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3822A -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3822A
KR20010063822A KR1019990061919A KR19990061919A KR20010063822A KR 20010063822 A KR20010063822 A KR 20010063822A KR 1019990061919 A KR1019990061919 A KR 1019990061919A KR 19990061919 A KR19990061919 A KR 19990061919A KR 20010063822 A KR20010063822 A KR 2001006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hort message
data
image data
jp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571B1 (ko
Inventor
진종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6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5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간에 영상을 전송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단말기는 동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캡쳐된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출력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기와, 상기 변환된 JPEG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무선부로 구성되므로써 영상 단말기와 기존 이동 단말기간에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어 영상 단말기의 범용성이 증가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Method and Telephone for still picture transpor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간에 영상을 전송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영상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영상 단말기는 동영상이 입력되는 카메라부(101)와, 카메라부(101)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기(102)와, 부호화기(102)에서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무선부(103)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호화기(102)는 H.263 또는 엠팩-4 표준에 따라 동영상을 부호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 단말기는 다음 도 2 와 같은 절차에 따라 동영상을 송/수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송신측 단말기가 수신측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호를 요구한다(S200). 이때 수신측 단말기가 전화를 받으면 호가 설정된다(S201). 이 후 송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에 영상을 송/수신한다(S202).
한편, 이동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는 다음 도 3에 나타낸 절차에 따라 실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호를 요구한다(S300). 이때 수신측 이동 단말기가 전화를 받지 않으면 송신측 이동 단말기는 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를 남긴다(S301).
그러면 시스템에서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통해 음성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통지한다(S302).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 접속하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다(S303).
그리고, 이동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다음 도 4에 나타낸 절차에 따라 실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측 이동 단말기는 키패드를 조작하여 문자열을 입력하고, 입력한 문자열을 문자 메시지로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S400).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때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서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401).
그러면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다(S402).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 서비스 또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5는 종래 단문 메시지의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문 메시지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텔레 서비스 계층(Teleservice layer)으로 이루어진다.
이 전송 계층은 메시지 형태 필드(Message type field)(500)와, 텔레 서비스식별자 필드(Teleservice identifier field)(501)와, 발신 주소 필드(Origination address field)(502)와, 목적지 주소 필드(Destination address field)(503)와, 전달 데이터 필드(Bearer data field)(5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달 데이터 필드(504)는 메시지 식별자 필드(Message identifier field)(505)와,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 data field)(506)와, 응답 옵션 필드(Reply option field)(507)와, 콜백 번호 필드(Callback number field)(50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필드(506)는 메시지 인코딩 필드(Message Encoding field)(509)와, 단문 메시지 데이터가 삽입되는 CHARi 필드(510)로 구성되며, 이 메시지 인코딩 필드(509)와 CHARi 필드(510)로서 단문 메시지(SMS message)가 구성된다.
한편,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로 전송하며, 이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엑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100 바이트 이하의 길이를 갖고,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256 바이트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영상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는 서로 영상을 송/수신하지 못하므로 영상 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영상 단말기는 동영상 코덱을 가지고 있는 동일한 종류의 영상 단말기로만 영상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들과는 영상을 송/수신할 수 없어 극히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이동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음성 메시지의 확인 용도로서만 사용되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단말기와 일반 이동 단말기간에 영상을 송/수신하는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특징에 따르면, 영상 단말기는 동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캡쳐된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출력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기와, 상기 변환된 JPEG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무선부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송 방법은 동영상을 캡쳐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캡쳐된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출력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변환된 JPEG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을 전송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영상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보인 영상 단말기의 영상 전송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종래 이동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종래 단문 메시지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 : 카메라부 602 : 부호화기
603 : 코드 변환기 604 : 단문 메시지 생성부
605 : 보코더 606, 611 : 무선부
612 : 단문 메시지 조립부 613 : JPEG 부호화기
614 : 재생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단말기와 일반 이동 단말기간에 영상을 송/수신하는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단말기는 영상을 JPEG 데이터로 출력하는 코드 변환기(transcoder)를 구비하여 JPEG 표준에 따른 정지 영상을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는 JPEG 복호화기를 구비하여 JPEG 표준에 따른 정지 영상을 재생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지 영상을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단말기 및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600)는 동영상이 입력되는 카메라부(601)와, 카메라부(601)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I Picture Coding)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기(602)와, 부호화기(602)에서 출력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기(Transcoder)(603)와, 코드 변환기(603)에서 출력되는 JPEG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604)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통화량을 감지하는 보코더(605)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무선부(606)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10)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부(611)와,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에서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단문 메시지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한 JPEG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문 메시지 조립부(612)와, 추출된 JPEG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JPEG 복호화기(613)와, JPEG 복호화기(613)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재생부(6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 단말기(600)와 이동 단말기(610)간의 영상 전송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영상 단말기(600)는 카메라부(601)를 통해 동영상을 입력받는다. 카메라부(601)는 입력된 동영상을 부호화기(602)로 전송하고, 부호화기(602)는 동영상의 첫 번째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I 픽쳐 코딩(I Picture coding)을 실시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어 코드 변환기(603)는 출력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여 단문 메시지 생성부(604)로 출력하고, 단문 메시지 생성부(604)는 JPEG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생성한다. 이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은 단문 메시지보다 크기 때문에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세그먼트에는 수신측의 구별을 위해 한 영상에 대한 헤더 정보가 첨가된 후 단문메시지의 Chari 필드에 삽입된다. 따라서 단문 메시지 생성부(604)는 하나의 JPEG 데이터를 동일한 식별 정보 즉, 한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출력하게 된다.
