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793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793A
KR20010064793A KR1019990059083A KR19990059083A KR20010064793A KR 20010064793 A KR20010064793 A KR 20010064793A KR 1019990059083 A KR1019990059083 A KR 1019990059083A KR 19990059083 A KR19990059083 A KR 19990059083A KR 20010064793 A KR20010064793 A KR 2001006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s
item
displaye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259B1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259B1/ko
Priority to US09/737,283 priority patent/US7137073B2/en
Priority to CNA200610149382XA priority patent/CN1968476A/zh
Priority to CNB00128228XA priority patent/CN1294777C/zh
Publication of KR2001006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259B1/ko
Priority to US11/549,629 priority patent/US7861184B2/en
Priority to US11/682,957 priority patent/US8127250B2/en
Priority to US13/353,270 priority patent/US948535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은 메뉴 편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메뉴 편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와,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들로 구성된 메뉴가 먼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 이외에 다른 기능의 메뉴 항목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먼저 표시되는 메뉴에 단말기가 제공하는 모든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기본 메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에 대해 그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들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를 설정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menu)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메뉴 항목을 설정하여 그 메뉴 항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는데, 특히 휴대가 간편한 이동통신의 사용자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는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능들이 부가되고, 그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는 물론이고, 메시지(message) 송수신, 데이터(data) 저장 기능, 날씨, 증권 등 각종 문자 서비스(service) 수신 등을 비롯하여 현재에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되었다.
한편,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여러 기능을 관리하는 메뉴 운용 방법은 "계층적 정적 메뉴"라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계층적 정적 메뉴란 단말기의 생산 시에 만들어져 나오는 메뉴로서, 여러 기능의 메뉴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어느 한 기능을 사용하려면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의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계층적 정적 메뉴는 팝업(pop-up) 메뉴의 계층적 구조 형태를 갖는데, 그것은 어느 한 메뉴에 대한 부메뉴가 있고, 그 부메뉴에 대한 또 다른 부메뉴가 있어서 어느 하나의 메뉴에 접근하기 위해서 단계적으로 접근해 가는 계층적 구조를 뜻한다.
그러나 여러 부가기능들이 생겨나면서 단말기를 운용하는 프로그램(program)도 그 만큼 복잡해지고, 또한 그러한 많은 기능들을 관리하는 메뉴의 구성도 복잡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많은 기능들을 관리하는 메뉴의 구성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메뉴 운용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계산기 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먼저 메뉴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메뉴로서 여러 기능들의 메뉴 항목들이 나타나는데 그 항목들로는 1.음량 조절(101), 2.전화벨 선택(102), 3.시간 관리(102), 4.예약/알람(alarm)(미도시), 5.비밀 기능(104), 6.편리한 기능(105), 7.잠금 기능(106) 등이 있다.
여기서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항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두 개 내지는 세 개 정도의 메뉴 항목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기능의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지 않았다면, 키 조작으로 메뉴 항목을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기능, 즉 6.편리한 기능(105)의 메뉴 항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렇게 메뉴 항목을 이동시키면 6.편리한 기능(105)이라는 메뉴 항목이 표시되고 그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대한 부메뉴가 나타난다. 이 때의 부메뉴에는 1.자동 지역번호(107), 2.절전 기능(108), 3.자동 수신(109), 4.계산기(110) 등이 있다. 이 때, 역시 처음 표시된 부메뉴 항목에 4.계산기(110) 기능의 메뉴 항목이 없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키를 조작하여 메뉴 항목을 이동시키고, 4.계산기(108) 항목을 선택하면 계산기가 실행되어 계산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부메뉴의 각 항목에 대한 번호를 암기하고 있다면, 원하는 기능의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 되기까지 키를 조작할 필요가 없지만, 많은 메뉴 항목과 그 메뉴들의 각각의 부메뉴의 항목에 대한 번호를 암기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그 부메뉴의 각 항목의 번호를 암기하고 있지 않고 디스플레이 된 메뉴 항목들을 따라 메뉴를 찾는다 하더라도, 어떤 기능이 어느 메뉴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알고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때는 다시 상위 메뉴로 이동하여 다른 메뉴 항목으로 들어가야 하는 시행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 즉, 상기 4.계산기(108) 기능이 상기 6.편리한 기능(105)의 항목에 있는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계층적 정적 메뉴는 많은 기능이 생겨나고 그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많은 메뉴들이 생겨남에 따라 그 메뉴가 복잡해지고, 한 항목에 접근하기 위해서 매번 여러 단계들을 거쳐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려고 하는 기능의 메뉴 항목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의 메뉴 항목에 대해서 그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원하는 대로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를 설정함으로써 복잡한 과정의 메뉴 접근 방법을 단순화시켜 쉽게 메뉴에 접근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의 메뉴 선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에서의 선택된 메뉴 항목을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도 3a에서 설정한 메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110, 301 ~ 305, 401 ~ 406...메뉴 항목
300...체크 박스
501 ~ 506...메뉴 항목 아이콘
507...이동 버튼
508...선택 버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은 메뉴 편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메뉴 편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와,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들로 구성된 메뉴가 먼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 이외에 다른 기능의 메뉴 항목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먼저 표시되는 메뉴에 단말기가 제공하는 모든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기본 메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에 대해 그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들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를 설정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메뉴를 편집하기 위하여 메뉴 편집을 실행하면(예컨대 메뉴 버튼을 길게 2~3초 정도 누름으로써 실행된다)(단계 201),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기본 메뉴가 표시되고 그 기본 메뉴의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대한 부메뉴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메뉴의 각 항목 옆에는 그 메뉴를 사용할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체크 박스(check box)가 있는데, 이 체크 박스를 키 조작으로 체크 표시하여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메뉴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202).
