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218A -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218A
KR20010055218A KR1019990056357A KR19990056357A KR20010055218A KR 20010055218 A KR20010055218 A KR 20010055218A KR 1019990056357 A KR1019990056357 A KR 1019990056357A KR 19990056357 A KR19990056357 A KR 19990056357A KR 20010055218 A KR20010055218 A KR 2001005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erformance
delay
internet
p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495B1 (ko
Inventor
김창훈
손승원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5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4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29Packet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 이하 LAN이라 한다)상에서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전달 성능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하는 라우터, 허브, 브리지,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 시스템의 구조에 변형을 가함으로써, 동일한 소규모 네트웍에 접속된 단말들이 서로 통신하는 경우에도 전역(global) 인터넷이 제공하는 종단간 패킷전달 성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 인터넷 서비스, 프로토콜, 전송장비 등의 개발 및 성능 평가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는 모의실험용 소규모 네트웍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 시뮬레이터 {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the packet transmission performance of Internet}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상에서 전역(global)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전달 성능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동작하게 될 응용이나 서비스, 프로토콜, 장비들의 개발 및 성능평가 과정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요구되는 것은, 실제의 인터넷과 흡사한 전달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험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와 같은 환경을 구성하는 것은 물리적으로도 간단하지 않을 뿐더러, 조성된 환경에서의 전달성능이 개발자의 관심 영역에 속하도록 조정(tuning)하는 작업 역시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인터넷 관련 개발/성능평가 과정에서 널리 채택되는 방법은 모의실험(simulation)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미 인터넷 관련 모의실험용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었으나, 이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가상의 인터넷 환경을 제공할 뿐이므로, 응용이나 장비 개발자들은 실제로 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품 이외에 모의실험을 위한 프로그램을 따로 개발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한편,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을 모방하기 위하여 단말의 패킷 송수신 모듈에 직접적인 변경을 가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미국특허 US5862362(특허권자: 마이크로소프트사, 명칭: Network Failure Simulator)가 있다.
이 특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망 장애 시뮬레이터를 제안한 것으로, 컴퓨터의 네트워크 입출력 구조상에 위치하는 패킷 핸들러를 임의의 프로그램으로 대체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패킷이 손실된 것으로 오인하게 하여,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의 자동화된 성능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실제로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말들과는 다른 구조와 기능을 지닌 단말을 모의실험에 사용하게 되는 셈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볼 때 실제 인터넷망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에는 오히려 부적합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과 흡사한 패킷전달성능을 보일 수 있는 LAN상의 모의실험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단말의 구조와 기능에는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고, 또 추가로 도입해야 할 장비로 인한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모의실험과 관계없는 패킷들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라우터 내부에 요구되는 새로운 기능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터와 단말간의 관계 및 라우터 기능 블록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우터와 단말간의 관계 및 라우터 기능블록에 대한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이 사용되는 LAN을 그 적용범위로 한다.
인터넷을 통한 패킷의 전달성능을 기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인자(parameter)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응용과 서비스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인자는 패킷 손실률(loss ratio), 패킷 지연(delay), 패킷 지연변이(delay jitter) 및 종단간 대역폭(end-to-end throughput)의 네가지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뮬레이터가 이 네가지 패킷전달성능 인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라우터(router), 허브(hub) 또는 브리지(bridge)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수단 내부 또는 상기 연결 수단 내부 및 외부에 본 발명을 구현에 요구되는 기능블록을 구비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해주는 수단으로서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이는 실용적인 구현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해주는 수단이 허브나 브리지인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 구성도 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능 블록은 크게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LAN 간의 접속지점에 위치한 라우터의 커널 내부에 구비되는 기능 블록과, 라우터의 응용영역 혹은 라우터 외부에 구비되는 기능블록으로 나뉘어진다.
라우터의 커널 내부에 구비되는 기능블록에는 패킷 처리 모듈에 존재하는 두 개 이상의 패킷 분류기(11)와, 패킷 버퍼(12), 제어 모듈에 존재하는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dropper : 14), 트래픽 조절기(regulator : 15), 및 측정 모듈에 존재하는 전달 성능 계측기(meter : 16)가 있다.