단문 메시지 생성부(604)에서 출력된 다수 개의 단문 메시지는 무선부(606)를 거쳐 송신된다.
여기서 무선부(606)에서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604)에서 출력된 단문 메시지를 기존의 단문 메시지와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지만, 단문 메시지의 MSG_ENCODING Type을 특정값(예를 들면 Octet, Unspecified(0000))으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610)는 MSG_ENCODING Type을 보고 문자 메시지와 구별할 수 있다.
보코더(605)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시 플래그를 체크하여 현재의 음성 통화량을 감지하여 무선부(606)로 그 정보를 제공하고, 무선부(606)는 보코더(605)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조절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10)는 무선부(611)를 통해 영상 단말기(600)에서 전송한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수신된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조립부(612)로 전송되고, 단문 메시지 조립부(612)는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단문 메시지들을 하나의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부터 JPEG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 추출된 JPEG 데이터는 JPEG 복호화기(613)에서 복호된 후 재생부(614)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재생부(614)가 흑백인 경우에는 JPEG 복호화기(613)에서 JPEG 데이터를 흑백 비트맵(Bitmap) 데이터로 복호화하여 흑백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문 메시지 조립부(612)에는 별도의 데이터 그램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조립한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들을 식별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이 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저장된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10)는 자체적으로 JPEG 영상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전술한 절차와 동일하게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영상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기(610)가 이미 저장된 JPEG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 조립부(612)가 영상 단말기(600)의 단문 메시지 생성부(60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영상 단말기는 코드 변환기(Transcoder)를 구비하지 않는다. 반면에 이동 단말기가 코드 변환기를 구비한다. 즉 영상 단말기는 I 픽쳐 코딩에 의해 생성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로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700)는 동영상이 입력되는 카메라부(701)와, 카메라부(701)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I Picture Coding)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기(702)와, 부호화기(702)에서 출력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703)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통화량을 감지하는 보코더(704)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무선부(705)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710)는 영상 단말기(700)로부터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부(711)와,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에서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단문 메시지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문 메시지 조립부(712)와, 추출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기(713)와, 변환된 JPEG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JPEG 복호화기(714)와, JPEG 복호화기(714)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재생부(7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 단말기(700)와 이동 단말기(710)간의 영상 전송 절차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코드 변환기(713)가 이동 단말기(710)에 구비되므로 영상 단말기(700)는 부호화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71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로부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JPEG 데이터로 재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서는 영상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가 JPEG 데이터를 처리하기위한 코드 변환기 및 JPEG 복호화기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800)는 동영상이 입력되는 카메라부(801)와, 카메라부(801)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I Picture Coding)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기(802)와, 부호화기(802)에서 출력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803)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통화량을 감지하는 보코더(804)와, 상기 생성된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무선부(805)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810)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부(811)와,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에서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단문 메시지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문 메시지 조립부(812)와, 추출된 영상 데이터를 정지 영상 복호화하는 복호화기(813)와,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재생부(8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 단말기(800)와 이동 단말기(810)간의 영상 전송 절차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 단말기(800)는 부호화기(802)에서 출력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분할하여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810)는 수신된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를 조립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영상 단말기는 동영상 데이터를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서 분할하여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영상을 재생한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의 구조는 다음 도 9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구조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로서 전송하기 위하여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생성한다.
이 영상 데이터 그램은 단문 메시지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세그먼트(916, 917, 918, 919)로 분할된다. 이 때 첫 번째 세그먼트(916)에는 부호화기의 식별 정보가 삽입된다.
