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222A -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222A
KR20010054222A KR1019990054908A KR19990054908A KR20010054222A KR 20010054222 A KR20010054222 A KR 20010054222A KR 1019990054908 A KR1019990054908 A KR 1019990054908A KR 19990054908 A KR19990054908 A KR 19990054908A KR 20010054222 A KR20010054222 A KR 2001005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control system
service contro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옥
오옥태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5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222A/ko
Publication of KR2001005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2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6Unified messaging, e.g. interactions between e-mail, instant messaging or converged IP messaging [C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상에서 운용되는 메세징 시스템과 지능망 제어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메시지를 신속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집중되었던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을 메세징 서비스 노드로 분산함에 따라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통합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ied messaging service}
본 발명은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과 메세징 시스템간연동을 통한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능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 로직을 갖고 있는 서비스 제어시스템(SCP; 1),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시스템(SMS : Service Management System; 2), 서비스 이용자와 망간에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IP : Intelligent Peripheral; 3), 기존의 단국 교환기에 서비스 제어 시스템과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한 서비스 교환기(SSP; 4), 지능망 시스템을 연결시켜 주는 No.7 공통선 신호망(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능망 구성에서의 착신과금 서비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이용자는 착신과금 식별번호와 서비스 가입자 번호를 입력한다. 서비스 교환기(4)는 서비스 식별번호를 분석하여 착신과금 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감지하고, 발신정보를 수집한 후 No. 7 공통선 신호망(5)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시스템(1)으로 착신과금 서비스를 처리해 줄 것을 요구한다.
그 서비스 제어시스템(1)은 번호 번역을 수행 한 후, 상기 서비스 교환기(4)로 서비스 이용자와 착신과금 서비스 가입자를 연결할 것을 지시한다. 만일, 이용자에게 안내 방송이 필요한 지능망 서비스인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1)은 서비스 교환기(4)로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3)과 연결 설정을 지시한 후,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3)으로는 이용자 안내를 방송할 것을 지시한다.
신속한 서비스의 생성과 효율적인 서비스 제어를 목적으로 망의 기능이 여러개의 시스템으로 분산되는 구조를 갖는 지능망에서는 시스템간 긴밀한 정보 교환을 위하여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INAP : 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을 사용한다. 그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은 물리 실체들간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이며,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의 하부 프로토콜로서는 No.7 공통선 신호 방식이나 ISDN UNI 신호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지능망과 인터넷과의 연동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지능망 서비스 제어시스템과 인터넷 영역의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종래의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은 전화망에 맞게 고안된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인터넷 영역의 시스템에 올려서 사용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인터넷 프로토콜상에서 운용되는 메세징 시스템과 지능망 제어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메시지를 신속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능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가 전화망을 통해 통합 메세징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서비스 흐름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통합 메세징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서비스 제어시스템 2 : 서비스 관리시스템
3 :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 4 : 서비스 교환기
5 : 공통선 신호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지능망 시스템을 연결시켜 주는 공통선 신호망;
상기 공통선 신호망에 연결되고 서비스 제어 로직을 갖고 있는 서비스 제어시스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시스템;
상기 공통선 신호망을 통해 단국 교환기를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접속시켜 주는 서비스 교환기;
상기 공통선 신호망 및 서비스 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이용자와 망간에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메일을 수신하고, 미디어를 변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메일 형태로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세징 시스템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지능망 시스템을 연결시켜 주는 공통선 신호망; 상기 공통선 신호망에 연결되고 서비스 제어 로직을 갖고 있는 서비스 제어시스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시스템; 상기 공통선 신호망을 통해 단국 교환기를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접속시켜 주는 서비스 교환기; 상기 공통선 신호망 및 서비스 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이용자와 망간에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메일을 수신하고, 미디어를 변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메일 형태로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세징 시스템을 구비한 지능망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사용자의 통합 메세징 서비스 요청이 있게 됨에 따라 올바른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인증후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서의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 메시지에 의해 상기 서비스 교환기와 메세징 시스템의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 및
상기 연결설정후 상기 메세징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연결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더 이상 서비스를 요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서비스 종료 메시지와 과금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부호 1은 서비스 제어 로직을 갖고 있는 서비스 제어시스템이고, 참조부호 2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시스템이며, 참조부호 3은 서비스 이용자와 망간에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이다.
참조부호 4는 단국 교환기에 서비스 제어 시스템과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교환기이고, 참조부호 5는 지능망 시스템을 연결시켜 주는 No.7 공통선 신호망이다.
참조부호 6은 E-Mail, 음성 메일, Fax Mail을 수신하고, 미디어를 변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메일 형태로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세징 시스템이다.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1)과 메세징 시스템(6)간의 프로토콜은 두 시스템간의 협정에 의해 구현된 TCP/IP 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를 사용자 정의 인터넷 프로토콜이라 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UMS; Unified Messaging Service)는 이용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메일(e-메일, 팩스 메일, 음성 메일 등)을 단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자에게 통합 메일의 형태로 제공해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화로 엑세스하는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흐름도이다.
서비스 제어시스템(1)으로 통합메세징 서비스(UMS) 요청이 입력되면(단계 10) 그 서비스 제어시스템(1)은 올바른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 후(단계 12에서 "예") 그 서비스 제어시스템(1)에서 서비스 교환기(4)로 메세징 시스템(6)과의 연결을 설정하라는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 메시지를 보내게 되면 서비스 교환기(4)는 메세징 시스템(6)과 연결을 설정한다(단계 14).
그 후, 상기 메세징 시스템(6)은 사용자 정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시 서비스 제어시스템(1)으로 연결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단계 16),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로직을 수행한다(단계 18). 이용자가 더 이상 서비스를 원하지 않으면 서비스 제어시스템(1)으로 서비스 종료 메시지와 과금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20).
