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591A -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591A
KR20010054591A KR1019990055462A KR19990055462A KR20010054591A KR 20010054591 A KR20010054591 A KR 20010054591A KR 1019990055462 A KR1019990055462 A KR 1019990055462A KR 19990055462 A KR19990055462 A KR 19990055462A KR 20010054591 A KR20010054591 A KR 2001005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event
ei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704B1 (ko
Inventor
주영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7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15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demultiplex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대부분의 방송안내 정보들이 신문과 같은 매체를 통한 방송안내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만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영상 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인 티브이의 특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채널 및 시간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모두 표시하게 될 경우 화면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한, 텍스트를 하나하나 읽어 가면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아야 하는 지루함과 불편함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정보 서비스가 사용자로부터 외면을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방송안내 상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전송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방송안내 정보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한 광고삽입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PTION OF BROADCASTING SIGNAL}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방송안내 상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전송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호간에 별도의 분야로 인식되어왔던 방송과 통신이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사용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그만큼 증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방적인 서비스만 가능했던 방송에서도 더욱 다양한 정보와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 전세계적인 추세이며, 이와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 방송의 디지털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인 예로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들을 엠펙(MPEG)으로 압축하여 디지털 무궁화 위성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송은 그 주요 대역폭을 방송 프로그램 및 제어 정보에 할당하고, 잔여 대역폭을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위한 부가 정보 채널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부가 정보 채널을 통신망과 연계하여 사용하게 되면 대화형 티브이와 같은 분산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데, 특히 예상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다양한 채널에서 방송되는 정보들을 시청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방송안내(EPG : 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송안내 정보는 자원 및 가입자 관리 시스템(RSMS : Resource andSubscriber Management System)의 데이터에 포함되는데, 이 RSMS 데이터는 프로그램 지정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와 부가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지정정보는 수신기의 기본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PMT(Program Management Table) 등이 있고, 부가정보는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실질적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TDT(Time Date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등이 이에 해당한다.
흔히 말하는 방송안내라 함은 상기 EIT 정보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 아이디(PID), 시작시각, 방영시간, 프로그램 등급, 영상종류, 음성다중 등의 정보를 디코딩하여 티브이 모니터로 출력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 수신기 제작업체에서는 상기와 같이 송신국에서 전송되어 오는 방송안내 정보를 디코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형식으로 방송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방송안내 정보들이 신문과 같은 매체를 통한 방송안내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만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영상 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인 티브이의 특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텍스트에 의한 안내방송의 구성은 해상도가 떨어지는 티브이 모니터에 채널 및 시간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모두 표시하게 될 경우 화면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한, 텍스트를 하나하나 읽어 가면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아야 하는 지루함과 불편함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정보 서비스가 사용자로부터 외면을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EIT 내에 포함된 기존의 방송안내 정보는 물론, 멀티미디어 컨텐트 형태의 방송안내 정보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여 티브이만의 정보전달 특성을 살린 보다 효과적인 방송안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전자 방송안내 화면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정보 송/수신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한 전자 방송안내 화면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한 전자 방송안내 화면의 또 다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EIT인코딩부 20 : 컨텐트 헤더 부착부
30 : 전송 프로토콜 인코딩부 40 : EIT디코딩부
50 : 컨텐트 검출부 60 : 전송 프로토콜 디코딩부
70 : 컨텐트 헤더 분리부 80 : 컨텐트 출력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에 EIT 정보에 이벤트와 관련되어 전송할 해당 컨텐트의 일련번호 및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인코딩하는 EIT인코딩부와; 해당 이벤트의 식별자 및 컨텐트 일련번호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를 컨텐트 데이터에 부가하여 인코딩하는 전송 프로토콜 인코딩부를 포함하고, 수신측에 상기 EIT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식별자와 해당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하는 EIT디코딩부와; 상기 EIT디코딩부에서 디코딩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컨텐트를 전송받는 컨텐트 검출부와; 상기 전송받은 컨텐트를 디코딩하는 전송 프로토콜 디코딩부와; 상기 디코딩한 컨텐트에서 헤더를 분리하여 순수한 컨텐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텐트 헤더 분리부와; 상기 출력된 컨텐트 데이터의 종류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장치로 출력하는 컨텐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정보 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먼저 송신측은 이벤트와 관련되어 전송할 해당 컨텐트의 일련번호 및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인코딩하는 EIT인코딩부(10)와; 해당 이벤트의 식별자(Event_ID) 및 컨텐트 일련번호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를 컨텐트 데이터에 부가하는 컨텐트 헤더 부착부(20)와; 상기 헤더가 부가된 컨텐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인코딩하는 전송 프로토콜 인코딩부(30)로 구성한다.