그리고 첫 번째 세그먼트(916)를 제외한 나머지 세그먼트(917, 918, 919)에는 수신측에서 각 세그먼트를 조립할때에 한 영상 메시지 데이터 그램에 대한 세그먼트임을 구별하기 위한 헤더 정보가 부가된다. 이 헤더 정보는 메시지 식별 정보(Message_ID)(911), 세그먼트 길이 정보(MAX Segment)(912), 세그먼트 번호 정보(Segment number)(913) 및 데이터 그램 식별 정보(Datagram_ID)(914)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세그먼트(916, 917, 918, 919))는 단문 메시지의 CHARi 필드(910)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하나의 정지 영상 데이터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서 이동 단말기로전송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단말기 및 영상 전송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영상 단말기와 일반 이동 단말기간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중 또는 대기중에 정지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IMT-2000)에서 사용되는 영상 단말기와 기존 이동 단말기간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영상 단말기의 범용성이 증가한다.
셋째,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넷째,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구현이 용이하다.

Claims (6)

  1. 동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캡쳐된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출력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기와,
    상기 변환된 JPEG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무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제어를 위해 통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무선부로 감지된 통화량 정보를 제공하는 보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단문 메시지들을 조립하여 JPEG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문 메시지 조립부와,
    상기 추출된 JPEG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화기와,
    상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재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단말기.
  4. 동영상을 캡쳐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캡쳐된 동영상을 정지 영상 부호화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출력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변환된 JPEG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수개의 단문 메시지를 무선 구간을 전송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에 영상 전송용임을 알리기 위한 특정 값을 삽입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영상 전송용인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영상 전송용이면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단문 메시지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한 JPEG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추출된 JPEG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 방법.
KR10-1999-0061919A 1999-12-24 1999-12-24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KR10038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19A KR100386571B1 (ko) 1999-12-24 1999-12-24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19A KR100386571B1 (ko) 1999-12-24 1999-12-24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822A true KR20010063822A (ko) 2001-07-09
KR100386571B1 KR100386571B1 (ko) 2003-06-02

Family

ID=1962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919A KR100386571B1 (ko) 1999-12-24 1999-12-24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5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13B1 (ko) * 2002-04-25 2005-03-08 모빌토크(주) 멀티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11911B1 (ko) * 2005-01-07 2006-08-1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업그레이드된 카메라 센서의 이미지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25017B1 (ko) * 2000-12-1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제공방법
KR100775282B1 (ko) * 2006-07-24 2007-11-08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화상전화서비스 방법
KR100859290B1 (ko) * 2002-02-09 2008-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메시지의 수신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787B1 (ko) * 2001-12-06 2003-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방법
KR100747444B1 (ko) 2004-02-24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영상 전송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17B1 (ko) * 2000-12-1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제공방법
KR100859290B1 (ko) * 2002-02-09 2008-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메시지의 수신 제어 방법
KR100474013B1 (ko) * 2002-04-25 2005-03-08 모빌토크(주) 멀티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11911B1 (ko) * 2005-01-07 2006-08-1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업그레이드된 카메라 센서의 이미지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75282B1 (ko) * 2006-07-24 2007-11-08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화상전화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571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183B2 (en) Voice messag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voice messaging in mobile messenger service
CN100479517C (zh) 在发送音视频文件中叠加语音的方法
US7103349B2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providing text telephone enhancement for voice, tone and sound-based network services
KR100651408B1 (ko) 음성 모드와 데이터 모드간 대체를 이용한 화상전화안내방송 방법
US6693510B1 (en)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KR100386571B1 (ko)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US6842507B2 (en) Simple structured portable phone with video answerphone message function and portable phon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10053772A (ko) 화상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화방법
JP201615259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機、無線通信方法、パケットの生成方法およびパケットからのデータ再生方法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200800706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inary data in short message system
KR100359803B1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020078800A (ko) 이동 통신을 이용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 장치
KR1005132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과 그시스템
US20080280647A1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architecture for extended operability
KR10072223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영상 컬러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01611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100464029B1 (ko) 화상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문자 동시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2033851A (ja) 携帯電話機
KR100877886B1 (ko) 와이브로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용 영상, 음성, 문자 통화방법
KR10039378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미지파일 전송 방법
KR100775282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화상전화서비스 방법
KR20060029876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365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댓글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3169B1 (ko) 시그널링 메시지와 데이터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발신표시 데이터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