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784A -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784A
KR20010065784A KR1019990065726A KR19990065726A KR20010065784A KR 20010065784 A KR20010065784 A KR 20010065784A KR 1019990065726 A KR1019990065726 A KR 1019990065726A KR 19990065726 A KR19990065726 A KR 19990065726A KR 20010065784 A KR20010065784 A KR 2001006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mplifier
terminal
resistor
inver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790B1 (ko
Inventor
박정국
이영근
김충후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79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abnormal lamp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 라이트 유니트의 에러를 감지할 수 있는 에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은 빛을 방사시키는 형광 램프, 및 상기 형광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판, 형광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리턴 와이어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와, 상기 형광 램프에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인버터와, 메인 전원과 상기 인버터 사이에 연결되어 인버터로 흐르는 관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백 라이트의 에러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감지부와, 백 라이트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ERROR DETECTION SYSTEM OF BACKLIGHT UNIT IN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 라이트 유니트(Backlight Unit)의 에러를 감지할 수 있는 에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표시 장치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브라운관은 색상 구현이 쉽고, 동작 속도가 빨라 TV와 컴퓨터 모니터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아왔다. 그러나, 상기 음극선관은 전자총과 화면 사이를 일정 거리로 확보해야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두께가 두터울 뿐만 아니라, 전력 소비가 크고, 게다가 무게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음극선관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고안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실용화되어 있는 장치가 바로 액정 표시 장치(LCD)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에 비해 화면이 어둡고 동작 속도가 다소 느리지만, 전자총과 같은 장치를 갖추기 않아도 각각의 화소(Pixel)를 평면 상에서 주사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고, 벽걸이 TV와 같은 아주 얇은 형태의 표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장치는 무게가 가볍고, 전력 소비도 음극선관에 비해 상당히 적기 때문에, 배터리(Battery)로 동작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등, 휴대용 표시 장치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과 달리 발광부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액정 화면 이외의 광원이 필요한데, 형광 램프가 액정 표시 장치의 광원으로 이용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형광 램프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직하식 백 라이트 유니트 및 에지 라이트(Edge-light)식 백 라이트 유니트로 구분된다.
직하식 백 라이트 유니트는 형광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판에 의하여 균일하게 한 다음, 액정 패널에 입사시키는 구조이다. 한편, 에지 라이트식 백 라이트 유니트는 형광 램프의 빛을 도광판을 통하여 액정 패널에 입사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에지-라이트식 백 라이트 유니트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형광 램프(1)는 빛을 산란시켜서 균일하게 하는 도광판(3)의 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어 있고, 램프 하우징(Housing: 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여기서, 램프 하우징(2)은 형광 램프(1)를 지지함과 동시에, 형광 램프(1)의 방사 빛이 측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확산판(4)은 도광판(3) 상면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배열되어 있는 하부 기판과, 컬러 필터(Color Filter)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액정으로 구성되는 패널 하부 편광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판(5)은 도광판(3)의 하부로 빛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형광 램프(1)에서 방사하는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할로겐 음극 형광 램프(Halogen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를 선택하여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형광 램프(1)를 구동하기 위하여, 고전압 라인(High Voltage Ling)과 리턴 와이어(Return Wire)를 인버터(Inverter)에 연결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데, 일반적으로 40 내지 60 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사용한다. 이 때,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전압과 전류는 각각 RMS(Root Mean Square) 값으로 400 내지 600 볼트와 3 내지 6 mA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리턴 와이어는 형광 램프와 용접(Soldering)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반사판과 단락되는 경우 또는 오픈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리턴 와이어가 반사판과 단락되는 경우에는 인버터에 흐르는 관전류가 최대값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백 라이트 유니트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인버터를 구성하는 변압기(Transformer)가 타버리는(Burning) 경우가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백 라이트 유니트의 에러를 감지하기 위한 검사 장비로는 시각을 이용하여, 휘도의 불균형이나 휘도 저하만을 검사함으로, 백 라이트 유니트의 에러를 감지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종래의 검사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 사이의 쇼트만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리턴 와이어가 오픈되는 경우에는 백 라이트의 절반 이상의 부분에서 휘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이를 쉽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 라이트 유니트에 연결된 인버터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반사판과 리턴 와이어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백 라이트 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컨버터부와 감지부 및 표시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0: 백 라이트 유니트 10: 형광 램프
