사가 잘되는 직물안에 내장시키느냐 노출시키느냐다. 돌출시키면 조명효과가 극대화되나 눈에 자극이 강할 수 있고 은폐시키면 직물을 투과해 은은하게 비춰나와 분위기나 얼굴 무드 조성에 바람직한 효과가 있으나 빛이 약할 수 있다. 돌출된 램프는 빛이 직진하면서 동시에 주변 직물색상에 반사된다. 돌출시는 부분조명과 전체 조명이 가능하나 은폐시는 전체조명만 가능하다.
다섯째는 陽안경(shine spectacles)을 휴대용(제3도)으로 이동 가능토록 하느냐 마네킹 등에 고정(제4도)시키느냐이다. 이 문제는 짹(8)과 플러그(11)를 밧데리 홀더(15, 16)와 바꾸므로 쉽게 가능하다.
여섯째는 일련의 램프 씨스템을 모자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램프(1)는 상, 하 챙심에 천공, 칩연결 다리를 넣어 반대편으로 유도된 코일(2)과 납땜하거나 테이프로 고정시키고 스위치(3)는 본체(100) 옆을 구멍내 플라스틱 보조편과 함께 섬유와 고정시키고 칩판(4) 홀더(9, 15) 짹(8)은 양측면이나 후면 내측에 주머니를 만들어 넣거나 선과 함께 봉침한다.
제1도는 본 발명 내측(內側) 램프씨스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외측(外側) 램프씨스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이동식 씨스템의 전체조립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고정식 씨스템의 전체조립 사시도
陽안경(shine spectacles)은 고정식의 경우 전원 AD 220 volt를 DC 3 volt의 아답타(13)로 받아 코드선(12)을 따라 짹(8)과 플러그(11)로 연결 저항(6) 콘덴사(7) 트랜지스타(5)가 있는 기판(4)에서 프로그램된 점멸회로로 변환되어 스위치(3)를 거쳐 램프(1)에 도달 점멸토록 구성되었다. 이동식은 짹(8)과 플러그(11) 대신 밧데리홀더(9, 15)로 전지(16)에 직결하는 방식이다.
램프(1) 크기는 LED램프의 경우 3파이와 5파이를 기준으로 제작되나 열(熱)이냐 빛이냐에 따라 램프의 성질 및 밝기와 전원의 크기 저항(6) 콘덴사(7) 프랜지스타(5)가 있는 칩판(4)의 프로그램이 달라진다.
스위치 (3)는 사용자가 상황과 용도에 따라 끄고 켤수 있게 해 그늘안경과 양안경의 선택 레버로 기능한다. 칩기판(4)은 트랜지스터(5)와 저항(6), 콘덴사(7)가 모인 핵심장치로 램프의 용량과 점멸 방법에 따라 회로설계나 프로그램을 달리할수 있고 양산시 부품가격은 저렴해지고 크기도 최소화 할수 있다. 스스로 반복 점멸하는 정도는 부품상가에서 쉽게 구입 조립할 수 있어 하시라도 프로그램에 투자없이 생산 가능하다. 전원은 출력전압 DC 3V, 300mA 전지(16)는 1.5volt ×2개 용량을 기준으로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그늘안경(shade spectacles)은 눈과 얼굴(30)에 그늘효과로 제한된 사물을 보다 선명히 보고자 하는 것이다. 눈목(目)자 + 손수(手)인 볼간(看)자의 유래와도 일치한다. 눈 주위를 손으로 가려 어떤 사물을 잘 볼수 있다는 논리는 빛이 있는 인간동네에선 오래전 자연스럽게 터득한 지혜다. 이와 대조적으로 陽안경(shine spectacles)은 빛과 열로 눈과 얼굴(30)에 유익한 영향을 미쳐 심신의 건강을 꾀하자는 것이 주된 용도다. 주요 효과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색채 요법이다.
사람이 색채의 파장에 따라 기분과 정서가 크게 영향 받는다는 사실은 보편화 된 과학적 상식이다. 어떤 사람이 주로 받는 특정한 색중독을 중화시켜 주거나 색채공해시대에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는 평화로운 색으로 이열치열의 효과를 기할수 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색채,부족한 색채를 양안경의 색채조명을 통해 공급 우울증을 치료하거나 병든 심신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 그늘안경이 그늘에서 쉬는 은둔효과 눈과 얼굴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보호자적 환경이라면 양안경은 따뜻한 응접실 분위기나 다양한 무드조성, 화려한 스폿트라이트로 불안정한 심정을 밝고 축제식 분위기로 가꿀수 있다.
陽안경 내부의 따뜻한 熱感과 유익한 색채로 심신 안정도모와 피부 치료의 의료적 기능은 향기요법(aroma theraphy)과 결합 상승효과를 띨수 있다.
둘째는 미용효과다.
적외선 램프는 피부미용과 치료에 적극적인 기여를 할 것이고 직간접 조명으로,화장했을 때 더욱 돋보이게 하고 안했을 때도 화장한 듯한 효과로 화장품 대채효과가 있다. 아름다운 것을 더욱 아름답게 추한 것은 가리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무대조명의 환상적 작용기전을 각 개인의 얼굴에 구현할 수 있는 길을 양안경이 얼굴 조명이라는 색채마술로 열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인생은 무대요 인간은 누구나 배우라니까 양안경의 스폿트라이트를 받고 거듭날 자격을 갖고 있다.
셋째는 광고 효과다.
쇼윈도에 본 발명의 陽안경을 장착한 모자(100)를 쓴 마네킹을 진열하므로서 세인의 이목을 끌고 어필시키는 광고효과가 있다. 눈섭이나 립스틱 화장품 등 얼굴치장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다.
넷째는 야간 식별기능이다.
야간이나 동굴안 등 어두운 환경에서 양안경 구비모자를 착용하면 상호 얼굴을 쉽게 식별해 두려움과 공포를 덜수 있다. 침묵이 요구되는 곳에선 더욱 그러하다. 연극무대에서 배우의 표정을 관객에게 전달하는데 천정 조명과 보조적으로 혹은 독립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섯째는 주간식별기능이다.
화상대화시 상호 얼굴을 보다 잘 보이게 할 확대적 기능이나 구화시 선생의입술을 보다 잘 보이게 하는 등 투명사회의 얼굴 공개에 기여하게 된다. 그밖에 다양한 효과가 있으나 양안경의 얼굴관리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그 영역이 확대될 것이다.