그리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통합 메세징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메세징 시스템(6)으로 통합메세징 서비스(UMS) 요청이 수신되면(단계 30), 그 메세징 시스템(6)에서는 올바른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 후(단계 32에서 "예") 그 메세징 시스템(6)은 사용자 정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어시스템(1)으로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34).
이어, 상기 메세징 시스템(6)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고(단계 36), 이용자가 더 이상 서비스를 원하지 않으면 서비스 제어시스템(1)으로 서비스 종료 메시지와 과금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3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집중되었던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을 메세징 서비스 노드로 분산함에 따라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통합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지능망 시스템을 연결시켜 주는 공통선 신호망;
    상기 공통선 신호망에 연결되고 서비스 제어 로직을 갖고 있는 서비스 제어시스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시스템;
    상기 공통선 신호망을 통해 단국 교환기를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접속시켜 주는 서비스 교환기;
    상기 공통선 신호망 및 서비스 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이용자와 망간에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메일을 수신하고, 미디어를 변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메일 형태로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세징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과 메세징 시스템간의 프로토콜은 TCP/IP상의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3. 지능망 시스템을 연결시켜 주는 공통선 신호망; 상기 공통선 신호망에 연결되고 서비스 제어 로직을 갖고 있는 서비스 제어시스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시스템; 상기 공통선 신호망을 통해 단국 교환기를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접속시켜 주는 서비스 교환기; 상기 공통선 신호망 및 서비스 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이용자와 망간에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메일을 수신하고, 미디어를 변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메일 형태로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세징 시스템을 구비한 지능망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사용자의 통합 메세징 서비스 요청이 있게 됨에 따라 올바른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인증후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서의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 메시지에 의해 상기 서비스 교환기와 메세징 시스템의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 및
    상기 연결설정후 상기 메세징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연결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더 이상 서비스를 요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서비스 종료 메시지와 과금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전화망으로 액세스하는 사용자의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인터넷에서 액세스하는 사용자의 경우 상기 메세징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방법.
  6. 지능망 시스템을 연결시켜 주는 공통선 신호망; 상기 공통선 신호망에 연결되고 서비스 제어 로직을 갖고 있는 서비스 제어시스템;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시스템; 상기 공통선 신호망을 통해 단국 교환기를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접속시켜 주는 서비스 교환기; 상기 공통선 신호망 및 서비스 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이용자와 망간에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메일을 수신하고, 미디어를 변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메일 형태로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세징 시스템을 구비한 지능망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상기 메세징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통합 메세징 서비스 요청이 있게 됨에 따라 올바른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인증후 상기 메세징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의 인터넷 트로토콜을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는 과정; 및,
    상기 메세징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더 이상 서비스를 요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서비스 종료 메시지와 과금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990054908A 1999-12-03 1999-12-03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10054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08A KR20010054222A (ko) 1999-12-03 1999-12-03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08A KR20010054222A (ko) 1999-12-03 1999-12-03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22A true KR20010054222A (ko) 2001-07-02

Family

ID=1962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908A KR20010054222A (ko) 1999-12-03 1999-12-03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2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050B1 (ko) * 2001-12-24 2003-11-05 주식회사 케이티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및 미디어의 분리처리가 가능한 인터넷 음성통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음성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11407B1 (ko) * 2001-12-31 2008-03-10 주식회사 케이티 개방형 API(ApplicationProgramming Interface) 기술을이용한 통합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호스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827188B1 (ko) * 2001-09-25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 콜링 카드 서비스의 분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88B1 (ko) * 2001-09-25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 콜링 카드 서비스의 분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404050B1 (ko) * 2001-12-24 2003-11-05 주식회사 케이티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및 미디어의 분리처리가 가능한 인터넷 음성통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음성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11407B1 (ko) * 2001-12-31 2008-03-10 주식회사 케이티 개방형 API(ApplicationProgramming Interface) 기술을이용한 통합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호스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738B1 (en) Communications between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packetized data networks
JP3695563B2 (ja) データ網通信通話の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網通信通話処理用ネットワークノード
KR100281090B1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20370B1 (ko) 사설 교환기를 이용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102834A (ko)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
KR20010054222A (ko) 통합 메세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275479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 응답메시지 전송방법
KR1005690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지능망 및 회의통화 기능을 이용한통화연결음 및 통화 배경음의 동시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45467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메시지로부터 변환된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방법
KR20010046982A (ko) 지능망 착신형 서비스에서의 근거리 루팅장치 및 방법
KR100576838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285504B1 (ko) 지능망시스템과지능형부가장치간접속방법
KR100575338B1 (ko) 음성교환기에서 데이터통신서비스 사용 중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279557B1 (ko) 고도평생번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_
KR20010057113A (ko) 지능망 교환 시스템에서 발신 번호 메일 통지 서비스 방법
KR100275507B1 (ko)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에서의 지능망 서비스 호 처리 방법
KR100286756B1 (ko) 지능형 정보 제공기능을 내장한 서비스 교환기
KR100314581B1 (ko) 비동기 전송모드 망에서 신호처리 대리자에 의해 연결서비스용 메시지 전송 방법 및 메시지 구조
WO2001093605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traffic
KR100453813B1 (ko)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오퍼레이터 특정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연동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18947A (ko)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의 시에스-3에 기반한이동통신망에서의단말연결 방법
KR100805616B1 (ko) 인터넷 서비스 교환 기능 기반 지능망 서비스 제공 장치및 그 방법
KR100302365B1 (ko) 불완료 호 역접속 방법
KR20040078176A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693713B1 (ko) 전기통신망과 인터넷 연동 망을 통한개인종합통신(up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