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8255A -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 Google Patents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8255A
KR20010058255A KR1019990062471A KR19990062471A KR20010058255A KR 20010058255 A KR20010058255 A KR 20010058255A KR 1019990062471 A KR1019990062471 A KR 1019990062471A KR 19990062471 A KR19990062471 A KR 19990062471A KR 20010058255 A KR20010058255 A KR 2001005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tion
marker
dimension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2383B1 (en
Inventor
이인호
박찬종
성운재
원광연
설창환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6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383B1/en
Publication of KR2001005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2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3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ll processing steps from image acquisition to 3D model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Abstract

PURPOSE: A treatment method after motions information adopting three dimension interface is provided to operate work more rapidly and correctly than the work only which is operated on existing two dimension interface by performing a treatment after obtaining motions information by three dimension interface. CONSTITUTION: About treatment method after motions information converting un-perfect marker information into perfect maker information among the marker information recorded by treatment method before motions information, the first stage convert articular motion displayed on two dimension plane recorded by the treatment method before motions information into stereo picture, the second stage recompose three dimension location information with articular motion for 3-dimensionality displaying stereo picture converted to the first stage with three-dimension picture display apparatus. also about a record medium read by computer recording program to be able to operate treatment method after motion information converting un-perfect marker information into perfect maker information among the recorded marker information, the first stage convert articular motion displayed on two dimension plane recorded by the treatment method before motions information into stereo picture, the second stage display 3 dimension motion information of articular obtained to the first stage as the stereo picture on screen, the third stage process stereo picture displayed at second stage into marker information about three dimension motion with three dimension picture display apparatus.

Description

3차원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본 발명은 3차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3차원 영상 생성 기술을 응용하여 작업자에게 작업 내용에 대한 3차원적 직관을 제공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information post-processing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ion information post-processing method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intuition about the work content by appl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on technology.

동작 정보 획득 시스템의 목적은 사람 또는 동물과 같이 복수의 관절을 갖는 다관절체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기록한 동작 정보를 얻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mo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s to obtain motion information that records the movement over time of a multi-joint body having a plurality of joints, such as a human or an animal.

도 1은 종래의 광학식 동작 획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기 광학식 동작 획득 시스템은 2차원 영상 기록 장치(201) 및 동작 정보 획득 후처리 시스템(2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ptical motion acquisition system, which includes a two-dimensional image recording apparatus 201 and a mo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ost-processing system 202.

먼저, 연기자의 신체에 마커(Marker)를 부착하고,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한다. 연기자의 움직임은 각 카메라에 대하여 프레임(Frame)이라 불리우는 동일한 시간 간격마다 상기 2차원 영상 기록 장치(201)에 의하여 2차원 영상면에서 관찰된 마커의 위치, 크기 및 형태 정보로 기록된다. 이것이 상기 동작 정보 획득 후처리 시스템(202)에 의하여 3차원 동작 정보의 계산에 사용되는 1차 정보가 된다.First, a marker is attached to an actor's body, and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The actor's movement is recorded by the two-dimensional image recording apparatus 201 as the position, size and shape information of the marker observed on the two-dimensional image plane at the same time interval called a frame for each camera. This becomes primary information used by the mo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ost-processing system 202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motion information.

도 2는 도 1에 의하여 추출된 1차 정보의 가공을 통하여 3차원 동작 정보를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작 정보의 계산이란 각 카메라에서 기록된 2차원 마커 정보들의 묶음을 여러 과정를 거쳐 대상체의 관절각 정보로 복원하는 것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btaining three-dimensional motion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primary information extracted by FIG. 1, wherein the calculation of mo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processes of bundle of two-dimensional marker information recorded by each camera. It is to restore the joint angle information.

카메라를 통하여 기록된 2차원 마커의 연속 영상(301)은 매칭 과정을 거쳐 3차원 마커의 움직임으로 변환되는데(302), 이때 각 마커는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대응 관계를 설정할 수 없는, 상호 식별되지 않은 마커이다. 마커의 식별 및 추적 과정을 거치면, 3차원 마커는 고유하게 식별되어 각 마커의 시간에 따른 궤적을 구할 수 있다(303). 모든 마커의 3차원 궤적이 결정되면, 이를 대상체의 관절 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동작 정보를 얻게 된다(304).The continuous image 301 of the two-dimensional markers recorded by the camera is converted to the mov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arkers through a matching process (302), wherein each marker is not mutually identified, which cannot establish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s. Is not a marker. Through th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the markers, the 3D markers may be uniquely identified to obtain a trajectory over time of each marker (303). When the three-dimensional trajectories of all the markers are determined, motion information is finally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three-dimensional trajectories of the markers into joint motions of the object (304).