130: 인버터 140: 컨버터부
150: 감지부 160: 표시부
Vcc: 메인 전원
141: 제 1 증폭부 142: 제 2 증폭부
151: 제 1 감지부 152: 제 2 감지부
161: 제 1 표시부 162: 제 2 표시부
A1, ..., A4: OP 앰프 Q21, Q31: NPN 트랜지스터
I: 관전류 r: 센싱 저항
R1, ... , R33: 저항 Vref1, Vref2: 레퍼런스 전압
LED21, LED31: 발광 다이오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은 빛을 방사시키는 형광 램프, 및 상기 형광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판, 형광 램프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리턴 와이어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와, 상기 형광 램프에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와 메인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인버터로 흐르는 관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백 라이트의 에러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감지부와, 백 라이트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비교부의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버터부는 메인 전원과 인버터 사이에 연결된 센싱 저항과, 상기 센싱 저항 양 단의 전압차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증폭부와, 상기 제 1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기 위한 제 2 증폭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증폭부는 제 1 OP 앰프와 다수의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센싱 저항의 양 단 전압차를 증폭하기 위한 비교 증폭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증폭부는 제 2 OP 앰프와 저항을 포함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상기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감지부는 제 1 레퍼런스 전압과 상기 제 3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OP 앰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감지부는 제 2 레퍼런스 전압과 상기 제 3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OP 앰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제 1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의 오픈 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부와, 제 2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 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및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형광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로 흐르는 관전류를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의 오픈 및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을 감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은 빛을 방사시키기 위한 형광 램프(10)와, 상기 형광 램프(10)에서 방사되는 빛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판(도시되지 않음), 및 형광 램프(1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리턴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100)를 구비한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니트(100)는 형광 램프(10)로부터 액정 패널에 빛을 입사시키기 위하여 인버터(130)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로 형광 램프(10)를 구동한다.
상기 인버터(130)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 전원(Vcc)은 컨버터부(140)를 통하여 12 볼트 정도의 레벨로 인가되는데, 인버터(130)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형광 램프(10)에서 빛을 방사시키도록 한다.
상기 인버터(130)에서 형광 램프(10)를 구동하여, 액정 패널에 빛을 입사시켜서 액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에서,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이 단락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전류가 크게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리턴 와이어가 오픈되는 경우에는 관전류의 거의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이나, 리턴 와이어의 오픈에 의한 에러를 감지하기 위하여, 메인 전원(Vcc)과 인버터(130) 사이에 관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부(140)와, 상기 컨버터부(14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리턴와이어와 반사판이 단락 되었는지, 리턴 와이어가 오픈 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부(150)와, 상기 감지부(15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외부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0)가 구비된다.
도 3에는 상기 컨버터부(140)와, 감지부(150), 및 표시부(160)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컨버터부(140)는 메인 전원(Vcc)으로부터 인버터(130) 사이에 흐르는 관전류(I)를 측정하기 위하여 센싱 저항(Sensing Resistor: r)과, 상기 센싱 저항(r)의 양 단(node1, node2)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기 위하여 제 1 OP 앰프(A1)를 포함하는 제 1 증폭부(141)와, 상기 제 1 증폭부(141)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기 위하여 제 2 OP 앰프(A2)를 포함하는 제 2 증폭부(142)로 이루어진다.
제 1 증폭부(141)는 관전류(I)에 의하여 발생하는 센싱 저항(r)의 양 노드(node1, node2) 사이의 전압차를 증폭하기 위하여, 센싱 저항(r)의 제 1 노드(node1)와 제 1 OP 앰프(A1)의 반전 입력 단자(-) 사이에 제 1 저항(R1)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OP 앰프(A1)의 출력 신호를 반전 입력 단자(-)로 피드백(Feedback)시키기 위한 제 2 저항(R2)이 구비된다. 그리고, 센싱 저항(r)의 제 2 노드(node2)와 제 1 OP 앰프(A1)의 비반전 입력 단자(+) 사이에 제 3 저항(R3)이 연결되고, 상기 비반전 입력 단자(+)와 접지 전원 사이에는 제 4 저항(R)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증폭부(141)의 출력 전압(V141)은 센싱 저항(r)의 제 1 노드(node1) 및 제 2 노드(node2)의 전압(V1, V2)에 의하여 하기의 (수학식 1)과같이 표시된다.
V141 = -(R2/R1)V1 + [(1 + R2/R1)/(1 + R3/R4)]V2
이 때, 제 1 OP 앰프(A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저항(R1, R2)의 비와,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저항(R3, R4)의 비가 같은 경우 즉, R2/R1 = R4/R3 인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1)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된다.