그리고, 라우터의 응용 영역 또는 라우터 외부에 구비되는 기능 블록에는 성능 모델러(17) 및 인터넷 성능 측정기(18)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LAN 1, 2와 상기 LAN 1, 2의 연결을 제공하는 라우터 및 상기 LAN과 별도로 구비된 라우터에서의 인터넷 연결로 구성되며, 상기 라우터의 커널 내부에 상기 LAN 1, 2로부터 라우터로 전달된 모든 패킷들에 대하여 모의실험과의 관계여부를 파악한 후, 임의의 전달성능을 경험하도록 해야 할 흐름에 속한 패킷인 경우 해당하는 패킷 버퍼(12)에 삽입하는 두 개 이상의 패킷 분류기(11); 상기 패킷 분류기(11)에 의하여 분류된 전달성능 실험 관련 패킷들에 대해 임의의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종단간 대역폭 등을 적용하기 위해 패킷을 저장하는 여러개의 패킷 버퍼(12); 성능 모델러(17)에서 전달된 지연 및 지연 변이 기술자(descriptor)를 근거로 하여, 상기 패킷 버퍼(12)에서 대기하고 있는 각 패킷들에게 적용되어야 할 대기시간을 계산, 측정 및 감시하며, 대기시간을 초과한 패킷의 경우 곧바로 패킷 송신모듈로 전달하는 지연 발생기(13); 성능 모델러(17)에서 전달된 패킷 손실률 기술자를 근거로 하여, 상기 패킷 버퍼(12)내의 패킷들을 일정한 비율로 폐기시키는 패킷 제거기(dropper : 14); 종단간 대역폭에 제한을 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패킷 흐름에 속한 패킷들 중 단위시간 당 실제로 송신된 패킷의 개수와 그 크기를 측정 및 감시하여 조절하는 트래픽 조절기(regulator : 15); 및 시뮬레이터가 제공하는 손실률, 지연, 지연 변이 및 대역폭을 지속적으로 계측 및 감시하여 그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전달 성능 계측기(meter : 16)를 포함하며,
상기 라우터의 응용영역에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성능 기술자(descriptor)의 확률적 모델에 따라 각각의 성능 기술자에 대한 실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에 전달하는 성능 모델러(17) 및 시뮬레이터가 모방하고자 하는 실제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전달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의 호스트들과 교신하며, 이 때 경험하게 되는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및 종단간 대역폭을 기록하는 인터넷 성능 측정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서로 분리된 LAN에 속한 단말간의 교신(예컨데, 도 2에서 단말 A와 단말 B의 교신)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연속적인 패킷의 집합을 "흐름"이라 일컫는다. 본 시뮬레이터에서 제공하는 모의 패킷전달성능은 각각의 "흐름"을 단위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하여 라우터의 내부에 요구되는 기능블록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킷 분류기(11)는 라우터로 전달된 모든 패킷들에 대하여 모의실험과의 관계여부를 파악한 후, 임의의 전달성능(패킷 손실률, 패킷 지연 및 지연변이, 종단간 대역폭)을 경험하도록 해야 할 흐름에 속한 패킷인 경우 해당하는 패킷버퍼(12)에 삽입한다. 임의의 전달성능을 보장받지 않아도 되는 패킷들, 즉 모의실험과 무관한 모든 패킷들은 전용의 패킷 버퍼에 따로 저장되며, 이 버퍼에는 모의 실험과 관계된 패킷들을 모두 처리한 후에도 남은 자원(메모리, 출력 대역폭 등)만을 허락함으로써, 모의 실험과 관계된 패킷들에게 피해를 유발하지 않도록 한다.
패킷 버퍼(12)는 상기 패킷 분류기(11)에 의하여 분류된 패킷들에 대해 임의의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종단간 대역폭 등을 적용하기 위한 패킷의 대기장소를 제공한다. 각각의 패킷 흐름들이 경험해야 할 전달성능은 서로 다르므로, 패킷 버퍼(12) 역시 여러 개가 존재하며, 각 버퍼 내부에 저장된 패킷들은 우선순위에 따라 동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만, 모의 실험과 무관한 패킷들을 위한 버퍼는 우선순위 기반의 동적 정렬기능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지연 발생기(13)는 지연 및 지연 변이 기술자(descriptor)를 근거로 하여, 패킷 버퍼(12)에서 대기하고 있는 각 패킷들에게 적용되어야 할 대기시간을 계산, 측정 및 감시한다. 그리고 대기시간을 초과한 패킷의 경우 곧바로 도시되지 않은 패킷 송신모듈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기능은 패킷 버퍼(12)에 저장된 패킷들의 전송 우선순위를 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계산된 지연 변이의 값이 패킷 간 시간간격보다 커지는 것을 허용하므로, 실제 인터넷상에서 매우 빈번한 비순차 패킷의 발생을 모방할 수도 있다.