일반적으로 동작 정보의 후처리 과정에서 가장 많은 자원과 노력이 소비되는 부분은 마커 매칭 및 3차원 마커 식별/추적 과정이다. 타 과정이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으로 계산되는 반면, 마커 매칭 및 3차원 마커 식별/추적 과정은 완전 자동화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영상면에서 각 마커가 서로 구별되지 않으며, 대상체에 의하여 가려지기 때문에, 모든 마커가 항상 관찰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각각의 마커들을 식별해야만 한다.In general, the most resources and effort are consumed in the post-processing of the motion information is marker matching and three-dimensional marker identification / tracking. While other processe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algorithms, the marker matching and 3D marker identification / tracking process is difficult to fully automate, because in the image plane each marker is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is hidden by the object. This is because markers are not always observed. Therefore, each marker must be identified by the operator's manual work.

그러나, 모든 마커의 상이 한 장의 2차원 창에 복잡하게 투영되기 때문에 종종 마커 간 상호 식별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2차원 영상에 투영된 마커를 관찰하여 그들의 3차원 위치를 스스로 추정해야 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2차원 창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할 경우, 숙련된 사용자라 할 지라도 마커들의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 관계를 파악하여 각각의 마커를 정확히 구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images of all the markers are complicatedly projected onto a single two-dimensional window, mutual identification between the markers is often difficult. At this time, the user should observe the markers projected on the 2D image and estimate their 3D position by themselves. When using only the commonly used 2D window interface, even a skilled user can determin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markers in the 3D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and accurately distinguish each mark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3차원 영상 생성 기술을 응용하여 작업자에게 작업 내용에 대한 3차원적 직관을 제공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on technology to provide a post-processing method of motion information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ntuition to the operator to work content. have.

도 1은 종래의 광학식 동작 획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optical motion acquisition system,

도 2는 도 1에 의하여 추출된 1차 정보의 가공을 통하여 3차원 동작 정보를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btaining 3D motion information by processing primary information extracted by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보 획득 후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t-processing process of obtaining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이전의 부분 마커 궤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 이후의 완전한 마커 궤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4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ial marker trajectory before post-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plete marker trajectory after manu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penGL 상에서의 3차원 영상 제시를 위한 좌/우측 영상의 합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nthesis method of left and right images for 3D image presentation on OpenG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마커(Marker) 정보 중 불완전한 마커 정보를 완전한 마커 정보로 가공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2차원 평면에 표시되는 관절의 동작을 스테레오(Stereo)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변환된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 영상 제시 장치를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냄으로써, 관절의 동작을 3차원 위치 정보로 재구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motion information post-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incomplete marker information from the marker information recorded by the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method into complete marker information, the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A first step of converting a motion of a joint displayed on a two-dimensional plane recorded by a method into a stereo image; And a second step of reconstructing the motion of the joint into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by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the stereo image converted in the first step by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presentation apparatus. This is provided.

또한,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마커(Marker) 정보 중 불완전한 마커 정보를 완전한 마커 정보로 가공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2차원 평면에 표시되는 관절의 동작을 스테레오(Stereo)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관절의 3차원 움직임 정보를 화면을 통하여 스테레오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표시된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 영상 제시 장치를 사용하여 3차원 동작에 대한 마커 정보를 가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a motion information post-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incomplete marker information among marker information recorded by the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method into complete marker information. A first step of converting a motion of a joint displayed on a two-dimensional plane recorded by a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method into a stereo image; A second step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otion information of the joint obtained in the first step as a stereo image through a screen; And a third step of processing the marker information for the three-dimensional operation by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presentation device on the stereo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tep. Is provided.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보 획득 후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동작 획득 장치에 의하여 기록된 1차 동작 정보(101), 즉, 마커 영상 정보가 동작 정보 획득 후처리 과정(102)을 거쳐 최종 동작 정보인 대상체의 관절각 정보(103)로 가공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t-processing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imary motion information 101 recorded by the motion acquisition apparatus, that is, the marker image information, is processed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ostprocessing process ( Through the process 102, the joint angle information 103 of the object as final mo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이전의 부분 마커 궤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 이후의 완전한 마커 궤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ial marker trajectory before post-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plete marker trajectory after manu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자동화 알고리즘에 의한 전처리(1) preprocessing by automated algorithms