Claims (1)

  1. 그늘안경 구비모자(100)에 빛과 열을 낼수 있는 램프(1)를 장착한 그늘안경과 얼굴(30)관리 씨스템의 양안경(陽眼鏡)
KR1019990067522A 1999-12-30 1999-12-30 陽안경 KR20010065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522A KR20010065951A (ko) 1999-12-30 1999-12-30 陽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522A KR20010065951A (ko) 1999-12-30 1999-12-30 陽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951A true KR20010065951A (ko) 2001-07-11

Family

ID=1963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522A KR20010065951A (ko) 1999-12-30 1999-12-30 陽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59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7558B2 (en) Mobile device with operation for modifying visual perception
Duncan The familiar mask
KR20010065951A (ko) 陽안경
Berselli Through the Mirror. Concept Maps to not Lose (One’s Way Between) Objects
CN215993039U (zh) 一种智能梳妆镜
Andrzejewski Blue Roses and Other Queer Energies in Tennessee Williams’s The Glass Menagerie
Ryberg Living Light: The Art of Using Light for Health and Happiness
CN209232319U (zh) 一种灯光显示系统及具有该系统的灯
Bal Second–Person Narrative
Syrimis The light that blinds: On art in D’Annunzio’s La Gioconda
Crowe Painting with Light: A practice-led exploration of contemporary painting and the illuminated frame
CN208693599U (zh) 一种智能眼罩
Lee et al. After lives: Considering disembodied costume via medieval copes and Nick Cave's soundsuits
Nordstrøm Rasmussen et al. Designing Socially Acceptable Light Therapy Glasses for Self-managing Seasonal Affective Disorder
Kokkinou A feminist study in makeup
Pietarinen et al. Materiality as a mediator of empathy through culture-based product design for tourism
Read Aragon's armoire
Hernandez Aguirre # TIS. Thesis incubator studio. Lighting as a space
Gauthier Fire+ Words: The Geography of Depression
BİRİNCİ Use of Glass in Performance Art
Chambers et al. The Colors of Shadows
Stringer Hybrid Zones: Representations of Race in Late Nineteenth-Century French Visual Culture
Reddy Modernist Aesthetics and the Artificial Light of Paris: 1900 to 1939
Godinez The Lighting Book: A Manual for the Layman, Setting Forth the Practical and Esthetic Sides of Good Lighting for the Home
Hiebert Mayfield's May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