패킷 제거기(14)는 패킷 손실률 기술자를 근거로 하여, 패킷 버퍼(12)내의 패킷들을 일정한 비율로 폐기시킨다. 그리고 트래픽 조절기(15)는 종단간 대역폭에 제한을 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패킷 흐름에 속한 패킷들 중 단위시간 당 실제로 송신된 패킷의 개수와 그 크기를 측정 및 감시하여 조절한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기능 블록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패킷의 전송 우선순위에 근거한 스케쥴링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패킷 전달 성능 계측기(16)는 시뮬레이터가 제공하는 손실률, 지연, 지연 변이 및 대역폭을 지속적으로 계측 및 감시하여 그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 준다.
그리고, 라우터의 응용 영역에 존재하는 성능 모델러(17)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성능 기술자(descriptor)의 확률적 모델에 따라 각각의 성능 기술자에 대한 실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에 전달한다.
인터넷 성능 측정기(18) 역시 라우터의 응용 영역에 존재하여 시뮬레이터가 모방하고자 하는 실제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전달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의 호스트들과 교신하며, 이 때 경험하게 되는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및 종단간 대역폭을 기록한다. 사용자는 교신 대상 호스트가 위치한 지역, 기록이 입수된 날짜 및 시간대 등을 근거로 모의실험에의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어떤 패킷 흐름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전달성능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을, 앞서 설명한 기능블록들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AN 단말에서 생성된 패킷이 전송매체를 거쳐 라우터에 전달되면, 각 패킷은 패킷 분류기(11)에 의하여 모의실험과의 관계여부가 판별된다. 만약 모의실험과 관계된 경우라면 패킷 분류키(11)는 전달받은 패킷을 그 패킷이 속한 흐름에 대응되는 패킷 버퍼(11)에 저장한다.
각 흐름에 대응되는 패킷 버퍼(11)들은 라우터의 커널 영역 중 제어 모듈에 속한 세 기능블록, 즉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트래픽 조절기(15)에 의하여 관리되며, 상기 세 기능블록은 각각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기능에 따라 지연 및 지연변이, 패킷 손실률, 종단간 대역폭을 제어한다.
패킷들이 실제로 경험하게 되는 전달성능은 패킷 별 혹은 흐름 별로 성능 계측기(16)에 의하여 감시 및 기록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만약 사용자가, 어떤 흐름에게 제공되는 전달성능이 특정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즉시 통보 받기를 원한다면, 이러한 기능 역시 성능 계측기(16)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패킷 전달성능을 직접 제어하는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는 라우터의 응용 영역에 존재하는 성능 모델러(16)나 인터넷 성능 측정기에 의하여 제어된다. 실제로 성능 모델러와 인터넷 성능 측정기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 전달성능 제어 블록들을 제어할 것인지는 사용자에 의하여 각 흐름 별로 적용될 수 있다.
성능 모델러(17)는 각각의 전달성능 인자(parameter)값의 변화를 묘사할 수 있는 다양한 확률분포함수(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들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집적 제작한 확률분포함수를 추가할 수도 있다. 각 인자에 어떤 확률분포를 적용할 것인지, 또 그 분포에 사용되는 변수들의 초기값 및 파라미터들은어떤 값으로 할 것인지는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인터넷 성능 측정기(18)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실제 인터넷상의 특정 호스트 혹은 서브넷, 측정일시, 측정 도구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인터넷 성능 측정기(18)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방법에 따라 특정 호스트나 특정 서브넷 내의 임의의 호스트와 패킷전달성능 측정(active measurement)을 위한 교신을 시도한다.
인터넷 성능 측정기(18)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된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및 종단간 대역폭을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를 근거로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블록으로 구현되며, 다만 성능 모델러(17) 및 인터텟 성능 측정기(18)는 라우터의 응용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라우터 외부의 독립된 제어수단(원격 제어기)에 존재하며, 인터넷을 통해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를 제어한다.