1차 정보인 마커 영상으로부터 3차원의 식별된 마커 궤적으로의 가공을 위한 자동화 알고리즘에 의해 전처리가 일어난다. 세부적으로는 마커 매칭 알고리즘에 의하여 마커 영상으로부터 상호 식별되지 아니하는 마커의 궤적을 얻고, 이를 다시 마커 추적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호 식별되는 마커 궤적으로 가공한다. 마커 매칭 및 추적 알고리즘의 세부적인 이론은 본 발명의 본질과 무관하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Pre-processing occurs by an automated algorithm for processing from the marker image, which is the primary information, to the identified marker trajectory in three dimensions. In detail, the traces of the markers that are not mutually identified from the marker image are obtained by the marker matching algorithm, and the traces of the markers that are mutually identified by the marker tracking algorithm are processed again. The detailed theory of the marker matching and tracking algorithm is not described in detail as it is independent of the n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자동화 알고리즘도 일반적인 마커 영상에 대하여 3차원의 식별된 마커 궤적을 완전하게 계산하지 못한다. 따라서, 자동화 알고리즘 만으로는 관절각 정보를 계산할 수 있는 식별된 3차원 마커 궤적을 얻을 수 없고, 이것이 후처리 수작업이 필요한 이유이다.However, no automated algorithm developed to date does not fully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identified marker trajectories for a typical marker image. Thus, automated algorithms alone cannot obtain the identified three-dimensional marker trajectories from which joint angle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which is why post-processing manual work is required.

자동화 알고리즘의 수행으로 얻는 중간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intermediate results of the automation algorithm are as follows.

연기자의 몸에 M 개의 마커를 부착했을 때, 우리는 M' 개의 부분 마커 궤적을 얻게 된다. 자동화 알고리즘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M' ≥ M 이 성립한다. M' 개의 부분 마커 궤적들은 각각 특정한 마커 mi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동작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시간축상에서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When we attach M markers to the actor's body, we get M 'partial marker trajectories. Due to the incompleteness of the automation algorithm, M '> M is generally established. The M 'partial marker trajectories each represent the movement of a particular marker m i over time, which is not completely connected on the time axi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opera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이전의 부분 마커 궤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자동화 알고리즘으로 얻을 수 있는 부분 마커 궤적의 예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이어진 직선은 자동화 알고리즘이 하나의 마커가 움직인 궤적을 놓치지 않고 추적하고 있다는 표시이다. 끊어진 부분은 이러한 추적이 실패했음을 의미한다. 도 4a에서 번호 M 이후의 마커들은 이렇게 끊어진 조각들에 해당하지만, 어느 1 ~ M 사이의 어느 마커에 속하는 것인지 계산되지 않은 마커들이다. 주의할 것은 1 ~ M 사이의 연결된 부분 마커 궤적들도 완전히 옳은 것은 아니며, 알고리즘이 잘못된 결과를 계산해 낼 수도 있다는 점이다.4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ial marker trajectory before post-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a partial marker trajectory generally obtained by an automated algorithm is illustrated. The straight line that follows is an indication that the automation algorithm is tracking the trajectory of a single marker. The broken part means that this trace failed. The markers after the number M in FIG. 4A correspond to these broken pieces, but are not counted which marker between 1 and M belongs to. Note that the connected partial marker trajectories between 1 and M are also not completely correct, and the algorithm may yield incorrect results.

(2) 후처리 수작업(2) post-processing manual work

후처리 수작업은 도 4a와 같은 부분 마커 궤적을 도 4b와 같은 완전한 마커궤적으로 가공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불완전하게 끊어진 M' 개의 부분 마커 궤적을 조합하여 완전하게 연결된 M 개의 올바른 마커 궤적을 얻는 것이다.The post-processing manual oper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process of processing the partial marker trajectory as shown in FIG. 4A into a complete marker trajectory as shown in FIG. 4B. In other words, incompletely broken M 'partial marker trajectories are combined to obtain M correct marker trajectories that are completely connected.