이 때, 상기 체크할 수 있는 항목은 부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항목과 부메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항목 모두 가능하다. 즉, 각 기능에 대한 항목(예컨대, "계산기" 항목)을 선택할 수도 있고, 각 기능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메뉴 항목(예컨대, "편리한 기능" 항목)도 가능하다.
이렇게 각 메뉴의 항목에 대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항목들을 선택하고 키를 조작하여 또 다른 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메뉴 편집의 상위 메뉴로 돌아가거나, 메뉴 편집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메뉴를 실행하면(단계 203) 상기 선택된 항목들이 첫번째 부메뉴로서 표시되어(단계 204)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의 메뉴 선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에서의 선택된 메뉴 항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설정한 메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계산기 기능의 항목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먼저 메뉴 버튼을 2~3초 정도 길게 누름으로써 메뉴 편집을 실행한다. 그러면 1.음량 조절(301), 2.전화벨 선택(302), 3.시간 관리(302) 등의 메뉴 항목이 표시되고 그 옆에는 그 항목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체크 박스(300)가 있다. 그리고, 계산기의 메뉴 항목이 있는 6.편리한 기능(304)의 메뉴 항목이 표시되지 않았으므로, 키조작으로 6.편리한 기능(304)의 항목으로 이동하고, 그 6.편리한 기능(304)을 선택하면 그에 대한 부메뉴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또한 디스플레이 창이 표시할 수 있는 메뉴 항목 개수의 한계로 인해 4.계산기(305) 항목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키조작을 통해 원하는 항목인 4.계산기(305) 항목으로 이동하여 그 4.계산기(305) 항목의 사용하기 위해서 체크 박스(300)를 체크 표시하여 선택한다.
그리고 또 다른 메뉴들을 선택하고자 할 때는 상위 메뉴로 돌아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들을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 과정을 거쳐 메뉴 설정이 된 후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메뉴 선택 과정을 통해 여러 부메뉴 항목과 그 부메뉴 항목의 여러 부메뉴 항목들 중에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벨 음량(401), 벨종류(402), 총통화시간(403), 자동지역번호(404), 계산기(405)를 선택하고 메뉴 편집을 종료한다. 그리고, 단말기의 계산기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메뉴 버튼을 누르면 그에 대한 초기 부메뉴는 상기 선택한 1.전화벨 음량(401), 2.벨종류(402), 3.총통화시간(403), 4.자동지역번호(404), 5.계산기(405)등이 초기 부메뉴로서 표시된다. 여기서 역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이 표시할 수 있는 메뉴 항목 개수의 한계로 인해 처음 표시된 메뉴 항목들 중에 5.계산기(405)가 없으면 키를 조작하여 메뉴 항목을 이동시키고, 5.계산기(405)를 선택하면 계산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들을 선택하여 메뉴를 실행하면, 그 초기의 메뉴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항목들이 먼저 표시되어,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에 접근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메뉴 항목에 접근하게 될 경우에, 그 때마다 메뉴의 설정을 다시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마지막 메뉴 항목을 단말기가 제공하는 모든 메뉴를 포함하는 "기본 메뉴"로 설정함으로써 메뉴의 설정을 다시 하지 않고 선택하지 않은 메뉴 항목에 대해서도 그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자 형식의 메뉴 이외에도 그래픽(graphic)을 지원하는 아이콘 형식의 메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창에는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아이콘(501 ~506)이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아이콘(502)은 반전되어 표시되며, 단말기에는 그 아이콘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하좌우의 이동 버튼(507)과 선택된 아이콘을 실행시키기 위한 선택 버튼(508)이 마련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창에는 메뉴 편집을 위한 메뉴 편집 아이콘(501)과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기본 메뉴 아이콘(506)이 기본적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메뉴 편집은 상기 메뉴 편집 아이콘(501)을 이동 버튼으로 이동한 후 선택 버튼을 누르면, 상기의 문자 형식의 메뉴에서의 메뉴 편집과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메뉴를 편집하고, 그 메뉴 편집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 창에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메뉴 설정 아이콘(501)과 기본 메뉴 아이콘(506), 그리고 메뉴 편집을 통해 멜로디 선택(502), 알람(503), 잠금 기능(504), 계산기(505) 등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어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창에서는 멜로디 선택 아이콘(502)이 선택되어졌을 때의 디스플레이 창을 보인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해 놓으면, 그 항목에 대한 아이콘이 초기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그 항목에 접근하기가 쉬워지고, 선택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도 "기본 메뉴 아이콘"(506)을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들에 대해 그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들을 선택하고, 메뉴 실행 시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들로 구성된 메뉴가 먼저 표시되게 함으로써, 어느 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메뉴를 거치지 않고 쉽게 그 메뉴 항목에 접근하여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메뉴 편집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메뉴 편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들로 구성된 메뉴가 먼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 이외에 다른 기능의 메뉴 항목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먼저 표시되는 메뉴에 단말기가 제공하는 모든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기본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KR1019990059083A 1999-12-18 1999-1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KR10035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83A KR100357259B1 (ko) 1999-12-18 1999-1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US09/737,283 US7137073B2 (en) 1999-12-18 2000-12-15 Method for managing menu function in mobile station