즉, 본 실시예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LAN 1, 2와, 상기 LAN 1, 2의 연결을 제공하는 라우터, 상기의 LAN과 별도로 구성된 라우터에서의 인터넷 연결 및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라우터의 커널 내 기능블록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라우터의 커널 내부에 상기 LAN 1, 2로부터 라우터로 전달된 모든 패킷들에 대하여 모의실험과의 관계여부를 파악한 후, 임의의 전달성능을 경험하도록 해야 할 흐름에 속한 패킷인 경우 해당하는 패킷 버퍼(12)에 삽입하는 두개의 패킷 분류기(11); 상기 패킷 분류기(11)에 의하여 걸러진 패킷들에 대해 임의의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종단간 대역폭 등을 적용하기 위한 여러개의 패킷 버퍼(12); 성능 모델러(17)에서 전달된 지연 및 지연 변이 기술자를 근거로 하여, 상기 패킷 버퍼(12)에서 대기하고 있는 각 패킷들에게 적용되어야 할 대기시간을 계산, 측정 및 감시하며, 대기시간을 초과한 패킷의 경우 곧바로 패킷 송신모듈로 전달하는 지연 발생기(13); 성능 모델러(17)에서 전달된 패킷 손실률 기술자를 근거로 하여, 상기 패킷 버퍼(12)내의 패킷들을 일정한 비율로 폐기시키는 패킷 제거기(14); 종단간 대역폭에 제한을 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패킷 흐름에 속한 패킷들 중 단위시간 당 실제로 송신된 패킷의 개수와 그 크기를 측정 및 감시하여 조절하는 트래픽 조절기(15); 및 시뮬레이터가 제공하는 손실률, 지연, 지연 변이 및 대역폭을 지속적으로 계측 및 감시하여 그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전달 성능 계측기(16)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성능 기술자의 확률적 모델에 따라 각각의 성능 기술자에 대한 실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에 전달하는 성능 모델러(17)와; 시뮬레이터가 모방하고자 하는 실제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전달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의 호스트들과 교신하며, 이 때 경험하게 되는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및 종단간 대역폭을 기록하는 인터넷 성능 측정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성능 모델러(17) 및 인터텟 성능 측정기(18)가 외 부의 원격 제어기에 존재하므로 라우터 커널 내부에 존재하는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의 제어는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패킷의 송수신 단말에는 아무런 기능적 변화나 추가를 가져오지 않으면서, LAN 규모에서 전역(global) 인터넷이 제공하는 종단간 패킷전달성능을 모방할 수 있는 모의실험 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를 사용할 경우, 모의실험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실제로 개발 혹은 성능평가 중인 시스템을 실재하는 망(LAN) 위에서 수행시켜 볼 수 있으므로, 보다 현실감 있는 모의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의실험을 위해 구성된 LAN 상에서 송 수신되는 패킷들 중, 모의실험과 무관한 패킷들은 전달성능에 있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모의실험용 망이 업무용 망과 공존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근거리통신망 상에서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 전달 성능을 모방할 수 있도록,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LAN과 상기 LAN들간의 연결 및 인터넷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커널 내부에 LAN들로부터 전달된 모든 패킷들에 대하여 모의실험과의 관계여부를 파악한 후, 임의의 전달성능을 경험하도록 해야 할 흐름에 속한 패킷인 경우 해당하는 패킷 버퍼(12)에 삽입하는 상기 LAN과 동일한 수의 패킷 분류기(11);
    상기 패킷 분류기(11)에 의하여 분류된 패킷들에 대해 임의의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종단간 대역폭 등을 적용하기 위한 여러개의 패킷 버퍼(12);
    상기 패킷 전달 성능 제어수단에서 전달된 지연 및 지연 변이 기술자를 근거로 하여, 상기 패킷 처리 모듈에서 대기하고 있는 각 패킷들에게 적용되어야 할 대기시간을 계산, 측정 및 감시하며, 대기시간을 초과한 패킷의 경우 곧바로 패킷 송신모듈로 전달하는 지연 발생기(13);
    전달된 패킷 손실률 기술자를 근거로 하여, 상기 패킷 퍼리 모듈에서 대기하고 있는 패킷들을 일정한 비율로 폐기시키는 패킷 제거기(14);
    전달된 종단간 대역폭 기술자를 근거로 종단간 대역폭에 제한을 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패킷 흐름에 속한 패킷들 중 단위시간 당 실제로 송신된 패킷의 개수와 그 크기를 측정 및 감시하여 조절하는 트래픽 조절기(15); 및
    상기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에서 제공하는 손실률, 지연, 지연 변이 및 대역폭을 지속적으로 계측 및 감시하여 그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패킷 전달 성능 계측기(16)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의 응용영역에 패킷 전달 성능을 모의실험하기 위해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각각의 성능 기술자에 대한 실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모듈에 전달하며, 시뮬레이터가 모방하고자 하는 실제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전달성능을 측정하는 패킷 전달 성능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LAN들을 구성하는 단말의 기능과 구조에 아무런 변경을 가하지 않고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을 모방할 수 있으며, 모의실험과 관계없는 패킷의 전달 성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 종단간 패킷 전달 성능 모방을 위한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라우터, 허브 또는 브리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 종단간 패킷 전달 성능 모방을 위한 시뮬레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전달 성능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성능 기술자의 확률적 모델에 따라 각각의 성능 기술자에 대한 실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지연 발생기(13), 패킷 제거기(14) 및 트래픽 조절기(15)에 전달하는 성능 모델러(17)와; 시뮬레이터가 모방하고자 하는 실제 인터넷의 종단간 패킷전달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의 호스트들과 교신하며, 이 때 경험하게 되는 지연, 지연변이, 손실률 및 종단간 대역폭을 기록하는 인터넷 성능 측정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 종단간 패킷 전달 성능 모방을 위한 시뮬레이터.