후처리 수작업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작업 형태 중 하나는 궤적이 끊어진 프레임 주변에서 3차원 공간상에 배치된 마커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이로부터 끊어진 마커 궤적에 해당하는 조각을 찾거나, 잘못 연결된 마커 궤적을 바로 잡는 것이다. 기존의 후처리 소프트웨어들은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2차원 창에 3차원 공간의 마커들을 시각화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후처리 작업자는 3차원 공간을 시각화하는 가상 시점의 매개 변수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마커들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관찰한다.One type of work frequently used in post-processing is to observe the movement of markers placed in three-dimensional space around a frame where the trajectory is broken, to find a piece that corresponds to the broken marker trajectory, or to find an incorrectly connected marker trajectory. It is correct. Conventional post-processing software provides an interface for visualizing markers in three-dimensional space in a two-dimensional window for this purpose. Using this interface, the post-processing operator observes the time-dependent movement of the markers at the desired location, adjusting the parameters of the virtual viewpoint visualiz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본 발명의 핵심은 이와 같은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3차원 입체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작업자에게 3차원 마커의 움직임을 입체 영상으로 볼 것인지, 2차원 창에 기존의 방법대로 시각화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uch a visualization interface 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nterface. First, the operator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that can determine whether to view the mov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arke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or to visualize the conventional method in a two-dimensional window.

입체 영상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마커들의 3차원 움직임을 관찰할 가상 시점의 매개 변수를 결정한다. 가상 시점의 매개 변수는 그 위치 P, 방향 Q 및 시각(field of view)으로 주어진다. 위치 P 및 방향 Q의 결정에는 전통적인 입력 도구인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한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을 통하여 작업자가 현재 위치 및 방향에서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과, 작업자의 머리에 3차원 위치/방향 센서를 부착하여 시점의 위치 및 방향을 직접 얻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When the stereoscopic image interface is selected, a parameter of the virtual viewpoint at which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rkers is to be observed is determined. The parameters of the virtual viewpoint are given by their position P, direction Q and field of view. Determination of position P and direction Q involves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from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to the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through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s using the keyboard and mouse, a traditional input tool, and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 direction on the operator's head. There are two ways to attach the sensor and ge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ewpoint directly.

키보드를 이용한 제어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화살표 키를 이용한다.In the case of keyboard-based control, the arrow keys are used as follows.

: 시점을 앞쪽(시점 좌표계 -Z축 방향)으로 정하여진 거리 만큼 이동. : Move the viewpoint by the distance defined in front (viewing coordinate system -Z axis direction).

: 시점을 뒷쪽(시점 좌표계 +Z축 방향)으로 정하여진 거리 만큼 이동. : Move the viewpoint by the distance defined backward (viewing coordinate system + Z axis direction).

: 시점을 왼쪽(시점 좌표계 +Y축 중심)으로 정하여진 각도 만큼 회전. : Rotate the viewpoint by the angle determined to the left (viewpoint coordinate system + Y axis center).

: 시점을 오른쪽(시점 좌표계 -Y축 중심)으로 정하여진 각도 만큼 회전. : Rotate the viewpoint by the angle determined to the right (viewpoint coordinate system-Y axis center).

Shift +: 시점을 윗쪽(시점 좌표계 +X축 중심)으로 정하여진 각도 만큼 회전.Shift + : Rotate the view point by the angle determined upward (viewpoint coordinate system + X axis center).

Shift +: 시점을 아래쪽(시점 좌표계 -X축 중심)으로 정하여진 각도 만큼 회전.Shift + : Rotate the view point by the angle set downward (viewpoint coordinate system -X axis center).

Shift +: 시점을 왼쪽(시점 좌표계 -X축 방향)으로 정하여진 거리 만큼 이동.Shift + : Move the viewpoint by the distance defined to the left (viewing coordinate system -X axis direction).

Shift +: 시점을 오른쪽(시점 좌표계 +X 축 방향)으로 정하여진 거리 만큼 이동.Shift + : Move the viewpoint by the distance determined to the right (viewing coordinate system + X axis direction).

0 : 시점의 방향을 초기화.0: Initialize the direction of viewpoint.

Ctrl +: 마커 중점과 시점으로 이루어진 반구 상에서 윗쪽으로 이동.Ctrl + : Move upward on a hemisphere consisting of a marker midpoint and a viewpoint.