CNA200610149382XA CN1968476A (zh) 1999-12-18 2000-12-18 用于管理移动站中的菜单功能的方法
CNB00128228XA CN1294777C (zh) 1999-12-18 2000-12-18 用于管理移动站中的菜单功能的方法
US11/549,629 US7861184B2 (en) 1999-12-18 2006-10-13 Method for displaying menu items in a mobile device
US11/682,957 US8127250B2 (en) 1999-12-18 2007-03-07 Method for displaying menu items in a mobile device
US13/353,270 US9485350B2 (en) 1999-12-18 2012-01-18 Method for managing menu function in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83A KR100357259B1 (ko) 1999-12-18 1999-1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93A true KR20010064793A (ko) 2001-07-11
KR100357259B1 KR100357259B1 (ko) 2002-11-04

Family

ID=1962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083A KR100357259B1 (ko) 1999-12-18 1999-1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57259B1 (ko)
CN (1) CN196847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88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 선택 방법
KR20030070238A (ko) * 2002-02-21 2003-08-29 인포뱅크 주식회사 응용프로그램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단말기
KR20040044801A (ko) * 2002-11-22 200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메뉴 설정방법
KR100464028B1 (ko) * 2002-03-26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KR20060109773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메뉴 관리방법
KR100698110B1 (ko) * 2004-12-27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제공 방법
KR100782506B1 (ko) * 2006-09-21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단축 전환 방법
KR100824384B1 (ko) * 2007-03-22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053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079827A (zh) * 2020-08-18 2022-02-2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菜单显示方法和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958B1 (ko) * 1995-12-19 1999-06-15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메뉴플로우 설정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88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 선택 방법
KR20030070238A (ko) * 2002-02-21 2003-08-29 인포뱅크 주식회사 응용프로그램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단말기
KR100464028B1 (ko) * 2002-03-26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KR20040044801A (ko) * 2002-11-22 200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메뉴 설정방법
KR100698110B1 (ko) * 2004-12-27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제공 방법
KR20060109773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메뉴 관리방법
KR100782506B1 (ko) * 2006-09-21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단축 전환 방법
KR100824384B1 (ko) * 2007-03-22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259B1 (ko) 2002-11-04
CN1968476A (zh)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1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US8434020B2 (en) Computing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s
US8127250B2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tems in a mobile device
US20040142720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eatures of a browser i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38489A1 (en) Edit menu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38488A1 (en) Primary actions menu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20041292A1 (en) Method of displaying menus in mobile telephones
US20090327958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operation modes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multiple operation modes
KR1003572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CA2583313C (en) Edit menu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110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 구현방법
KR200500828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설정 방법
KR1003903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GB2365675A (en) Mobile telephone with improved man-machine interface
CA2583091A1 (en) Primary actions menu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050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태스크 매니저 표시방법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KR200200801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방법
KR2002005726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의 선택 및 이용방법
KR1010307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화면 표시방법
KR1010123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KR20020080775A (ko) 메뉴 아이콘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확인 방법
KR200400379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메뉴 설정 및 단축키를 이용한메뉴 선택 방법
KR200369021Y1 (ko)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