KR1019990056357A 1999-12-10 1999-12-10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시뮬레이터 KR10033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357A KR100336495B1 (ko) 1999-12-10 1999-12-10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357A KR100336495B1 (ko) 1999-12-10 1999-12-10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218A true KR20010055218A (ko) 2001-07-04
KR100336495B1 KR100336495B1 (ko) 2002-05-15

Family

ID=1962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357A KR100336495B1 (ko) 1999-12-10 1999-12-10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4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25A (ko) * 2002-07-23 2004-01-31 엘지엔시스(주) 커널 후킹에 의한 네트워크 패킷 검사방법
KR100763523B1 (ko) * 2005-12-08 2007-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어 프로토콜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US7756165B2 (en) 2006-09-15 2010-07-13 Tellabs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 time interval between data frames
WO2018113932A1 (en) * 2016-12-20 2018-06-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on of simulation of a traffic of a communication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972B1 (ko) * 2015-12-07 202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25A (ko) * 2002-07-23 2004-01-31 엘지엔시스(주) 커널 후킹에 의한 네트워크 패킷 검사방법
KR100763523B1 (ko) * 2005-12-08 2007-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어 프로토콜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US7756165B2 (en) 2006-09-15 2010-07-13 Tellabs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 time interval between data frames
WO2018113932A1 (en) * 2016-12-20 2018-06-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on of simulation of a traffic of a communication network
CN109691019A (zh) * 2016-12-20 2019-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执行通信网络业务模拟的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495B1 (ko)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126B2 (en) Executable application network impact and load characteristic estimation system
Mathis et al. Web100: extended TCP instrumentation for research, education and diagnosis
US7239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network connection characteristics
US20110282642A1 (en) Network emulation in manual and automated testing tools
US7616568B2 (en) Generic packet generation
CN107071399B (zh) 一种加密视频流的质量评估方法及装置
US75554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emulation
EP148603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network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software applications
Eljack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ONOS and Floodlight SDN Controllers based on TCP and UDP Traffic
TW2004120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network testing system
KR100336495B1 (ko)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인터넷의 패킷전달성능 모방을 위한시뮬레이터
Giordano et al. MoViT: the mobile network virtualized testbed
Bateman et al. A comparison of TCP behaviour at high speeds using ns-2 and Linux
Penoff et al. MPI-NeTSim: A network simulation module for MPI
Beshay et al. On the fidelity of single-machine network emulation in linux
WO19990634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network applications
JP2001028586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の試験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3283564A (ja) Ipトラヒック発生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およびトラヒック発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hakova et al. Research of productivity of software configurable infrastructure in vanet networks on the basis of models of hybrid data transmission devices
Van den Broeck et al. Validation of router models in OPNET
Plakalovic et al. High-speed FPGA-based Ethernet traffic generator
Neufeld et al. Network protocol development with nsclick
Zheng et al. Validation of application behavior on a virtual time integrated network emulation testbed
CN115766470B (zh) 一种全场景虚拟网络攻防平台及其方法
CN117014341B (zh) 虚拟交换机的测试方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