Ctrl +: 마커 중점과 시점으로 이루어진 반구 상에서 아래쪽으로 이동.Ctrl + : Move downward on hemisphere consisting of marker midpoint and viewpoint.

Ctrl +: 마커 중점과 시점으로 이루어진 반구 상에서 왼쪽으로 이동.Ctrl + : Move left on hemisphere consisting of marker midpoint and viewpoint.

Ctrl +: 마커 중점과 시점으로 이루어진 반구 상에서 오른쪽으로 이동.Ctrl + : Move right on hemisphere consisting of marker midpoint and viewpoint.

즉 상하좌우 키는 아무런 특수 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본적인 이동과 회전, Shift 조합은 상대적으로 덜 쓰이는 이동과 회전을 제공한다. Ctrl 조합은 시점의 방향이 마커들의 중심점을 항상 바라보도록 하면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이것은 항상 마커들을 볼 수 있으면서, 관찰하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인터페이스이다.In other words, the up, down, left, and right keys provide basic movement, rotation, and shift combinations that are relatively less useable when no special keys are pressed. The Ctrl combination causes the direction of the view to move while always looking at the center point of the markers, which is a useful interface that can change the viewing position while always viewing the markers.

마우스를 이용할 때는 창의 중심으로부터의 마우스 커서의 위치 관계에 따라 이들을 각각 위의 상하좌우 화살표 키와 같은 명령으로 받고, 여기에 Shift, Ctrl 키를 조합하여 위의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동일하게 제어한다.When using a mouse, depending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mouse cursor from the center of the window, they are received by the same commands as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respectively, and combined with the Shift and Ctrl keys to control the same as the above keyboard interface.

3차원 위치, 방향 센서를 이용할 경우에도 시점 좌표계의 위치와 방향의 기준점을 정할 필요가 생기는데, 이는 위의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즉, 키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적인 위치와 방향을 제어하고, 여기에 3차원 센서로부터의 변화량을 누적 적용하여 시점의 위치와 방향을 얻는다.Even when using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nd direction senso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ference point of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ew coordinate system, which uses the above keyboard interface. That is, the keyboard interface controls the overall position and direction, and accumulates and applies the amount of change from the 3D sensor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ewpoint.

시각 θ는 고정된 값을 사용하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필요한 경우 이 값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3차원 입체 영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더 필요한 매개 변수는 두 눈 사이의 거리 p, 두 눈으로부터 영상면까지의 거리 c로 이 값 역시 고정된 값을 사용하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time θ uses a fixed value and provides a separate interface to control this value if necessary. Additional parameters required to control 3D stereoscopic images are the distance p between the two eyes, and the distance c between the two eyes and the image plane. This value is also fixed and can be controlled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It was made.

가상 시점의 매개변수가 모두 결정되면 좌, 우 두 눈에 해당하는 별도의 영상을 각각 두 눈에 별도로 보이도록 그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쉽게 구할 수 있는 필드 인터레이스 스테레오(Field Interlace Stereo) 방식의 입체 영상 제시 장치를 사용한다. 이는 모니터 디스플레이의 홀수/짝수번째 줄에 각각 좌/우 영상을 나누어 디스플레이하면, 안경 형태의 영상 제시 장치가 이를 각각 좌/우측 눈에 나누어 보여주는 것이다.(이러한 영상 제시 장치의 예로는 VR Standard Corp.의 VRJoy 제품 등이 있다.)When all parameters of the virtual view are determined, separat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are drawn to be seen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eld interlace stereo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obtained is used. This is shown by divid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into odd and even rows of the monitor display, respectively,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glasses divides them into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An example of such an image presentation device is VR Standard Corp.). VRJoy product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penGL 상에서의 3차원 영상 제시를 위한 좌/우측 영상의 합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nthesis method of a left / right image for displaying a 3D image on OpenG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서는 3차원 마커 움직임의 시각화를 위하여 OpenG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서 본 영상이 번갈아 그려지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GL library is used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3D marker motion, and the following method is used to alternately draw the image viewed from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OpenGL library.