다음, 수신측은 상기 송신측에서 전송된 EIT 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식별자(Event_ID)와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하는 EIT디코딩부(40)와; 상기 EIT디코딩부(40)에서 디코딩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컨텐트를 전송받는 컨텐트 검출부(50)와; 상기 전송받은 컨텐트를 디코딩하는 전송 프로토콜 디코딩부(60)와; 상기 디코딩한 컨텐트에서 헤더를 분리하여 순수한 컨텐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텐트 헤더 분리부(70)와; 상기 컨텐트 데이터를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로 출력하는 컨텐트 출력부(80)로 구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EIT 정보내에 컨텐트에 대한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트 식별자(descriptor)가 추가되는데, 이 컨텐트 식별자는 컨텐트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필드와 컨텐트의 종류(type)를 나타내는 필드로 구성하게 되는데, 컨텐트의 일련번호(content_number)를 나타내는 필드는 컨텐트 헤더내의 컨텐트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하나의 이벤트에 관련된 컨텐트가 복수개일 때 전송받을 컨텐트를 검색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그리고, 컨텐트의 종류(type)를 나타내는 필드는 해당하는 컨텐트가 전자 방송안내상에서 최종적으로 출력될 때 사용되어야 할 장치(디코더)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음 표1과 같이 정지화상(image), 동화상(video), 소리(audio) 등으로 구분한다.
컨텐트 타입 내 용
0x00 예약
0x01 정지화상(image)
0x02 동화상(video)
0x03 소리(audio)
즉, EIT정보내에는 이벤트와 관련된 복수개의 컨텐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각 컨텐트의 헤드에는 관련된 이벤트와 연결해 주기 위해 이벤트 식별자(Event_ID) 및 컨텐드 일련번호(content_number)등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이벤트 식별자(Event_ID)와 컨텐트 일련번호(content_number)는 전자 방송안내 상에서 필요한 컨텐트를 검색하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신측에서 전송하는 이벤트 관련 컨텐트를 수신측의 전자 방송안내 상에서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해서는 필요로 하는 컨텐트를 검색하여 전송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EIT정보에는 컨텐트의 일련번호(content_number)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고, 각 컨텐트의 헤더 부분에는 해당하는 이벤트의 식별자(Event_ID) 및 컨텐트의 일련번호(content_number)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관련된 이벤트와 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럼, 도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전자 방송안내 상에서 원하는 컨텐트가 화면에 출력되기 까지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전체방송 안내를 요구하여 도1에 도시된 예와 같은 일반적인 텍스트 형식의 전자 방송안내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그 중 관심이 가는 하나의 이벤트(임의의 시간대에 임의의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4와 같이 이벤트가 선택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해당 이벤트 부분이 토글되면서 화면의 상단에는 해당 이벤트에 연결된 컨텐트의 종류에 따른 테마 화면(TM)이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의 형태로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해당 이벤트를 선택하게 되면 컨텐트 출력이 요구되고, EIT 정보내에 해당 이벤트에 대한 컨텐트 식별자(descriptor)의 존재여부를 검사하여 해당 이벤트와 관련되어 하나 이상의 컨텐트가 전송되고 있다면 현재 화면에서 요구되는 컨텐트를 수신하여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디코더(동영상, 정지영상, 소리 등)를 통해 전자 방송안내 상에서 출력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현재방송 안내를 요구하게 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대에 방송되고 있는 모든 이벤트(프로그램)들에 대한 컨텐트를 멀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 한 화면을 클릭하면 해당 채널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은, 전자 방송안내 상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전송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방송안내 정보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한 광고삽입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EIT 정보에 이벤트와 관련되어 전송할 해당 컨텐트의 일련번호 및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인코딩하는 EIT인코딩부와; 해당 이벤트의 식별자 및 컨텐트 일련번호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를 컨텐트 데이터에 부가하여 인코딩하는 전송 프로토콜 인코딩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신 장치.