V141 = R2/R1(V2 - V1) = R2/R1(I × r)
제 2 증폭부(142)는 상기 제 1 증폭부(141)의 출력 단자와 제 2 OP 앰프(A2)의 반전 입력 단자(-) 사이에 제 5 저항(R11)이 연결되고, 제 2 OP 앰프(A2)의 출력 신호를 반전 입력 단자(-)로 피드백시키기 위하여 제 6 저항(R12)이 연결된다. 이 때, 제 2 OP 앰프(A2)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접지 전원에 연결된다.
결국, 컨버터부(140)에서 출력되는 전압(V140)은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의 비와, 제 3 저항(R3) 및 제 4 저항(R4)의 비가 같은 경우에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V140 = (R2/R1)(R4/R3)(I × r)
그리고, 감지부(150)는 상기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과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을 비교하여, 리턴 와이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부(151)와, 상기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과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을 비교하여,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부(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감지부(151)는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을 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고,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을 비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는 제 3 OP 앰프(A3)로 이루어지는데,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이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보다 작을 때는 정극성의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반대로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이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보다 클 때는 부극성의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 2 감지부(152)는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을 비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고,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을 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는 제 4 OP 앰프(A4)로 이루어지는데,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이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보다 클 때는 정극성의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반대로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이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보다 작을 때는 부극성의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부(160)는 상기 제 1 감지부(151)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가 오픈되었는지 여부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부(161)와, 제 2 감지부(152)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 여부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부(1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표시부(161)는 컬렉터(Collector) 단자가 전원 전압(V+)에 연결된 제 1 NPN 트랜지스터(Q21)의 에미터(Emitter) 단자와 접지 전원 사이에 제 1 발광다이오드(LED21)와, 저항(R23)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NPN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Base) 단자와 제 1 감지부(151)의 출력 단자 및 제 1 NPN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각각 저항(R21, R22)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감지부(151)에서 정극성의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 1 NPN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어 제 1 발광 다이오드(LED21)가 점등되고, 반대로 제 1 감지부(151)에서 부극성의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 1 발광 다이오드(LED21)는 소등된다.
상기 제 2 표시부(162)는 에미터 단자가 접지 전원에 연결된 제 2 NPN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 단자와 전원 전압(V+) 사이에 제 2 발광 다이오드(LED31)와, 저항(R33)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NPN 트랜지스터(Q31)의 베이스 단자와 제 2 감지부(152)의 출력 단자, 그리고 제 2 NPN 트랜지스터(Q31)의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각각 저항(R31, R32)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감지부(152)에서 정극성의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 2 NPN 트랜지스터(Q31)가 턴-온되어 제 2 발광 다이오드(LED31)가 점등되고, 반대로 제 2 감지부(152)에서 부극성의 신호가 발생하면, 제 2 NPN 트랜지스터(Q31)가 턴-오프되어 상기 제 2 발광 다이오드(LED31)는 소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다이오드(LED21, LED31)는 레드(Red) 또는 그린(Green)과 같이 서로 다른 색의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 라이트 유니트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관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은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과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 사이의 값을 갖도록 상기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과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 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관전류(I)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Vd)를 조절함에 따라,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은 일정한 간격으로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보다 낮아지거나,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다이오드(LED21, LED31)가 번갈아 가며 점등되어, 백 라이트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동작됨을 표시한다.
한편, 백 라이트 유니트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리턴 와이어가 오픈되면, 관전류(I)는 크게 감소하고, 그에 따라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은 제 1 레퍼런스 전압(Vref1)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제 1 감지부(151)의 출력 신호는 정극성이 되고, 제 2 감지부(152)의 출력 신호는 부극성이 되어, 제 1 표시부(161)의 제 1 발광 다이오드(LED21)는 계속해서 점등되고, 제 2 발광 다이오드(LED31)는 계속해서 소등되어 리턴 와이어가 오픈 되었음을 알린다.