OpenGL의 후면 버퍼(BACK_BUFFER)를 상하 방향으로 2개의 서로 다른 뷰포트(Viewport)로 나누고, 여기에 좌/우측 눈에서 본 영상을 본래 해상도에서 세로 해상도가 절반인 상태로 낮추어 3차원 공간의 마커들을 렌더링(Rendering)한다. 다음으로, 별도의 메모리 버퍼에 이를 복사한 뒤, BACK_BUFFER에 이를 좌/우 영상에서의 각 줄이 번갈아 나타나도록 다시 배치한다. 배치가 완료되면, 버퍼를 교체하여(Swap Buffer) 완성된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Divide OpenGL's back buffer (BACK_BUFFER) into two different viewports in the vertical direction, lowering the image seen by the left and right eyes to half the vertical resolution at the original resolution and rendering the markers in 3D space. (Rendering) Next, copy it to a separate memory buffer, and then arrange it in BACK_BUFFER so that each line in the left and right images alternates. When the batch is completed, the swap buffer is displayed to display the completed stereoscopic image.

작업자는 3차원 마커의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관찰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입체적으로 보이는 마커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3차원 커서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가능하다. 마커의 선택을 위한 3차원 커서의 제어는 3차원 입력 장치를 사용하거나, 조이 스틱과 같은 별도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방법은 가상 시점의 제어 방법과 유사하다. 다만, 3차원 커서의 경우에는 회전이 의미가 없으므로, 조이스틱의 전후좌우 선택, 키보드의 상하좌우 키가 직접 3차원 커서의 시점 좌표계 상에서의 움직임으로 직접 매핑된다. 작업자는 3차원 커서를 사용하여 후처리에 필요한 마커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not only observe the mov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arker in three dimensions, but also select three-dimensional markers. This is possible by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cursor. The control of the three-dimensional cursor for the selection of the marker may use a 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joy stick, or a keyboard. The control method is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virtual view. However, in the case of a 3D cursor, since rotation is meaningless,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keys of the joystick and the up, down, left, and right keys of the keyboard are directly mapped to the movement on the viewpoint coordinate system of the 3D cursor. The operator can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arker for post-processing using the three-dimensional cursor.

작업자의 입력에 의하여 마커 정보가 관절각 계산에 적합한 수준까지 가공되면, 관절각을 계산하여 최종적인 동작 정보로 출력한다.When the marker information is processed to a level suitable for calculating the joint angle by the operator's input, the joint angle is calculated and output as final motion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an be processed by a computer.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차원 인터페이스에 의해 동작 정보 획득 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은 종전의 2차원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할 때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workers performing the post-processing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by the three-dimensional interface can work faster and more accurately than when relying only on the conventional two-dimensional interface.

특히, 본 발명은 종전까지 동작 정보 획득에서 가장 시간 비용이 큰 과정인 후처리 수작업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전체 동작 정보 획득 과정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post-processing manual work, which is the most time-consuming process in acquiring the motion information until now, so that the entire mo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can procee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3차원 인터페이스의 응용은 비단 동작 정보 획득 후처리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루는 대상이 3차원적 성격이 강한 경우에 이에 대한 직관적인 상호 작용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가상 현실감, 게임 등의 분야에서도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interfa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ost-processing of acquiring the motion information, and can be used as an intuitive interaction method when the object to be dealt with has a strong three-dimensional character. I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games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마커(Marker) 정보 중 불완전한 마커 정보를 완전한 마커 정보로 가공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motion information post-processing method of processing incomplete marker information among the marker information recorded by the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method into complete marker information, 상기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2차원 평면에 표시되는 관절의 동작을 스테레오(Stereo)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 1 단계; 및A first step of converting a motion of a joint displayed on a 2D plane recorded by the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method into a stereo image; And 상기 제 1 단계에서 변환된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 영상 제시 장치를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냄으로써, 관절의 동작을 3차원 위치 정보로 재구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And a second step of reconstructing the motion of the joint into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by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the stereo image converted in the first step by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presentation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단계는,The second step, 상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관절의 3차원 움직임 정보를 화면을 통하여 스테레오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 1 서브 단계; 및A first sub step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otion information of the joint obtained in the first step as a stereo image through a screen; And 상기 제 1 서브 단계에서 표시된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 영상 제시 장치를 사용하여 3차원 동작에 대한 마커 정보를 가공하는 제 2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And a second sub-step of processing the marker information on the three-dimensional motion by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presentation device on the stereo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sub-step.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서브 단계는,The second sub-step, 상기 제 1 서브 단계에서 표시되는 관절의 동작을 관찰하고 수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시점을 임의의 각도 및 거리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In order to observe and correct the motion of the joint displayed in the first sub-step, the motion information post-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user's viewpoint to move at any angle and distance.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마커(Marker) 정보 중 불완전한 마커 정보를 완전한 마커 정보로 가공하는 동작 정보 후처리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a motion information post-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incomplete marker information among marker information recorded by a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method into complete marker information, 상기 동작 정보 전처리 방법에 의하여 기록된 2차원 평면에 표시되는 관절의 동작을 스테레오(Stereo)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converting a motion of a joint displayed on a 2D plane recorded by the motion information preprocessing method into a stereo image; 상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관절의 3차원 움직임 정보를 화면을 통하여 스테레오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motion information of the joint obtained in the first step as a stereo image through a screen; And 상기 제 2 단계에서 표시된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 영상 제시 장치를 사용하여 3차원 동작에 대한 마커 정보를 가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nd a third step of processing the marker information for the three-dimensional motion by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presentation device on the stereo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tep.
KR1019990062471A 1999-12-27 1999-12-27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KR100362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471A KR100362383B1 (en) 1999-12-27 1999-12-27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471A KR100362383B1 (en) 1999-12-27 1999-12-27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255A true KR20010058255A (en) 2001-07-05
KR100362383B1 KR100362383B1 (en) 2002-11-23

