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917A - 출력 채널 여파기 - Google Patents

출력 채널 여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917A
KR20010053917A KR1019990054481A KR19990054481A KR20010053917A KR 20010053917 A KR20010053917 A KR 20010053917A KR 1019990054481 A KR1019990054481 A KR 1019990054481A KR 19990054481 A KR19990054481 A KR 19990054481A KR 20010053917 A KR20010053917 A KR 2001005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pf
bpf
output
pimp
break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범
이무홍
이수현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5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3917A/ko
Publication of KR2001005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2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suppressing or attenuating harmonic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초고주파 출력채널 여파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기저대역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BPF와, 각 BPF에 각각 연결된 로우패스필터(LPF)와, 각 로우패스필터(LPF)를 거쳐 제공되는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로 제공하는 파워결합기의 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채널 여파기.

Description

출력 채널 여파기{Channel separator for output signal}
본 발명은 출력 채널 여파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IMP(Passive Intermodulation Product: 이하 PIMP라 함)와 출력단 회로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멀티팩션(multipaction) 브레이크다운(breakdown)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출력채널 여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고속 디지털 신호처리 기법의 발전으로 기저대역주파수(baseband frequency: 이하 BF라 함)은 물론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이하 IF라 함)단에서 직접 표본화(sampling)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소프트웨어 라디오(software radio)란 IF 또는 RF(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함)단에서부터 디지탈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은 디지탈 신호 처리의 프로그램(programmability) 특성에 의해멀티밴드(multiband), 멀티모드(multimode), 멀티펑션(multifunction)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사용자 마다 30KHz의 채널을 제공하고, 각 채널을 위하여 각각의 RF 및 IF 단 수신기(stage receiver)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은 하나의 광대역 RF단(wide RF stage), 하나의 광대역 ADC, 그리고 채널 수와 같은 디지털 여파기를 통하여 채널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은 소프트웨어 라디오 방법을 기지국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적용하면 국가별, 지역별로 존재하는 다양한 표준안을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방식이 다른 지역 간에도 로밍 서비스(roaming service)를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라디오 개념은 PCS, IMT-2000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단말기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송신 캐리어(carrier)의 고조파(Harmonic) 크기를 줄이고, 송수신 신호 사이에 큰 절연(Isolation)을 주기 위해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출력 채널 여파기의 맨 마지막 단에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이하 LPF라 함)(12)를 단다. 그런데 LPF(12)는 각 BPF(11)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CH1, CH2, CH3)의 캐리어합에 해당하는 출력을 파워결합기(13)을 통해 느끼게 되므로 PIMP와 멀티팩션브레이크다운(Multipaction Breakdown)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즉, 출력 캐리어의 출력 레벨이 매우 클 경우 출력 LPF(12) 내부의 금속 표면 접촉의 비선형 특성(금속-절연체-금속)때문에 PIMP가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수신단으로 들어가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위성체와 같이 높은 고도에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경우, 1 X 10-3㎜Hg 정도로 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출력 캐리어의 출력레벨이 클 경우 도 1에 나탄 것과 같은 끝단 LPF(12) 내부에서 고전압에 의한 2차전자방출(Secondary election emiss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LPF이 성능의 크게 저하되는 멀티팩션 브레이크다운(Multipaction breakdow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출력단에 달리 고주파회로를 영구적으로 파괴시켜 전체 통신시스템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출력 송신시스템의 출력단에서 발생하는 PIMP와 멀티브레이크단운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단의 LPF를 기저대역밴드필터(BPF)뒤에 구성한 출력 채널 여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출력여파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여파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력채널 여파기의 구조와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초고주파 출력채널 여파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기저대역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BPF와, 상기 BPF에 각각 연결된 로우패스필터(LPF)와, 상기 각 로우패스필터를 거쳐 제공되는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로 제공하는 파워결합기의 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채널 여파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F(22)을 BPF(21)과 Power 결합기(23)사이에 위치시켜, LPF의 성능(송신 캐리어의 고조파 크기 감소, 송수신 사이에 큰 절연 기능)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각 LPF(22)가 3개의 캐리어 파워(Power)만 느끼므로서 PIMP와 Multipaction Breakdown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즉 출력 채널 여파기 맨 끝단에 달린 LPF(12)를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각 BPF(21)뒤에 붙임으로써 각 LPF(22)가 느끼는 출력 Power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3배가 감소되어 PIMP와 멀티팩션 브레이크다운(Multipaction Breakdown)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채널여파기를 적용하므로써 LPF의 성능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PIMP와 멀티팩션 브레이크다운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

  1. 초고주파 출력채널 여파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기저대역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BPF와,
    상기 BPF에 각각 연결된 로우패스필터(LPF)와,
    상기 각 로우패스필터를 거쳐 제공되는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로 제공하는 파워결합기의 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채널 여파기.
KR1019990054481A 1999-12-02 1999-12-02 출력 채널 여파기 KR20010053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481A KR20010053917A (ko) 1999-12-02 1999-12-02 출력 채널 여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481A KR20010053917A (ko) 1999-12-02 1999-12-02 출력 채널 여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917A true KR20010053917A (ko) 2001-07-02

Family

ID=1962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481A KR20010053917A (ko) 1999-12-02 1999-12-02 출력 채널 여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39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7663B2 (en) Multi-mode radio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circuit
US6728528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llowing a soft handoff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081697A (en) Multi-carrier radio system and radio transceiver implementation
EP0643494A1 (en) Radio receiver
US9326048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71238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llowing a soft handoff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10198174B (zh) 射频前端发射电路、射频前端电路、收发机和基站设备
US10499352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for multiple bands and multiple standards
JP2021180357A (ja)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KR100711015B1 (ko) 무선 시스템 결합 장치 및 그 방법
US20010049267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transceiver and a transceiver
EP1325556B1 (en)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KR20060134293A (ko) 원칩형 프론트앤드 복합모듈
KR20010053917A (ko) 출력 채널 여파기
EP127624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30058891A1 (en) Low noise transmitter architecture using foldover selective band filtering and method thereof
KR100272972B1 (ko) 중계장치를이용한무선통신시스템용무선통신처리방법
CN114747147B (zh) 通信装置和网络设备
CN213072630U (zh) 一种多波段接收机前端电路
KR100204265B1 (ko) 코드분할다원접속 디지탈 셀룰라 이동통신용 고주파 지연장치
EP4064576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terminal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method
KR200222047Y1 (ko) 송수신 주파수 상/하향 변환장치
Ellingson Requirements for an Experimental Public Safety Multiband/Multimode Radio: Analog FM Modes
Schuh et al. An architecture for radio-independent wireless access networks
KR1015803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