반대로,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이 단락되면 관전류(I)는 최대값으로 상승하고, 그에 따라 컨버터부(140)의 출력 전압(V140)은 제 2 레퍼런스 전압(Vref2)보다 커진다. 따라서, 제 1 감지부(151)의 출력 신호는 부극성이 되어 제 1 발광 다이오드(LED21)는 계속해서 소등되고, 제 2 감지부(152)의 출력 신호는 정극성이 되어 제 2 발광 다이오드(LED31)는 계속해서 점등됨으로써,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리턴 와이어의 오픈이나 또는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NPN 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 이외에도, MOS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나 기타 발광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백 라이트 유니트를 구성하는 형광 램프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리턴 와이어가 오픈 되거나,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 사이에 단락이 발생한 경우를 용이하게 감지하고, 이를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어서 제품의 에러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리턴 와이어 단락만을 테스트할 수 있는 별도의 테스트 장비 없이, 백 라이트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경비를 절감하고, 백 라이트 유니트의 에러를 일일이 검사해야 하는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시간 및 제조 공정을 단축하고, 제조 수율을 증가시켜서,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0)

  1. 빛을 방사시키는 형광 램프, 및 상기 형광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판, 형광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리턴 와이어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와,
    상기 형광 램프에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인버터와,
    메인 전원과 상기 인버터 사이에 연결되어, 인버터로 흐르는 관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백 라이트의 에러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감지부와,
    백 라이트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부는
    메인 전원과 인버터 사이에 연결된 센싱 저항과,
    제 1 OP 앰프를 포함하여 상기 센싱 저항 양 단의 전압차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증폭부와,
    제 2 OP 앰프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기 위한 제 2 증폭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폭부는
    센싱 저항의 양 노드 사이의 전압차를 증폭하기 위하여, 센싱 저항의 제 1 노드와 제 1 OP 앰프의 반전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OP 앰프의 출력 신호를 반전 입력 단자로 피드백시키는 제 2 저항과,
    센싱 저항의 제 2 노드와 상기 제 1 OP 앰프의 비반전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3 저항과,
    상기 제 1 OP 앰프의 비반전 입력 단자와 접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 4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폭부는
    상기 제 2 OP 앰프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접지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증폭부의 출력 단자와 제 2 OP 앰프의 반전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5 저항과,
    상기 제 2 OP 앰프의 출력 신호를 반전 입력 단자로 피드백시키는 제 6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상기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고,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과 비교하기 위한 레퍼런스 전압을 비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는 OP 앰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부는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비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고,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레퍼런스 전압을 반전 입력 단자로 제공받는 OP 앰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1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의 오픈 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 2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리턴 와이어와 반사판의 단락 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는
    컬렉터 단자가 전원 전압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와,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접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 1 저항과,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제 1 감지부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2 저항과,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3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부는
    에미터 단자가 접지 전원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와,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 1 저항과,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제 2 감지부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3 저항과,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4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KR1019990065726A 1999-12-30 1999-12-30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KR10057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26A KR100577790B1 (ko) 1999-12-30 1999-12-30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26A KR100577790B1 (ko) 1999-12-30 1999-12-30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784A true KR20010065784A (ko) 2001-07-11
KR100577790B1 KR100577790B1 (ko) 2006-05-10

Family

ID=1963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726A KR100577790B1 (ko) 1999-12-30 1999-12-30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7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45B1 (ko) * 2002-05-08 2008-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의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7755301B2 (en) 2002-12-06 2010-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38028B1 (ko) * 2013-03-21 2014-09-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어프로치샷 코칭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45B1 (ko) * 2002-05-08 2008-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의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7755301B2 (en) 2002-12-06 2010-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38028B1 (ko) * 2013-03-21 2014-09-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어프로치샷 코칭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790B1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1167B2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of light source for display device
US6947024B2 (en) Apparatus and driving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3125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lamp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460102B2 (en)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light module of LCD
US8531132B2 (en) Backlight unit, driving method thereof, and error detection method thereof
US7755301B2 (en)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11820B1 (ko)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램프검사장치
KR101606888B1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의 검사 방법
US20060256554A1 (en) Light sourc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light source system
KR100577790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에러 감지 시스템
CN100406997C (zh) 检测开路灯的电路和方法及具有该电路的显示器件
KR20040081275A (ko) 표시 장치용 광원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3863A (ko) Led 어레이 오픈여부 감지회로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장치
US7227316B2 (en) Protective and measure device for multipl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US11166358B2 (en) Voltage setting value adjusting device and circuit thereof
KR101100105B1 (ko) 엘시디 백라이트 패널의 쇼트검출장치
KR102034966B1 (ko) Led 어레이 오픈여부 감지회로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장치
KR20070010613A (ko) 표시 장치 및 광원 구동 장치
KR20090084553A (ko)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 구동회로
KR100866064B1 (ko) 백라이트용 램프 검사장치
US7274159B2 (en) Backlight for a display device
KR10100231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961943B1 (ko) 표시 장치용 광원의 병렬 구동 장치
KR100996504B1 (ko)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 시스템
KR20080092600A (ko) 램프구동 인버터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