Family

ID=1963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471A KR100362383B1 (en) 1999-12-27 1999-12-27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3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313B1 (en) * 2001-12-28 2004-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modifying posture of an articulated object in manufacturing picture
KR100672288B1 (en) * 2005-11-07 2007-01-24 신믿음 Method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an augmented reality by merging markers
KR100834793B1 (en) * 2006-07-13 2008-06-05 엠텍비젼 주식회사 Conversion device and graphic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bone animation graphi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137B1 (en) * 2004-12-02 2011-12-14 (주)다림시스템 Motion captur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340A (en) * 1991-12-25 1996-09-13 Hokkaido Prefecture Method for generating time series motion skeleton picture including specific operation skeleton picture
JPH09153151A (en) * 1995-11-30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ion generator for three-dimensional skeletal structure
JPH09330424A (en) * 1996-06-07 1997-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vement converter for three-dimensional skeleton structure
JPH11175692A (en) * 1997-12-05 1999-07-02 Hitachi Denshi Ltd Collector of data on joint motion
KR19990037933A (en) * 1999-02-25 1999-05-25 국태용 On-line motion trajectory generating apparatus for multiple linked body
KR100361462B1 (en) * 1999-11-11 2002-11-21 황병익 Method for Acquisition of Motion Capture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313B1 (en) * 2001-12-28 2004-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modifying posture of an articulated object in manufacturing picture
KR100672288B1 (en) * 2005-11-07 2007-01-24 신믿음 Method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an augmented reality by merging markers
KR100834793B1 (en) * 2006-07-13 2008-06-05 엠텍비젼 주식회사 Conversion device and graphic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bone animation graph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383B1 (en)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4890B2 (en) Image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US67348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maged objects
US796530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148045B2 (en) 3D object CG creation device
US9613424B2 (en) Method of constructing 3D clothing model based on a single image
JP57094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2474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medical image
TWI520576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2d images to 3d image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48344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Zollmann et al. Interactive 4D overview and detail visua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JP2001522098A5 (en)
EP1917645A2 (en) Method and apparatus featuring simple click style interactions according to a clinical task workflow
JP73537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10272351A1 (en) Computer-generated image processing including volumetric scene reconstruction
Zhang et al. A multi-regional computation scheme in an AR-assisted in situ CNC simulation environment
US11442685B2 (en) Remote interaction via bi-directional mixed-reality telepresence
KR20110088995A (en) Method and system to visualize surveillance camera videos within 3d models,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Mulligan et al. Stereo-based environment scanning for immersive telepresence
KR100362383B1 (en) Post-processing method for motion captured data using 3D interface
CA3152809A1 (en) Method for analysing medical image data in a virtual multi-user collaboration, a computer program, a user interface and a system
US20200219329A1 (en) Multi axis translation
CN107368188B (en) Foreground extra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ultiple spatial positioning in mediated reality
Leubner et al. Computer-vision-based human-computer interaction with a back projection wall using arm gestures
JP3413145B2 (en) Virtual space editing method and virtual space editing device
JP2019057070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