  2. EIT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식별자와 해당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하는 EIT디코딩부와; 상기 EIT디코딩부에서 디코딩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컨텐트를 전송받는 컨텐트 검출부와; 상기 전송받은 컨텐트를 디코딩하는 전송 프로토콜 디코딩부와; 상기 디코딩한 컨텐트에서 헤더를 분리하여 순수한 컨텐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텐트 헤더 분리부와; 상기 출력된 컨텐트 데이터의 종류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장치로 출력하는 컨텐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해당 컨텐트를 전송받는데 필요한 정보는 컨텐트 일련번호와 이벤트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수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데이터의 종류에는 정지화상 및 동화상과 소리의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수신장치.
  5. EIT 정보가 포함된 방송안내를 수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방송안내에서 하나의 이벤트 선택에 의해 컨텐트를 요청하는 제2단계와; 해당 컨텐트를 수신하여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 디코더를 통해 전자 방송안내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이벤트에 대한 컨텐트가 복수개일 경우 컨텐트 식별자에 의해 해당 컨텐트를 검사하여 요구한 컨텐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방송안내에서 선택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서 하나의 이벤트를 선택하면 해당 이벤트에 연결된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의 형태로 테마 화면을 표시하고, 특정 시간대나 채널에 방송되고 있는 모든 이벤트를 선택하면 이에 대한 컨텐트를 멀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식별자는 컨텐트 데이터의 일련번호 및 종류에 대한 정보에 의해 요구한 컨텐트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방법.
KR1019990055462A 1999-12-07 1999-12-07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34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462A KR100343704B1 (ko) 1999-12-07 1999-12-07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462A KR100343704B1 (ko) 1999-12-07 1999-12-07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591A true KR20010054591A (ko) 2001-07-02
KR100343704B1 KR100343704B1 (ko) 2002-07-20

Family

ID=1962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462A KR100343704B1 (ko) 1999-12-07 1999-12-07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7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584B1 (ko) * 2001-02-23 2004-03-09 주식회사 에어코드 데이터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93529B1 (ko) * 2002-11-21 2005-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 기반의 부가 데이터 검색 장치 및 그방법
KR100701308B1 (ko) * 2005-08-23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식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제공 방법
KR100760105B1 (ko) * 2005-11-28 200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KR100805803B1 (ko) * 2005-06-08 200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cap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방법 및장치
WO2008103496A1 (en) * 2007-02-22 2008-08-28 Stepframe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ion, delivery, recording, and viewing of video and similar content primarily intended to be viewed in step-frame/frame-advance mode
KR101147736B1 (ko) * 2004-12-29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방송 방법 및 장치
KR101253637B1 (ko) * 2006-05-15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866B2 (ja) * 1994-11-07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H08289281A (ja) * 1995-04-17 1996-11-01 Sony Corp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ショッピング画像伝送装置および方法、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ショッピング装置および方法
JP3586923B2 (ja) * 1995-04-17 2004-11-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4036307B2 (ja) * 1997-12-09 2008-01-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番組案内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584B1 (ko) * 2001-02-23 2004-03-09 주식회사 에어코드 데이터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93529B1 (ko) * 2002-11-21 2005-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 기반의 부가 데이터 검색 장치 및 그방법
KR101147736B1 (ko) * 2004-12-29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방송 방법 및 장치
KR100805803B1 (ko) * 2005-06-08 200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cap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방법 및장치
KR100701308B1 (ko) * 2005-08-23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식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제공 방법
KR100760105B1 (ko) * 2005-11-28 200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KR101253637B1 (ko) * 2006-05-15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WO2008103496A1 (en) * 2007-02-22 2008-08-28 Stepframe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ion, delivery, recording, and viewing of video and similar content primarily intended to be viewed in step-frame/frame-advance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704B1 (ko) 200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7643C (en) Virtual channel table for a broadcast protocol and method of broadcas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ing the same
KR20060075843A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 방법 및 장치
KR100343704B1 (ko)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133187A1 (en) Broadcast data system and apparatus
KR2000001014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예약녹화장치 및 예약녹화방법
JP2003298542A (ja) デジタル放送送信機、デジタル放送送信方法、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識別子付与装置
KR20070081583A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음악방송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2171230A (ja) 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受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